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837A -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837A
KR20050053837A KR1020030087058A KR20030087058A KR20050053837A KR 20050053837 A KR20050053837 A KR 20050053837A KR 1020030087058 A KR1020030087058 A KR 1020030087058A KR 20030087058 A KR20030087058 A KR 20030087058A KR 20050053837 A KR20050053837 A KR 2005005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harvesting
soybean
uni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631B1 (ko
Inventor
고경민
Original Assignee
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민 filed Critical 고경민
Priority to KR102003008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6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4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Abstract

본 발명은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콩작물만을 전용으로 하여 예취, 이송 그리고 탈곡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 가능토록 함에 따라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기존의 콩수확 작업을 기계화를 통해 신속히 자동으로 실시함은 물론, 기존의 대형 콤바인 대비,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부족한 노동 인력 또는 생산비용이 절감됨에 따라 실질적인 원가부담을 줄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콩대를 세우고 수집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대가 배열되어 있는 회전형태의 릴과, 상기 릴에 의해 세워진 콩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에 의해 베어진 콩대를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를 통하여 베어진 콩대를 가이드하여 탈곡부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 형태의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베어진 콩대가 콩알과 줄기로 선별되도록 탈곡핀이 형성된 다수개의 탈곡드럼 및 탈곡된 콩알을 낙하 분리시키기 위한 탈곡망으로 이루어진 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Apparatus for harvesting pulse}
본 발명은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콩작물만을 전용으로 하여 예취, 이송 그리고 탈곡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 가능토록 함에 따라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기존의 콩수확 작업을 기계화를 통해 신속히 자동으로 실시함은 물론, 기존의 대형 콤바인 대비,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콩 수확에 따르는 노동 인력 및 실질적인 원가부담을 줄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을 여러번에 걸쳐 탈곡하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콩의 손실을 방지하여 콩수확의 양을 증대시켜 농가소득에 일조할 수 있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재배 농가의 대부분은 콩 수확 작업을 할때, 수작업으로 직접 콩대를 뽑거나 낫과 같은 수동식 예취기를 이용하여 작물을 벤 후, 이들을 탈곡기가 설치되어져 있는 다른 장소로 옮겨서 탈곡기를 이용하여 탈곡작업를 실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 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종래의 방법은 수확 및 탈곡 작업에 대부분의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짐으로 인하여 수확 능률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산성 저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기계적인 탈곡을 위한 다목적 콤바인(범용 콤바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목적 콤바인은 다목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콩 수확시 흙이나 잡초가 투입이 되었을 때, 콩에 흙이 묻거나 잡초나 이물질이 섞여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잡초가 투입될 경우에는 잡초가 탈곡부에서 으깨어지면서 잡초에서 나오는 잡초즙으로 인하여 콩에 녹색물이 염색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콩 수확 작업시 잡초 제거를 위하여 콩작물에 제초제를 살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농약이 잔류하고 있을 우려가 있으며, 그 콩작물에 흙이 섞였을 경우에는 콩이 검게 변하게 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목적 콤바인은 대형이고, 예취부가 넓어 지형이 고르지 못한 곳은 사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콩 수확 작업을 수작업하게 되므로, 이중으로 노동 인력 및 생산비용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콩작물만을 전용으로 하여 예취, 이송 그리고 탈곡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 가능토록 함에 따라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기존의 콩수확 작업을 기계화를 통해 신속히 자동으로 실시함은 물론, 기존의 대형 콤바인 대비,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부족한 노동 인력 또는 생산비용이 절감됨에 따라 실질적인 원가부담을 줄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는, 콩대를 세우고 수집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대(11a)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회전형태의 릴(reel)(11)과, 상기 릴(11)에 의해 세워진 콩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12)과, 상기 절단날(12)에 의해 베어진 콩대를 이송부(20)쪽으로 수집하여 컨베이어장치(21)에 넣어주는 나선 형태의 가이드부(13a)를 갖는 원통형의 이송스크류(13)로 이루어진 예취부(10)와;
