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091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091B1
KR100460091B1 KR10-2002-0012059A KR20020012059A KR100460091B1 KR 100460091 B1 KR100460091 B1 KR 100460091B1 KR 20020012059 A KR20020012059 A KR 20020012059A KR 100460091 B1 KR100460091 B1 KR 10046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pack
bellows
cap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828A (ko
Inventor
강세구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09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서 통전캡을 벨로우즈와 이격(離隔)된 상태에서 배터리팩을 외부의 충전장치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이격된 배터리팩의 통전캡과 벨로우즈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충전장치의 터미널단자부와 통전되며 충전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은 외부의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되어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에 있어서, 배터리팩에는 충전장치의 터미널단자부의 누름 접촉에 의해 배터리팩에 내포된 배터리셀과 터미널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통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Battery-pack for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에 부착된 배터리팩의 후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충전을 위해 충전장치의 터미널단자부와의 누름 접촉에 의해 자체 연결이 되어 터미널단자부와 배터리셀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는 배터리팩(battery pack)이 부착된다.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팩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단자들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어 있다.
단말기 본체의 후단부에는 하나이상의 접속단자부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단자부에 상응하도록 배터리팩의 전단부에는 충전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다.
충전단자부는 배터리팩의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셀(battery cell)과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다.
배터리셀의 충전된 전력을 모두 소모했다면 배터리팩의 배터리셀은 충전되어야 한다.
그래서, 단말기 본체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충전장치에 장착되게 된다.
충전장치에는 터미널단자부가 형성되어 있고,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팩이 이 터미널단자부에 접촉되어 충전되도록 배터리팩에는 충전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충전단자부는 배터리팩의 전·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충전장치의 터미널단자부와 접촉하며 충전된다.
그러나, 충전단자부가 배터리셀과 연결되고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목걸이 등 전도체 물질과 접촉하게 되면 배터리셀이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충전단자부에 전도체 물질이 접촉되면 배터리셀이 심할 경우 쇼트(short)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적 극성을 가진 배터리팩의 충전단자부가 반도체 등 전기적 성질에 민감한 물질에 근접되면 반도체 등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이 외부로 노출된 충전단자를 가지고 있고, 충전기와 결합될 때는 충전단자와 배커리셀을 연결시키고, 충전기에서 분리하면 충전단자와 배터리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서 외부로 노출된 충전단자에 의하여 쇼트되는 위험을 제거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을 제공하려는 것이다.본 발명의 패커리팩은 배터리셀과, 배터리셀을 보호하는 커버와, 커버의 표면에 노출되는 충전용 단자와, 배터리팩이 충전장치에 결합되어 충전용 단자가 커버 내부로 밀릴때만 배커리셀의 전기단자와 충전용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충전용 단자가 커버 내부로 밀리지 아니할 때는 상기 배커리셀의 전기단자와 충전용단자가 연결되지 못하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포함한다.이 통전수단은 배터리셀의 단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어 압축력이 가하여지면 수축되고, 이 힘이 제거되면 신장되는 벨로우즈와; 배터리팩 커버의 상향 경사진 단자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벨로우즈에 접촉 또는 접촉 해지될 수 있도록 측면이 하향 경사진 탄성체로서 끝단에 이탈방지편이 형성된 통전캡으로 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충전장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2a는 배터리팩에서 통전캡이 벨로우즈에서 이격된 상태의 단면도.
도2b는 배터리팩에서 통전캡이 벨로우즈에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단말기 본체 30 : 배터리팩
34 : 단자홈 40 : 배터리셀
50 : 통전캡 52 : 벨로우즈
54 : 압축 스프링 56 : 이탈방지편
60 : 충전장치 62 : 터미널단자부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단말기 본체를 충전장치에 장착하는 상태도를 도시하였으며, 도2a는 통전캡이 벨로우즈에서 이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3b는 충전장치의 터미널단자부에 의해 통전캡이 벨로우즈에 접촉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팩은 내포된 배터리셀(40)은 외부 충전장치(60)로부터 충전되고, 배터리셀(40)의 충전된 전원을단말기 본체(20)에 공급되도록 형성된 배터리팩(30)에서 배터리셀(40)에 접지된 일단부에서 이격되어 배터리팩(30) 외부로 일부 돌출된 타단부가 충전장치(60)에 형성된 터미널단자부(62)의 누름 접촉에 의해 자체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셀(40)을 충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전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20)의 후면에는 배터리팩(30)이 부착되어 있다.
