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997A -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997A
KR20050051997A KR1020030085690A KR20030085690A KR20050051997A KR 20050051997 A KR20050051997 A KR 20050051997A KR 1020030085690 A KR1020030085690 A KR 1020030085690A KR 20030085690 A KR20030085690 A KR 20030085690A KR 20050051997 A KR20050051997 A KR 2005005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optical fiber
network device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도현
김성휘
박영일
정인권
임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8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1997A/ko
Publication of KR2005005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6Fixed carrier allocation, e.g. according to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더넷 기반 수동광가입자망(E-PON : Ethernet-passive optical network) 광전송시스템에서, 광망장치(이하, ONU라 함 ; Optical Network Unit)가 광선로종단장치(이하, OLT라 함 ; Optical Line Termination)에게 전송하는 버스트모드 신호의 세기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종단장치와 다수의 광망장치로 구성된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에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광망장치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선로종단장치_수신부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_수신부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신호세기검출기와, 상기 신호세기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세기와 목표세기를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비교신호에 따른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광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광망장치에게 전송하는 광선로종단장치_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망장치는 상기 광선호종단장치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로부터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검출하는 광망장치_수신부와, 상기 광망장치_수신부에서 검출된 신호세기 제어정보에 따라 변조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할 송신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하는 광망장치_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ON system}
본 발명은 이더넷 기반 수동광가입자망(E-PON : Ethernet-passive optical network) 광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망장치(이하, ONU라 함 ; Optical Network Unit)가 광선로종단장치(이하, OLT라 함 ; Optical Line Termination)에게 전송하는 버스트모드 신호의 세기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은 가입자들에게 많은 정보를 보다 빠르게 전송하기 위하여 가정까지 광 선로를 설치하는 광 가입자망(FTTH:Fiber To The Home)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광 가입자망의 가장 큰 문제점은 기존의 동선으로 이루어진 가입자망을 광 가입자망으로 대체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비용의 광 가입자망 구축 대안으로서, 수동광가입자망(PON : Passive Optical Network) 광전송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중앙집중국(Central office)내의 OLT(Optical Line Termination)와, 1xN 수동 광분배기(Optical Splitter)와, 가입자(Subscribers) 내의 ONU(Optical Network Unit)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동광가입자망에서 각 가입자의 ONU는 정해진 시간슬롯(time slot)을 이용하여 다른 가입자에게 데이터나 패킷을 전송하는데, 각기 다른 전송경로에서 생기는 광손실로 인해 OLT에서 수신된 데이터나 패킷의 크기와 위상이 달라지고, 이로 인하여 각각 다른 버스트모드 데이터가 생긴다. 즉, 여러 가입자가 하나의 광선로를 시분할 다중하여 이용하고 각 가입자마다 전송경로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OLT 입장에서 보면 각 가입자는 임의의 시간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각 가입자까지의 경로차에 의해 도착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도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OLT에 수신되는 광신호의 크기가 OLT와 ONU 사이의 전송거리와 전송손실, 레이저다이오드(LD)의 주변온도, 노화 등에 따라 달라지며, 각 채널의 수신레벨의 차이로 인하여 수신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OLT가 각 ONU들의 적정 출력 광신호 세기를 제어하여 OLT 수신기로 수신되는 광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수신레벨이 되도록 함으로써, 수신성능이 향상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는, 광선로종단장치와 다수의 광망장치로 구성된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에서 상기 광망장치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하는 버스트 모드 신호를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원격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광망장치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선로종단장치_수신부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_수신부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신호세기검출기와, 상기 신호세기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세기와 목표세기를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비교신호에 따른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광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광망장치에게 전송하는 광선로종단장치_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망장치는 상기 광선호종단장치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로부터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검출하는 광망장치_수신부와, 상기 광망장치_수신부에서 검출된 신호세기 제어정보에 따라 변조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할 송신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하는 광망장치_송신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방법은, 광선로종단장치와 다수의 광망장치로 구성된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에서 상기 광망장치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하는 버스트 모드 신호를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광망장치에게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광망장치는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등록 요청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광망장치로부터 입력된 등록 요청신호의 신호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요청신호의 신호크기와 목표치와의 차이가 허용한도 이내인 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차이가 허용한도 이내이면, 상기 제 2 단계의 등록 요청을 정상적으로 접수하여 상기 광망장치와 정상적으로 통신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차이가 허용한도 이내가 아니면, 상기 광망장치의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상기 광망장치에게 전송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광망장치는 상기 신호세기 제어정보에 따라 전송 출력을 조정하여 상기 제 2 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6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은 OLT(210)와 ONU(220)로 이루어진다.
