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5038A -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038A
KR20050055038A KR1020057007097A KR20057007097A KR20050055038A KR 20050055038 A KR20050055038 A KR 20050055038A KR 1020057007097 A KR1020057007097 A KR 1020057007097A KR 20057007097 A KR20057007097 A KR 20057007097A KR 20050055038 A KR20050055038 A KR 20050055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oint
points
candidate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683B1 (ko
Inventor
타카시 카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지역을, 각 작업원이 효율적으로 순회할 수 있도록 에어리어 분할한다. 점포 선출부(156)는, 어느 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점포 중에서 에어리어 분할처리의 대상이 되는 다수의 점포를 선출한다. 초기설정부(114)는 분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점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초기값으로서 다수 설정한다. 분할 처리부(115)는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점포 특성에 따라 정해지는 통계량을 산출하고, 분할 대상으로서 선출된 다수의 점포를,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에어리어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킨다.

Description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AREA DIVISION SYSTEM}
본 발명은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고, 각각의 에어리어에 순회 포인트를 귀속시키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 에어리어 분할 방법 및 배치지점의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업지역에 있어서, 이들의 순회 포인트를 순회하는 최단경로는, 소위 순회 세일즈맨 문제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순회 세일즈맨 문제는, 세일즈맨이 n개의 도시를 1회씩 다녀서 순회할 경우의 최단경로를 탐색하는 문제이다. 도시(都市)수를 n으로 하면,(n-1)!/2의 조합이 있으며, n의 수가 커지면, 모든 조합의 수는 지수 함수적으로 증대하므로, 엄밀해(嚴密解)를 구하는 것은 곤란이다. 그래서, 조합의 최적화를 행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근사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이러한 근사 알고리즘으로서는, 예를 들면 랜덤 서치, 등산법, 풀림법(SA:Simulated Annealing), 유전적 알고리즘(GA),MST(Minimum Spanning Tree)등을 들 수 있다.
종래, 예를 들면, 재택 간호를 위한 헬퍼나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업자 등의 순회차가 효율적인 순회를 하기 위하나의 순회로의 생성을 지원하는 순회로 지원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1참조). 이 문헌에는, 대상이 되는 순회 에어리어를 예를 들면 1km2정도의 소정 넓이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그 순회 에어리어내의 모든 블록을 통과하는 최단의 순회로를 구하며, 이 순회로를 이동하기 위한 시간과 순회 에어리어내에 있어서의 순회 대상자와의 접촉 시간의 합계가 순회자의 실제 활동 시간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여, 그 시간에 따라 순회 에어리어에 블록의 추가 또는 삭제를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특별한 지식이나 경험을 요하지 않고 최적의 순회로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작성된 순회로의 변경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한 지역 내로 분산 배치된 다수의 후보지점으로부터,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지점을 적절히 선택한다는 것은 일상생활의 여러 가지 면에서 필요하다. 예를 들면, 어떤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그 지역 전체에 서비스가 널리 퍼지도록, 다수의 서비스 포인트를 적절히 배치하는 시도가 행해진다.
이러한 예로서, 이동체 통신의 분야에서는, 무선통신망의 기지국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지국의 설치 계획이나 기지국의 보수 계획을 작성할 경우, 서비스구역의 어느 위치에 기지국을 설치하면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지를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서비스구역에 대하여, 기지국의 다수가 다른 설치패턴을 준비하여, 설치패턴 마다 품질 평가치 및 비용 평가치를 산출하고, 이들에 의거하여 설치패턴을 결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2참조). 여기서, 품질 평이치는, 각 설치패턴에 대해 전기장 강도분포의 시뮬레이션을 행하여, 설치패턴 마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거하여 서비스구역의 면적에 대한 통화가능 에어리어의 면적 비율로서 산출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11-13438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평8-317458호 공보
전술한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적합한 실시예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순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하는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점포정보 기억부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초기 설정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초기 설정 기억부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분할 제어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로직 기억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드의 설정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시드의 설정 처리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시드의 설정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스텝104의 점포의 후보를 선택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각 분할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합계 코스 수의 산출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조정 접수부가 유저로부터 다른 것으로 바꾸어 처리를 접수한 경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드 설정 처리 및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드 후보수 및 선택 조건의 설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초기 설정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로직 기억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드 설정 처리 및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스텝222의 에어리어수 산출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2는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점포정보 기억부의 데이터구조 일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7은 점포정보 기억부의 데이터구조 일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8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가 데이터 등록 접수부를 가질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9는 점포정보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0은 점포정보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제 6실시예에 있어서의 점포정보 기억부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제 6실시예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기억부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분할상태 판단부가 각 에어리어의 분할 상태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치지점 선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7은 제 7실시예에 있어서, 배치지점 선택부가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8은 도 4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치지점의 선택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49는 도 4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치지점의 선택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0은 영업 구역 내에 있어서의 지역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한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52는 영업 구역 내에 있어서의 지역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3은 도 52의 스텝52에서 설명한 변형 지도의 작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54는 배치지점 선택부에 의해 작성된 변형 지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는 도 52에서 도 5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변형 처리를 행하기 전의 원래 도와 변형 처리를 행한 후의 변형 지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나, 종래 순회 경로의 설정 기술에서는, 각 순회자가, 미리 할당된 담당 에어리어를 어떻게 빨리 순회할 수 있을 지 관점에서의 검토가 행해지고 있을 뿐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도, 순회자가 순회하는 순회 에어리어는 미리 정해져 있으며, 그 안에서 모든 블록을 최단경로로 순회한 경우를 상정하여 순회 시간을 산출하여, 실제 활동 시간과의 비교로 블록의 추가 또는 삭제를 행하여 순회 에어리어를 변경하는 미세 조정이 행해지고 있을 뿐이다. 종래의 방법은, 부분적인 최적화가 행해지고 있을 뿐이며, 한 영업지역을 다수의 순회자로 분담할 경우,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각각의 순회자에게 적절히 분배한다는 관점에서의 전체적인 최적화는 검토되고 있지 않다. 개개 순회자의 작업 효율을 높임으로써, 전체적으로 작업 효율도 어느 정도 향상할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한 영업지역을 다수의 순회자에게 분담할 경우의 특색을 고려한 최적화가 행해졌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각 순회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 효율을 높이고자 하면, 개개 순회자의 노력에 의존하게 되어, 순회자의 부담이 무겁게 된다.
다수의 순회자에게 분담한다는 특색을 고려하면, 영업 구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다수의 순회자에게 어떤 식으로 분배해야 할 지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종래 각 순회자의 담당 순회 포인트의 분배가 적절히 행해지지 않으므로, 순회자의 노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순회자 사이에서 불공평한 느낌을 일으킬 수도 있었다.
또한 종래, 영업 구역내의 고객을 다수의 세일즈맨에게 분담시켜, 영업 활동을 행하게 할 경우, 각 세일즈맨의 평가는, 활동 프로세스가 아닌, 매상고나 수주량 등의 결과에 대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매상고나 수주량 등은 개개 세일즈맨의 경험이나 능력에 크게 좌우되며, 세일즈맨의 평가를 결과로만 행하는 것은, 각각 개인주의에 빠지게 되어, 조직적이며 계획적인 영업 활동을 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는 활동 프로세스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하기 힘들며, 매상고나 수주량 등의 결과로 평가할 수 밖에 없는 현상이었다.
조직적인 영업 활동을 할 경우에는, 개인의 경험이나 능력에 좌우되지 않고, 각 샐러리맨에게 표준 메뉴얼에 따라 효율적이며 계획적으로 활동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세일즈맨의 활동 프로세스를 적절히 평가하는 방법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지역을,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작업량 등의 통계량이 균등하게 되도록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역전체에 있어서의 토털작업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분할 대상의 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는 기술을 제공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에어리어의 담당자에게 공평감을 갖도록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는 기술을 제공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 대상의 지역에 특유한 사정을 고려하면서, 객관적인 기준으로 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련의 영업 계획을 고려하여 영업 계획의 진행 상태에 따라 적절히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 대상 지역에 포함되는 순회 포인트가 빈번하게 변동될 경우라도 신속하게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종래 원하는 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에서는, 다수의 설치패턴을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준비된 모든 설치패턴에 대해 품질 평이치 및 비용 평이치를 산출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서, 무선통신망의 기지국에는 각각 전파가 미치는 범위가 있어, 이 범위에 의해 각 기지국이 담당하는 에어리어가 정해진다. 따라서, 어떤 서비스구역에 경제적으로 기지국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 기지국이 담당하는 에어리어가 될 수 있으면 겹치지 않도록 기지국의 설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역전체에 서비스가 미치도록 지역 내에 다수의 서비스 포인트를 설정할 때에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어느 지역에 편의점 등의 체인점을 낼 때, 점포끼리 경합하지 않도록, 각 점포의 상권이 겹치지 않는 적절한 배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업지역을, 다수 작업원의 담당 에어리어로 분할할 경우에, 순회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여, 작업원 수를 늘리지 않고 순회 포인트의 수를 늘리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순회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각 담당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순회 포인트간의 이동 거리가 적어지도록 담당 에어리어를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 예로서,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서로의 거리가 짧은 순회 포인트의 조합이 동일한 에어리어에 포함되도록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를 무질서하게 행하면 영업지역을 깔끔하게 에어리어 분할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전체적으로 오히려 효율이 나빠질 수도 있다. 그 때문에 다수의 순회 포인트 중에서, 각 에어리어의 기점이 되는 순회 포인트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점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지역 내에 배치된 다수의 후보지점에서, 다수의 대표 지점을 적절한 배치로 선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그 지역 전체에 서비스가 미치도록 지역 내에 다수의 서비스 포인트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지역 내에 다수의 서비스 포인트를 배치할 경우에, 다른 서비스 포인트의 위치와의 관계에서, 각 서비스 포인트에 있어서의 효과가 높아지는 배치를 선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대상지역을 에어리어 분할할 때에, 각 에어리어의 기점이 되는 순회 포인트를 적절히 선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고, 각각의 에어리어에 순회 포인트를 귀속시키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에 의해 정해지는 통계량을 산출하는 통계량 산출부와,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에어리어 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키는 분할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순회 포인트라 함은, 작업원이 순회 작업을 행할 때에 들르는 지점을 말한다. 예를 들면, 충전 작업 등을 행할 때의 자동판매기, 상품배송을 행할 때의 편의점 등의 체인점 등 각종 점포, 방문판매나 청취조사를 할 때의 대상자, 신문이나 우유 등의 각종 배달 서비스의 대상자, 광고지 배포를 행할 때의 대상 설비 등으로 할 수 있다.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작아진다고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했을 때, 각 에어리어간의 통계량 차이의 평균값이 더욱 작아지는 것, 에어리어간의 통계량 차이의 최대값이 가장 작아지는 것 또는 이들이나 개개의 사정을 고려하여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이 균등하게 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다수의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므로, 에어리어 분할의 목적을 고려한 통계량을 설정하는 것으로 각 에어리어를 공평하게 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지역 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초기값으로서 다수 설정하는 초기 설정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고, 분할 처리부는 통계량을 고려하여 특정 에어리어를 선택한 후, 그 특정 에어리어에 순회 포인트를 추가하여 에어리어를 확장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고, 순회 포인트를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분할 처리부는, 각 에어리어에 추가하는 후보가 되는 순회 포인트를, 에어리어 마다 선택하는 후보선택 처리부와, 통계량이 에어리어 사이에서 더욱 균등하게 되도록 특정 에어리어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후보가 되는 순회 포인트를 이 특정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후보귀속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보선택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선택과 후보귀속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귀속을 순차적으로 반복 실행하여 에어리어를 확장하고, 순회 포인트를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이 에어리어 사이에서 더욱 균등하게 되도록 특성 에어리어가 선택되므로, 에어리어 분할의 목적을 고려한 통계량을 설정하는 것으로 각 에어리어를 공평하게 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통계량 산출부는,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 및 후보가 되는 순회 포인트에 근거하여 통계량을 산출 할 수 있으며, 후보귀속 처리부는, 통계량이 가장 작아지는 에어리어를 특정 에어리어로서 선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후보선택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선택과 후보귀속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귀속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조건을 설정하는 종료조건 설정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종료조건을 만족할 때 까지, 후보선택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선택과 후보귀속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귀속을 순차적으로 반복 실행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종료조건은, 예를 들면, 이 지역에 있어서, 모든 순회 포인트가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되었을 때, 후보의 선택 처리가 소정 회수 행해졌을 때, 에어리어 사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가 되었을 때 또는 이들을 적절히 조합한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후보의 선택과 후보의 귀속을 반복하여, 종료조건을 적절히 설정하면, 대상이 되는 지역을, 객관적으로 소정 기준을 따라서 에어리어 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분할 처리부는, 각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순회 포인트를, 각 에어리어의 대표 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선택 해 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대상이 되는 지역을, 소정 형상의 에어리어로 적절히 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분할 처리부는,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모든 순회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대표점을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분할 처리부는,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의 중심을 대표점으로서 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대상이 되는 지역을 블록 모양으로, 소정 형상의 에어리어로 적절히 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분할 처리부는,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간의 거리가 소정 제한거리 이내가 되도록, 순회 포인트를 에어리어 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서로의 거리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는 포인트가 같은 에어리어로 분류되므로, 대상이 되는 지역을 에어리어 모양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순회 포인트 사이를 순회하는 작업을 행할 경우에,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작업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통계량 산출부는,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를 경유하여 작업을 행할 경우의 작업 시간 및 순회 포인트간의 이동 시간을 고려해서 통계량을 산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은 거점을 포함할 수 있고, 통계량 산출부는, 거점과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순회 포인트 사이의 이동 시간도 고려해서 통계량을 산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각 순회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포인트정보 기억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고, 통계량 산출부는, 포인트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통계량을 산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순회 포인트에 관한 정보라 함은, 예를 들면 순회 포인트의 위치 정보, 순회 포인트에 있어서의 작업시간, 순회 포인트의 종류, 순회 포인트를 순회하는 목적 및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요하는 시간 등, 순회 포인트를 경유하여 작업을 행할 경우의 작업량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각 순회 포인트를 순회하는 목적과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요하는 표준시간을 대응시켜서 기억한 표준시간 기억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고, 포인트정보 기억부는, 각 순회 포인트를 순회하는 목적을 순회 포인트 마다 기억 할 수 있으며, 통계량 산출부는, 포인트정보 기억부 및 표준시간 기억부를 참조하여 통계량을 산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순회 포인트를 순회하는 목적이라 함은, 예를 들면 순회 포인트가 점포인 경우, 각 점포와의 관계 강화, 정보수집, 세일즈 제안, 계약, 검증 및 상품의 보충·배달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이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분할 처리부에 의한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결과를 기억하는 분할정보 기억부와, 분할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에어리어 분할 상태를 판단하는 분할상태 판단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고, 통계량 산출부는, 포인트정보 기억부의 갱신이 있는 경우에, 이 갱신 후의 순회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을 산출 할 수 있으며, 분할상태 판단부는, 갱신 후의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에 따라, 에어리어 분할 상태의 유지 또는 재에어리어 분할의 지시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이미 에어리어 분할 처리가 행해진 후, 재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할 경우에,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된 순회 포인트의 이 에어리어로의 귀속 상태 유지의 지정을 접수하는 지정 접수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고, 분할 처리부는, 귀속 상태의 유지가 지정된 순회 포인트가 대응하는 에어리어에 귀속하도록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에어리어 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킬 수 있다. 