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139A -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139A
KR20050053139A KR1020030086752A KR20030086752A KR20050053139A KR 20050053139 A KR20050053139 A KR 20050053139A KR 1020030086752 A KR1020030086752 A KR 1020030086752A KR 20030086752 A KR20030086752 A KR 20030086752A KR 20050053139 A KR20050053139 A KR 20050053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dip
frequency
filter
sound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호영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3139A/ko
Priority to US10/997,966 priority patent/US20050119879A1/en
Publication of KR2005005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1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1/0232Processing in the frequency domain

Abstract

주파수 특성에서 피크(Peak) 및 딥(Dip) 주파수 검출을 이용한 음장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측정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서로 다른 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하여 그 차 이 스펙트럼을 추출하고, 그 차이 스펙트럼 레벨에서 심리 음향 모델에 근거한 임계치를 벗어난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를 바탕으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할 필터 계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sound field using peak and dip frequency}
본 발명은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파수 특성에서 피크(Peak) 및 딥(Dip) 주파수 검출을 이용한 음장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디오 시스템에서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는 경우 보정 필터의 범위는 대체로 전체 가청 영역을 잡는다. 그러나 한정된 자원으로 가청 영역을 나누어 쓰는 경우 왜곡이 심한 부분의 보정 성능을 떨어뜨리고 상대적으로 왜곡이 덜한 부분을 보정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의 음장 보정 방법은 " 한국 특허 출원 번호 10-19990050101, 자동 라우드 스피커 이퀄라이져"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도 1의 음장 보정 장치는 스피커(150)의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110), 스피커(150)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음향 필드 측정 장치(120)와 스피커 응답 특성을 보정해 주는 자동 라우드스피커 이퀄라이저(140)와 오디오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스피커로 전달하는 필터링 장치(1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자동 라우드스피커 이퀄라이저(140)의 자동 라우드스피커 이퀄라이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이퀄라이저(140)는 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타겟 커브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 타겟 커브는 일정 범위를 허용하는 주파수 응답 특성 곡선의 레벨로서 전체적으로 평탄한 모양이다. 이퀄라이저(140)는 측정한 스피커 응답 특성 곡선과 타겟 커브를 비교하여 타겟 커브의 상한 레벨 이상의 값을 갖는 피크를 검출해낸다. 검출한 피크들 중 가장 레벨이 높은 피크에 대하여 Q, 중심 주파수(fc) 등을 측정하여 이를 보정하는 한 개의 필터를 만든다. 이 필터가 완성되면 남아 있는 피크 중에서 다시 가장 큰 것을 찾아 보정 필터를 만든다. 이렇게 해서 필터의 허용 개수가 다 차게 되면 여러 개의 다중 필터를 필터링 장치(130)에 구현하여 최적화된 보정 필터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50)에 내보낸다.
