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599A -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 Google Patents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599A
KR20050051599A KR1020050029807A KR20050029807A KR20050051599A KR 20050051599 A KR20050051599 A KR 20050051599A KR 1020050029807 A KR1020050029807 A KR 1020050029807A KR 20050029807 A KR20050029807 A KR 20050029807A KR 20050051599 A KR20050051599 A KR 20050051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nutrients
open
fresh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철
Original Assignee
최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철 filed Critical 최순철
Priority to KR102005002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1599A/ko
Publication of KR20050051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5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식재된 분화류를 식물 재배지인 농원을 떠난후 시중에 유통되는 시점 부터는 양액 및 유, 무기질 비료등의 영양분이 모두 고갈되어 유통되고 있는 실정으로 화분의 하단에 식물이 관수 및 영양분 공급을 가능하도록한 개방담수조를 부착함으로써 외부에서 수조내의 수위를 손쉽게 파악하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양액이나 수용성비료 이외 영양제, 살균제 등을 간단히 투입한후 혼용시킬수 있으며, 농원 또는 화방, 가정에서 분화류의 상층부 관수시에 화분에 들어가는 양보다 옆으로 흘러나가는 양이 많은 실정으로 액비나 물 등의 아까운 자원이 필요이상으로 낭비되고있으며 환경에도 좋지않은 까닭에 자연스럽게 옆으로 흘러나온 자원을 모아 절약함으로서 국가적으로도 보탬이 되는 발명으로, 모든 분화류를 재배하는 농원이나 화방, 가정에서 꼭 필요한 개방담수조가 부착된 양액재배 화분용기로써 대중성이 커서 국내 소비촉진 및 외국에 인공용토상의 식물을 직접 화분에 식재화한 상태로서 각종의 분화류 수출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omitted}
본 발명은 분화류 식물(1)의 성장 재배에 있어 화분(3)의 하단에 물 및 양액, 액비, 기타수용성비료, 이외 살균제등을 쉽게 투입, 혼용하여 화분(3)내에 식재된 식물에 영양공급을 원활하게한 개방담수조(2)를 부착함으로써 외부에서의 간편한 영양공급과 함께 수위를 손쉽게 파확하며 조절이 간단하여 농원, 전문매장등의 수많은 분화류 재배장에서 지상부 관수시에 쓸데없이 유실되는 물 및 양액등의 자원을 많이 절약 할수 있으며, 일부 농원에서 사용하는 값비싼 습윤제등이 필요하지않으며 특히 지층으로 흘러들어가는 나쁜 화학비료성분 및 균주등을 조금이라도 방지 할 수 있는 여건으로 환경 보호차원에서도 획기적인 발명이며 각종 분화류의 양액재배용기로써의 충족한 상태로 국내소비 및 외국에 선인장, 관엽등 각종 분화류의 수출에도 각광을 받을 수 있는 발명으로,
종래에는 화분(3)에 식재된 분화류식물(1)의 대부분은 재배지 농원을 떠나 유통될 시점이면 시중에서 식물내의 유,무기질비료 , 양액, 액비, 미량요소등의 영양분이 모두 고갈되어 화방, 가정에서는 주로 수분만을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화분(3)하단에 개방담수조(2)를 부착하여 담수조의 외부에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시중에 많이 판매되는 양액이나 수용성비료, 액비등의 투입을 자유롭게 할수있으며 기존의 일반화분이나 양액재배용기, 심지재배화분, 기타 수경재배화분등의 많은 종류가 모두들 수분만을 단순 섭취하는 구조로써 수실이 밀폐된상태로 항상 물에 잠겨있는 상황이 대다수로 외부에서 수분의 양을 체크하기도 어렵고 양액, 수용성비료, 액비등의 투입 및 혼용이 너무 어려운 상태이며 또한 수실 하부에 물을 넣고 구멍만을 뚫어 넣은경우와 서랍식받침조나 낮은 물받침 구조의 심지화분이나 모두가 같은 상태이며 또한 일부 수경재배화분중 화분 측면에 별도의용기부를 만들어 수실을 갖춘용기는 조건이 충족되나 이는 부피가 크며 불편하며 이외 모타등의 동력까지 갖추워야 되어 중, 소형의 화분재배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히 식물(1)부 뿌리가 항상 수실부에 잠겨있거나 심지재배시에 물과의 여백공간이 없을땐 수분이 과습이되어 식물은 무균인 인공용토 상에서는 어느정도 견디나 시간이 오래되거나 하면 토경에서는 뿌리무름병, 후사륨균, 지하부썩음병, 이외 곰팡이병등이 만연되어 많은 피해를입는다.