귀속 상태의 유지라 함은, 이미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된 순회 포인트가, 다음 에어리어 분할 처리에 있어서도 그 에어리어에 귀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에 격차가 생겨 재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해야 할 경우에, 에어리어를 변경시키고 싶지 않은 순회 포인트에 대해서는 귀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실제 상황에 따라 재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다수의 순회 포인트가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된 후에, 순회 포인트를 다른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변경 지시를 접수하고, 이 변경 지시에 의해 순회 포인트를 다른 에어리어에 귀속시켰을 때의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에 따라, 이 변경 지시를 허가 또는 불허가로 하는 조정 접수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다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에 무게를 가하는 무게 설정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통계량 산출부는, 무게를 고려해서 통계량을 산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다수의 순회 포인트 중에서, 동일한 에어리어로 분할해야 할 순회 포인트의 조합 지정을 접수하는 조합 지정 접수부를 또한 가질 수 있으며, 분할 처리부는, 조합 지정이 된 순회 포인트를 같은 에어리어에 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초기 설정부는, 지역에 설정하는 에어리어의 수를 접수하는 에어리어수 설정 접수부를 갖고 있어도 좋으며, 에어리어수에 대응하는 수의 순회 포인트를 각 에어리어의 초기값으로서 선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이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된 상태를 다른 단말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처리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기 위한 지시를 접수하는 통신 처리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은 다수의 처리 대상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다수의 처리 대상 포인트 중에서 소정의 조건에 일치하는 처리 대상 포인트를 순회 포인트로서 선출하는 순회 포인트 선출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고, 분할 처리부는, 순회 포인트 선출부에 의해 선출된 순회 포인트를 대상으로 하여 각 에어리어 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키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이라 함은, 처리 대상 포인트를 순회하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대상 포인트가 그 지역에 포함되는 점포인 경우, 순회 포인트 선출부는, 점포의 종류, 취급 상품, 거래 연수, 과거의 거래 정보, 영업 전략등에 따라 순회 포인트를 선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은, 소정의 조건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건입력 접수부와, 각 처리 대상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처리대상 포인트 정보기억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고, 순회 포인트 선출부는, 처리대상 포인트 정보기억부를 참조해서 순회 포인트를 선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다수의 가(假)대표 포인트를 선택한 후, 가대표 포인트간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서 정해지는 거리 파라미터가 커지도록 다수의 가대표 포인트를 재 선택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고, 다음에 가대표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대상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컴퓨터 시스템은 가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 및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을 구비하고, 가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이,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다수의 가대표 포인트를 선택한 후,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이, 가대표 포인트간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서 정해지는 거리 파라미터가 커지도록, 다수의 가대표 포인트를 재 선택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고, 다음에 가대표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대표 포인트의 선택 방법은, 거리 파라미터가 커지도록 가대표 포인트를 재 선택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기 위해, 서로 적절히 분산된 배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가대표 포인트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거리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가대표 포인트간의 최소치, 가대표 포인트간의 평균값 또는 이들과 가대표 포인트간 거리 차이의 역수와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가대표 포인트를 재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 회수 행한 시점에 있어서 가대표 포인트로서 선택되고 있는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로서 확정 할 수 있다. 또한 가대표 포인트를 재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의 거리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소정 값 이하가 된 시점에서 선택되고 있는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로서 확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다수의 가대표 포인트를 선택한 후, 가대표 포인트 이외의 다른 포인트로부터 치환 후보 포인트를 선택하는 제 1스텝과, 가대표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서 정해지는 제 1거리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가대표 포인트를 치환 후보 포인트로 치환했을 때의 가대표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서 정해지는 제 2거리 파라미터를 산출하며, 제 2거리 파라미터가 제 1의 거리 파라미터보다도 커질 경우에, 가대표 포인트를 치환 후보 포인트로 치환하는 제 2스텝을 순차적으로 반복 실행하고, 다음에 가대표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대상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컴퓨터 시스템은, 가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 치환 후보 포인트 선택 수단 및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을 구비하고, 가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이,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다수의 가대표 포인트를 선택한 후, 치환 후보 포인트 선택 수단이, 가대표 포인트 이외의 다른 포인트로부터 치환 후보 포인트를 선택하는 제 1스텝과,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이, 가대표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서 정해지는 제 1거리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가대표 포인트를 치환 후보 포인트로 치환했을 때의 가대표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서 정해지는 제 2거리 파라미터를 산출하며, 제 2거리 파라미터가 제 1거리 파라미터보다도 커질 경우에, 가대표 포인트를 치환 후보 포인트로 치환하는 제 2스텝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대표 포인트의 선택 방법은, 거리 파라미터가 커질 경우에, 가대표 포인트를 치환 후보 포인트로 치환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므로, 서로 적절히 분산된 배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또한 치환 후보 포인트로 치환한 경우의 거리 파라미터와 기존의 가대표 포인트의 거리 파라미터를 비교하므로, 전회 처리에서 치환되지 않은 가대표 포인트의 거리 파라미터를 다시 산출할 필요가 없으며, 거리 파라미터의 비교를 행할 때의 순서를 간략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하게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또한 치환 후보 포인트는,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포인트에 대해 가대표 포인트로 치환할 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히 분산된 배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함으로써, 대표 포인트의 분산 상태를 최적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거리 파라미터는 가대표 포인트간 거리의 최소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은 가대표 포인트간 거리의 최소치를 거리 파라미터로서 이용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포인트간 거리가 작아지는 포인트의 조합이 배제되므로 최종적으로, 포인트간 거리가 서로 떨어진 포인트의 조합을 대표 포인트로서 선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거리 파라미터는 가대표 포인트간 거리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은 가대표 포인트간 거리의 평균값을 거리 파라미터로서 이용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포인트간 거리가 커지는 포인트의 조합이 가대표 포인트로서 선택되므로, 최종적으로, 포인트간 거리가 서로 떨어진 포인트의 조합을 대표 포인트로서 선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거리 파라미터는 가대표 포인트간 거리 차의 역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은 가대표 포인트간 거리차의 역수를 거리 파라미터로서 이용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포인트간 거리의 차이가 작아지는 포인트의 조합이 가대표 포인트로서 선택되므로, 최종적으로, 포인트간 거리가 균등하게 되는 포인트의 조합을 대표 포인트로서 선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표 포인트의 지역적인 편중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다수 포인트에 각각 속성정보를 부여하고, 가대표 포인트의 속성정보를 고려하여 거리 파라미터를 산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은, 다수의 포인트에 각각 속성정보를 부여하고, 가대표 포인트의 속성정보를 고려해서 거리 파라미터를 산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다수의 포인트 사이에서 각각 속성이 다른 경우라도, 속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된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포인트에 각각 속성정보를 부여하고, 각 가대표 포인트 사이를 잇는 선분의 거리를 산출하며, 각 선분의 거리에 대하여 그 선분의 양단 포인트의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정해지는 가중 계수를 곱함으로써 거리 파라미터를 산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거리 파라미터 비교 수단은, 다수의 포인트에 각각 속성정보를 부여하고, 각 가대표 포인트간을 잇는 선분의 거리를 산출하며, 각 선분의 거리에 대하여, 그 선분의 양단 포인트의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정해지는 가중 계수를 곱함으로써 거리 파라미터를 산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속성정보는, 포인트가 배치된 지역의 특성에 근거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포인트가 배치된 장소에 의해 지역 특성에 차이가 있어도, 그와 같은 지역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된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역 특성이라 함은,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인구밀도, 포인트의 고도, 장해물의 유무등이다. 또한 예를 들면 포인트가 설비의 배치 위치인 경우, 속성정보는, 그 설비가 주위에 끼치는 인자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위에 미치게 하는 인자는,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포인트가 점포의 배치 위치인 경우의 상권, 포인트가 무선통신의 기지국 등의 안테나인 경우, 전파가 미치는 범위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가대표 포인트를 임의로 선택한 후, 가대표 포인트 이외의 다른 포인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하나의 포인트를 가대표 포인트에 추가하는 제 1스텝과, 가대표 포인트를 각각 잇는 선분 중 최단 선분의 양단 포인트 중 어느 한 쪽을 가대표 포인트로부터 빼는 제 2스텝을 순차적으로 반복 실행하고, 이어서 가대표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대상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컴퓨터 시스템은 가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 및 거리 비교수단을 구비하고, 가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이,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가대표 포인트를 임의로 선택한 후, 가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이, 가대표 포인트이외의 다른 포인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하나의 포인트를 가대표 포인트에 가하는 제 1스텝과, 거리비교 수단이 가대표 포인트를 각각 잇는 선분 중 최단 선분의 양단 포인트 중 어느 한쪽을 가대표 포인트로부터 빼는 제2 스텝을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실행하고, 이어서 가대표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이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 2스텝에 있어서, 가대표 포인트를 각각 잇는 선분 안에서 최단 선분의 양단 포인트 중, 다른 가대표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가 짧은 쪽의 포인트를 가대표 포인트로부터 뺄 수 있다. 또한 이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 2스텝에 있어서, 가대표 포인트를 각각 잇는 선분 중에서 최단 선분의 양단 포인트 중, 제 1스텝에서 가해지는 포인트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분의 포인트를 가대표 포인트로부터 뺄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대표 포인트이외의 다른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 중 어느 하나에 귀속시키는 스텝과, 각 대표 포인트에 귀속하는 포인트 수 또는 포인트의 배치 상태를 고려하여 대표 포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포인트를 삭제하고, 대표 포인트를 선별하는 스텝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은 대표 포인트 선별 수단을 또한 구비할 수 있고, 대표 포인트 선별 수단이 대표 포인트 이외의 다른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 중 어느 것에 귀속시키는 스텝과, 각 대표 포인트에 귀속하는 포인트의 수 또는 포인트의 배치 상태를 고려하여 대표 포인트 중에서 하나이상의 포인트를 삭제하여, 대표 포인트를 선별하는 스텝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적절히 분산된 대표 포인트 중에서, 다른 포인트의 배치와 목적에 따라 적합한 대표 포인트를 선별 할 수 있으며, 원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대상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고, 다수의 포인트를 각 에어리어에 귀속시킬 때의 기점으로서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적절히 분산된 대표 포인트를 다수의 에어리어의 기점으로서 다른 포인트를 각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므로, 다수의 포인트를 블록 모양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에 있어서, 대상지역에 있어서의 설비의 배치 위치로서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다수의 설비를 적절히 분산하여 배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설비가 커버하는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다수의 설비를 적절히 배치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대상 영역전체를 커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설비가 점포 등과 같이 서로 경합하는 관계에 있을 경우, 각각의 설비가 영향을 끼치는 범위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서로 효과적으로 이익을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포인트를 포함하는 대상지역 중에서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스텝과, 선택된 대표 포인트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초기값으로서 다수 설정하는 스텝과, 각 에어리어에 추가하는 포인트를, 각 에어리어의 대표 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처리를 반복해서 각 에어리어를 확장하고, 다수의 포인트를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에어리어 분할 방법으로서, 전술한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 중 어느 것에 의해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방법이 제공된다.
이렇게 하면, 적절히 분산된 대표 포인트 중에서, 다른 포인트의 배치에 따라 적절히 분산된 대표 포인트를 다수 에어리어의 기점으로서 다른 포인트를 각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므로, 다수의 포인트를 블록 모양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후보지점으로부터 다수의 설비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전술한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 중 어느 것에 의해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표 포인트를 다수 설비의 배치지점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지점의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이렇게 하면, 다수의 설비를 적절히 분산하여 배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설비가 커버하는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다수의 설비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대상영역전체를 커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설비가 점포등과 같이 서로 경합하는 관계에 있을 경우, 각각의 설비가 영향을 끼치는 범위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서로 효과적으로 이익을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다수의 포인트를 포함하는 대상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여, 각각의 에어리어에 포인트를 귀속시키는 에어리어 분할 방법으로서, 컴퓨터 시스템은 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 및 에어리어 분할 수단을 구비하고, 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이 전술한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 중 어느 것에 의해 선택된 대표 포인트를 선택한 후, 에어리어 분할 수단이, 대표 포인트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초기값으로서 다수 설정한 후, 각 에어리어에 추가하는 포인트를 에어리어의 대표 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처리를 반복해서 각 에어리어를 확장하고, 다수의 포인트 중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대상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후보지점으로부터, 다수의 설비를 배치하는 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컴퓨터 시스템은, 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대표 포인트 선택 수단이 전술한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대표 포인트를 다수의 설비를 배치하는 지점으로서 선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지점의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종래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선택할 경우, 수동으로 임의로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일정한 순서를 따라서 자동적으로 선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다수의 대표 포인트를 감이나 경험에 의지하는 않고 객관적으로 선택 할 수 있다.
이러한 것부터, 예를 들면 에어리어 분할을 예로서 설명하면 종래, 에어리어 분할을 할 때에 기점이 되는 각 에어리어의 대표 포인트를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선택한다는 것조차 상정되고 있지 않으며, 하물며 이들의 대표 포인트를 일정한 순서를 따라서 자동적으로선택한다는 기술에 대해서는 어떠한 검토도 행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지역을 에어리어 분할할 때에, 각 에어리어의 기점이 되는 대표 포인트를 적절히 선택 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형상의 에어리어 분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포인트 중에서 대표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다수의 가대표 포인트를 선택한 후, 다수의 포인트 중, 가대표 포인트와 이외의 다른 포인트로부터, 치환 후보 포인트를 임의로 선택하는 스텝과, 가대표 포인트를 각각 잇는 선분 중에서, 최단인 제 1선분의 길이를 산출하는 스텝과, 가대표 포인트 중, 치환 후보 포인트로부터 첫번째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 1가대표 포인트와 치환 후보 포인트를 잇는 제 2선분의 길이를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제 1선분 및 제 2선분의 길이 비교하는 제 1검사를 행하는 스텝과, 제 1검사에 있어서 제2 선분이 제 1 선분보다도 길 경우에, 제 1선분의 양단의 포인트 중 어느 한쪽을 가대표 포인트로부터 빼, 치환 후보 포인트를 새로운 가대표 포인트로서 선택하는 스텝과, 제 1검사에 있어서, 제2 선분이 제 1 선분보다도 짧을 경우에, 치환 후보 포인트로부터 두번째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 2가대표 포인트와 치환 후보 포인트를 잇는 제 3선분의 길이를 산출하는 스텝과, 가대표 포인트 중, 제 1 가대표 포인트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 3가대표 포인트와, 제 1 가대표 포인트를 잇는 제 4선분의 길이를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제3 선분과 제4 선분의 길이를 비교하는 제2 검사를 행하는 스텝과, 제2 검사에 있어서, 제 3선분이 제 4선분보다도 길 경우에, 제 1 가대표 포인트를 가대표 포인트로부터 빼고, 치환 후보 포인트를 새로운 가대표 포인트로서 선택하는 스텝을 순차적으로 반복 실행하며, 다음에 가대표 포인트를 대표 포인트로서 확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 포인트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점포를 포함하는 영업 구역을 점포의 순회 작업을 행하는 담당자의 담당 에어리어로 분할하는 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분할 대상의 영업 구역에 포함되는 점포를 다수의 담당자에게 분담하여 순회 작업을 행할 경우에, 전체의 작업 효율이 상승하고, 또 각 담당자의 노력이 균등해 지도록 에어리어 분할을 행한다. 또한 각 담당자는, 매일 영업소 등의 거점을 출발점으로 하여 자기의 담당 에어리어내의 점포를 돌아 점포와의 관계 강화, 정보수집, 세일즈 제안, 계약, 검증 및 상품의 보충·배달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고, 하루 종료 시에는 다시 거점으로 복귀하는 순회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전체의 작업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각 담당자가 이동하는 거점 - 점포간 및 점포 - 점포간의 거리가 각각 될 수 있으면 짧아지도록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담당자의 노력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순회 작업의 노력을 조정하면서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담당자가 점포에 상품의 보충·배달 등의 순회 작업을 행할 경우에, 전체의 작업 효율이 상승하고, 또 각 담당자의 노동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에어리어 분할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의 등록이 이루어진다(S1). 다음에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점포의 선출이 이루어진다(S2). 계속해서 에어리어 분할에 필요한 파라미터의 설정이 이루어진다(S3). 다음에, 영업지역에 배치하는 에어리어수의 설정(S4)이나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기점이 되는 시드의 설정(S5)등의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시드를 기점으로 한 에어리어 분할이 이루어진다(S6). 그 후에 에어리어 분할의 결과가 표시되어, 평가 및 조정이 이루어진다(S7).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순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에어리어의 분할 처리에 앞서, 지도정보 데이터, 거점정보 데이터, 점포정보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등록해 둔다. 계속해서, 등록된 각종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 상에 지도정보 및 그 지도정보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거점 및 점포가 포인트로서 맵핑된다. 여기에서, 에어리어 분할은 점포정보 데이터가 등록된 모든 점포를 대상으로 하여 행할 수도 있지만, 소정의 조건에 일치하는 점포만을 대상으로 하여 행할 수도 있다. 소정의 조건에 일치하는 점포만을 대상으로 하여 에어리어 분할을 행할 경우, 소정의 조건이 입력되고, 그 조건에 일치하는 점포가 지도정보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트로서 맵핑된다. 또한 에어리어 분할에 필요한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 파라미터 및 초기 설정에 근거하여 에어리어 분할 엔진에 의해 영업지역이 에어리어 분할된다. 계속해서, 화면 상에 지도정보 및 에어리어의 분할 상태가 맵핑된다. 동시에, 에어리어별 통계량이 일람 표시된다. 여기에서, 통계량이라 함은 예를 들면 각 에어리어의 코스 수(매일 하루하루의 작업량),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점포의 수, 점포당 평균 작업시간, 점포당 평균 월 방문회수, 점포당 거점으로부터의 거리평균, 점포간 거리평균, 코스당 점포수, 총매출, 점포당 매출평균 등,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점포의 특성을 도시하는 정보이다. 유저는 표시된 분할 에어리어와 통계량을 화면(도시되지 않음)으로 볼 수 있어, 에어리어의 분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에어리어별 통계량에 근거하여, 필요에 따라 파라미터의 재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행해지고, 다시 에어리어 분할이 행해진다. 또한 유저는 표시된 정보에 근거하여 수동으로 각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점포의 포인트 바꿈 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에어리어 분할 데이터가 작성되고 이 데이터는 기억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하는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는, 표시 처리부(108)와, 파라미터 설정부(110)와, 초기 설정부(114)와, 분할 처리부(115)와, 조건입력 접수부(154)와, 점포 선출부(156)와, 지도정보 기억부T1와, 거점정보 기억부T2와, 점포정보 기억부T3와, 파라미터 기억부T4와, 초기 설정 기억부T5와,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와, 로직 기억부T7를 갖는다. 분할 처리부(115)는, 후보선택 처리부(116) 및 분할 제어부(118)를 갖는다.
지도정보 기억부T1는 분할의 대상이 되는 영업지역의 지도정보 데이터를 기억한다. 거점정보 기억부T2는, 거점정보 데이터를 기억한다. 거점정보 데이터는, 거점의 식별 코드, 거점의 명칭, 거점의 위치(위도 및 경도 또는 x좌표 및 Y좌표)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거점이라 함은, 예를 들면 그 영업지역에 있어서의 영업소나 재고 센터 등이다.