OLT(210)는 OLT_WDM커플러(211)와, OLT_포토다이오드(212)와, 신호세기검출기(213)와, 비교기(214)와, OLT_클럭데이터복구기(215)와, OLT_제어부(216)와, OLT_LD드라이버(217)와, OLT_레이저다이오드(218)를 구비한다.
ONU(220)는 ONU_WDM커플러(221)와, ONU_포토다이오드(222)와, ONU_클럭데이터복구기(223)와, ONU_제어부(224)와,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25)와, ONU_LD드라이버(226)와, ONU_레이저다이오드(227)를 구비한다.
OLT(210)의 동작을 설명하면, ONU(220)로부터 수신되는 1310nm 파장의 광신호는 OLT_WDM커플러(211)를 통해 입력되고 OLT_포토다이오드(212)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OLT_포토다이오드(212)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신호세기검출기(213)와 OLT_클럭데이터복구기(215)에 입력된다. 신호세기검출기(213)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비교기(214)에 제공한다. 한편, OLT_클럭데이터복구기(215)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구하여 비교기(214) 및 OLT_제어부(216)에게 제공한다. 비교기(214)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목표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OLT_제어부(216)에게 제공한다. OLT_제어부(216)는 맥(MAC) 제어기능을 담당하는데, 비교기(214)의 비교 결과와 수신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ONU 채널의 신호크기가 원하는 범위에 있는 지를 판단하고, ONU의 신호크기를 조절해야 할 경우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포함한 E-PON 제어프레임을 생성한다. OLT_LD드라이버(217)는 이 E-PON 제어프레임을 모드 변환하고, OLT_레이저다이오드(218)는 1550nm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OLT_WDM커플러(211)를 통해 ONU(220)에게 전송한다.
ONU(220)의 동작을 살펴보면, OLT(210)로부터 입력되는 1550nm 파장의 E-PON 제어프레임은 ONU_WDM커플러(221)를 통해 입력되고 ONU_포토다이오드(222)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ONU_포토다이오드(222)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ONU_클럭데이터복구기(223)에 입력되고, ONU_클럭데이터복구기(223)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구하여 ONU_제어부(224)에게 제공한다. ONU_제어부(224)는 수신데이터로부터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복구하여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25)에게 제공하고, OLT(210)에게 송신 데이터(Tx DATA)와 레이저다이오드 구동제어신호(LD On/Off)를 ONU_LD드라이버(226)에게 제공한다.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25)는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한 후 ONU_LD드라이버(226)에게 제공한다. ONU_LD드라이버(226)는 ONU_제어부(224) 및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25)로부터 입력된 신호세기 제어정보에 따라 OLT(210)에게 송신 데이터(Tx DATA)를 변조하고 ONU_레이저다이오드(227)는 이 송신 데이터(Tx DATA)를 1310 nm의 광신호에 실어서 ONU_WDM커플러(221)를 통해 OLT(210)에게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ONU의 송신부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이다. 제어부(224)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Tx DATA, Tx DATA/)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각각 입력되고, 제1트랜지스터(Q1)와 제2트랜지스터(Q2)의 공통에미터단자는 제1전류원(I1)이 연결된다. 제1트랜지스터(Q1)와 제2트랜지스터(Q2)는 송신 데이터를 차동(differential) 방식으로 변조한다. 제1전류원(I1)에는 제어부(22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세기 제어정보(Power Control)가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25)에서 아날로그값으로 변환된 후 입력되어, 제1전류원(I1)에서 출력되는 변조전류(Modulation Current)(a)를 조절한다.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랙터단자는 전원(Vcc)과 연결되며,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랙터단자는 ONU_레이저다이오드(227)를 통해 전원(Vcc)과 연결된다.
ONU_레이저다이오드(227)에서 방사되는 빛은 모니터포토다이오드(301)에 입사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02)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털 APC(Automatic Power Control)(303)에게 입력된다. 한편, 디지털 APC(303)에는 제어부로부터 레이저다이오드 구동제어신호(LD On/Off)가 입력된다. 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제어신호는 ONU가 OLT에게 전송할 송신 데이터가 있으면 온되고, ONU가 OLT에게 전송할 송신 데이터가 없으면 오프된다. 제어부가 디지털 신호인 레이저다이오드 구동제어신호(LD On/Off)를 이용하여 레이저다이오드를 턴 온/오프하기 때문에 레이저다이오드의 스위칭시간이 짧아진다.