그러나 도 1을 보면, 피크의 검출 방법이 일정 레벨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고정되어 있고, 피크가 여러 개 검출된 경우 가장 큰 값을 갖는 피크에 대하여 차례로 적용하도록 되어 있지만 심리 음향 모델에 따르면 피크가 있는 경우 사람이 그것을 인지하는 정도는 주파수와 Q값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실제로는 사람이 감지하지 못하는 피크를 보정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기술은 딥과 같이 레벨이 떨어지는 경우에 대한 보정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 한 개의 필터를 최적화하는 방법이 대역폭을 변경해 가며 로그와 적분을 수행하는 등 매우 복잡하며 이 과정을 필터의 개수만큼 되풀이해야 하므로 제한된 시스템 자원에서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장 보정 필터를 이용하여 음향기기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는데 있어서 사람의 귀에 거슬리는 피크(peak)와 딥(Dip) 특성을 선택적으로 제거 및 평탄화시켜 보다 양질의 음장을 제공해주는 음장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음장 보정 방법을 이용하여 피크(peak)와 딥(Dip) 특성을 선택적으로 제거 및 평탄화시키는 음장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서로 다른 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하여 그 차 이 스펙트럼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차이 스펙트럼 레벨에서 심리 음향 모델에 근거한 임계치를 벗어난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를 바탕으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할 필터 계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를 바탕으로 계산된 필터 계수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이퀄라이져 필터부;
입력되는 오디오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사운드 필드 측정부;
상기 사운드 필드 측정부에서 측정된 오디오 주파수 응답 특성을 심리 음향 모델을 근거한 임계치를 벗어난 피크 및 딥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이퀄라이져 필터부에 적용할 피크 및 딥 주파수에 대한 특성 파라메터를 추출하는 피크/딥계수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장 보정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정 신호로는 MLS 혹은 광대역 랜덤 노이즈나 테스트 톤(Test Tone)을 이용한다. 마이크로폰(240)은 앰프(220)를 통해 출력되는 스피커(230)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사운드 필드 측정부(250)는 MLS 혹은 광대역 랜덤 노이즈나 테스트 톤(Test Tone)으로부터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한다. 여기서 사운드 필드 측정부(250)는 MLS 혹은 광대역 노이즈를 이용하는 경우 임펄스 응답을 얻게 되는 데 이 경우 FFT 연산에 의해 주파수 응답 특성을 얻으며, 테스트 톤을 이용하는 경우 주파수 응답을 바로 얻는다.
이퀄라이져 필터부(210)는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파라메터를 바탕으로 계산된 필터 계수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한다.
필터 계수 추출부(260)은 사운드 필드 측정부(250)에서 측정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심리 음향 모델을 근거한 임계치를 벗어난 피크 및 딥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고, 이퀄라이져 필터부(210)에 적용할 피크 및 딥 주파수에 대한 특성 파라메터를 추출한다.
도 3은 도 2의 필터 계수 추출부(260)의 상세도이다.
제1옥타브 밴드 필터(310)는 주파수 응답 특성을 옥타브 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한다.
제2옥타브 밴드 필터(320)는 주파수 응답 특성을 1/8혹은 1/16 의 좁은(narrow)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한다.
가감기(330)는 제1옥타브 필터(310)에서 필터링된 주파수 스펙트럼 곡선에서 제2옥타브 밴드 필터(320)에서 필터링된 주파수 스펙트럼 곡선을 가감한다.
피크/딥 검출기(340)는 감산부(330)에서 가감기(330)에서 가감된 차이 주파수 스펙트럼 곡선에서 심리 음향 모델에 근거한 임계치 이상의 피크 및 딥 성분에 대한 파라메터를 검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운드 필드 측정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광대역 랜덤 노이즈나 테스트 톤에 대한 주파수 응답을 측정한다(410 과정).
이어서, 주파수 응답 특성 곡선에 대해 다른 밴드 스케일로 수무딩(Smoothing)과정을 수행한다(420 과정). 이 스무딩 과정은 주파수 응답 특성 곡선상의 파동(Fluctuation)을 제거하여 피크(Peak) 및 딥(Dip)으로 검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피크/딥을 판별하는 기준이 되는 커브로는 옥타브(Octave) 밴드로 스무딩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옥타브 밴드로 스무딩한 데이터는 피크와 딥이 거의 제거된 주파수 응답 특성의 평균적인 추세만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1/8혹은 1/16 의 좁은(narrow)밴드 스케일로 스무딩한 데이터에서 옥타브 밴드 스케일로 스무딩한 데이터를 뺀 차이 곡선(Difference Spectrum)을 추출한다(430 과정).
이어서, 차이 곡선(Difference Spectrum)에서 절대 값이 임계치에 벗어난 피크 및 딥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한다(440 과정). 즉, 차이 곡선에서 절대값이 2dB가 넘는 피크와 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크기가 2dB 이하인 피크 및 딥은 사람이 감지할 수 없는 범위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차이 곡선(Difference Spectrum)에서 절대 값이 임계치에 벗어난 피크 및 딥 성분이 존재하면 그 Q 값, 레벨 중심 주파수(fc)를 검출한다(440 과정).