점포정보 기억부T3는 점포정보 데이터를 기억한다. 점포정보 데이터는, 거점의 식별 코드, 점포의 식별 코드, 점포의 명칭, 점포의 위치(위도, 경도 및 높이 또는 x좌표, Y좌표 및 Z좌표), 월 매출(엔), 상품마다의 월 판매량(개), 1회당 작업시간(분), 월 방문 회수, 거점으로부터의 이동 속도(km/시간), 점포간 이동 속도(km/시간)등, 통계량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점포정보 기억부T3는, 또한 점포의 종류, 체인점이나 프랜차이즈 체인 등의 그룹 분류, 취급상품, 거래연수 등,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점포를 선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취급 상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술·담배·약 등, 판매하는데 허가가 필요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점포정보 기억부T3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점포 코드「a」의 점포는, 거점 코드「1000」의 거점에 속하며, 명칭이 「슈퍼」이고, 위치가「(X1, Y1」, 높이가 「지상」, 이 점포에 있어서의 작업시간이 「25분」, 그룹은 「A체인」에 속하고, 취급 상품은 「술·담배」이다.
도 3으로 되 돌아와, 조건입력 접수부(154)는, 유저로부터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점포를 선출하기 위한 조건의 입력을 접수한다. 점포 선출부(156)는, 점포정보 기억부T3를 참조하여 조건입력 접수부(154)가 접수한 조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점포를 선출한다. 도 4을 참조하여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점포를 선출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어떤 특정한 체인점이나 프랜차이즈 체인으로 상품의 보충·배달을 행할 경우, 유저는 그룹을 조건으로서 입력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입력 접수부(154)가 그룹의 분류로서 「K스토어」를 접수한 경우 점포 선출부(156)는 점포정보 기억부T3를 참조하여 점포 코드「c」의 「철도A역(플랫홈1」 및 점포 코드「d」의 「철도 A역(플랫홈2」을 선출한다. 또한 특정한 상품의 보충·배달을 행할 경우, 유저는 취급상품을 조건으로서 입력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입력 접수부(154)가 조건으로서, 취급상품으로서「담배」라고 접수한 경우, 점포 선출부(156)는, 점포정보 기억부T3를 참조하여 점포 코드「a」,「c」,「d」「e」의 점포를 선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점포정보 기억부 T3에 점포정보가 기억된 다수의 점포 중에서, 목적에 따라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점포를 선출하고, 선출된 점포를 대상으로 하여 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하므로, 목적에 따른 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3으로 되돌아 와, 표시 처리부(108)는, 각종 데이터를 화면(도시되지 않음)상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파라미터 설정부(110)는, 영업지역을 에어리어 분할하기 위해서 필요한 파라미터의 설정을 접수한다. 파라미터는, 각 담당자의 하루 표준작업시간, 각 점포에서의 표준작업시간, 점포간의 표준 이동속도, 거점과 점포간의 표준 이동속도, 거리배율, 점포취득 제한거리 등을 포함한다. 파라미터 기억부T4는, 이들의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초기 설정부(114)는, 영업지역을 에어리어 분할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설정을 행한다. 초기 설정부(114)는, 유저로부터, 시드 설정방법의 선택, 에어리어수(시드수), 무게 설정 및 조합 지정 등을 접수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초기 설정부(114)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초기 설정부(114)는, 시드 설정부(122)와, 조합지정 접수부(132)와, 무게 설정 접수부(134)와, 종료조건설정 접수부(135)를 갖는다. 시드 설정부(122)는, 시드 설정방법 접수부(124)와, 시드 설정 접수부(126)와, 에어리어수 설정 접수부(128)와, 시드 선택부(130)를 갖는다.
여기에서, 시드라 함은 에어리어 분할을 할 때에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기점이 되는 점포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분할의 대상이 되는 영업지역을 4개로 분할할 경우, 4개의 시드가 설정된다. 시드 설정부(122)는, 다수 점포 중에서 시드가 되는 점포를 선택한다. 시드 설정방법 접수부(124)는, 시드 설정방법으로서, 수동 또는 자동 선택을 접수한다. 시드 설정방법 접수부(124)가 시드 설정방법으로서 수동을 접수한 경우, 시드 설정 접수부(126)는, 유저로부터의 시드 설정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시드 설정방법 접수부(124)가 시드 설정방법으로서 자동을 접수한 경우, 에어리어수 설정 접수부(128)는 유저로부터 에어리어수의 설정을 접수한다. 시드 선택부(130)는, 에어리어수 설정 접수부(128)에서 설정된 수의 시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시드의 자동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시드는 각 시드를 기점으로 하여 영업지역 내의 점포를 분류했을 때, 영업지역이 에어리어 분할되도록 설정된다.
조합지정 접수부(132)는, 다수의 점포 중에서, 같은 에어리어로 분할하는 점포의 조합 지정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유저는, 예를 들면 같은 빌딩 내에 있는 점포나 동일 담당자가 순회하는 것이 바람직한 점포에 대해 조합 지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담당자가 효율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유저는 화면상에 맵핑된 점포의 포인트를 참조하여 조합 지정을 행할 수도 있고, 또 점포정보 기억부T3를 참조하여 조합 지정을 행할 수도 있다.
무게 설정 접수부(134)는, 시드 설정부(122)에 의해 설정된 시드를 각각 기점으로 하여 설정된 다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을 산출할 때, 통계량에 가하는 무게의 설정을 접수한다.
종료조건설정 접수부(135)는, 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종료하기 위한 조건 설정을 접수한다. 종료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i) 모든 점포가 어느 한 에어리어에 속하게 되었을 때,(ii)점포가 어느 한 에어리어에 취득되는 처리가 소정회수 행해졌을 때,(iii)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소정 범위 내로 되었을 때 또는(i)∼(iii)을 적절히 조합한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로 할 수 있다.
도 3으로 되 돌아 와, 초기 설정 기억부T5는, 이들의 초기 설정을 기억한다. 도 6은 초기 설정 기억부T5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분할 대상의 영업지역에 점포 코드「a」∼ 「z」의 점포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에어리어1의 시드로서 점포 코드「a」의 점포가 선택되고 있다. 에어리어2의 시드로서, 점포 코드「e」의 점포가 선택되고 있다. 또한 에어리어1에는 무게「1」이 가해지고 있으며, 에어리어2에는 무게「2」가 가해지고 있다. 또, 점포 코드「c」의 점포 및 점포 코드「d」의 점포는, 조합 지정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점포 코드「c」의 점포 및 점포 코드「d」의 점포 중 어느 하나가 어느 한 에어리어에 취득될 경우, 점포 코드「c」의 점포 및 점포 코드「d」의 점포의 다른 쪽도 동시에 그 에어리어에 취득된다.
도 3으로 되 돌아 와, 분할 처리부(115)는, 초기 설정부(114)에서 설정된 각 시드를 기점으로 하여, 분할 대상 영업지역의 에어리어 분할을 행한다.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각 에어리어에 대해 각각 그 에어리어의 대표점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점포를 그 에어리어로 분류하는 후보로서 선택한다. 분할 제어부(118)는, 각 에어리어의 통계량이 에어리어 사이에서 더욱 균등하게 되도록, 어느 한 에어리어에 대하여, 대응하는 후보의 점포를 귀속시킨다. 도 7과 같이 분할 제어부(118)는, 통계량 산출부(136)와, 후보귀속 처리부(138)와, 조정 접수부(140)를 갖는다. 통계량 산출부(136)는,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점포에 근거해 정해지는 통계량을 산출한다.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통계량 산출부(136)에 의해 산출된 에어리어별 통계량이 전 에어리어에 있어서 거의 균등하게 되도록, 다수의 점포를 순차적으로 각 에어리어에 귀속시켜 간다. 조정 접수부(140)는, 후보선택 처리부(116), 통계량 산출부(136) 및 후보귀속 처리부(138)에 의한 에어리어 분할이 행해진 후, 유저로부터의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점포 바꿈 등의 조정을 접수한다. 조정 접수부(140)이 유저로부터의 조정을 접수하면, 통계량 산출부(136)는 조정을 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에어리어의 통계량을 산출한다. 그 결과, 조정에 의한 변화량이 허용범위 내이면, 조정 접수부(140)는 조정을 허가한다.
로직 기억부T7는, 도 8과 같이 시드 선택용 로직 기억부T7a, 후보선택용 로직 기억부T7b, 통계량 산출용 로직 기억부T7c를 포함한다. 시드 선택용 로직 기억부T7a는, 시드 선택부(130)에 있어서 시드의 자동설정에 필요한 로직을 기억한다. 후보선택용 로직 기억부T7b는, 후보선택 처리부(116)에 있어서 각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포인트의 후보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로직을 기억한다. 통계량 산출용 로직 기억부T7c는, 분할 제어부(118)의 통계량 산출부(136)에 있어서 통계량의 산출에 필요한 로직을 기억한다.
분할 처리부(115)에 의한 자동 에어리어 분할 처리가 종료하면, 그 결과는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에 기억된다. 도 9는,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영업지역은, 에어리어1∼에어리어4의 4개의 에어리어로 분할된다. 예를 들면, 점포 코드「a」 및 「b」의 점포는 에어리어1에 속한다. 마찬가지로, 점포 코드「d」의 점포는 에어리어2에, 점포 코드「u」의 점포는 에어리어3에, 점포 코드「z」의 점포는 에어리어4에 각각 속한다.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는,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점포의 점포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에어리어 마다 기억 할 수 있다.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는, 예를 들면, 거점 - 점포간 평균이동시간M1, 점포간 평균 이동시간M2, 처리필요 점포수N2, 통계량(합계 코스 수)등을 기억한다. 이들의 산출 방법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108)는, 에어리어 분할 상태를 화면(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에어리어 분할 상태를 파악 할 수 있다. 유저는 표시된 에어리어 분할 상태에 근거하여, 다시 파라미터의 설정, 초기 설정의 변경 또는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점포바꿈 등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드 선택용 로직 기억부T7a에 기억된 시드 선택부(130)가 시드의 자동설정을 행하는 데 필요한 로직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에어리어수 설정 접수부(128)는, 유저로부터 에어리어수(시드수)의 설정을 접수한다(S1O). 계속해서, 시드 선택부(130)는, 영업지역 내의 다수의 점포에 대응하는 포인트 중에서, 에어리어수의 임의인 포인트를 초기 포인트로서 선택한다(S12). 시드 선택부(130)는, 점포정보 기억부T3를 참조하여, 리스트순으로 초기 포인트를 선택해 갈 수 있다. 시드 선택부(130)는, 선택된 초기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I1를 검출한다(S14). 다음에 시드 선택부(130)는, 점포정보 기억부T3의 리스트의 다음 점포를 검사 포인트로서 선택한다(S16).
시드 선택부(130)는, 초기 포인트 중에서, 검사 포인트로부터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와 검사포인트의 최단 거리 I2를 산출한다(S18). 계속해서 시드선택부(130)는 제 1검사를 행한다(S20). 제 1검사에 있어서, 시드 선택부(130)는 스텝14에서 검출한 초기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I1와, 스텝18에서 산출한 최단 거리I2를 비교한다(S22). 최단 거리I2가 최단 거리I1보다도 클 경우(S22의 Yes), 시드 선택부(130)는, 검사포인트를 초기 포인트 중 어느 것과 치환하여 새로운 선택 포인트로 한다(S24). 여기에서 치환 대상이 되는 것은, 초기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I1를 구성하는 포인트 중, 검사 포인트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분의 초기 포인트이다.
스텝22에 있어서, 최단 거리I2가 최단 거리I1이하인 경우(S22의 No), 시드 선택부(130)는, 검사 포인트로부터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 이외의 초기 포인트로의 최단 거리I3를 산출한다(S26). 또한 시드 선택부(130)는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로부터 다른 초기 포인트로의 최단 거리I4를 산출한다(S28). 계속해서, 시드 선택부(130)는 제 2검사를 행한다(S30). 제 2검사에 있어서, 시드선택부(130)는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와 다른 초기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I4와 스텝26에서 산출된 최단 거리I3를 비교한다(S32). 최단 거리I3가 클 경우(S32의 Yes), 스텝24로 진행하고, 시드 선택부(130)는, 검사 포인트를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와 치환하여 새로운 선택 포인트로 한다(S24).
스텝32에 있어서, 최단 거리I3가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와 다른 초기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I4이하인 경우(S32의 No), 포인트의 치환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의 처리는 영업지역 내의 모든 포인트에 대해 소정회수, 예를 들면 여기에서는 100회 행해진다. 스텝34에 있어서, i가 0이하인 경우(S34의 No), 스텝14으로 되 돌아가고, 새로운 선택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I1가 선택된다. 시드 선택부(130)는, 점포정보 기억부T3의 리스트의 다음 점포를 검사 포인트로서 선택하고(S16), 이하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34에 있어서, i>100인 경우(S34의 Yes), 포인트의 선택 처리는 종료한다. 시드 선택부(130)는, 이 단계에서의 선택 포인트를 시드로서 선택한다.
도 11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드의 설정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점포를 포인트로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에어리어수를 「3」으로 한다.
우선, 도 11(a)과 같이, 초기 포인트로서 포인트a, 포인트b 및 포인트c가 선택된다. 시드 선택부(130)는, 이들의 초기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를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포인트a 및 포인트b 사이가 최단 거리L1가 된다. 다음에 검사 포인트로서 포인트d가 선택된다. 시드 선택부(130)는, 포인트d로부터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를 검출하고, 포인트d와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 사이의 최단 거리를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포인트d 및 포인트c사이가 최단 거리L2가 된다. 시드 선택부(130)는, 최단 거리L1와 최단 거리L2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최단 거리L2>최단 거리L1가 되므로, 시드 선택부(130)는, 포인트d를 다른 초기 포인트와 치환하고, 새로운 선택 포인트로 한다. 여기에서, 포인트d와의 치환 대상이 되는 것은, 최단 거리L1를 구성하는 포인트a 또는 포인트b중 어느 하나이다. 시드선택부(130)는, 포인트d와 치환하는 치환 대상의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도 11(b)과 같이 포인트d와 치환 대상의 포인트a 및 포인트b와의 거리L3 및 L4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L4 > L3가 되므로, 포인트a가 치환 대상이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11(c)과 같이 포인트b, 포인트c 및 포인트d가 새로운 선택 포인트가 된다. 같은 처리를 반복하여 소정회수의 처리가 종료한 시점의 선택 포인트가 시드로서 선택된다.
도 12는 시드의 설정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여기에서도, 에어리어수를「3」으로 한다. 우선, 도 11(a)과 같이 초기 포인트로서 포인트a, 포인트b 및 포인트c가 선택된다. 시드 선택부(130)는, 이들의 초기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를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포인트a 및 포인트b 사이가 최단 거리L1가 된다. 다음에 검사 포인트로서 포인트e가 선택된다. 시드 선택부(130)는, 포인트e로부터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를 검출하고, 포인트e와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 사이의 최단 거리를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포인트e 및 포인트b사이가 최단 거리L2가 된다. 시드 선택부(130)는, 최단 거리L1와 최단 거리L2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최단 거리L2 <최단 거리L1가 되므로, 시드 선택부(130)는 제 2검사를 행한다.
도 11(b)과 같이 시드 선택부(130)는, 검사 포인트인 포인트e의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b 다음에 포인트e에 가까운 포인트a와 포인트e 사이의 최단 거리L3를 산출한다. 또한 가장 근접한 포인트b와 가장 가까운 포인트 a 사이의 최단 거리L1를 산출한다. 시드 선택부(130)는, 최단 거리L3와 최단 거리L1를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최단 거리L3>최단 거리L1가 되므로, 포인트e를 가장 근접한 포인트b와 치환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11(c)과 같이 포인트a, 포인트c 및 포인트e가 새로운 선택 포인트가 된다. 같은 처리를 반복하여 소정회수의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 선택되고 있는 선택 포인트가 시드로서 설정된다.
이상의 처리에 있어서, 제 1검사에서는, 검사 포인트와 기존의 선택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가 기존의 선택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보다도 길 경우에 선택 포인트의 치환이 행해지므로, 포인트간의 거리가 짧은 포인트의 조합은 배제되어 간다. 또한 치환 대상의 선택 포인트 중, 검사 포인트와의 거리가 짧은 쪽의 선택 포인트가 치환되므로, 새로운 선택 포인트간의 거리를 더욱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검사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제 2검사에서는, 검사 포인트와 기존의 선택 포인트를 치환한 경우에, 다른 선택 포인트와의 거리가 보다 길어질 경우에 포인트의 치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포인트간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선택 포인트가 치환되어 간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다수의 점포 중에서, 서로의 거리가 균등하게 길어지는 점포를 시드로서 설정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에 의한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초기 설정부(114)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시드가 설정된다(S1O2).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각 시드에 대해 같은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점포의 후보를 선택한다(S1O4).
여기에서, 도 14를 참조하여, 스텝4에 있어서 후보선택 처리부(116)가 각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점포의 후보를 선택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보선택용 로직 기억부T7b에 기억된 후보선택 처리부(116)가 후보를 선택하는 데 필요한 로직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각 에어리어에 대해 동일 처리를 행하므로, 한 에어리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각 에어리어의 대표점의 위치를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그 에어리어에서 취득완료된 점포에 대응하는 포인트의 중심을 대표점으로서 산출한다(S130). 각 에어리어에 시드밖에 포함되지 않은 단계에서는, 시드의 점포에 대응하는 포인트가 중심이 된다.