디지털 APC(303)는 구동제어신호가 온되면,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자체 저장된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레이저다이오드가 일정한 세기의 빛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304)에게 전송한다.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랙터단자에는 제2전류원(I2)이 연결되는데,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304)에서 아날로그값으로 변환된 제어신호는 이 제2전류원(I2)에 입력되어, 제2전류원(I2)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류(Bias Current)(b)를 조절한다. 디지털 APC(303)는 레이저다이오드가 오프되기 전의 바이어스 전류값을 내부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다가 레이저다이오드가 온될 때 기억된 바이어스 전류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변조전류(a)는 레이저다이오드(227)의 피크투피크(peak-to-peak)값을 조절하기 위한 전류값으로서, 이 변조전류가 커지면 변조 크기가 커지고 이 변조전류가 작아지면 변조 크기가 작아져서, 레이저다이오드(227)의 신호 진폭이 달라진다. 또한, 바이어스전류(b)는 레이저다이오드(227)의 동작점을 결정하는 전류값으로서, 이 바이어스전류가 커지면 레이저다이오드의 평균 광출력, 즉, DC 크기가 커진다.
즉, 도 3의 ONU 송신부의 상세 회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레이저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빛을 모니터링하여 레이저다이오드의 광출력이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도록 조절하고, OLT로부터 입력된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저다이오드의 변조 크기를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에서, OLT가 정상 동작을 시작하면 각 ONU에게 주기적으로 게이트신호를 출력하여, 새로 접속한 ONU의 등록을 유도한다(S41). ONU는 OLT에게 등록 요청을 하는데(S42), OLT는 ONU에서 전송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수신된 신호의 크기와 목표치와의 차이()가 허용한도 이내인 지를 체크한다(S43).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허용한도 이내이면 OLT는 ONU에게 정상 등록요청 접수결과를 송출하고(S45), OLT와 ONU간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진다(S46).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허용한도를 벗어나면 OLT는 ONU에게 전송출력을 조정할 것을 요청하고(S44), 단계 S42 내지 단계 S43을 반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ONU의 출력 광신호의 세기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OLT의 수신단에서 버스트모드 상향신호에 대해 더 넓은 동적범위를 가질 수 있고, ONU 송신단에서는 레이저다이오드의 턴 온/오프 시간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망장치의 송신부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10; OLT 220; ONU
211; OLT_WDM커플러 212; OLT_포토다이오드
213; 신호세기검출기 214; 비교기
215; OLT_클럭데이터복구기 216; OLT_제어부
217; OLT_레이저다이오드드라이버 218; OLT_레이저다이오드
221; ONU_WDM커플러 222; ONU_포토다이오드
223; ONU_클럭데이터복구기 224; ONU_제어부
225;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226; ONU_레이저다이오드드라이버
227; ONU_레이저다이오드 303; 디지털 APC

Claims (8)

  1. 광선로종단장치와 다수의 광망장치로 구성된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에서 상기 광망장치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하는 버스트 모드 신호를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원격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광망장치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선로종단장치_수신부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_수신부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신호세기검출기와, 상기 신호세기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세기와 목표세기를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비교신호에 따른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광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광망장치에게 전송하는 광선로종단장치_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망장치는 상기 광선호종단장치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로부터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검출하는 광망장치_수신부와, 상기 광망장치_수신부에서 검출된 신호세기 제어정보에 따라 변조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할 송신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하는 광망장치_송신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망장치_송신부는,
    변조전류에 따른 광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송신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변조전류를 가변하는 미러회로와,
    상기 신호세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변조전류의 세기를 가변하는 변조크기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망장치_송신부는,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모니터용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모니터용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얻어진 전기신호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에 흐르는 바이어스전류를 가변하는 자동세기제어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기제어수단은 상기 전기신호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바이어스전류 제어값을 출력하는 디지털 자동세기제어기(APC)이고,
    상기 광망장치_송신부는 상기 모니터용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얻어진 전기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디지털 자동세기제어기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류 제어값을 아날로그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기제어수단은 상기 송신 데이터가 있으면 구동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가 없으면 구동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
  6. 광선로종단장치와 다수의 광망장치로 구성된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에서 상기 광망장치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하는 버스트 모드 신호를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광망장치에게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광망장치는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등록 요청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광망장치로부터 입력된 등록 요청신호의 신호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요청신호의 신호크기와 목표치와의 차이가 허용한도 이내인 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차이가 허용한도 이내이면, 상기 제 2 단계의 등록 요청을 정상적으로 접수하여 상기 광망장치와 정상적으로 통신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는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차이가 허용한도 이내가 아니면, 상기 광망장치의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상기 광망장치에게 전송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광망장치는 상기 신호세기 제어정보에 따라 전송 출력을 조정하여 상기 제 2 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6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는,
    상기 광망장치가 상기 광선호종단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신호세기 제어정보를 검출하는 신호수신단계와;
    상기 신호수신단계에서 검출된 신호세기 제어정보에 따라 변조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할 송신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게 전송하는 신호송신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신단계는,
    상기 신호세기 제어정보 및 송신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다이오드에 흐르는 변조전류의 세기를 가변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에 흐르는 바이어스전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방법.