상기 예취부(10)를 통하여 베어진 콩대를 가이드하여 탈곡부(3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21) 형태의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베어진 콩대가 콩알 및 껍질과 줄기로 선별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탈곡드럼부(31) 및 탈곡된 콩알을 낙하 분리시키기 위한 탈곡망(35)으로 이루어진 탈곡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예취부(10)는 호퍼(14)가 구비되되, 상기 호퍼(14)의 수평판(14a)은 지면과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취부(1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64)의 동력을 각각의 회동체에 전달하는 구동부(50)를 형성하되, 상기 구동부(50)는 구동모터(64)의 동력을 전달하는 주축기어(51)와, 상기 주축기어(51)와 체인(55)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크류기어(52)와, 상기 주축기어(51)에 벨트(56)로 연결되어 릴기어(5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간풀리 및 기어(53)와, 상기 중간풀리 및 기어(53)와 체인(55)을 통해 연결된 릴(11)의 회전축(11b)의 측면에 고정된 릴기어(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날(12)은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콩대의 밑단을 절단하되, 상기 구동부(50)에 형성된 주축기어(51)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기어(5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작동로드(60)의 작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운동하는 회전부(61)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취부(10)의 저부에는 그 예취부(10)의 상하작동을 유압을 통해 구현하는 예취부상승실린더(6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20)에는 이송체인부(23) 등의 정비 및 직접 콩대를 투입시켜 탈곡이 용이하도록 개폐도어(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곡드럼부(31)는 공급되는 콩대를 콩과 줄기로 분리시키는 동시에 콩을 껍질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탈곡핀(32a,33a)이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주탈곡드럼(32,33)과, 상기 주탈곡드럼(32,33)에서도 탈곡되지 않은 콩대가 완전하게 탈곡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날개부(34a)가 형성된 보조탈곡드럼(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탈곡드럼(34)의 하단에는, 일정한 길이 및 간격으로 배열되어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스틸핀으로 이루어진 회동 작동부(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의 예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의 예취부 및 이송부의 동력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는 콩대를 세우고 수집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대(11a)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회전형태의 릴(reel)(11)과, 상기 릴(11)에 의해 세워진 콩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12)과, 상기 절단날(12)에 의해 베어진 콩대를 이송부(20)쪽으로 수집하여 컨베이어장치(21)에 넣어주는 나선 형태의 가이드부(13a)를 갖는 원통형의 이송스크류(13)로 이루어진 예취부(10)와; 상기 예취부(10)를 통하여 베어진 콩대를 가이드하여 탈곡기능을 갖는 탈곡부(3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21) 형태의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베어진 콩대가 콩알 및 껍질과 줄기로 선별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탈곡드럼부(31) 및 탈곡된 콩알을 낙하 분리시키기 위한 탈곡망(35)으로 이루어진 탈곡부(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예취부(10)에서, 릴(11)은 콩대를 세워서 수집할 수 있도록 회전축(11b)을 중심으로 안쪽방향으로 회전하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이루어진 수직대(11a)의 배열이 상기 회전축(11b)을 중심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상하좌우에 걸쳐 형성되어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릴(11)의 폭은 우리나라 밭 실정에 맞도록 1.6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날(12)은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고, 릴(11)에 의해 세워진 콩대를 베어내기 위해 이용되는 바, 절단날(12) 및 톱니형상의 절단날 가이드(12a)의 적용으로 인하여 콩대를 예취시 콩대가 절단되지 않고 뽑히는 현상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날(12)은, 후술하는 구동부(50)에 형성된 주축기어(51)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기어(5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작동로드(60)의 작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운동하는 회전부(61)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6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단날 가이드(12a)가 절단날(12)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콩대의 밑단을 절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날(12)에 의해 콩대가 절단될시 콩대에 묻어있는 흙이 이송스크류(13)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예취부(10)에 구비된 호퍼(14)의 수평판(14a)을 지면과 일정간격만큼 이격시켜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부(10) 및 이송부(20)의 동력관계를 