다음에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아직 어느쪽의 에어리어에도 속해 있지 않은 무소속의 점포 중에서, 에어리어의 대표점으로부터 최단의 위치에 있는 점포를 가후보로서 검출한다(S132). 계속해서, 그 에어리어에 이미 취득되고 있는 점포 중, 가후보로서 검출된 점포로부터 최단의 점포와, 그 가후보의 점포와의 최단 거리를 산출한다(S134). 여기에서 산출된 최단 거리와, 파라미터 설정부(1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점포취득 제한거리를 비교하고(S136), 최단 거리가 제한내에 있을 경우(S136의 Yes), 그 가후보의 점포를 그 에어리어의 후보로서 결정한다(S138). 어느 한 에어리어에 있어서, 새로운 후보가 결정된 경우,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그 에어리어에 플래그를 세워 둔다. 한편, 스텝136에 있어서 최단 거리가 제한내에 없는 경우(S136의 No), 무소속의 점포가 그 외에 있을 지를 판단한다(S140). 무소속의 점포가 그 외에 있을 경우(S140의 Yes), 스텝132으로 되 돌아가고, 에어리어의 대표점으로부터 다음에 최단 위치에 있는 점포를 가후보로서 검출한다. 이하,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140에 있어서, 무소속의 점포가 그 외에 없을 경우(S140의 No), 다른 에어리어에 이미 취득되고 있는 취득완료된 점포도 포함한 모든 점포 중에서, 에어리어의 대표점으로부터 최단 위치에 있는 점포를 가후보로서 검출한다(S142). 계속해서, 그 에어리어에 이미 취득되고 있는 점포 중, 가후보로서 검출된 점포로부터 최단의 점포와, 그 가후보의 점포와의 최단 거리를 산출한다(S144). 여기에서 산출된 최단 거리와, 파라미터 설정부(1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점포취득 제한거리와를 비교하고(S146), 최단 거리가 제한내에 있는 경우(S146의 Yes), 그 가후보의 점포를 그 에어리어의 후보로서 결정한다(S138). 한편, 스텝146에 있어서, 최단 거리가 제한내가 아닌 경우(S146의 No), 취득완료된 점포 중에서 탈취가능한 것이 그 외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S148). 탈취가능한 것이 있을 경우(S148의 Yes), 스텝142로 되 돌아와, 에어리어의 대표점으로부터 다음에 최단의 위치에 있는 점포를 후보로서 검출한다. 이하,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또, 스텝148에 있어서, 탈취가능한 점포가 없을 경우(S138의 No), 이 에어리어에 관한 후보의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으로 되돌 와, 스텝104에서 후보가 선택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06). 통계량 산출부(136)는, 각 에어리어에 플래그가 세워져 있는 지에 근거하여, 스텝104에서 후보가 선택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스텝104에서 후보가 선택되고 있을 경우(S106의 Yes), 통계량 산출부(136)는 후보의 점포를 포함한 그 에어리어의 통계량을 산출한다(S108). 통계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합계 코스 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합계 코스 수의 산출방법에 대해 후술한다.
계속해서,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에어리어의 통계량이 최소가 되는 에어리어를 검출한다(S110). 후보귀속 처리부(138)에 의해, 통계량이 최소인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S110의 Yes),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그 에어리어는 후보의 점포를 취득시킨다(S112). 계속해서,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초기 설정 기억부T5를 참조하여, 에어리어 분할 처리가 종료조건을 만족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4). 종료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영업지역 내에 무소속의 점포가 없어진 것, 스텝112의 후보취득 처리가 소정회수, 예를 들면 100회이상 행해진 것 또는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소정범위 이내가 된 것 등을 설정 할 수 있다. 종료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S114의 No), 스텝104로 되돌아 와, 다음 후보를 선택한다. 스텝114에 있어서,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S114의 Yes), 에어리어 분할처리는 종료한다.
스텝110에 있어서, 통계량이 최소가 아님이 검출된 경우(S110 의 No), 스텝116으로 진행하고,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다른 에어리어에 의해 후보가 취득될때 까지 그 에어리어의 처리를 보류한다(S116의 No). 스텝116에 있어서, 다른 에어리어에 의해 후보가 취득되었을 경우(S116의 Yes),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그 에어리어에서 이미 취득되고 있었던 점포가 다른 에어리어로 탈취되었는 지를 검출한다(S118). 탈취되지 않았을 경우(S118의 No), 그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기존에 취득한 점포 및 후보에 변동이 없게 되므로, 스텝110으로 되돌아와, 다시 통계량이 최소가 될 지 여부를 판단된다.
스텝118에 있어서, 그 에어리어에서 이미 취득하고 있었던 점포가 다른 에어리어로 탈취되었을 경우(S118의 Yes), 스텝114으로 진행되고, 종료조건을 만족시킬 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종료조건을 충족하지 않을 경우(S114의 No), 스텝104로 되 돌아와,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새로운 후보를 선택하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104에서 후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S106의 No), 스텝120으로 진행되고,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다른 에어리어에 의해 후보가 취득될때 까지 그 에어리어의 처리를 보류한다(S120의 No). 스텝120에 있어서, 다른 에어리어에 의해 후보가 취득되었을 경우(S120의 Yes),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 그 에어리어에서 이미 취득하고 있었던 점포가 다른 에어리어로 탈취되었는지를 검출한다(S122). 그 에어리어에서 이미 취득하고 있었던 점포가 다른 에어리어로 탈취되었을 경우(S122의 Yes), 스텝114로 진행하여, 종료조건을 만족시키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종료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S114의 No), 스텝104로 되돌아 오고,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새로운 후보를 선택하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122에 있어서, 그 에어리어에서 이미 취득하고 있었던 점포가 다른 에어리어로 탈취되지 않았을 경우(S122의 No), 스텝124에 진행하고,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초기 설정 기억부T5를 참조하여, 에어리어 분할 처리가 종료조건을 만족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124에 있어서, 종료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S124의 Yes), 에어리어 분할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스텝124에 있어서, 종료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S124의 No), 스텝120으로 되돌아오고,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다른 에어리어에 의해 후보가 취득될때 까지 그 에어리어의 처리를 보류한다(S120의 No). 이하,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또, 스텝104의 후보선택 처리에 있어서, 어느 한 에어리어의 후보로서 선택되고 있는 점포에 대해서는 무소속으로서 취급한다. 또한 다수의 에어리어 후보의 점포가 중복될 경우, 취득한 우선순위가 높은 에어리어가 그 점포를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여기에서는,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합계 코스 수가 균등해지도록, 에어리어 분할이 행해진다. 도 15(a)와 같이 이 영업지역에는, 포인트a∼포인트 z에 대응하는 점포 및 거점이 설치되고 있다. 이하, 초기 설정부(114)에 의해 에어리어수가 4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b)와 같이 시드 설정부(122)는, 포인트a, 포인트d, 포인트u 및 포인트z를 각각 에어리어1, 에어리어2, 에어리어3 및 에어리어4의 시드로서 설정한다. 표시 처리부(108)는, 다른 에어리어에 속하는 포인트가 다른 마크나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처리를 행한다.
도 15(c)와 같이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에어리어1, 에어리어2, 에어리어3 및 에어리어4에 각각 귀속시키는 포인트의 후보를 선택해 간다. 여기에서,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포인트e를 에어리어1의 후보로서 선택하고, 포인트g를 에어리어2의 후보로서 선택하며, 포인트q를 에어리어3의 후보로서 선택하고, 포인트y를 에어리어4의 후보로서 선택한다. 통계량 산출부(136)는, 후술하는 산정 방법에 따라,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합계 코스 수를 차차 산출한다. 후보귀속 처리부(138)는, 합계 코스 수가 최소가 되는 에어리어로부터 후보를 취득시키고, 어떤 에어리어가 후보를 취득할 때마다, 합계 코스 수가 최소가 되는 에어리어를 검출하여 후보를 취득시키는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순차포인트를 각 에어리어에 선택시켜 가면, 도 15(d)와 같이 다수의 포인트가 서서히 각 에어리어에 속하게 된다.
이하, 도 15(d)를 참조하여, 에어리어3에 있어서 다음 후보의 포인트를 선택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도 14의 스텝13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우선, 무소속의 포인트 중에서 가후보를 검출한다. 이때의 가후보는 포인트 o이다.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에어리어3에 이미 취득되고 있는 포인트 중, 포인트o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포인트s와 포인트o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이 거리와 미리 설정된 점포취득 제한거리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산출된 거리는 취득제한 거리보다 큰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에어리어3의 후보로서 포인트o를 선택할 수 없다.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무소속의 포인트에 대해서 순차 에어리어3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가후보를 검출해 간다. 그 결과, 어느쪽의 포인트도 에어리어3에 이미 속하고 있는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가 점포취득 제한거리보다 컸을 경우,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이미 다른 에어리어에 취득되고 있는 점포 를 포함하여 가후보의 검출을 다시 한다. 이 결과,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다른 에어리어4에 이미 속해 있는 포인트x를 가후보로서 검출한다.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에어리어3에 이미 취득되고 있는 포인트 중, 포인트x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포인트s와 포인트x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이 거리와 미리 설정된 점포취득 제한거리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산출된 거리가 취득 제한거리 이하인 경우,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에어리어3의 후보로서 포인트x를 선택한다.
또, 직전의 처리에서 다른 에어리어로부터 탈취된 포인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플래그를 세우는 등으로 탈취가 행해지지 않도록 해 둔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포인트x가 원래 에어리어3에 취득되고 있던 것으로, 이 처리 직전에 에어리어4에 탈취된 경우, 에어리어3는 다음 후보로서 에어리어4로부터 재탈취 할 수는 없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2개의 에어리어 사이에서 한 포인트의 쟁취를 반복하여 후보의 취득 처리가 실질적으로 멈추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처리에 의하면, 에어리어 중심등의 대표점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점포가 다음 후보로서 선택되므로, 각 에어리어를 블록 모양으로 형성해 갈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업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점포를 점포의 통계량을 고려하면서 다수의 그룹으로 분할 할 때, 이들의 점포가 영역사이에서 걸쳐짐 없이 에어리어 모양으로 분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룹 나눔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담당자에게 공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16은 통계량 산출용 로직 기억부T7c에 기억된 통계량 산출부(136)가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합계 코스 수를 산출하는 데에 사용하는 로직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각 에어리어에 대해서 같은 처리를 행하므로, 여기에서는 한 에어리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통계량 산출부(136)는, 거점정보 기억부T2에 기억된 거점정보 데이터, 점포정보 기억부T3에 기억된 점포정보 데이터 및 파라미터 기억부T4에 기억된 파라미터를 적절히 참조하여, 이하의 순서로 합계 코스 수를 산출한다.
통계량 산출부(136)는, 우선, 거점으로부터 그 에어리어에 이미 속하는 점포 및 후보의 점포로의 평균 이동시간M1을 산출한다(S160). 우선, 거점으로부터 각 점포로의 합계 거리를 구한 후, 이 합계 거리를 파라미터 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거점 - 점포간 이동 속도로 나눔으로써 합계 이동시간을 구한다. 다음에, 이 합계 이동시간을 그 에어리어내의 전 점포수로 나눔으로써 M1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통계량 산출부(136)는, 점포간의 평균 이동시간M2을 산출한다(S162). 우선 각 점포로부터 직근n개의 점포로의 합계 거리를 구한 후, 이 합계 거리를 파라미터 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점포간 이동 속도로 나눔으로써 합계이동 시간을 구한다. 다음에, 이 합계 이동시간을 n으로 나눔으로써, 각 점포로부터 다른 점포로의 평균 이동시간m1∼mn을 얻는다. 계속해서, 이들의 평균 이동시간m1∼mn을 합하여, 그 에어리어내의 전 점포수로 나눔으로써 M2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n이 작을 때는 그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전 점포수를 n으로 할 수 있다.
계속해서, 통계량 산출부(136)는 하루 작업가능한 점포수N1를 산출한다(S164). 하루 합계 작업시간
Tz = 2 ×M1 + M2 ×(N1-1) T X N1
(T는 1점포당 평균 작업시간)
이므로, 이 식을 변형하여
N1=(Tz - 2 ×M1 + M2)/(M2 + T)
를 산출한다.
한편, 통계량 산출부(136)는, 1일당 처리가 필요한 점포수N2를 산출한다(S166). 우선, 각 점포 마다 월 장전 회수를 산출하여 합함으로써, 월 장전 회수W를 산출한다. 다음에, 각 담당자의 한달 노동 일수를 4주간 ×일 = 20으로 하여 N2=W/20을 구한다.
그 후 통계량 산출부(136)는, 1일당 처리가 필요한 점포수N2를 하루에 작업가능한 점포수N1로 나눔으로써,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 = N2/N1를 산출한다(S168).
이상의 처리에 의하면, 하루 작업가능한 점포수N1를 산출할 때, 거점으로부터 각 에어리어의 점포까지의 이동 시간도 고려하고 있으므로, 각 에어리어를 거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거의 균등하게 되도록 분할 할 수 있다. 또한 코스 수는,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점포간의 거리도 고려하여 산출되므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가 균등하게 되도록 영업지역을 분할 할 수 있다.
도 17은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는, 에어리어란, 귀속 점포 코드란, 후보점포 코드란, 직전에 다른 에어리어로부터 탈취된 점포를 도시하는 직전탈취란 및 새로운 후보가 선택되어 통계량의 재계산이 필요한 에어리어를 도시하는 재계산란을 포함한다.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는 또한, 도 9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에어리어 마다 거점 - 점포간 평균이동 시간M1란, 점포간 평균 이동시간M2란, 처리필요 점포수N2란 및 통계량(합계 코스 수)란을 포함한다. 도 17(a)은, 다수의 포인트가 도 15(d)와 같이 에어리어로 분류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포인트a는 에어리어1에 분류되고 있기 때문에 에어리어란 「1」에 대응된 「귀속 점포 코드」란에 「a」로 기억된다. 또한 포인트c는, 에어리어2에 있어서의 후보가 되고 있기 때문에, 에어리어란「2」에 대응된 「후보점포 코드궤란에 「c」로 기억된다. 포인트w는, 에어리어4에 귀속하고 있지만, 에어리어3에 있어서의 후보가 되고 있기 때문에, 에어리어란「4」에 대응된 「귀속 점포 코드」란에 「w」로 또 에어리어란「3」에 대응된 「후보점포 코드」란에도 「w」로 기억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에어리어3에 있어서, 후보로서 포인트w를 선택한 경우, 에어리어3에 있어서의 통계량을 재계산 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에어리어3에 대응된 재계산 포장한 짐에 표시가 기억된다. 이에 따라 통계량 산출부(136)는, 통계량의 재계산이 필요한 에어리어를 파악 할 수 있다. 통계량 산출부(136)는, 표시가 붙여진 에어리어에 대해서만 통계량의 재계산을 행한다. 통계량 산출부(136)에 의해 산출된 결과는, 해당하는 에어리어의 거점 - 점포간 평균이동 시간M1란, 점포간 평균 이동시간M2란, 처리필요 점포수N2란 및 통계량(합계 코스 수)란에 기억된다.
또한 포인트w가, 원래 에어리어3에 취득되고 있었던 것으로, 직전 처리에서 에어리어4에 탈취되고 있던 경우, 도 17(b)과 같이 에어리어란 「4」에 대응된 포인트w의 직전탈취란에 표시가 기재된다. 이에 따라 에어리어3나 다른 에어리어는 다음 후보로서 포인트w를 선택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에 의하면, 합계 코스 월등히의 통계량이 최소가 되는 에어리어로부터 순차적으로 점포를 취득해 가므로, 모든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는, 점포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후보의 점포가 선택되므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이동 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전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이동 시간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업지역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8∼도 23은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분할 방법의 선택 화면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분할 대상의 거점으로서 「동경2」이 선택되고 있다. 또한 분할 방법의 선택지로서는 「시드 수동설정」 및 「시드 자동설정」이 있다. 여기에서는 「시드 수동설정」이 선택되고있다.
도 19는 분할을 위한 기초조건의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이 영업지역에 있어서, 각 담당자의 하루 작업시간(조작시간), 점포마다의 작업시간, 거점 - 점포간의 이동 속도, 점포 - 점포간의 이동 속도, 거리배율, 점포취득 제한거리를 설정한다. 여기에서는, 각 담당자의 하루 작업시간이 「7시간30분」, 점포마다 작업시간이 「20분」, 거점 - 점포간의 이동 속도가「50Km/h」, 점포 - 점포간의 이동 속도가 「50Km/h」, 거리배율이「1」, 점포취득 제한거리가「Km」로 설정되고 있다. 이들의 파라미터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를 산출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 때, 예를 들면 거리배율이「2」로 설정되어 있으면, 도 16의 스텝160 및 스텝162의 처리에 있어서의 거점으로부터 각 점포로의 합계 거리 및 각 점포로부터직근n개의 점포로의 합계 거리를 2배로 하여 평균 이동시간M1 및 평균 이동시간M2이 산출된다. 각 에어리어의 코스 수는 거점 - 점포간, 점포 - 점포간 이동 거리로부터 산출되는 이동 시간과, 각 점포에 있어서의 작업시간으로부터 산출되지만, 거리배율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이동 시간에 무게를 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스 수의 산출에는, 거점 - 점포간 및 점포 - 점포간의 직선거리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거점 - 점포간 및 점포 - 점포간을 이동할 경우에는, 꼬불꼬불 구부러진 길을 통과하는 것이나 복잡하게 얽힌 길을 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업지역마다 지역특성으로서 소정 거리배율을 설정함으로써 실제의 이동 거리를 코스 수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점포취득 제한거리가 「10Km」로 설정되어 있으면, 도 14의 스텝146에 있어서, 이미 그 에어리어에 취득되어 있는 점포 중 어느 것으로 부터 10Km를 넘는 거리에 있는 점포는 그 에어리어에 취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점포간 최단 거리를 10Km이하로 할 수 있으며, 영업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의 블록으로 분할 할 수 있다. 점포취득 제한거리는, 분할 대상의 영업지역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설정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분할 방법의 선택 화면에 있어서, 「시드 수동설정」이 선택되었을 경우, 도 20과 같이 시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도 20(a)과 같이 유저는점포의 리스트로부터 시드를 설정할 수도 있고, 또 도 20(b)과 같이 지도상에서 시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시드가 설정되면, 도 20(b)과 같이 설정된 시드가 지도상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점포를 나타내는 포인트는 지도상에 ●로 표시되고 있다. 또한 초기 시드로서 설정된 점포에는 ●주위에 ○가 쳐져있다. 또한 이 설정 화면에는 「점포정보」표시 화면 및 「통계정보」표시 화면이 포함된다. 유저가 지도상의 점포 중 어느 한 곳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면,「점포정보」표시 화면에, 그 점포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분할 방법의 선택 화면에 있어서, 「시드 자동선택」이 선택되었을 경우, 도 21과 같이 에어리어수의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저는 분할 대상의 거점부하에 있어서의 에어리어수(시드수)를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에어리어수가 「6」이 되도록 설정되고 있다.
