KR200224049Y1 -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049Y1
KR200224049Y1 KR2020000036168U KR20000036168U KR200224049Y1 KR 200224049 Y1 KR200224049 Y1 KR 200224049Y1 KR 2020000036168 U KR2020000036168 U KR 2020000036168U KR 20000036168 U KR20000036168 U KR 20000036168U KR 200224049 Y1 KR200224049 Y1 KR 200224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선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6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049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에 의한 오염, 방전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에서는 접속단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접속단자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이물질에 의한 오염, 방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A battery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기의 충전단자에 접촉되는 접속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다른 금속성 물체와 접촉되어 방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을 위해 리튬 전지 등을 이용한 고효율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대개의 이동통신용 배터리는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여 대략 2~3일 정도 사용한 다음, 반복 충전사용하게 된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의 이동통신용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용 배터리는 밀폐된 내부에 충전 물질이 채워진 하우징(1)과, 하우징의 전면(1a)하단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미도시된 외부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2)로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의 배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는 하우징의 전면(1a)에 형성된 접속단자(2)를 통해 충전기에 의해 충전물질이 충전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하우징(1)의 배면에 형성된 접속단자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는 접속단자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부착되기 쉬워 재충전시 충전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속단자가 금속성 물체에 접촉된 경우, 쉽게 방전되어 배터리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겨울철 등 건조한 기상 조건하에서 발생되는 정전기가 노출된 접속단자를 통해 배터리 내부에 전달되어 과충전 보호회로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접속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는 하우징의 접속단자를 개폐시켜 접속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단자 개폐수단을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도 1 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도 5 는 도 4 의 〈A>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우징 2,11 : 접속단자
12 : 덮개 13 : 리턴 스프링
14 : 승강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는 밀폐된 내부에 충전 물질이 채워진 하우징(10)과, 하우징의 전면(10a)하단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11)와, 접속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단자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과 접속단자는 종래의 배터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접속단자 개폐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접속단자 개폐수단은 하우징의 양측면(10b)에 각각 형성된 승강홈(14)과, 승강홈에 양단이 각각 맞물려 승강하면서 접속단자(11)를 개폐시키는 덮개(12)와, 덮개와 하우징의 전면(10a)에 양단이 각각 탄성 지지된 리턴 스프링(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덮개(12)는 비전도성의 금속 재질을 사용하거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는 접속단자(11)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과 외부의 도전체에 의해 접촉되어 쉽게 방전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정전기에 의해 과충전 보호회로가 파괴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는 접속단자 개폐 수단의 덮개(12)에 의해 평상시 접속단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덮개(12)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접속단자 개폐 수단의 덮개(12)는 항상 리턴 스프링(13)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으므로 덮개(12)가 승강홈(14)을 따라 상승하더라도 리턴 스프링(1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항상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는 접속단자가 접속단자 개폐 수단에 의해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과 외부의 도전체에 의한 방전 및 정전기에 의한 과충전 보호회로의 파괴가 방지됨으로써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 장시간의 단말기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내부에 충전 물질이 채워진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단자 개폐수단이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 개폐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승강홈과;
    상기 승강홈에 양단이 각각 맞물려 승강하면서 상기 접속단자를 개폐시키는 비전도성 덮개와;
    상기 덮개와 하우징에 양단이 각각 탄성 지지된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KR2020000036168U 2000-12-22 2000-12-22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KR200224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68U KR200224049Y1 (ko) 2000-12-22 2000-12-22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68U KR200224049Y1 (ko) 2000-12-22 2000-12-22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049Y1 true KR200224049Y1 (ko) 2001-05-15

Family

ID=7309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168U KR200224049Y1 (ko) 2000-12-22 2000-12-22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0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370B1 (ko) * 2001-12-14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370B1 (ko) * 2001-12-14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0635A1 (en) Protective device for a repeatedly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battery
NO20006650L (no) Reservebatteri for mobiltelefon
AU2005200399A1 (en) Intrinsically-safe battery power supply for underground mining
KR20020095025A (ko) 전자 회로용 하우징을 구비한 배터리
KR100462465B1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CN1150734C (zh) 电池组件更换型便携无线通信机
DK0987783T3 (da) Batteridrevet transportabel robust radioudstyr
KR20022404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JP3494953B2 (ja) 金属空気電池
CN107925044B (zh) 电池连接单元及包括该电池连接单元的电池组
EP1304751A3 (de) Elektrischer Akkumulator
CN1842758B (zh) 电处理单元
KR200225206Y1 (ko)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KR101003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200172349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충전 단자장치
KR200307560Y1 (ko) 삽입형 충전단자를 갖는 배터리
KR200344198Y1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CN219979968U (zh) 一种防水插座
KR200269123Y1 (ko) 차단장치를 내장한 배터리
KR200196616Y1 (ko) 휴대폰 전용 건전지의 겸용 충전 배터리
KR200307358Y1 (ko) 충전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JPH0613069A (ja) バッテリパック装置
KR100406240B1 (ko) 핸드폰 배터리 충전용 태양열 장치
KR200500465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단자 노출방지 구조 및 방법
KR10046009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