살펴보면, 구동모터(64)는 상기 이송부(20)의 왕복 궤도 운동이 가능하도록 체인(25)을 통해 연결된 일측의 풀리(26a,26b)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벨트(27)를 통해 회전하는 반대측 풀리(28a,28b)는 체인을 매개로 한 동일 수평축(29,65)을 따라 예취부(10)에 형성된 각각의 회동체 즉, 릴(11)의 회전축(11b), 이송스크류(13)의 회전축(13b) 등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50)를 구동시키게 되는 바,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구동모터(64)의 동력을 전달하는 주축기어(51)와, 상기 주축기어(51)와 체인(55)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크류기어(52)와, 상기 주축기어(51)에 벨트(56)로 연결되어 릴기어(5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간풀리 및 기어(53)와, 상기 중간풀리 및 기어(53)와 체인(55)을 통해 연결된, 릴(11)의 회전축(11b)의 측면에 고정된 릴기어(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주축기어(51)에서 중간풀리 및 기어(53)로의 동력전달수단을 체인(55)이 아닌 벨트(56)로 구성한 것은 릴(11)이 돌멩이와 같은 장애물에 의해 걸려서 회전하지 못할 경우, 상기 벨트(56)가 슬립(slip)현상을 일으켜 릴(11)이 파손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예취부(10)를 일정한 폭만큼 상승시켜 그 예취부(10)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예취부(10)의 저부에는 그 예취부(10)의 상하작동을 유압을 통해 구현하는 예취부상승실린더(62)가 설치되어 있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신축 조작하게 될 경우, 상기 예취부(10)를 상하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콩수확 작업 외에 재배지역 또는 도로 등에서 수확장치를 운행할 경우에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64)에 의해 왕복 궤도 운동을 하는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예취부(10)의 이송스크류(13)에 의해 유입된 콩대를 일정한 속도로 후술하는 탈곡부(3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21)로써, 덕트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이송체인부(23)를 통해 구동되는 브라켓 형상의 이송브라켓(22)에 의해 콩대가 탈곡부(30)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20)의 윗쪽으로 개폐도어(24)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개폐도어(24)의 역할은 상기 이송체인부(23) 등의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으로 베어낸 콩대를 탈곡시킬 경우, 이 개폐도어(24)를 열고 콩대를 투입시켜 탈곡부(30)를 통해 탈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예취부(10)를 통해 베어진 콩대가 이송부(20)를 통해 탈곡부(30) 내로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어 탈곡처리 되는데, 여기서 상기 탈곡부(30)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탈곡부(3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구비되는 하우징 내에 통상의 엔진구동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좌우측에 구동풀리(37a~37d)를 가지는 탈곡드럼부(31)가 커버(38)로 마감되어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탈곡드럼부(31)는 2개의 주탈곡드럼(32,33)과 1개의 보조탈곡드럼(34)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주탈곡드럼(32,33)에는 공급되는 콩대를 콩과 줄기로 분리시키는 동시에 콩을 껍질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탈곡핀(32a,33a)이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상기 주탈곡드럼(32,33)이 한쌍으로 배치됨으로써, 2차에 걸쳐 탈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보다 더 깨끗한 탈곡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탈곡드럼(34)은 상기 주탈곡드럼(32,33)에서도 탈곡되지 않은 콩대가 완전하게 탈곡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날개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탈곡드럼(34)의 하단에는, 일정한 길이 및 간격으로 배열되어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스틸핀으로 이루어진 회동 작동부(36)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보조탈곡드럼(34)의 날개부(34a)와 회동 작동부(36)의 스틸핀이 부딪히면서 완전한 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탈곡드럼부(31)의 저부에는 탈곡된 순수콩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35a)이 형성된 활(弓)형상의 탈곡망(3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탈곡된 순수콩이 수집되어 승강장치(41)에 의해 곡물탱크(40)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탈곡되고 남은 줄기 및 껍질은 후방의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면부호 63은 무게가 가벼운 콩껍질 및 먼지 등이 흡입력에 의해 배출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기를 나타낸다.
이하,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확될 콩밭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 이루어진 수확장치를 작업자가 운전할 경우, 예취부(10)에서 회전축(11b)을 중심으로 수확장치의 선단에 장착된 릴(11)이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다수개의 수직대(11a)에 의해 콩대가 수집되어 세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워진 콩대는 절단날(12)에 의해 베어지게 되고, 베어진 콩대는 이송스크류(13)를 통해 이송부(2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20)로 이송된 콩대는 왕복으로 순환 작동하는 이송부(20)의 이송브라켓(22)을 따라 탈곡부(30)로 이송된다.