다음에 도 22와 같이 무게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에어리어가 1∼6까지 있을 경우, 어느 한 에어리어의 코스 수에 무게를 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정된 무게는,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 통계량을 산출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에서는 에어리어 「4」에 무게 「2」가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통계량 산출부(136)는, 도 16에 도시한 합계 코스 수의 산출 처리에 있어서, 에어리어 「4」에서 산출된 코스 수를 2배 한 것을 다른 에어리어의 코스 수와 비교한다. 이렇게 하면, 최종적으로 에어리어4의 코스 수는 그 외의 에어리어의 약 절반으로 설정되게 된다. 예를 들면, 파트 타임 담당자를 에어리어4의 담당자에게 할당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무게 설정을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3과 같이 조합 지정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다수의 점포 중에서, 같은 에어리어로 분할하고 싶은 점포의 조합을 지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같은 건물내에 있는 점포, 동일 부지내에 병설된 점포 또는 배송차를 세우는 장소가 같은 점포 등, 같은 에어리어로 분할한 쪽이 전체적인 효율이 좋은 점포의 조합을 지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에서는 포인트c 및 포인트d가 조합지정되고 있다. 이 경우, 후보선택 처리부(116)는, 포인트c 및 포인트d중 어느 하나가 어느 한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후보로서 선택한 경우, 포인트c 및 포인트d의 어느 다른쪽도 그 에어리어의 후보로서 선택한다. 통계량 산출부(136)는 조합 지정된 포인트 모두를 고려하여 통계량을 산출한다. 이렇게 조합지정된 포인트c 및 포인트d는 동시에 어느 한 에어리어에 취득된다.
또한 도 37과 같이 점포정보 기억부T3는, 도 4에 도시한 데이터구조에 가하여, 미리 설정된 점포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기억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점포 코드「b」,「c」 및 「d」의 점포는, 동일 빌딩 내에 설치되고 있으며, 명칭이 「쇼핑몰1(점포A)」, 「쇼핑몰1(점포B)」및「쇼핑몰1(점포C)」이다. 이들은동일 쇼핑몰1내에 설치되고 있고, 위치는 각각 「(X10.Y10)」、「(X11, Y11)」,「(X12, Y12)」이다. 또한 모두 같은 높이의 「지상」에 있다. 이렇게 조합지정된 점포의 포인트를 후보로서 선택할 경우, 통계량 산출부(136)는, 각 점포에 있어서의 작업시간의 합계 시간 및 조합 지정된 포인트간의 높이 방향의 이동 시간도 고려하여 통계량을 산출한다. 이렇게, 동일건물내에 점재하는 점포도 방문지로서 산출 대상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점포 코드「e」,「f」,「g」의 점포는, 모두 철도A역내에 병설되고 있으며, 명칭이 「철도A역(플랫홈1북)」,「철도A역(플랫홈1남)」 및 「철도A역(플랫홈2)」이다. 점포 코드「e」,「f」의 점포는 병설되고 있기 때문에, 평면상의 위치는 대략 같고, 모두「(X3, Y3)」이다. 또한 점포 코드「e」 및 「f」의 점포의 높이도 모두「지상」이다. 이렇게 조합지정된 점포의 포인트를 후보로서 선택할 경우, 통계량 산출부(136)는, 점포간의 이동 시간은 고려하지 않아도 좋지만, 각 점포에 있어서의 작업시간의 합계 시간을 고려하여 통계량을 산출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에어리어 분할 처리가 행해지면, 그 결과는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에 기억된다. 유저는 적절히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로부터 에어리어 분할상태를 판독할 수 있고, 표시 처리부(108)에 의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조정 접수부(140)은, 제한이 붙어, 유저로부터의 수정지시를 접수할 수 있다. 유저로부터의 수정의 지시에 있어서의 제한은 여러 가지의 형태를 생각할 수 있지만, 조정 접수부(140)는, 예를 들면 수정에 의한 각 에어리어 통계량의 차이가 소정 범위 내인 경우에만 수정을 접수할 수 있다.
도 24는 조정 접수부(140)가 유저로부터 바꿈처리를 접수한 경우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유저로부터 점포의 바꿈지시를 접수하면(S270), 조정 접수부(140)는, 바꿈처리의 권한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72). 여기에서, 바꿈처리의 권한이 있는 지 여부의 판단은, 예를 들면 그 유저에 권한이 있는 지 여부의 유저 인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에어리어 분할 처리에 대해, 이미 몇번인가 바꿈처리가 행해지고 있을 경우, 몇번이나 바꿈처리를 허가하는 것은 자동 에어리어 분할을 행한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회수에 제한을 두어 그 회수 이내인지를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스텝272에 있어서, 바꿈처리의 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S272의 Yes), 통계량 산출부(136)는, 유저의 지시대로에 바꿈을 행한 경우의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을 산출한다(S274). 계속해서, 조정 접수부(140)는 바꿈을 행한 경우의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허용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76). 통계량의 차이가 허용범위 내인 경우(S276의 Yes), 조정 접수부(140)는, 유저로부터의 바꿈지시를 반영한 에어리어 분할의 결과를 새로운 에어리어 분할 결과로서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에 기억시킨다(S278). 한편, 스텝272에 있어서 권한이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S272의 No) 또는 스텝276에 있어서 허용범위 내가 아닌 경우(S276의 No), 조정 접수부(140)는 유저로부터의 바꿈지시를 접수할 수 없다고 하여, 바꿈불가통지를 행한다(S280).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에 의하면,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 점포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순차적으로 점포를 받아들이므로, 최종적으로 에어리어간의 거리가 짧은 점포가 각 에어리어로 분류되게 된다. 따라서, 한 영업구역을, 각 에어리어내에 있어서의 점포간의 이동 거리등을 감소 할 수 있도록, 블록 단위의 에어리어로 분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에 의하면, 영업 구역을,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점포의 순회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도록 분할 할 수 있다. 또한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다수의 점포 통계량이 균등하게 되도록 각 에어리어에 점포를 받아들이므로, 담당자에게 공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결과는 지도정보와 함께 맵핑되므로, 담당자가 객관적으로 공평감을 인식 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에어리어 분할 처리는 도 3에 도시한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에 의해 행해진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스텝4의 시드 설정 처리가 제 1실시예와 다르다. 여기에서는, 우선, 실제로 필요하게 되는 시드수보다도 많은 수의 시드가 선택되고, 그 시드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드가 최종적으로 시드로서 선택된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드 설정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에어리어수 설정 접수부(128)는, 시드 후보수 및 선택 조건의 설정을 접수한다(S200). 여기에서 선택 조건이라 함은, 시드 후보수로부터 최종적으로 몇 개의 시드를 어떤 조건에서 선택할 지 등이다.
시드 선택부(130)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순서로, 시드 후보수로서 설정된 수의 시드 후보를 설정한다(S202). 계속해서, 시드 선택부(130)는, 영업 구역내의 점포를, 스텝202에서 설정된 시드 후보 중 어딘가에 귀속시키는 그룹 분할을 행한다(S204).
그룹 분할로서는, 영업 구역내의 점포를, 스텝200에서 설정된 시드후보 중 각각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시드 후보에 귀속시킬 수 있다. 또한 그룹 분할의 다른 예로서는, 분할 처리부(115)에 스텝200에서 설정된 시드 후보를 기점으로 하여,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것과 동일 순서로, 예비적인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게 할 수도 있다.
그 후에 시드 선택부(130)는, 그룹 분할의 결과, 각 시드 후보로 분할된 점포의 정보를 고려하여, 선택 조건을 기초로 몇 개의 시드 후보를 시드로서 선택한다(S206).
이상의 처리에 의해, 실제로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기 위한 시드가 설정되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은 순서로 에어리어 분할이 행해진다(S208).
도 2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드 후보수 및 선택 조건의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시드 후보로서 「6」이 입력되고 있다. 또한 선택 조건으로서는 「분할 결과로부터, 점포수가 많은 그룹에서 몇 개를 시드 후보로서 선택합니까」라는 조건과, 「분할 결과로부터 점포수가 적은 그룹에서 몇 개를 시드 후보로서 선택합니까」라는 조건이 기재되고 있다. 여기에서, 「분할 결과로부터 점포수가 적은 그룹에서 몇 개를 시드 후보로서 선택합니까」라는 조건에 대하여「3」이 입력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입력한 경우, 우선 시드 후보로서 6개의 점포가 선택되며, 다른 점포는, 이들 6개의 점포중 어디에 귀속되어 그룹 분할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각그룹에 있어서의 점포수가 검출되고, 6개의 그룹 중, 점포 수가 적은 순으로 3개의 그룹이 선택되며, 그 그룹에 있어서의 시드 후보가 최종적인 시드로서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처리에 의하면, 다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가 균등하게 되도록, 각각 시드를 기점으로서 에어리어 분할이 행해진다. 따라서, 점포가 밀집한 영역에 시드를 두면, 그 시드는 가장 인접한 점포로의 이동 거리가 적어진다. 그 때문에 그 시드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는, 같은 코스 수라도 다른 에어리어에 비해 많은 점포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다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점포 수가 극단적으로 다르면, 코스 수가 같게 설정되어도, 담당자간에 불공평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다른 점포로부터 극단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하나만 설치되어 있는 점포를 시드로 하면, 그 시드로부터 가장 인접한 점포로의 이동 거리는 길어져 버린다. 그 때문에 그 시드를 포함하는 에어리어에서는, 에어리어 분할 처리중 코스 수의 산출처리에 있어서는 다른 에어리어와 같은 코스 수가 되도록 에어리어 분할되어도, 실제로는 효율이 좋지 않은 에어리어 분할 결과가 되어버릴 가능성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처리에 의하면, 점포가 밀집한 영역에 시드가 설정되거나, 다른 점포로부터 극단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시드가 설정되거나 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를 균등하게 하는 동시에,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점포의 수도 가까와 지도록 에어리어 분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에어리어를 담당하는 담당자의 불공평감을 줄일 수 있다.
(제 3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드수의 설정도 자동으로 행해지는 점에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다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는 분할상태 판단부(120)를 갖는 점에서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와 다르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 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조건입력 접수부(154) 및 점포 선출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분할 처리부(115)에 의해 분할 처리가 행해진 후, 분할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을 비교하고, 분할이 적정하게 행해졌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분할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다시 파라미터 및 초기 설정이 행해져 다시 분할 처리가 행해진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초기 설정부(114)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초기 설정부(114)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에 가하여, 코스 수 설정 접수부(142) 및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를 또한 갖는다. 시드 설정방법 접수부(124)는, 시드 설정방법으로서 시드 수동설정, 시드 자동설정 또는 코스 수 설정의 선택을 접수한다. 시드 설정방법 접수부(124)가 시드 수동설정 또는 시드 자동설정을 접수한 경우,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시드 설정방법 접수부(124)가, 코스 수 설정의 선택을 접수한 경우, 코스 수 설정 접수부(142)는, 유저로부터 코스 수의 설정을 접수한다.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코스 수 설정 접수부(142)가 접수한 코스 수에 근거하여, 에어리어수를 산출한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로직 기억부T7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로직 기억부T7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구성에 가하여, 에어리어수 산출용 로직 기억부T7d를 또한 갖는다. 로직 기억부T7d는, 에어리어수 산출부(144)에 있어서 에어리어수를 산출하는 데 필요한 로직을 기억한다.
도 30은 에어리어수 산출용 로직 기억부T7d에 기억된 에어리어수 산출부(144)가 영업 구역을 분할하는 에어리어수를 산출하는 데 이용하는 로직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코스 수 설정 접수부(142)는, 유저로부터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의 입력을 접수한다(S220). 여기에서, 코스 수라 함은 각 담당자가 하루에 행할 수 있는 작업량이므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의 초기값으로서는「1」이 설정되고 있다. 단, 예를 들면 바쁘고 번거로운 시기 등과 같은, 코스 수를 1이상으로 하거나, 순회 작업이외의 업무 시간을 고려하여 코스 수를 1이하로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그 영업 구역에 있어서의 필요한 에어리어수를 산출한다(S222).
도 31은, 에어리어수 산출용 로직 기억부T7d에 기억된 에어리어수 산출부(144)가 이 영업 구역에 있어서의 필요한 에어리어수를 산출하는 데 이용하는 로직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합계 코스 수의 산출과 동일한 순서로 행해진다.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거점정보 기억부T2에 기억된 거점정보 데이터, 점포정보 기억부T3에 기억된 점포정보 데이터 및 파라미터 기억부T4에 기억된 파라미터를 적절히 참조하여, 이하의 순서로 합계 코스 수를 산출한다.
우선,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거점으로부터 그 영업 구역내의 점포로의 평균 이동시간M3을 산출한다(S20). 우선, 거점으로부터 각 점포로의 합계 거리를 구한 후, 이 합계 거리를 파라미터 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거점 - 점포간 이동 속도로 나눔으로써 합계 이동시간을 구한다. 다음에, 이 합계 이동시간을 전 점포수로 나눔으로써 M3이 구해진다.
계속해서,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점포간 평균 이동시간M4을 산출한다(S252). 우선, 각 점포로부터 직근n개의 점포로의 합계 거리를 구한 후, 이 합계거리를 파라미터 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점포간 이동 속도로 나눔으로써 합계 이동시간을 구한다. 다음에, 이 합계 이동시간을 n으로 나눔으로써, 각 점포로부터 다른 점포로의 평균 이동시간m1∼mn을 얻는다. 계속해서, 이들 평균 이동시간 m1∼mn을 합하고, 전 점포수로 나눔으로써 M4를 산출한다.
계속해서,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이 영업 구역에 있어서, 하루 작업가능한 점포수N3를 산출한다(S24). 하루 합계 작업시간
Tz = M3 ×2 + M4(N3-1)+ T X N3
(T는 1점포당 평균 작업시간)
이므로, 이 식을 변형하여
N3 = (Tz - M3 ×2 + M4)/(M4+T)
을 산출한다.
한편,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1일당 처리가 필요한 점포수N4를 산출한다(S256). 우선, 각 점포 마다 월 장전 회수를 산출해서 합함으로써, 월 장전 회수W를 산출한다. 다음에, 각 담당자의 한달의 노동 일수를 4주간 ×5일 = 20으로 하고, N4 = W/20을 구한다.
그 후에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1일당 처리가 필요한 점포수N4를 하루에 작업가능한 점포수N3로 나눔으로써, 1일당 필요 코스 수 = N4/N3를 산출한다(S258). 에어리어수 산출부(144)는,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필요 코스 수를 도 30의 스텝220에서 입력된 코스 수로 나눔으로써, 이 영업 구역에 있어서 필요한 에어리어수를 산출한다(S260).
도 30으로 되 돌아와, 시드 선택부(130)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순서로, 산출된 필요한 에어리어수의 2배 수의 시드를 설정한다(S224).
계속해서, 시드 선택부(130)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것이라고 동일한 순서로 그룹 분할을 행한다(S226). 그 후에 시드 선택부(130)는, 그룹 분할의 결과, 각 시드에 귀속된 점포의 수를 고려하여, 점포가 적은 시드부터 순서대로 필요한 에어리어수의 시드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선택된 시드가 최종적인 시드로서 설정된다(S228).
이상의 처리에 의해, 실제로 에어리어 분할하기 위한 시드가 설정되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순서로 에어리어 분할이 행해진다(S230).
계속해서,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이 조건에서 실제로 분할된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를 산출하여 분할 상태를 평가한다(S232). 그 결과, 산출된 코스 수가 허용범위 내이면(S234의 Yes), 이 처리는 종료하고, 결과가 표시된다. 허용내가 아닌 경우(S234의 No), 스텝222으로 되돌아오고, 새로운 에어리어수가 산출된다.
도 32∼도 34는 본 실시예의 파라미터의 설정 및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32는 분할 방법의 선택 화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실시예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에 더하여, 분할 방법의 선택지로서 「코스 수 설정」이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분할 방법으로서 「코스 수 설정」이 선택되고 있다.
도 33은 분할을 위한 기초조건의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실시예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에 더해서, 주 가동일수가 항목으로서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주 가동일수로서 「5」일이 설정되고 있다.