또한 이들 화분류의 대부분이 상층부 관수로써 이루워 지고있는 시점에 정작 반경이 적은 중,소형의 화분안에는 관수가 극소량만 뿌려지고 넘쳐서 여러번을 재차 반복하여 관수하여야 만 겨우 흡수하며, 나머지의 무수한 물 및 양액(5)이 지층또는 하수관으로유출되고 있는 현실로써 자원 낭비가 막대하다. 이에 일부 농원에서는 값비싼 습윤제를 사용하는 사례도 있다. 특히 극히 일부인 베드상을 갖춘 양액전문 농원이외 수많은 분화류 재배농원 또는 매장의 대부분이 지층부나 탁상에서의 관수로 인한 비료분이나 균주등의 지하수 오염도 심각한 원인으로 환경보호 차원에도 시급한실정으로 화분(3)의 아래에서 넘쳐버리는 자원을 개방된 담수조(2)로써 일부나마 해결 할수있으며 이를 활용, 저면 관수까지도 가능한 양액 시스탬이다.
분화류는 국내에도 많은 소비가 되고있으나 외국수출에는 일부 관엽 소품류만을 출하하는 실정인데 반면에 국내재배로 세계적으로 각광받아 년간 1,000만 본 가량 수출되고있는 비모란 접목선인장, 기타 일반구 선인장은 출하시에 뿌리부분을 하나하나 절단하여 종이로 쌓아 박스포장하여 수입국인 네델란드, 미국, 유럽, 아프리카 이외 전세계로 출하된다. 이어 외국 도착후 수입국 농원에서는 또다시 일일이 화분에 옮겨 심어 뿌리가 내릴때까지 또는 완전히 성장 할 때까지 탁상에서 양액등으로 상층부 관수로써 수주내지 몇 개월간을 정성들여 키워 자국내지 제3국으로 분화류로써 유통 시키고 있는 현실로써, 이런과정에서 뿌리발아가 제대로 되지않아 많은 수가 썩고 마르고 또한 관수 및 영양분의 보급도 잘되지 않아 현지상태를 보면 거칠고 상태가 너무 않 좋다. 그럼에 수입국에서는 경비 및 시간절감과 상품의 고품질을 위해 화분(3)에 식물을 식재한 분화류 수입을 요원하는 실정으로 이에 맞추워 국내 일부 농가에서는 일반 화분에 시범재배 및 출하를 준비하고있는 상황이며 가득이나 중국이나 터어키 등지에서 값싼 인력 및 시설로써 선인장을 재배 , 국내농가에 큰 위협이 되고있어 시급하게 분화류 재배에 발전적인 대안을 찾고있는 시점이며 또한 일본 및 동남아 일부나라에서는 관엽, 다육식물등의 분화류의 수입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이런 시점에 양액 시스템을 갖춘 개방담수조(2)가 부착된 화분용기는 수출 상품으로 각광을 받을수 있어 국가에도 기여할 수 있다.
기존화분에 식재하는 관상식물에게 손쉽고도 지속적인 수분 및 영양을 줄수 있도록 화분(3)밑에 개방담수조(2)를 부착하여 건강한 분화류를 유통, 출하시키며, 분화류의 대부분이 지상부에서 관수 및 관비가 이루워짐에 화분밖으로 흘러 나가는 수많은 자원과 환경 오염원을 방지 하고자 함이다.