단말기 본체(20)와 배터리팩(30) 사이에는 단자들(도시하지 않음)로 접촉되어 있어 배터리팩(30)에 저장된 전력을 양극(+)과 음극(-)의 전기적 성질에 의해 단말기 본체(20)에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팩(30)의 전력이 소모되었을 때는 배터리팩(30)을 충전장치(60)에 장착하여 충전되도록 한다.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수단은 배터리셀(40)에 일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압축 스프링(54)이 개재되며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벨로우즈(52)와, 배터리팩(30) 커버에 상향 경사진 단자홈(3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벨로우즈(52)에 접촉 또는 접촉 해지될 수 있도록 측면이 하향 경사지고 탄성체이며 끝단에 이탈방지편(56)이 형성된 통전캡(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팩(30)의 커버에 설치된 통전캡(50)이 하강하며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배터리셀(40)에는 벨로우즈(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전캡(50)은 외부 전원의 공급을 위해 충전장치(60)의 터미널단자부(62)와 누름 접촉을 하게 된다.
즉, 터미널단자부(62)가 통전캡(50)을 누르게 되면 통전캡(50)은 하강하며 벨로우즈(52)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배터리팩(30)에서 통전캡(50)은 충전장치(60)의 터미널단자부(6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단자홈(34)에 삽통되어 있다.
통전캡(50)의 상면은 터미널단자부(62)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평면일 수도 있고, 접촉의 안전성을 위해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도 있다.
통전캡(50)의 양측면은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통전캡(50)은 단자홈(34)의 상향 경사진 면에 면접촉하며 슬라이딩 승강된다.
통전캡(50) 정면도의 형상은 상단부 측면 사이의 길이가 하단부 측면 사이의 길이보다 길고, 각 측면 하단의 끝단에는 후술할 이탈방지편(56)이 형성되어 있다.
통전캡(50)이 상승되어 있을 때보다 하강할 때 통전캡(50)의 측면간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통전캡(50)이 원상회복 되려는 측면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된다.
즉, 배터리팩(30)이 충전장치(60)에 장착되면서 통전캡(50)은 터미널단자부(62)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배터리팩(30)을 충전장치(60)에서 분리하면 하강된 통전캡(50)은 오므라든 측면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통전캡(50)의 끝단에는 이탈방지편(5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이탈방지편(56)이 단자홈(34)에 걸려 통전캡(50)이 단자홈(3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벨로우즈(52)에는 압축 스프링(54)이 내장되어 있어 통전캡(50)에 의해 수축된 벨로우즈(52)는 압축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이완된다.
배터리팩(30)의 내부에는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셀(40)이 구비되어 있다.
벨로우즈(52)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셀(40)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타단은 하강된 통전캡(50)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배터리팩(30)에 돌출 형성된 통전캡(50)은 충전장치(60)에서 돌출 형성된 터미널단자부(62)에 의해 단자홈(34) 내부로 하강하면서 벨로우즈(52)에 닿게 된다.
설계상 벨로우즈(52)의 높이와 통전캡(50)의 승강 이동거리를 조절하기 힘들기 때문에 벨로우즈(52)의 높이는 통전캡(50)이 하강했을 때 충분히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벨로우즈(52)는 길이방향으로 플렉시블해서 통전캡(50)에 의해 수축되도록 한다.
수축된 벨로우즈(52)의 이완을 위해 벨로우즈(52)의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54)이 설치된다.
벨로우즈(52)와 통전캡(50)은 도전체(導電體)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격된 벨로우즈(52)와 통전캡(50)은 터미널단자부(62)의 누름 접촉에 의해 벨로우즈(52)와 통전캡(50)은 접촉되고, 결과적으로 배터리셀(40)은 충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배터리팩(30)이 충전장치(60)로부터 분리되면 배터리팩(30)의 통전캡(50)은 배터리셀(40)과 연결된 벨로우즈(52)와 이격된다.