도 32에 도시한 분할 방법의 선택 화면에 있어서, 「코스 수 설정」이 선택된 경우, 도 34와 같이 코스 수의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저는, 각 에어리어의 코스 수를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코스 수로서 「1」이 입력되고 있다. 계속해서, 유저는 허용오차범위를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10% 및 -10%로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가 0.9∼1.1이 되도록 에어리어 분할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에 의하면,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의 설정을 행하는 것 만으로, 분할 대상의 영업 구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 할 수 있다. 영업 구역은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에 의해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다수 점포의 통계량이 균등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분할되어 가므로, 객관적인 에어리어 분할을 행할 수 있으며, 담당자에게 공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 점포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순차 점포를 받아들이므로 최종적으로, 에어리어간의 거리가 짧은 점포가 각 에어리어로 분류되게 된다. 따라서, 한 영업 구역을 블록 단위의 에어리어로 분할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에어리어내에 있어서의 점포간의 이동 거리 등을 감소 할 수 있기 때문에 점포의 순회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 4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에어리어 분할 처리는, 도 3에 도시한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에 의해 행해진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계량 산출부(136)가 각 에어리어의 코스 수를 산출할 때, 점포정보 기억부 T3에 기억된 점포마다 실제의 작업시간을 고려하여 코스 수를 산출하는 점에서, 제 1∼제 3실시예와 다르다. 제 1 ∼제 3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도 16의 스텝16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의 산출에는, 도 19의 기초조건으로서 입력된 점포마다 작업시간의 평균 작업시간이 이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실제 점포에서의 작업시간은 점포 종류등의 특성이나, 그 점포를 방문하는 목적에 따라 다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계량 산출부(136)는, 점포정보 기억부T3에 기억된 점포의 종류나 특성이나 그 점포를 방문하는 목적을 참조하여 점포마다 설정된 작업시간을 반영시켜 통계량을 산출하므로, 보다 정밀하게 실제 작업량에 맞는 코스 수를 산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포정보 기억부T3에 점포마다의 특성을 기억시켜 두어, 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엄밀하게 에어리어 분할을 행할 수 있으며,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담당자의 노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계량 산출부(136)의 처리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계량 산출부(136)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거점에서 그 에어리어에 이미 속하는 점포 및 후보의 점포로의 평균 이동시간M1을 산출한다(S160). 계속해서, 통계량 산출부(136)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점포간의 평균 이동시간M2을 산출한다(S162).
계속해서, 통계량 산출부(136)는 하루 작업가능한 점포수N1를 산출한다(S164). 통계량 산출부(136)는, 우선, 점포정보 기억부T3를 참조하여, 그 에어리어내에서 이미 취득되고 있는 점포 및 후보 점포에 있어서의 작업시간의 합계 시간To을 산출한다. 이 경우, 하루 합계 작업시간
Tz= 2 ×M1 + M2 ×(N1-1) + To
이므로, 이 식을 변형하여
N1={(Tz-2M1 - To)/M2}+1
을 산출한다.
한편, 통계량 산출부(136)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일당 처리가 필요한 점포수N2를 산출한다(S166). 그 후에 통계량 산출부(136)는, 1일당 처리가 필요한 점포수N2를 하루 작업가능한 점포수N1로 나눔으로써,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N2/N1를 산출한다(S168).
도 36은 점포정보 기억부T3의 데이터구조 일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점포정보 데이터는, 점포 마다, 「점포분류」 및 「주차 상황」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점포종류는 그 점포에 있어서의 작업량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을 배달만 하면 되는 점포는「A」, 상품의 배달 및 불필요한 물품의 회수를 행할 필요한 있는 점포는「B」, 상품의 배달, 불필요한 물품의 회수 및 매상고의 회수 등이 필요한 점포를 「C」로 분류 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상황은, 배송차의 주차용이도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포 바로 옆에 주차할 수 있을 경우「1」, 점포와 주차 위치와의 거리가 예를 들면 20m이내 인 경우「2」, 점포와 주차 위치와의 거리가 20m보다 떨어져 있는 경우「3」으로 설정 할 수 있다. 통계량 산출부(136)는, 각 점포의 분류나 주차 상황 또는 도시 하지 않지만 배달량 등에 근거하여, 각 점포에 있어서의 작업시간을 산출해도 좋다. 이 경우 통계량 산출부(136)는,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작업시간을 이용하여 전술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를 산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면, 통계량 산출부(136)는, 점포마다 점포정보 기억부T3를 참조하여 실제 작업시간이나 점포마다 상황차이를 반영하여 통계량을 산출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엄밀하게 코스 수를 산출 할 수 있으며,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담당자의 노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루 작업가능한 점포수N1를 산출할 때, 거점으로부터 각 에어리어 점포까지의 이동 시간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각 에어리어를 거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거의 균등하게 되도록 분할 할 수 있다. 또한, 코스 수는,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점포간의 거리도 고려하여 산출되므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가 균등하게 되도록 영업 구역을 분할 할 수 있다.
(제 5실시예)
도 35는 제 1∼제 4실시예에서 설명한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를 포함하는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시스템(146)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 ∼제 4실시예에서 설명한 유저로부터의 처리는, 네트워크(148)를 통해 유저 단말(150)로부터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전단말(150)은, 네트워크(148)를 통해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와 통신가능하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150)은, PC, PDA, 휴대전화, 그 외 임의 하드웨어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저는, 유저 단말(150)을 갖고, 점포가 설치된 영업 구역내를 실제로 순회하면서 에어리어 분할처리에 필요한 지시를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현장의 상황을 반영하여, 예를 들면 조합지정 접수부(132)에 조합지정을 입력하거나, 조정 접수부(140)에 바꿈처리를 입력 할 수 있다.
또한 제 1 ∼ 제 4실시예에서 설명한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에 더해서, 거점정보 데이터나 점포정보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의 등록을 접수하는 데이터 등록 접수부를 가져도 좋다.
도 38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가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를 갖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는, 유저로부터 각종 데이터의 등록을 접수하고, 그것들의 데이터를 거점정보 기억부T2 또는 점포정보 기억부T3에 기억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유저 단말(150)을 갖고 점포가 설치된 영업 구역내를 실제로 순회하면서 각종 데이터의 등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거점정보 기억부T2 및 점포정보 기억부T3에, 보다 정확하고 명확한 정보를 기억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거점정보 기억부T2 또는 점포정보 기억부T3에 각종 데이터를 등록하고 있을 경우라도, 현장 상황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신속하게 데이터의 갱신을 행할 수 있다. 거점정보 기억부T2 및 점포정보 기억부T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적확하고 신속하게 정비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영업 구역의 에어리어 분할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은, 점포정보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39(a)는 데이터를 등록하는 점포의 점포 코드를 입력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9(b)는, 도 39(a)에 있어서 입력된 점포 코드에 대응하는 점포정보 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도 39(a)에 있어서, 점포 코드로서 「b」가 입력된다. 유저에서 점포 코드의 지정이 있으면,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는, 점포정보 기억부T3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점포의 점포정보 데이터가 이미 기억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응하는 점포의 점포정보 데이터가 이미 기억되어 있을 경우,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는, 그 점포정보 데이터를 판독한다.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가 판독한 점포정보 데이터는 도 39(b)의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대응하는 점포의 점포정보 데이터가 아직 기억되지 않은 경우 또는 기억되지 않은 항목이 있을 경우, 도 39(b)의 화면은 공란 상태로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점포 코드「b」의 점포의 거점 코드는 「1000」, 명칭은 「쇼핑몰1(점포A)」, 위치는 「X=X10」、「Y = Y10」、 높이는「지상」이라는 점포정보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수정이 있을 경우, 유저는 이들의 점포정보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시간은 공란이 되므로, 유저는 작업시간을 입력한다.
도 39(b)의 화면 입력이 종료하면, 도 40(a)과 같이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는, 점포 코드「b」의 점포를 어느 한 점포와 조합지정을 행할 지 여부를 문의한다. 여기에서, 유저가「아니요」를 선택하면, 점포 코드「b」의 점포정보 데이터의 등록을 종료한다. 한편, 유저가「예」를 선택하면,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는, 유저에 조합지정을 행하는 점포를 지정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는, 조합 지정을 행하는 점포의 점포 코드를 입력시켜도 좋지만, 예를 들면 도 40(b)과 같이 점포 코드「b」의 위치 정보등에 근거하여, 조합 지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 점포의 리스트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저는 리스트에 포함되는 점포 중에서, 점포코드「b」의 점포와 조합하는 점포를 선택하여 지정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148)를 통해, 유저 단말(150)로부터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에 필요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영업 구역내를 순회하면서 에어리어 분할에 필요한 정보를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각종 데이터를 적확하고 신속하게 갱신 할 수 있으며, 에어리어 분할에 있어 최적화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 6실시예)
제 1 ∼제 5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담당자가 점포로의 상품 보충·배달 등의 순회 작업을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담당자가 에어리어내의 점포를 타깃으로 하여 신규고객의 개발을 행할 경우의 에어리어 분할을 예로서 설명한다. 신규고객의 개발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관계 강화, 정보수집, 제안, 대책실시, 팔로우 검증, 유지 등의 소정 어프로치 스텝에 따라 영업 활동이 행해진다. 이 어프로치 스텝의 어느 단계에 있을지에 따라, 각 점포를 방문했을 때에 소비하는 방문 시간이 다르다. 또한 신규고객의 개발시에는, 새로운 타깃을 가하거나, 영업 활동이 원활히 되지 않고 타깃에서 벗어나거나 하는 등의 처리가 빈번하게 행해지고, 방문지의 변화가 심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에어리어 분할을 행한다.
도 4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는, 제 1실시예에 대해서 도 3에 도시한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의 구성요소에 가하여,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 및 분할상태 판단부(120)을 또한 갖는다. 데이터 등록 접수부(152)은, 유저로부터 각종 데이터의 등록을 접수하고, 그것들의 데이터를 거점정보 기억부 T2 또는 점포정보 기억부T3에 기억한다.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을 통계량 산출부(136)(도 7참조)에 재계산하도록 하고, 재계산된 통계량에 근거하여, 분할 상태가 적정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예를 들면 거점정보 기억부T2 또는 점포정보 기억부T3의 데이터가 갱신되었을 때 분할 상태의 적정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해 분할 상태의 적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분할 상태판단부(120)는, 정기적으로 분할 상태의 적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재계산을 한 결과, 분할 상태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유저에게 재분할 처리가 필요함을 통지한다. 여기에서, 분할 상태가 적정한 지 여부는, 예를 들면 각 에어리어간의 통계량의 차이가 소정범위 내에 있는 지, 각 에어리어의 통계량의 절대치와 소정 기준값과의 차이가 소정범위 내에 있는 지, 전회의 분할 처리시의 각 에어리어의 통계량과의 차이가 소정범위 내에 있는 지 여부 등에 따라 판단 할 수 있다.
도 4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점포정보 기억부T3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점포정보 기억부T3는, 점포 코드란, 명칭란, 위치란, 높이란, 개별계수란, 어프로치 스텝의 계획란, 현재상태란, 변경금지란를 갖는다. 어프로치 스텝에는 관계 강화, 정보수집, 제안, 대책실시, 팔로우 검증 및 유지가 포함된다. 각 담당자는, 신규고객의 개발을 행할 경우, 이 어프로치 스텝을 따라 영업 활동을 행한다. 여기에서, 점포정보 기억부T3는, 어프로치 스텝의 계획 및 그 달성 상태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점포 코드가「a」의 점포에 대해서는, 팔로우 검증까지 달성되고 있으며, 현재상태는「유지」의 단계이다. 또한 점포 코드「b」의 점포는, 신규로 점포정보 기억부T3에 가하여진 점포에서, 현재상태는 「관계 강화」의 단계이다. 또한 점포 코드「d」의 점포는, 관계 강화, 정보수집, 제안, 대책실시, 팔로우 검증까지 계획이 세워지고 있었지만, 「정보수집」까지 달성한 후, 교섭이 진행되지 않은 등의 이유에 의해, 현재상태는 「중지」가 되고 있다.
여기에서, 개별계수라 함은, 각 점포로의 방문에 필요한 시간으로 적산하는 계수를 개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신규고객을 개발하는 때는, 점포주와의 대인교섭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교섭에 소비하는 시간은, 점포주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점포 코드가 「e」인 점포의 개별계수는「1」이고, 점포 코드가 「a」인 점포의 개별계수는「2」이다. 이는, 점포 코드가 「a」인 점포는, 점포 코드가 「e」인 점포에 비해 같은 목적의 방문이라도 2배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또한 변경금지란에는, 담당자의 변경을 금지할 경우에 표시를 넣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프로치 스텝이 관계 강화->정보수집->제안 등의 계약이나 대책의 실시전의 단계에 있어서는, 담당자와 점포주와의 개인적인 관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단계에서 담당자가 바뀌게 되면, 모처럼 점포주와의 관계가 양호해져서 계약이 성립될 듯 해도, 소용이 없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 단계에서는 담당자의 변경을 금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에어리어 시뮬레이터 장치(100)는, 변경금지란에 표시가 들어가 있는 점포에 대해서는, 에어리어 재분할 처리를 행할 때에, 다른 에어리어로 이행하지 않도록 처리한다.
도 4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기억부T4의 데이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파라미터 기억부T4는 어프로치 스텝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교섭 시간 등의 표준시간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관계 강화」의 단계에서 요하는 교섭 시간의 표준시간은 20분이다. 도 42로 되 돌아와, 예를 들면 점포 코드「a」의 점포에서는, 개별계수가 「2」이므로, 표준시간에 개별계수를 적산하여 점포 코드「a」의 점포에 대한 「관계 강화」의 단계에서의 교섭 시간은 40분으로 계산된다.
도 44는 분할상태 판단부(120)가 각 에어리어의 분할 상태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거점정보 기억부T2 또는 점포정보 기억부T3가 갱신되었을 때, 유저로부터의 지시가 있었을 때 또는 소정 기간 마다 정기적으로 통계량 산출부(136)(도 7참조)에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재계산을 지시한다(S300). 통계량 산출부(136)는, 에어리어 분할정보 기억부T6, 거점정보 기억부T2 및 점포정보 기억부T3을 참조하여, 그 시점에서의 각 에어리어의 통계량을 재계산한다(S302).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의 차이가 허용범위 내 인지를 판단한다(S304). 통계량의 차이가 허용범위 내가 아닌 경우(S304의 No),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유저에게 에어리어의 재분할을 행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한다(S306). 유저로부터 재분할의 지시가 있었을 경우(S306의 Yes),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분할 처리부(115)에 재분할을 행하도록 한다(S308). 이때, 초기 설정부(114)는, 도 42에 도시한 점포정보 기억부T3에 있어서, 변경금지란에 표시가 쳐져 있는 점포를, 그 점포가 속하는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시드로서 설정한다. 분할 처리부(115)는, 한 에어리어내에 변경금지란에 표시가 쳐진 점포가 다수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 점포의 중심위치를 시드로서 에어리어의 재분할 처리를 행한다. 재분할 처리가 종료하면, 분할상태 판단부(120)는 그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한다(S3). 스텝304에 있어서 통계량의 차이가 허용범위 내일 때, 스텝306에 있어서 재분할의 지시가 없던 경우도 각각 대응하는 내용의 통지가 이루어진다(S3).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계량 산출부(136)는, 담당자가 점포를 방문하는 목적에 따라 통계량을 산출하므로, 방문 목적에 따라 각 점포에 있어서의 체재 시간이 다르다는 실상을 반영시켜 보다 엄밀하게 코스 수를 산출 할 수 있으며,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담당자의 노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에어리어 분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전회의 에어리어 분할의 상태를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대상 지역에 포함되는 점포의 증감이나 변동이 심한 경우라도, 용이하게 재분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에어리어의 재분할을 행할 때, 전회의 에어리어 분할의 상태를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일련의 영업 활동의 도중이라도, 용이하게 재분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점포 선출부(156)가 분할대상의 점포를 선출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점포정보 기억부T3는, 도 42에 도시한 정보에 가하여, 점포 마다 방문 회수, 방문 거부의 유무, 1회당의 방문시의 체재 시간 등 지금까지의 방문 이력이나, 주차장의 유무나 크기 등 주위의 환경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어떤 영업 전략을 기초로 신규고객의 개발을 행할 경우에, 바람직한 점포를 선출하여 그것들의 점포를 대상으로 하여 영업 활동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방문 회수 3회 이하의 점포는 신규고객으로서 개척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하여, 분할 대상의 점포를 선출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조건입력 접수부(154)에 「방문 회수 3회 이하의 점포」라는 조건을 입력 할 수 있다. 이 경우, 점포 선출부(156)는, 점포정보 기억부T3을 참조하여, 방문 회수가 3회 이하의 점포를 선출한다. 또한 예를 들면, 대량인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점포를 신규고객으로서 개척하고자 할 경우, 한 번에 대량의 상품을 반입 가능한 점포를 신규고객의 대상으로서 선출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예를 들면, 분할 대상의 점포를 선출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조건입력 접수부(154)에 「특정 면적이상의 주차장을 병설하는 점포」라는 조건을 입력 할 수 있다. 점포 선출부(156)는 점포정보 기억부T3을 참조하여, 특정 면적이상의 주차장을 병설하는 점포를 선출한다. 분할 처리부(115)는, 이렇게 하여 점포 선출부(156)에 의해 선출된 점포를 대상으로서 분할 처리를 행한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표 포인트로서, 에어리어 분할시의 시드가 되는 점포를 선택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대표 포인트로서, 이하와 같은 시설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 7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통신망 기지국의 후보지점을 다수 포함하는 영업 구역으로부터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기지국의 배치지점선택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의 등록이 이루어진다(S1).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그 영업 구역의 지도정보 데이터, 기지국의 후보지점 정보데이터, 에어리어 정보데이터 등이 등록된다. 계속해서, 초기 설정으로서, 영업 구역 내에 설정하는 기지국의 배치지점수가 설정된다(S2). 그 후 스텝2에서 설정된 배치지점수의 기지국의 배치지점이 선택된다(S3).