본발명은 화분(3)에 식재되어있는 식물(1)의 영양분 보충을 위하여 화분용기의 하단면에 외부로부터 물 및 양액, 수용성비료(5)을 쉽게 투입, 혼용시킬 수 있는 개방담수조(2)를 만들어 중앙부에 화분(3)이나 식물 뿌리부(4)를 받쳐주는 화분받침판 및 받침기둥(6)를 갖추어 상부에 화분과 담수조 를끼워 연결 시켜주도록 나사산을 형성한 화분 연결고정부(7)로 서로 연결하며 중간은 속이 빈 통모양으로 두어 안에 흡수봉이나 심지(11)로써 하단부 물통로(10)를 통해 흡수하며, 개방담수조(2)의 상부벽면에 식물 뿌리부(4)와 수분과의 공간형성을 위해 공간부(8)를 띄운 위치에 과습 조절구멍(9)을 만들어 식물의 과습을 막도록하여 영양있고 건강한 식물을 재배하는 구조를 갖춘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로써
제1도는 본발명의 개방담수조 (2)를 갖춘 양액 재배 화분의 사시도로써 식물(1)의 하단부에 인공용토로 뿌리가 잘 활착된 뿌리활착부(4)를 갖춘 화분(3) 아래 화분받침판 및 받침기둥(6)으로 잘 받쳐 개방담수조(2)속에 놓여진 모습 으로 기존 화분받침보다 높여 별도의 탁자식의 받침대를 형성한 단아한 모습으로 분화류로써의 진열 및 판매에 부담스럽지 않은 화분용기이며 제 2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써 가항은 화분(3)의 아래면 밑에 개방담수조(2)에 부착되어 일체된 화분받침판 및 받침기둥(6) 으로써 받쳐 놓은 형태로 화분과 담수조 와의 연결을 위하여 화분(3)의 아래 중앙에 끼움구멍을만들거나 기존 시판되는 일반 화분의 경우는 물빠짐 구멍이 중앙부에 있는 화분으로 대신 사용하여 화분 받침판 및 받침기둥(6)의 기둥상단부에 직접 끼우거나 나사산을 형성시켜 돌려 높이조절 및 끼워 맞춤을 할수 있도록 하여 화분 연결고정부 (7)를 통해 고정 시키면서 식물(1)의 뿌리활착부(4)의 과습방지를 위해서 화분(3)의 밑면과 과습 조절구멍 (9) 사이에는 물이 항상 차있지 않도록 공간부(8)를 두어 물이 뿌리활착부(4) 까지 닿아 있지 않도록 하며 받침기둥(6)의 하단부 아래에 뚫린 물 및 양액 (5)의 통로구멍 (10)를 통해 영양을 잘 흡수할수있는 문구용 잉크탱크심으로 사용하는 흡수봉, 흡수심지 (11)를 통해 식물의 뿌리부 (4) 까지 원활한 영양공급을한다. 화분(3)의 높이가 올라가 높아진 상태이며
나항은 가항과 같은 구조로써 소비자의 기호도에 맞게 낮은 화분(3)을 원하는 사항을 고려, 높이를 낮추기 위해 화분을 받치고 있는 화분받침판 (6)을 낮추면 화분은 자연히 낮아지면서 화분 연결고정부(7)의 상단은 화분(3)속에 깊게 넣어진다. 이곳에 별도에 뿌리를 받쳐주도록 작은받침판을 만들어 끼운후 뿌리부(4)를 받치면 식물(1)의 뿌리활착부 (4)가 축소 되면서 자연스럽게 별도의 작은받침판 과 과습조절구멍(9)과의 공간부(8)가 생기면서 과습방지도 가능하다. 화분(3)이 낮아지므로서 오는 안정감이 있는 구성을 갖추었다.
제3도는 개방담수조 (2)의 분리도로써
가항은 화분(3)에서 바닥면의 중앙에 개방담수조(2)와 화분(3)간의 원활한 연결 및 고정을 위한 구멍을 뚫어 놓는 도면으로 다항의 화분 받침기둥(6)의 상부에 있는 화분 연결고정부(7)로 빡빡하게 끼우거나 돌려 맞춘다. 기존에 시판되는 바닥 중앙부 물빠짐 구멍이 있는 화분도 사용 가능하다.
나항은 물 및 양액 (5)을 담을 수 있는 개방담수조(1)를 나타낸 도면으로 과습방지를 위한 화분(3)과 물수면과의 공간부(8)를 만들기 위해 과습 조절구멍 (9)을 뚫어 외부에서의 너무 많은 물 및 양액(5)를 투입시에는 조절구멍을 통해 옆으로 흘러나와 항시 화분내의 뿌리부(4)는 잠기지 않는다.