상기 탈곡부(30)로 이송된 콩대는 주탈곡드럼(32,33)의 외면에 고정된 탈곡핀(32a,33a)에 의하여 콩이 탈곡되고, 이 과정에서 껍질과 줄기는 작게 부서지거나 절단되어 후방의 보조탈곡드럼(34)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주탈곡드럼(32,33)에서 탈곡된 콩은 탈곡드럼부(31)의 하방에 구비되는 탈곡망(35)의 배출공(35a)을 통하여 낙하하고, 승강장치(41)를 통하여 곡물탱크(40)로 옮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3부분으로 이루어진 탈곡과정을 거치면서 콩알과, 줄기, 그리고 껍질이 분리되는 바, 상기 줄기는 계속적으로 탈곡드럼부(31)를 따라 이동되어 배출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는, 콩작물 재배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경우, 노동 인력 및 생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 기존의 벼, 보리등의 자탈형 콤바인을 개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폐 콤바인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에 의하면,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기존의 콩수확 작업을 기계화를 통해 신속히 자동으로 실시함은 물론, 기존의 대형 콤바인 대비,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노동 인력 및 콩 수확에 따르는 원가부담을 줄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콩작물을 여러번에 걸쳐 탈곡하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콩의 손실을 방지하여 농가소득에 일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의 예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의 예취부 및 이송부의 동력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예취부 11 : 릴
11a : 수직대 11b : 회전축
12 : 절단날 12a : 절단날 가이드
13 : 이송스크류 13a : 가이드부
13b : 회전축 14 : 호퍼
14a : 수평판 20 : 이송부
21 : 컨베이어장치 22 : 이송브라켓
23 : 이송체인부 24 : 개폐도어
25 : 체인 26a,26b : 풀리
27 : 벨트 28a,28b : 풀리
29 : 수평축 30 : 탈곡부
31 : 탈곡드럼부 32,33 : 주탈곡드럼
32a,33a : 탈곡핀 34 : 보조탈곡드럼
34a : 날개부 35 : 탈곡망
35a : 배출공 36 : 회동작동부
37a~37d : 구동풀리 38 : 커버
40 : 곡물탱크 41 : 승강장치
42 : 배출구 50 : 구동부
51 : 주축기어 52 : 스크류기어
53 : 중간풀리 및 기어 54 : 릴기어
55 : 체인 56 : 벨트
60 : 작동로드 61 : 회전부
62 : 예취부상승실린더 63 : 송풍기
64 : 구동모터 65 : 수평축

Claims (8)

  1. 콩대를 세우고 수집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대(11a)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회전형태의 릴(reel)(11)과, 상기 릴(11)에 의해 세워진 콩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12)과, 상기 절단날(12)에 의해 베어진 콩대를 이송부(20)쪽으로 수집하여 컨베이어장치(21)에 넣어주는 나선 형태의 가이드부(13a)를 갖는 원통형의 이송스크류(13)로 이루어진 예취부(10)와;
    상기 예취부(10)를 통하여 베어진 콩대를 가이드하여 탈곡부(3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21) 형태의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베어진 콩대가 콩알 및 껍질과 줄기로 선별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탈곡드럼부(31) 및 탈곡된 콩알을 낙하 분리시키기 위한 탈곡망(35)으로 이루어진 탈곡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10)는 호퍼(14)가 구비되되, 상기 호퍼(14)의 수평판(14a)은 지면과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1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64)의 동력을 각각의 회동체에 전달하는 구동부(50)를 형성하되, 상기 구동부(50)는 구동모터(64)의 동력을 전달하는 주축기어(51)와, 상기 주축기어(51)와 체인(55)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크류기어(52)와, 상기 주축기어(51)에 벨트(56)로 연결되어 릴기어(5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간풀리 및 기어(53)와, 상기 중간풀리 및 기어(53)와 체인(55)을 통해 연결된 릴(11)의 회전축(11b)의 측면에 고정된 릴기어(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12)은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콩대의 밑단을 절단하되, 상기 구동부(50)에 형성된 주축기어(51)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기어(5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작동로드(60)의 작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운동하는 회전부(61)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10)의 저부에는 그 예취부(10)의 상하작동을 유압을 통해 구현하는 예취부상승실린더(6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에는 이송체인부(23) 등의 정비 및 직접 콩대를 투입시켜 탈곡이 용이하도록 개폐도어(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곡드럼부(31)는 공급되는 콩대를 콩과 줄기로 분리시키는 동시에 콩을 껍질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탈곡핀(32a,33a)이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주탈곡드럼(32,33)과, 