도 4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치지점 선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배치지점 선택장치는, 표시 처리부(12)와, 초기 설정부(14)와, 배치지점 선택부(16)와, 지도정보 기억부(20)와,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와, 에어리어 정보기억부(24)와, 초기설정 기억부(25)와, 로직 기억부(26)와, 배치지점 정보기억부(28)를 갖는다.
지도정보 기억부(20)는, 기지국을 설치하는 영업 구역의 지도정보 데이터를 기억한다.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는, 후보지점 정보데이터를 기억한다. 후보지점 정보데이터는, 후보지점의 식별 코드, 후보지점의 명칭, 후보지점의 평면위치(위도 및 경도 또는 X좌표 및 Y좌표), 후보지점의 높이 등을 포함한다. 에어리어 정보 기억부(24)는, 전파상태나 인구분포 등의 영업 구역 내에 있어서의 지역특성을 파라미터화 하여 기억한다.
표시 처리부(12)는, 각종 데이터를 화면(도시되지 않음)상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초기 설정부(14)는,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설정을 행한다. 초기 설정부(14)는, 유저로부터 대상의 영업 구역에 설치하는 기지국의 배치지점수를 접수한다. 초기 설정 기억부(25)는, 초기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영업 구역내의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초기 설정부(14)에서 설정된 배치지점수의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가상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기능, 치환 대상이 되는 지점을 선택하는 기능, 각 포인트간의 거리를 비교하는 기능을 갖는다. 로직 기억부(26)는, 배치지점 선택부(16)가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데 필요한 로직을 기억한다. 배치지점 정보기억부(28)는, 배치지점 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된 배치지점정보를 기억한다.
도 4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치지점 선택부(16)가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영업 구역내의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초기 설정부(14)가 접수한 기지국의 배치지점수의 임의인 후보지점을 초기 포인트로서 선택한다(S12).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을 참조하여, 리스트 순으로 초기 포인트를 선택해 갈 수 있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선택된 초기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I1를 검출한다(S14). 다음에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의 리스트의 다음 후보지점을 검사 포인트로서 선택한다(S16).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초기 포인트 중에서, 검사 포인트로부터 가장 근접한 포인트와 검사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I2를 산출한다(S18). 계속해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제 1검사를 행한다(S20). 제 1 검사에 있어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스텝14에서 검출한 초기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I1와, 스텝18에서 산출한 검사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I2를 비교한다(S22). 검사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I2가 최단 거리I1보다도 클 경우(S22의 Yes),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검사 포인트를 초기 포인트 중 어느 것과 치환하여 새로운 선택 포인트로 한다(S24). 여기에서 치환 대상이 되는 것은, 초기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I1를 부여하는 포인트 중, 검사 포인트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쪽의 포인트이다.
스텝22에 있어서, 최단 거리I2가 최단 거리I1이하인 경우(S22의 No),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검사 포인트로부터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이외에 초기 포인트로의 최단 거리I3를 산출한다(S26). 또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로부터 다른 초기 포인트로의 최단 거리I4를 산출한다(S28). 계속해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제 2검사를 행한다(S30). 제 2검사에 있어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스텝28에서 산출된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와 다른 초기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I4와 스텝26에서 산출된 최단 거리I3를 비교한다(S32). 최단 거리I3가 클 경우(S32의 Yes), 스텝24로 진행되고,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검사 포인트를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와 치환하여 새로운 선택 포인트로 한다(S24).
스텝32에 있어서, 최단 거리I3가 가장 근접한 초기 포인트와 다른 초기 포인트와의 최단 거리I4이하인 경우(S32의 No), 초기 포인트의 치환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의 처리는, 모든 포인트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소정회수, 예를 들면 여기에서는 100회 행해진다. 스텝34에 있어서, n이 100이하인 경우(S34의 No), 스텝14으로 되돌아오고, 이 단계에서의 선택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I1가 산출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 리스트의 다음 후보지점을 검사 포인트로서 선택하고(S16), 이하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34에 있어서, n>100인 경우(S34의 Yes), 포인트의 선택 처리는 종료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이 단계에서의 선택 포인트를 배치지점으로서 선택한다.
도 48은, 도 4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치지점의 선택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기지국의 배치 지점수를「3」으로 한다. 우선, 도 48(a)과 같이, 초기 포인트로서 후보지점a, 후보지점b 및 후보지점c이 선택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이들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를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후보지점a 및 후보지점b 간의 최단 거리L1가 된다. 다음에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에 있어서의 리스트의 다음 포인트인 후보지점d이 검사 포인트로서 선택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d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후보지점을 검출하고, 후보지점d과 가장 근접한 후보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후보지점d 및 후보지점c사이가 최단 거리L2가 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최단 거리L1와 최단 거리L2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최단 거리L2>최단 거리L1가 되므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d을 초기 포인트와 치환하고, 새로운 선택 포인트로 한다. 여기에서, 후보지점d과의 치환 대상이 되는 것은, 최단 거리L1를 구성하는 후보지점a 또는 후보지점b중 어느 하나이다. 초기 설정부(14)는, 후보지점d과 치환하는 치환 대상의 후보지점을 결정하기 위해, 도 48(b)과 같이 후보지점d과 치환 대상의 후보지점a 및 후보지점b과의 거리L3 및 L4를 각각 산출한다. 여기에서, L4>L3가 되므로, 후보지점a이 후보지점d의 치환 대상이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48(c)과 같이 후보지점b, 후보지점c 및 후보지점d이 새로운 선택 포인트가 된다. 같은 처리를 반복하여, 소정회수의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 있어서의 선택 포인트가 배치지점으로서 선택된다.
도 49는, 배치지점의 선택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도, 배치지점수를 「3」으로 한다. 우선, 도 49(a)와 같이 초기 포인트로서 후보지점a, 후보지점b 및 후보지점c이 선택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이들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를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후보지점a 및 후보지점b사이가 최단 거리L1가 된다. 다음에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에 있어서의 리스트의 다음 포인트인 후보지점e이 검사 포인트로서 선택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e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후보지점을 검출하고, 후보지점e과 가장 근접한 후보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후보지점e 및 후보지점b 사이가 최단 거리L2가 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최단 거리L1와 최단 거리L2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최단 거리L2 <최단 거리L1가 되므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도 49(b)와 같이 제 2검사를 행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검사 포인트인 후보지점e과 후보지점b의 다음에 후보지점e에 가까운 후보지점a과의 사이의 최단 거리L3를 산출한다. 또한 가장 근접한 후보지점b과 이 후보지점b에 가장 가까운 후보지점a과의 사이의 최단 거리L1를 산출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최단 거리L3와 최단 거리L1를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최단 거리L3>최단 거리L1가 되므로, 후보지점e를 후보지점b과 치환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49(c)와 같이 후보지점a, 후보지점c 및 후보지점e이 새로운 선택 포인트가 된다. 같은 처리를 반복하여, 소정회수의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 있어서의 선택 포인트가 배치지점으로서 선택된다.
이상의 처리에 있어서, 제 1 검사에서는, 검사 포인트와 기존의 선택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가 선택 포인트간의 최단 거리보다도 길 경우에 선택 포인트의 치환이 행해지므로, 포인트간의 거리가 짧은 포인트의 조합은 배제되어 간다. 또한 치환 대상의 선택 포인트 중, 검사 포인트와의 거리가 짧은 쪽의 포인트가 치환되므로, 새롭게 선택된 포인트간의 거리를 보다 한층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검사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제 2검사에서는, 검사 포인트와 기존의 선택 포인트 중 어느 것을 치환한 경우에, 다른 선택 포인트와의 거리가 더욱 길어질 경우에 선택 포인트의 치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포인트간 거리가 보다 길어지도록 포인트가 치환되어 간다. 또한 이러한 처리를 소정회수 반복하므로, 포인트간 거리가 짧은 포인트의 조합이 배제되어, 포인트간 거리의 평균값이 보다 크며, 또 거리의 차이가 보다 작아지는 포인트가 선택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치지점의 선택 방법에 의하면, 이 단계에서 선택되고 있는 포인트에 대응하는 후보지점이 기지국의 배치지점으로서 선택된다. 따라서,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후보 지점간의 거리 평균값이 크고, 각각의 거리차이가 작아지는 배치지점을 선택 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효율적으로 영업구역 전체에 전파를 발신 할 수 있는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 할 수 있다.
다음에 영업 구역 내에 있어서, 지역특성이 다른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지역에 의해 전파상태가 다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50은, 영업 구역 내에 있어서의 지역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배치지점의 선택에 앞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에어리어 정보기억부(24)로부터 에어리어 정보를,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로부터 후보지점정보를 판독한다(S40).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에어리어 정보에 근거하여, 에어리어 정보를 후보지점정보에 반영시켜 각 후보지점으로의 가중 처리를 행한다(S42).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가중 결과를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그 후에 배치지점 선택부(16)는, 도 4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한다(S44). 이때,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각 후보지점으로의 가중 처리 결과를 고려하여 포인트를 선택해 간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한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영업 구역은, 전파상태가 양호한 지역 1, 전파상태가 중정도의 지역 2, 전파상태가 나쁜 지역 3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전파상태가 나쁜 지역에서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파가 닿는 범위가 좁아지므로, 전파상태가 양호한 지역에 비해 기지국의 설치 간격을 좁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의 이용자가 많은 지역에서는, 이용자가 적은 지역에 비해 기지국을 많이 설치 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예로서, 지역 1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전파범위가 300m, 지역 2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전파범위가 200m, 지역 3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전파범위가 100m이라고 한다. 이들의 전파범위에 관한 정보는, 에어리어 정보기억부(24)에 파라미터로서 기억되고 있다. 이 경우, 지역 3을 기준으로 하면, 지역 2에 있어서는 지역 3의 2배 간격으로 기지국을 설치하면 되고, 지역 1에 있어서는 지역 3의 3배 간격으로 기지국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치지점의 선택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서로의 거리 평균값이 커지도록 다수의 배치지점이 선택된다. 따라서, 서로의 거리가 짧은 후보지점이 함께 배치지점으로서 선택될 가능성은 낮으며, 서로의 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배치지점으로서 함께 선택될 가능성은 높아진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전파상태가 나쁜 지역에서 보다 많은 배치지점이 선택되도록 각 후보지점에 가중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 및 에어리어 정보기억부(24)를 참조하여, 지역 1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에는 가중 계수「1」을, 지역 2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에는 가중 계수「2」를, 지역 3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에는 가중 계수「3」를 대응시킨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도 47에 도시한 배치지점의 선택 처리에 있어서, 후보 지점간의 실거리에 각각의 후보지점에 대응된 가중 계수를 고려한 값을 곱하여 가상 거리를 산출하고, 후보 지점간의 가상 거리의 길이에 따라 배치지점의 선택을 행한다.
여기에서도, 기지국의 배치지점수를「3」으로 한다. 우선, 도 51(a)과 같이 초기 포인트로서 후보지점a, 후보지점b 및 후보지점c이 선택된다. 여기에서, 후보지점a과 후보지점c 사이의 실거리는 L1이다. 후보지점a은 지역 3, 후보지점c은 지역 1에 각각 포함되므로, 후보지점a과 후보지점c 사이의 가상 거리L'1= (1+3) / 2 ×L1 = 2L1이 된다. 마찬가지로, 후보지점a과 후보지점b 사이의 실거리는 L3이다. 후보지점a은 지역 3, 후보지점b는 지역 1에 각각 포함되므로, 후보지점a과 후보지점b 사이의 가상 거리L'3 = (1+3) / 2 ×L3= 2 X L3이 된다. 후보지점b과 후보지점c과의 사이의 실거리는 L2이다. 후보지점b과 후보지점c은 함께 지역 1에 포함되므로, 후보지점b과 후보지점c 사이의 가상 거리L'2 = L2이 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가상거리L'1, L'2 및 L'3을 비교하여 최단 거리를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후보지점b과 후보지점c 사이의 가상 거리L'2가 최단 거리가 된다.
다음에 검사 포인트로서 후보지점d이 선택된다. 도 51(b)과 같이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d로부터 가장 근접한 후보지점을 검출하고, 후보지점d과 가장 근접한 후보지점과의 사이의 최단 거리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후보지점d과 후보지점a 사이의 실거리는 L4이다. 후보지점d 및 후보지점a은 함께 지역 3에 포함되므로, 후보지점d과 후보지점a과의 사이의 가상 거리L'4=(3+3) / 2 ×L4 = 3L4이 된다. 후보지점d와 후보지점c과의 사이의 실거리는 L5이다. 후보지점d은 지역 3에, 후보지점c은 지역 1에 포함되므로, 후보지점d과 후보지점c과의 사이의 가상 거리L' 5 = (1+3) / 2 ×L5 =2L5가 된다. 마찬가지로, 후보지점d과 후보지점b과의 사이의 거리는 L6이다. 후보지점d은 지역 3에, 후보지점b은 지역 1에 포함되므로, 후보지점d과 후보지점b과의 사이의 가상 거리L'6=(1+3)/2 ×L6= 2L6이 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가상 거리L'4,L'5 및 L'6을 비교하여, 최단 거리를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후보지점d과 후보지점a과의 사이의 가상 거리L'4가 최단 거리가 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최단 거리L'2와 최단 거리L'4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최단 거리L'4 >최단 거리L'2가 되므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d을 초기 포인트 중 어느 것과 치환하여, 새로운 선택 포인트로 한다. 여기에서, 후보지점d의 치환 대상이 되는 것은, 최단 거리L'2를 구성하는 후보지점b 또는 후보지점c중 어느 하나이다. 초기 설정부(14)는, 후보지점d과 치환하는 치환 대상의 후보지점을 결정하기 위해, 후보지점d과 치환 대상의 후보지점b 사이의 가상 거리L'5와, 후보지점d과 치환 대상의 후보지점c과의 사이의 가상 거리L'6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L'5 > L'6이 되기 위해서, 후보지점b이 치환 대상이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51(c)과 같이 후보지점a, 후보지점c 및 후보지점d이 선택 포인트가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치지점 선택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후보지점간 거리의 평균값이 크고 또 각각의 거리 차가 작아지는 배치지점이 선택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지역의 전파상태에 따라 가중을 가한 가상 거리에 근거해 배치지점을 선택하면, 전파상태가 나쁜 지역에서는, 전파상태의 양호한 지역에 비해 좁은 간격으로 배치지점을 선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업 구역 전체에서는, 각 지역의 전파상태를 반영시킨 적절한 배치지점이 선택된다.
도 52는, 영업 구역 내에 있어서의 지역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여기에서 각 후보지점에 대응된 가중 계수를 고려하여 변형 지도를 작성하고, 변형 지도를 이용하여 배치지점의 선택을 행한다. 우선, 배치지점의 선택에 앞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에어리어 정보기억부(24)로부터 에어리어 정보를,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로부터 후보지점정보를 각각 판독한다(S50).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에어리어 정보 및 후보지점정보를 참조하여, 각 후보지점에 대응된 가중 계수를 고려하고, 각각의 후보지점의 위치를 변형시킨 변형 지도를 작성한다(S52). ·배치지점 선택부(16)는, 변형 지도상의 후보지점의 위치 정보등을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그 후 배치지점 선택부(16)는, 도 4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기지국의 배치지점을 선택한다(S54). 이때, 배치지점 선택부(16)는, 변형 지도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선택해 간다.
도 3은, 도 52의 스텝52에서 설명한 변형 지도의 작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영업 구역은, 도 51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전파상태가 양호한 지역 1, 전파상태가 중정도의 지역 2, 전파상태가 나쁜 지역 3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지역 1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전파범위가 300m, 지역 2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전파범위가 200m, 지역 3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전파범위가 100m라고 한다. 이들의 전파범위에 관한 정보는, 에어리어 정보기억부(24)에 파라미터로서 기억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기준점G을 설정한다. 이하, 도 53(a)을 참조하여, 기준점G의 설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우선, 영업 구역내의 후보지점을 xy좌표로 나타냈을 때에, x의 값이 최소가 되는 후보지점 및 x 값이 최대가 되는 후보지점에서 각각 지나도록 y축에 평행한 직선m1 및 m2을 뺀다. 마찬가지로, y 값이 최소가 되는 후보지점 및 y 값이 최대가 되는 후보지점을 각각 지나도록 x축에 평행한 직선n1 및 n2을 뺀다. 계속해서, 직선m1 및 직선n2의 교점과 직선m2 및 직선n1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g1을 뺀다. 또한 직선m2 및 직선n2의 교점과 직선m1 및 직선n1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g2을 뺀다. 다음에, 직선g1과 직선g2과의 교점을 기준점G으로 한다.