다항은 개방담수조(2)의 중앙부에 설치하여 식물(1)를 담아놓은 화분용기(3)를 받쳐주는 화분받침판 및 받침기둥(6)으로써 물이 통과될수 있도록 기둥속이 구멍이 뚫린 통모양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하부면에 물 및 양액(5)을 통과시켜주는 물통로 구멍(10)을 통해 문구용펜심으로 사용하는 잉크탱크 흡수심봉의 흡수력을 이용하여 막대식의 흡수봉(11)으로 사용, 또는 흡수심지(11)를 이용, 영양을 공급할수있음을 나타내었다. 원안은 물이 잘빠지도록한 화분받침판(6)을 원형으로 나타냈고 받침판은 받침기둥으로부터 빼었다 끼웠다 할 수 있다.
제4도는 본발명의 사용도로써 개방담수조(2)의 입구에 손쉽게 물 및 양액(5)이외에도 수용성 비료, 액비, 기타살균제등을 투입하며 간편히 막대를 저어서 혼용시킴을 도해하였다.
본발명은 개방담수조(2)를 화분(3)의 하단에 정착시킴으로써 식물(1)의 필요한 영양공급 및 관수를 원활하게하며, 관수시에 화분 외부에 넘치는 자원절약 및 환경보호에 기여하며, 설치와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양액재배용기로써의 분화류 재배용, 선물용으로 대중성이 있어 국내 소비효과가 크며 국외에도 분화류 수출에서 현지 성장재배, 판매까지도 가능하여 국가에도 기여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제1도는 본발명의 개방담수조를 갖춘 양액재배 화분의 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의 구성 단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분리도
제4도는 본발명의 사용도
*도면의 주요부분 설명
1.식물 2.개방담수조 3.화분 4.인공용토 및 뿌리활착부
5.물 및 양액 6.화분받침판 및 받침기둥
7.화분연결 고정부 8.공간부 9.과습조절구멍 10.물통로 구멍
11.흡수봉 및 심지

Claims (1)

  1. 식물(1)을 담아 재배 할 수 있는 토기, 유리 ,황토, 플라스틱, 이외 합성수지의 재질을 사용한 화분(3)의 하단면에 외부에서 영양분을 투입하기 위한 개방담수조(2)를 만들어 화분받침판 및 받침기둥(6)을 갖추어 기둥상단에 화분연결 고정부(7)로 연결하여 기둥하단의 물통로(10)를 통해 흡수봉, 흡수심지(11)로써 물 및 양액을 흡수하며, 개방담수조(2)의 벽면부는 과습조절을 위한 과습 조절구멍(9)을 두어 식물의 양액재배를 하는 특징을 갖춘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KR1020050029807A 2005-04-07 2005-04-07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KR20050051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07A KR20050051599A (ko) 2005-04-07 2005-04-07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07A KR20050051599A (ko) 2005-04-07 2005-04-07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291U Division KR200348128Y1 (ko) 2004-01-30 2004-01-30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99A true KR20050051599A (ko) 2005-06-01

Family

ID=3866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807A KR20050051599A (ko) 2005-04-07 2005-04-07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15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076B1 (ko) * 2010-12-01 2013-03-27 대한민국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076B1 (ko) * 2010-12-01 2013-03-27 대한민국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69941Y (zh) 一种新型水培花盆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CN2591952Y (zh) 结构改进的储水花盆
CN203985203U (zh) 集雨储水式花盆
CN204047448U (zh) 自动供水家庭园艺栽培装置
WO2006077669A1 (ja) 植木鉢
CN203523410U (zh) 具备自吸水功能的植物种植盆
KR200348128Y1 (ko)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CN202750527U (zh) 一种自动吸水式花盆
KR20050051599A (ko) 개방담수조 부착 양액재배 화분용기
CN201640072U (zh) 立体花盆
CN203801383U (zh) 带发酵箱的花果盆
CN101595813B (zh) 双盆式花盆
JP2005040009A (ja) 底面給水式植物栽培容器
KR20100047790A (ko) 실내용자연생태시스템
JP2016073264A (ja) 底灌水多品種栽培システム
KR200425493Y1 (ko) 액자 기능을 갖는 탁상용 화분
Bhullar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wick type and recirculation type substrate hydroponic systems for greenhouse tomatoes.
JP6535663B2 (ja)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CN201222899Y (zh) 双盆式花盆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CN2657377Y (zh) 无土栽培装置
JPH0965766A (ja) W 鉢
CN203723792U (zh) 恒湿花架
CN2925075Y (zh) 一种植物土培兼水培的种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