이때 톨레(Toole)와 올리부(Olive)의 음향 심리 모델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이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피크와 딥은 주파수와 Q값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 사람이 인지하는 피크와 딥 성분의 최소 레벨인 임계 레벨은 주파수와 Q 값에 따라 다른 함수로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도 5의 결과를 이용하여 피크 및 딥에 대한 가청 임계 레벨을 정할 수 있다. Q값은 수학 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fc 는 각 피크/딥이 발생하는 부분의 중심 주파수이고, fu 는 상위 -3dB 차단(cutoff) 주파수이고, fl 은 하위 -3dB 차단(cutoff) 주파수이다.
이어서, 검출한 피크/딥 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가청 피크/딥으로 간주하고(460 과정) 검출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이 지점의 중심주파수 (fc)와, Q값을 저장해 둔다. 이때 임계치와의 비교, Q 값의 계산은 모두 차이 스펙트럼(Difference Spectrum)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다만 보정해야할 레벨인 필터의 이득은 옥타브 스무딩의 평균 레벨과 1/8 옥타브 스무딩에서 나타난 피크/딥 레벨의 차이로 정한다.
최종적으로 저장된 중심주파수 (fc)와, Q값을 바탕으로 필터 계수를 설정하여 이퀄라이져 필터를 설계한다(470 과정). 이때 보정 필터는 IIR의 파라메트릭 EQ를 사용하거나 Q값과, 이득, 중심주파수를 입력 상수로 하는 다른 어떠한 종류의 필터가 될 수 있다. 이 보정 필터는 fc를 중심 주파수로 하고 대역폭 bw = fc/Q 이며 주어진 이득을 갖는 이퀄라이저 필터로 설계한다. 이 필터들은 한 개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일 수도 있다. 각각의 필터는 각각의 피크/딥을 보정해 주게 된다. 이 필터를 통과한 신호는 시스템 특성에 의한 피크와 딥중 청감상 음질을 저하시키는 피크와 딥을 선택적으로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장 보정 필터에 있어서 이퀄라이져의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을 가변으로 할 수 있고, 특히 음질을 저하시키는 피크나 딥 성분을 검출한 후 이 부분에 대한 보정을 선택적으로 하게 함으로써 음장 보정 효과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장 보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장 보정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터 계수 추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음향 심리 모델을 이용하여 가청 피크/딥의 주파수와 Q값에 따른 임계치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Claims (5)

  1.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서로 다른 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하여 그 차 이 스펙트럼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차이 스펙트럼 레벨에서 심리 음향 모델에 근거한 임계치를 벗어난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를 바탕으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할 필터 계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음장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 스펙트럼 추출 과정은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을 제1옥타브 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한 스펙트럼에서 기준이 되는 제2옥타브 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한 스펙트럼을 뺀 차이 스펙트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는 Q 값, 레벨, 중심 주파수이며, 여기서 Q는 중심 주파수/(상위 차단 주파수- 하위 차단 주파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보정 방법.
  4. 피크 및 딥 주파수의 특성 파라메터를 바탕으로 계산된 필터 계수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이퀄라이져 필터부;
    입력되는 오디오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사운드 필드 측정부;
    상기 사운드 필드 측정부에서 측정된 오디오 주파수 응답 특성을 심리 음향 모델을 근거한 임계치를 벗어난 피크 및 딥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이퀄라이져 필터부에 적용할 피크 및 딥 주파수에 대한 특성 파라메터를 추출하는 피크/딥계수 추출부를 포함하는 음장 보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딥 계수 추출부는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을 제1옥타브 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하는 제1옥타브 밴드 필터;
    상기 주파수 응답 특성을 상기 제1옥타브 밴드 필터보다 낮은 제2옥타브 밴드 스케일로 필터링하는 제2옥타브 밴드 필터;
    상기 제1옥타브 필터에서 필터링된 스펙트럼 곡선에서 제2옥타브 밴드 필터에서 필터링된 스펙트럼 곡선을 빼는 가감부;
    상기 감산부에서 가감부에서 가감된 차 스펙트럼 곡선에서 심리 음향 모델에 근거한 임계치 이상의 피크 및 딥 주파수에 대한 특성 파라메터를 검출하는 피크/딥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보정 장치.