다음에 배치지점 선택부(16)는, 기준점G을 중심으로 하여, 각 후보지점의 위치 좌표에 각각 대응된 가중 계수를 곱하여 후보지점의 위치 좌표를 변환한다. 여기에서,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 정보기억부(22) 및 에어리어 정보기억부(24)를 참조하여, 지역 1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에는 가중 계수「1」을, 지역 2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에는 가중 계수「2」를, 지역 3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에는 가중 계수 「3」을 대응시킨다. 예를 들면, 도 53(b)과 같이 후보지점a은 지역 3에 포함되므로, 가중 계수「3」이 대응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a을, 기준점G과 후보지점a을 잇는 직선상을 기준점G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기준점G과의 거리가 후보지점a의 실거리L1의 3배가 되는 위치를 a'를 후보지점a의 변환위치 좌표로 한다. 마찬가지로, 후보지점b은 지역 2에 포함되므로, 가중 계수 「2」가 대응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후보지점b을, 기준점G과 후보지점b을 잇는 직선상을 기준점G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기준점G과의 거리가 후보지점b과의 실거리L2의 2배가 되는 위치b'를 후보지점b의 변환위치 좌표로 한다.
도 54는 배치지점 선택부(16)에 의해 작성된 변형 지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4(a)와 같이 각 후보지점은, 기준점G과 각 후보지점을 각각 잇는 방사선상에서, 기준점G과의 거리에 가중 계수를 곱한 거리가 되는 점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지역 3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은 각각 기준점G과의 거리가 실거리의 3배가 되도록 변환되고, 지역 2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은 각각 기준점G과의 거리가 실거리의 2배가 되도록 변환된다. 여기에서, 지역 1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으로의 가중 계수는「1」이므로, 지역 1에 포함되는 후보지점의 위치로는 변화가 없다.
도 54(b)는, 이상의 처리에 의해 작성된 변형 지도를 도시한다. 배치지점 선택부(16)는, 이 변형 지도를 이용하여 도 47에 도시한 것과 같은 처리를 행하고, 배치지점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배치지점으로서 선택된 후보지점의 위치 정보는, 변환전의 위치 정보에 대응된다. 표시 처리부(12)는, 선택된 배치지점의 변환전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배치지점의 마크를 지도정보와 함께 화면상(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한다.
도 55는, 도 52에서 도 5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변형 처리를 행하기 전의 원래 도면과 변형 처리를 행한 후의 변형 지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a)가 원래 도면을 도시하고, 도 55(b)가 변형 지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 55(a)에 있어서, 지역 1에는 포인트P1, 지역 2에는 포인트P2, 지역 3에는 포인트P이가 포함된다. 이들 포인트는 도 55(b)에 있어서, 포인트P1', 포인트P2’, 포인트P3'로 변환된다. 원래 도면의 지역 1에 포함되는 포인트P1에는, 가중 계수 1이 곱해지므로, 포인트P1와 변형 지도에 포함되는 포인트P1'의 위치에는 변화가 없다. 원래 도면의 지역 2에 포함되는 포인트P2에는, 가중 계수 2가 곱해지므로, 변형 지도에 있어서의 포인트P2은, 원래 도면의 포인트P2에 비해, G-P2사이의 2배 거리만큼 기준점G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원래 도면의 지역 3에 포함되는 포인트P3에는, 가중 계수 3가 곱해지므로, 변형 지도에 있어서의 포인트P3는, 원래 도면의 포인트P3에 비해, G-P3사이의 3배 거리만큼 기준점G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각각의 지역에 포함되는 포인트에 대해 마찬가지로 변형된 결과, 도 55(b)와 같이 지역 1에서는 포인트간의 거리에 변화가 없지만, 지역 2 및 지역 3에서는 포인트간 거리가 원래 도면에 비해 넓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치지점 선택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후보지점 중에서, 서로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배치지점이 선택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각 후보지점의 위치 좌표에 지역의 전파상태에 따른 가중처리를 행하여 작성한 변형 지도에 근거해 배치지점을 선택하면, 전파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으로부터 보다 많은 배치지점을 선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선택한 배치지점을 원래 지도에 반영시키면, 전파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전파상태가 양호한 지역에 비해 좁은 간격으로 배치지점이 선택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업구역 전체에서는, 각 지역의 전파상태를 반영시킨 적절한 배치지점이 선택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소정 기준점을 설정하여, 그 기준점에서부터 각 포인트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가중 계수를 곱함으로써, 근사적으로 변형 지도를 작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보다 적은 데이터량으로 가중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대표 포인트를 선택 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 설명한 기준점의 설정 방법은 일 예로서,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설정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했다. 실시예는 예시이며, 그것들의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가지 변형 예가 가능한 것 또 그렇게 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이하, 그러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도 13∼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에어리어 분할처리는, 여러 가지 순서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스텝104의 후보선택 처리에 있어서, 각 에어리어에서 취득완료된 점포 위치의 중심에서 최단 위치에 있는 점포가 후보로서 검출되고 있지만(도 14, S130 및 S132), 각 에어리어에서 시드로서 설정된 점포 위치에서 최단 위치에 있는 점포를 후보로서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도, 검출된 점포를 후보로서 결정할 지 여부의 판단은 도 14와 동일한 처리로 행할 수 있다.
또한 MST(minimum spanning tree)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각 에어리어에서 취득완료된 점포중 어느 것으로부터 최단의 위치에 있는 점포를 후보로서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도, 검출된 점포를 후보로서 결정할 지 여부의 판단은, 도 14와 같은 처리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코스 수의 입력을 행하면, 자동적으로 시드가 설정된다고 설명했지만, 초기 설정부(114)는, 유저로부터 코스 수의 입력을 접수하면, 로직 기억부T7를 참조하여 도 31에 도시한 처리에 의해 에어리어수를 산출하고, 필요한 에어리어수를 유저에게 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시드의 설정을 수동으로 행할지 자동으로 행할지를 선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무게 설정 등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제 1 ∼ 제 6실시예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영업지역 내의 거점과 점포간의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통계량의 산출을 행했지만, 예를 들면 작업원이 자택에서 출발하여 각 점포간을 순회하는 경우와 같이 , 거점이외의 지점으로부터 어느 한 점포까지의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통계량의 산출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제 1∼제 6실시예에 있어서, 통계량으로서 각 에어리어의 합계 코스 수를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점포의 수, 점포당 평균 작업시간, 점포당 평균 월방문 회수, 점포당 거점으로부터의 거리평균, 점포간 거리평균, 코스당 점포수, 총매출, 점포당 매출평균등, 코스 수 이외의 통계량이 균등하게 되도록 에어리어 분할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계량으로서 점포당 매출평균을 사용한 경우,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매출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로 필요한 시드수 보다 많은 시드 후보를 설정하여 그룹 분할을 하는 처리와 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점포 수가 균등하게 되는 시드를 적절히 설정 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코스 수도 어느 정도 균등하게 되면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매출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원의 공평감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제 1실시예 및 제 6실시예에 있어서, 조건입력 접수부(154) 및 점포 선출부(156)의 기능에 대해 설명했지만, 그것에 가하여,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점포의 선출은, 점포의 업태, 영업 활동의 방법, 물류 등 여러 가지 측면에 배려하여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특정한 편의점이나 프랜차이즈체인을 대상으로서 순회 작업이 행해질 경우, 조건입력 접수부(154)는, 편의점이나 프랜차이즈체인의 특정을 접수하고, 점포 선출부(156)는, 특정된 편의점이나 프랜차이즈체인에 속하는 점포를 선출 할 수 있다. 점포 선출부(156)는, 점포가 취급하는 상품에 따라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점포를 선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술·담배·약 등, 판매하는 데 허가가 필요한 상품의 판매촉진전략을 행할 경우, 조건입력 접수부(154)는, 상품의 특정을 접수하여, 점포 선출부(156)는 특정된 상품을 취급하는 점포를 선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적에 따라 적절한 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리어 분할 방법은, 자동판매기, 편의점 등의 체인점 등 각종 점포, 방문판매나 청취조사를 할 때의 대상자, 신문이나 우유등의 각종 배달 서비스의 대상자, 광고지의 배포를 행할 때의 대상설비 등, 여러 가지 것에 응용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영업 구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다수의 영업 구역을 설정할 때,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드를 설정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각 영업 구역에 있어서의 거점을 설정 할 수도 있다.
제 7실시예에서 설명한 배치지점의 선택 방법은, 어느 지역에 이미 다수의 설비가 배치되는 경우에, 기존의 설비로부터 몇 개의 설비를 남겨 설비 삭감을 할 경우에, 남겨야 할 설비를 선택하는 데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배치지점의 선택 방법은, 정점에 고정하여 설치된 설비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설비의 배치지점을 선택하는 데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7실시예에 있어서, 도 50 ∼ 도 54를 참조하여 지역특성에 차이가 있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했지만, 다수의 후보지점 각각의 특성이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가중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파가 미치는 범위가 다른 안테나를 사용한 경우에도 같은 가중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권이 다른 점포의 배치 위치를 선택할 경우에도, 같은 가중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지역을,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작업량 등의 통계량이 균등하게 되도록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지역 내에 배치된 다수의 후보지점으로부터, 다수의 대표 지점을 적절한 배치로 선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그 지역 전체에 서비스가 널리 퍼지도록, 지역 내에 다수의 서비스 포인트를 효율적으로 배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지역 내에 다수의 서비스 포인트를 배치할 경우에, 다른 서비스 포인트의 위치 관계에서, 각 서비스 포인트에 있어서의 효과가 높아지는 배치를 선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대상지역을 에어리어 분할 할 때, 각 에어리어의 기점이 되는 순회 포인트를 적절히 선택 할 수 있다.

Claims (18)

  1.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고, 각각의 에어리어에 상기 순회 포인트를 귀속시키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에 있어서,
    각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에 의해 정해지는 통계량을 산출하는 통계량 산출부와,
    상기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각 상기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통계량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상기 에어리어 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키는 분할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순회 포인트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초기값으로서 다수 설정하는 초기 설정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분할 처리부는 상기 통계량을 고려하여 특정 에어리어를 선택한 후, 그 특정 에어리어에 순회 포인트를 추가하여 에어리어를 확장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며, 상기 순회 포인트를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처리부는,
    각 상기 에어리어에 추가하는 후보가 되는 순회 포인트를, 에어리어 마다 선택하는 후보선택 처리부와,
    상기 통계량이 에어리어 사이에서 더욱 균등하게 되도록 상기 특정 에어리어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상기 후보가 되는 순회 포인트를 이 특정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후보귀속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보선택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선택과 상기 후보귀속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귀속을 순차적으로 반복 실행하여 에어리어를 확장하고, 상기 순회 포인트를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량 산출부는, 각 상기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 및 상기 후보가 되는 순회 포인트에 근거하여 통계량을 산출하고,
    상기 후보귀속 처리부는, 상기 통계량이 가장 작아지는 에어리어를 상기 특정 에어리어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선택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선택과 상기 후보귀속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귀속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조건을 설정하는 종료조건 설정부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종료조건을 만족할 때 까지, 상기 후보선택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선택과 상기 후보귀속 처리부에 의한 후보의 귀속을 순차적으로 반복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처리부는, 각 상기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순회 포인트를, 각 상기 에어리어의 대표 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선택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처리부는, 각 상기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간의 거리가 소정 제한거리 이내가 되도록, 상기 순회 포인트를 상기 에어리어 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량 산출부는, 각 상기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를 경유하여 작업을 행할 경우의 작업 시간 및 상기 순회 포인트간의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통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거점을 포함하고,
    상기 통계량 산출부는, 상기 거점과 각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순회 포인트 사이의 이동 시간도 고려하여 상기 통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순회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포인트정보 기억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통계량 산출부는, 상기 포인트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각 상기 에어리어에 속하는 순회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각 상기 순회 포인트를 순회하는 목적과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요하는 표준시간을 대응시켜서 기억한 표준시간 기억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포인트정보 기억부는, 각 상기 순회 포인트를 순회하는 목적을 순회 포인트 마다 기억하며,
    상기 통계량 산출부는, 포인트정보 기억부 및 상기 표준시간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통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처리부에 의한 에어리어 분할 처리의 결과를 기억하는 분할정보 기억부와,
    상기 분할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에어리어 분할 상태를 판단하는 분할상태 판단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통계량 산출부는, 상기 포인트정보 기억부의 갱신이 있는 경우에, 이 갱신 후의 상기 순회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각 상기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을 산출하며,
    상기 분할상태 판단부는, 갱신 후의 각 상기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에 따라, 에어리어 분할 상태의 유지 또는 재에어리어 분할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미 에어리어 분할 처리가 행해진 후, 재에어리어 분할 처리를 행할 경우에,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된 상기 순회 포인트의 이 에어리어로의 귀속 상태 유지의 지정을 접수하는 지정 접수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분할 처리부는, 상기 귀속 상태의 유지가 지정된 순회 포인트가 대응하는 에어리어에 귀속하도록 상기 다수의 순회 포인트를 상기 에어리어 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순회 포인트가 어느 한 에어리어에 귀속된 후에, 상기 순회 포인트를 다른 에어리어에 귀속시키는 변경 지시를 접수하고, 이 변경 지시에 의해 순회 포인트를 다른 에어리어에 귀속시켰을 때의 각 상기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통계량에 따라, 이 변경 지시를 허가 또는 불허가로 하는 조정 접수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지역이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된 상태를 다른 단말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처리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지역을 다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기 위한 지시를 접수하는 통신 처리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다수의 처리 대상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처리 대상 포인트 중에서 소정의 조건에 일치하는 처리 대상 포인트를 상기 순회 포인트로서 선출하는 순회 포인트 선출부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분할 처리부는, 상기 순회 포인트 선출부에 의해 선출된 순회 포인트를 대상으로 하여 각 상기 에어리어 중 어느 한 곳에 귀속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건입력 접수부와,
    각 상기 처리 대상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처리대상 포인트 정보기억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순회 포인트 선출부는, 처리대상 포인트 정보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순회 포인트를 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KR1020057007097A 2002-10-25 2003-09-29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KR100742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1292 2002-10-25
JPJP-P-2002-00311292 2002-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038A true KR20050055038A (ko) 2005-06-10
KR100742683B1 KR100742683B1 (ko) 2007-07-25

Family

ID=3217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097A KR100742683B1 (ko) 2002-10-25 2003-09-29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364801B2 (ko)
KR (1) KR100742683B1 (ko)
CN (1) CN1688995A (ko)
AU (1) AU2003266687A1 (ko)
WO (1) WO2004038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036B2 (ja) * 2006-03-22 2012-06-20 富士通株式会社 期間分割統計プログラム
JP5220304B2 (ja) * 2006-11-27 2013-06-26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水利勢力図作成装置
JP4685049B2 (ja) * 2007-03-12 2011-05-18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19109B2 (ja) * 2008-09-26 2013-0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巡回スケジュール生成装置、巡回スケジュール生成方法、及び、巡回スケジュール生成プログラム
JP5155081B2 (ja) * 2008-09-29 2013-02-2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巡回ポイント分類システムおよび巡回ポイント分類方法
JP7002681B2 (ja) * 2021-01-05 2022-01-20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論理セグメント化データ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330B2 (ja) * 1994-10-14 1998-08-06 正 山本 自動配車装置
JPH096755A (ja) * 1995-06-15 1997-01-10 Hajime Matsuoka 座標データの分布に応じて多次元空間を分割する方法
JP3161529B2 (ja) * 1998-05-15 2001-04-25 サントリー株式会社 配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38601A1 (ja) 2006-02-23
KR100742683B1 (ko) 2007-07-25
WO2004038601A1 (ja) 2004-05-06
AU2003266687A1 (en) 2004-05-13
JP4364801B2 (ja) 2009-11-18
CN1688995A (zh)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tsimas et al. Online vehicle routing: The edge of optimization in large-scale applications
Wang et al. An improved ant colony optimization algorithm to the periodic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and service choice
Folkestad et al. Optimal charging and repositioning of electric vehicles in a free-floating carsharing system
Poot et al. A savings based method for real-life vehicle routing problems
Heyken Soares et al. Public transport network optimisation in PTV Visum using selection hyper-heuristics
Beirigo et al. A business class for autonomous mobility-on-demand: Modeling service quality contracts in dynamic ridesharing systems
Fontana et al. Using the efficient frontier to obtain the best solution for the storage location assignment problem
Rashidi Komijan et al. A new school bus routing problem considering gender separation, special students and mix loading: a genetic algorithm approach
Gu et al. A sequential approach for a multi-commodity two-echelon distribution problem
KR100742683B1 (ko) 에어리어 분할 시스템
Ibarra-Rojas et al. Vehicle routing problem considering equity of demand satisfaction
Lan et al. Two-echelon dispatching problem with mobile satellites in city logistics
Keskinturk et al. A genetic algorithm metaheuristic for bakery distribution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load balancing
Janinhoff et al. Multitrip vehicle routing with delivery options: A data-driven application to the parcel industry
KR100691642B1 (ko) 에어리어 분할시스템
Kabadurmus et al. A green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multi-depot, multi-tour, heterogeneous fleet and split deliveries: a mathematical model and heuristic approach
Haider et al. Optimizing the relocation operations of free-floating electric vehicle sharing systems
JP4610161B2 (ja) コース作成システムおよびコース作成方法
Moradi et al. Last mile delivery routing problem using autonomous electric vehicles
Liang et al. Dynamic rebalancing optimization for bike-sharing systems: A modeling framework and empirical comparison
Vermeir et al. The grid based approach, a fast local evaluation technique for line planning
Lois On the online dial-ride-problem
JP4451622B2 (ja) 業務支援システム
Fabri et al. The in‐house logistics routing problem
JP2004110341A (ja) エリア分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