상기 주탈곡드럼(32,33)에서도 탈곡되지 않은 콩대가 완전하게 탈곡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날개부(34a)가 형성된 보조탈곡드럼(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탈곡드럼(34)의 하단에는, 일정한 길이 및 간격으로 배열되어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스틸핀으로 이루어진 회동 작동부(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KR1020030087058A 2003-12-03 2003-12-03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KR10055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058A KR100555631B1 (ko) 2003-12-03 2003-12-03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058A KR100555631B1 (ko) 2003-12-03 2003-12-03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37A true KR20050053837A (ko) 2005-06-10
KR100555631B1 KR100555631B1 (ko) 2006-03-03

Family

ID=3724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058A KR100555631B1 (ko) 2003-12-03 2003-12-03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6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85B1 (ko) * 2010-11-02 2012-06-18 윤병운 제초기
KR101421968B1 (ko) * 2013-12-12 2014-07-23 김영석 굴취작물의 공급과 수집 중 후퇴를 방지하는 땅속작물의 수집장치
CN110612818A (zh) * 2019-08-21 2019-12-27 王广昌 一种向日葵自走联合脱粒机及其脱粒方法
CN114698452A (zh) * 2022-03-29 2022-07-05 杨凌聚力生物科技有限公司 自走式油莎豆收获机
CN114766195A (zh) * 2022-05-11 2022-07-22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半自动水稻小麦辅助收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120B1 (ko) 2012-06-04 2014-04-17 (주)에이스테크 콩 탈곡기
KR101817662B1 (ko) * 2015-07-29 2018-01-12 이동철 콩 수확장치
KR102018574B1 (ko) 2017-11-20 2019-09-09 함영철 원형칼날이 부착된 농업용 콤바인의 픽업장치
KR102130983B1 (ko) 2018-01-03 2020-07-08 정성원 개량된 콩대 이송 및 공급구조를 갖는 자주식 콩 탈곡기
KR102132017B1 (ko) 2018-01-03 2020-07-08 정성원 재회수 기능을 갖는 자주식 콩 수확장치
KR102224192B1 (ko) 2020-10-13 2021-03-10 오페주식회사 이중 예취 칼날 장치
KR102286585B1 (ko) * 2021-04-27 2021-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마늘용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85B1 (ko) * 2010-11-02 2012-06-18 윤병운 제초기
KR101421968B1 (ko) * 2013-12-12 2014-07-23 김영석 굴취작물의 공급과 수집 중 후퇴를 방지하는 땅속작물의 수집장치
CN110612818A (zh) * 2019-08-21 2019-12-27 王广昌 一种向日葵自走联合脱粒机及其脱粒方法
CN114698452A (zh) * 2022-03-29 2022-07-05 杨凌聚力生物科技有限公司 自走式油莎豆收获机
CN114698452B (zh) * 2022-03-29 2024-01-26 杨凌聚力生物科技有限公司 自走式油莎豆收获机
CN114766195A (zh) * 2022-05-11 2022-07-22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半自动水稻小麦辅助收割装置
CN114766195B (zh) * 2022-05-11 2024-01-09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半自动水稻小麦辅助收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631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0236B1 (en) Harvester for selectively cutting portions of crop materials
US4924662A (en) Cane harvester cleaning system
CN107114051A (zh) 自走式花生收获机
KR100555631B1 (ko)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US2836023A (en) Forage harvester cutting mechanism
KR20200079615A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KR101817662B1 (ko) 콩 수확장치
CN204697541U (zh) 秸秆捡拾草土分离机、捡拾分离压捆设备及捡拾分离收割设备
CN201630001U (zh) 多功能自走式大豆联合收获机
RU2450503C2 (ru) Косилк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трав
CN105981532A (zh) 秸秆捡拾草土分离机、捡拾分离压捆设备及捡拾分离收割设备
WO2006025818A1 (en) Harvesting device
CN201294762Y (zh) 一种玉米收获机收获台
CN1675980A (zh) 自走式穗茎兼收玉米收获机
CN211152825U (zh) 一种小型全喂入花生摘果机
CN204810993U (zh) 一种小区小麦育种联合收获机
KR20100018947A (ko) 콩 수확용 보통형 콤바인 탈곡드럼
CN108076787A (zh) 一种小型水稻联合收割机
Singh et al. Mechanization of sugarcane harvesting in India.
KR102347946B1 (ko) 깨나 콩의 탈곡장치
CN206353977U (zh) 油莎豆收割机
CN110771341A (zh) 毛苕子联合收获机
CN211020093U (zh) 一种农业机械用打谷机
CN213603263U (zh) 一种黄豆机械化收割装置
CN214757904U (zh) 油莎豆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