KR1020030086752A 2003-12-02 2003-12-02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53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752A KR20050053139A (ko) 2003-12-02 2003-12-02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US10/997,966 US20050119879A1 (en) 2003-12-02 2004-11-29 Method and apparatus to compensate for imperfections in sound field using peak and dip frequenc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752A KR20050053139A (ko) 2003-12-02 2003-12-02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139A true KR20050053139A (ko) 2005-06-08

Family

ID=3461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752A KR20050053139A (ko) 2003-12-02 2003-12-02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19879A1 (ko)
KR (1) KR200500531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2072A (zh) * 2016-03-25 2016-07-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效处理方法、装置及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1564B1 (en) * 2009-01-23 2014-09-10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Passenger compartment communication system
DE102010009104A1 (de) 2010-02-24 2011-08-25 Epcos Ag, 81669 Detektorschaltung
KR20120016709A (ko) * 2010-08-17 2012-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319790B2 (en) 2012-12-26 2016-04-19 Dts Llc Systems and methods of frequency response correction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P3259927A1 (en) * 2015-02-19 2017-12-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Loudspeaker-room equalization with perceptual correction of spectral dips
CN108432270B (zh) * 2015-10-08 2021-03-16 班安欧股份公司 扬声器系统中的主动式房间补偿
CN106292431A (zh) * 2016-08-17 2017-01-04 广州市迪声音响有限公司 一种数字信号处理装置及方法
WO2018209546A1 (zh) * 2017-05-16 2018-11-22 深圳市乃斯网络科技有限公司 终端的语音处理方法及系统
WO2023170283A1 (en) * 2022-03-11 2023-09-14 Nomono As Method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CN115604628B (zh) * 2022-12-12 2023-04-07 杭州兆华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耳机喇叭频响的滤波器校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428B1 (en) * 1998-11-13 2004-04-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 loudspeaker equalizer
EP1251714B2 (en) * 2001-04-12 2015-06-03 Sound Design Technologies Ltd. Digital hearing ai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2072A (zh) * 2016-03-25 2016-07-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效处理方法、装置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19879A1 (en)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3754B2 (en) System for dynamic spectral correction of audio signals to compensate for ambient noise
JP2962732B2 (ja) 補聴器用信号処理システム
US8290190B2 (en) Method for sound processing in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US90257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erceived quality of an audio system
US20110188671A1 (en) Adaptive gain control based on signal-to-noise ratio for noise suppression
US5285165A (en) Noise elimination method
US2005011412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speech intelligibility in quiet or noisy backgrounds
EP3641343B1 (en) Method to enhance audio signal from an audio output device
US7428488B2 (en) Received voice processing apparatus
US78357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able audio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094829B2 (en) Method for processing sound data
WO2011127476A1 (en) Adaptive environmental noise compensation for audio playback
US9877118B2 (en) Method for frequency-dependent noise suppression of an input signal
US7756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spectral bandwidth of an audio signal
JP2008523746A (ja) フィードバックモデル利得を推定する補聴器
KR20050053139A (ko) 피크 및 딥 성분을 이용한 음장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CN106782586B (zh) 一种音频信号处理方法及装置
EP28288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bias corrected speech level determination
US75652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tentially harmful signals in a signal arranged to convey speech
JP2563719B2 (ja) 音声加工装置と補聴器
JP2008522511A (ja) 適応可能な音声処理パラメータ用の方法及び装置
US11445307B2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s a hearing aid with real-time interactive user interface
EP1211671A2 (en) Automatic gain control with noise suppression
EP3704870B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acoustic speech input signal and audio processing device
JPH0956000A (ja) 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