KR1020030085690A 2003-11-28 2003-11-28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및 방법 KR20050051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90A KR20050051997A (ko) 2003-11-28 2003-11-28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90A KR20050051997A (ko) 2003-11-28 2003-11-28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997A true KR20050051997A (ko) 2005-06-02

Family

ID=3724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690A KR20050051997A (ko) 2003-11-28 2003-11-28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19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530B1 (ko) * 2006-09-29 2007-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 광 통신망의 광 선로 종단 장치를 위한 자동 광 출력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65471B1 (ko) * 2006-05-30 2007-10-09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광망 종단 장치와 광 회선 단말장치 및 광망 종단장치의 광송신단 제어방법
CN113677059A (zh) * 2021-08-30 2021-11-19 宁波欧陆克电器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的led灯感应电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471B1 (ko) * 2006-05-30 2007-10-09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광망 종단 장치와 광 회선 단말장치 및 광망 종단장치의 광송신단 제어방법
KR100763530B1 (ko) * 2006-09-29 2007-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 광 통신망의 광 선로 종단 장치를 위한 자동 광 출력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08038981A1 (en) * 2006-09-29 2008-04-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tomatic optical power control method for olt in pon
US8139937B2 (en) 2006-09-29 2012-03-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tomatic optical power control method for OLT in PON
CN113677059A (zh) * 2021-08-30 2021-11-19 宁波欧陆克电器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的led灯感应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8163B2 (en) Detecting rogue ONU, OLT and PON system
US8139937B2 (en) Automatic optical power control method for OLT in PON
CN101039149B (zh) 一种波长对准方法和系统
CN102209281B (zh) 10g epon olt单纤三向光模块
US8666260B2 (en) Burst mode laser transmitter having an extremely fast response time when triggered from a totally off state
US201403415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0440756C (zh) 一种无源光网络及其数据通信的方法
JP3995934B2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適用可能な端局装置
KR100918390B1 (ko) 외부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파장 초기화 방법 및 이를사용한 파장 가변형 광송수신 장치
KR980013058A (ko) 광 신호 통신 장치 및 광 신호 통신 방법
KR20170010671A (ko) 광망 종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215193A (ja) 光通信ネットワークユニット及びそのコントロール方法
US9287989B2 (en) Optical data transmission device
KR20050051997A (ko)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의 신호세기 원격 제어장치및 방법
JP2007221793A (ja) 光ネットワークユニ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TWI506970B (zh) Optical network terminal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optical signal power
JP2014168176A (ja) 光受信器
Hehmann et al. New monitoring concepts for optical access networks
US8565619B2 (en) Prevention of collision for time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5045560A (ja) 光信号受信方法、光信号受信装置、光通信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KR20100121947A (ko) 광선로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JP2008541029A (ja) 受動型光試験終端装置
KR100811423B1 (ko) 파장 무의존적 파장분할다중화 광 네트워크용 파장제어광송수신장치 및 그 광송수신장치에서의 파장정렬방법
TW200524233A (en) Laser driver circuit for burst mode and making method thereof
KR100847462B1 (ko) 물리 계층의 운영 관리 기능을 가지는 광 이더넷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