배터리팩(30)을 충전장치(60)에 장착하게 되면 충전장치(60)의 터미널단자부(62)가 통전캡(50)을 눌러 통전캡(50)이 벨로우즈(52)와 접촉되게 한다.
즉, 터미널단자부(62)가 통전캡(50)을 누르게 되면 통전캡(50)의 하향경사진 측면은 상향경사진 단자홈(34)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게 된다.
통전캡(50)이 일정 범위 하강하게 되면 그 하면이 벨로우즈(52)의 상면에 접하게 되고 전기적으로 연결이 된다.
통전캡(50)이 벨로우즈(52)에 닿아도 더 하강하는 것을 대비해 벨로우즈(52)는 이완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벨로우즈(52)의 내부에 구비된 압축 스프링(54)은 벨로우즈(52)를 팽창시키면서 그 관성력으로 상승되는 통전캡(50)을 밀어 올려주는 보조 역할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팩은 충전장치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돌출된 배터리팩의 통전캡이 외부의 도전체에 접해도 방전되지 않아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장치에서 분리된 배터리팩의 통전캡은 벨로우즈와 이격되어 전기적 성질을 띄지 않기 때문에 전도체가 닿아도 쇼트(short)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되었을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된 충전단자를 가지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에 있어서,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을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표면에 노출되는 충전용 단자와,
    배터리팩이 충전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용 단자가 커버 내부로 밀릴때만 상기 배커리셀의 전기단자와 상기 충전용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충전용 단자가 커버 내부로 밀리지 아니할 때는 상기 배커리셀의 전기단자와 상기 충전용단자가 연결되지 못하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수단은 상기 배터리셀의 단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며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벨로우즈와;
    상기 커버의 상향 경사진 단자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벨로우즈에 접촉 또는 접촉 해지될 수 있도록 측면이 하향 경사진 탄성체로서 끝단에 이탈방지편이 형성된 통전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KR10-2002-0012059A 2002-03-07 2002-03-07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KR100460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059A KR100460091B1 (ko) 2002-03-07 2002-03-07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059A KR100460091B1 (ko) 2002-03-07 2002-03-07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828A KR20030072828A (ko) 2003-09-19
KR100460091B1 true KR100460091B1 (ko) 2004-12-04

Family

ID=3222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059A KR100460091B1 (ko) 2002-03-07 2002-03-07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0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987U (ko) * 1997-07-30 1999-02-25 김영환 핸드폰의 충전단자 커버링장치
KR200174760Y1 (ko) * 1999-09-27 2000-03-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듈화된 충전단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987U (ko) * 1997-07-30 1999-02-25 김영환 핸드폰의 충전단자 커버링장치
KR200174760Y1 (ko) * 1999-09-27 2000-03-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듈화된 충전단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828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71894U (zh) 充电器及充电系统
RU2003122780A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батарея для сотового телефона
CN101751160A (zh) 触控笔
CN109256826B (zh) 低功耗唤醒电路、供电控制器、供电装置和电动工具
KR20070058654A (ko)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
KR20040039169A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KR10046009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JPH07245095A (ja) 着脱式電池ユニット
KR970077878A (ko) 휴대전화용 2차전지의 충전장치
CN103326192A (zh) 一种安全插座
KR200201081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200172349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충전 단자장치
JP5065002B2 (ja) 充電台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CN203300902U (zh) 一种安全插座
CN212969105U (zh) 一种充电参数自整定充电装置
CN212517770U (zh) 一种加装在卡座弹片上的esd装置
JP3458061B2 (ja) 充電器
KR100523899B1 (ko) 보조 전원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N214280350U (zh) 一种具有反向电动势保护功能的续流插座
KR0167318B1 (ko) 무선 전화기 휴대 장치의 회로 파손 방지 장치
JP3819812B2 (ja) 電池を装着するスペースを備えた電気機器装置
KR200181454Y1 (ko) 이중접촉 구조를 이용한 충전단자 구조
KR101003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20060101746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