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418A -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418A
KR20050050418A KR1020030084153A KR20030084153A KR20050050418A KR 20050050418 A KR20050050418 A KR 20050050418A KR 1020030084153 A KR1020030084153 A KR 1020030084153A KR 20030084153 A KR20030084153 A KR 20030084153A KR 20050050418 A KR20050050418 A KR 2005005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device
wireless
unit
data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418A/ko
Publication of KR2005005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4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4Wireless link with a computer system port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스트 장치와의 직접 연결에 의한 인터페이스 및 다른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랜 연결에 의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랜 장치부와; 상기 무선 랜 장치부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페이스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저장 또는 인출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무선 메모리 장치가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내부 전원부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저장이나 인출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요청이 있을 경우, 직접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인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직접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요청인 경우, USB, CF, SD 등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요청인 경우, IEEE 802.11 a/b/g 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STAND ALONE TYPE WIRELESS MEMORY APPARATUS AND DATA INPUT/OUTPU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결합하지 않고도, 여러 호스트 장치와 무선 방식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포함하여 최근 출시되고 있는 전자 기기의 특징은 네트워크와 무선 기술이 결합된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네트워크 기술이 결합된 대표적인 전자기기로는 인터넷 티브이나 인터넷 냉장고 등이 있으며, 무선 기술이 결합된 기기로는 무선 랜을 이용한 PDA나 노트북 컴퓨터 등이 있다. 특히, 무선 기술은 전자기기의 복잡한 배선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네트워크 장치에 결합할 경우 상승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복합적인 발전과, 인터넷 음악 서비스와 인터넷 뱅킹 서비스 등의 새로운 서비스와 맞물려, 엠피-3 플레이어 기능을 결합한 고용량의 휴대형 메모리 장치가 다양하게 출시되어 보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 상기와 같은 최근의 기술 경향을 대표하는 무선 랜 클라이언트 장치 및 휴대형 메모리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종래 무선 랜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안테나(101)를 통해 무선 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02)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1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복조하기 위한 베이스밴드부(103)와, 상기 변/복조된 신호를 호스트 장치(111)로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의 액세스 프로토콜 관리 및 암호화, DMA(Direct Memory Access)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 제어(MAC : Media Access Control)부(104)와, 상기 매체 제어부(104)를 제어하기 위한 임베디드 프로세서(107)와, 상기 호스트 장치(111)와 무선 랜 장치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06)와, 무선 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105, 109)와, 플래시메모리(110) 등의 외부 메모리를 확장하기 위한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06)는 USB(Universal Synchronous Bus)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무선 랜 장치와 호스트 장치(111)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11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매체 제어부(104) 및 베이스밴드부(103)를 통해 무선 출력할 수 있도록 변조되고, 무선 송수신부(102)와 안테나(101)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반대로, 안테나(101)와 무선 송수신부(102)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베이스밴드부(103)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되고, 매체 제어부(104)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호스트 장치(111)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 랜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111)에 장착되어, 무선 랜 장치가 장착된 다른 호스트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종래 휴대용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호스트 장치(201)와 휴대용 메모리 장치(200)를 USB, CF, SD 등 일정 규격으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호스트 인터페이스부(202)와, 상기 호스트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04)와,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01)의 명령을 받아 메모리부(204)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인터넷 뱅킹을 위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저장하거나, 엠피-3 플레이어 기능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음악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며, 메모리부로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고, 메모리와 메모리 제어부 이외에 별도로 추가되는 구성요소가 없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으나, 호스트 장치에 별도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다른 호스트 장치에 결합할 경우 현재 연결된 기기와의 연결을 끊은 후, 연결하고자 하는 호스트 장치로 이동하여 재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휴대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결합하지 않고도, 여러 호스트 장치와 무선 방식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스트 장치와의 직접 연결에 의한 인터페이스 및 다른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랜 연결에 의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랜 장치부와; 상기 무선 랜 장치부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페이스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저장 또는 인출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선 메모리 장치가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내부 전원부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저장이나 인출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요청이 있을 경우, 직접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인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직접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요청인 경우, USB, CF, SD 등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요청인 경우, IEEE 802.11 a/b/g 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무선 랜 장치와, 데이터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를 결합하여, 컴퓨터, PDA, 휴대폰 등 각종 호스트 장치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도, 여러 호스트 장치가 하나의 무선 메모리 장치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
상기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 직접 연결할 경우에는, 무선 랜 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각기 독립적으로 사용하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독립형 무선 랜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거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각 호스트 장치에 별도의 구동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호스트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메모리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연결하지 않더라도, 무선 랜 장치를 통해 다른 호스트 장치와 무선으로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무선 랜 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별도의 호스트 장치와 연결하지 않고도, 메모리 장치를 여러 호스트 장치가 공유하여 데이터 저장 서버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호스트 장치와의 직접 연결에 의한 인터페이스 및 다른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랜 연결에 의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랜 장치부(301~309)와, 상기 무선 랜 장치부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페이스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저장 또는 인출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부(31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랜 장치부는 안테나(301)를 통해 무선 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302)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3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복조하기 위한 베이스밴드부(303)와, 상기 변/복조된 신호를 호스트 장치(311)로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의 액세스 프로토콜 관리 및 암호화, DMA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 제어부(304)와, 상기 매체 제어부(304)를 제어하기 위한 임베디드 프로세서(307)와, 상기 호스트 장치(311)와 무선 랜 장치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6)와, 무선 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305, 309)와, 메모리 장치부(310)를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부(308)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 장치부는 임베디드 운영체제(OS)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 드라이버를 내장하여 무선 메모리 장치를 독립형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체제 및 드라이버 저장부(313)와, 상기 무선 랜 장치부를 통해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메모리부(314)와, 상기 운영체제 및 드라이버 저장부(313)와 메모리부(314)를 제어하여, 무선 랜 장치부가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메모리부(314)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제어부(3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부(308)는 무선 랜 장치부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부(310)로 전송하거나, 메모리 장치부(310)로부터 출력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메모리부(309)에는 본 발명의 독립형 메모리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및 메모리 장치부(31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임베디드 프로세서(307)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 전원부(315)를 포함하고, 무선 랜 장치부는 IEEE 802.11 a/b/g 와 같은 무선 규격을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입출력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우선 본 발명의 무선 메모리 장치가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만약,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이 가능하지만, 호스트 장치에서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는 자체에 내장된 내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출 과정을 통해 호스트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USB, CF, SD 등 호스트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 장치부에 저장하고, 직접 연결되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호스트 장치와는 IEEE 802.11 a/b/g 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 장치부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30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부(306)를 통해 호스트 장치(311)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호스트 장치와 분리하는 경우에도 자체에 내장된 내부 전원부(3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직접 연결되지 않고도 무선 랜 방식으로 연결된 호스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은, 휴대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결합하지 않고도, 여러 호스트 장치와 무선 방식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무선 랜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입출력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안테나 302 : 무선 송수신부
303 : 베이스밴드부 304 : 매체 제어부
305, 309 : 내부 메모리 306 : 호스트 인터페이스부
307 : 임베디드 프로세서 308 :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부
312 : 메모리 제어부 313 : 운영체제 및 드라이버 저장부
314 : 메모리부 315 : 내부 전원부

Claims (5)

  1. 호스트 장치와의 직접 연결에 의한 인터페이스 및 다른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랜 연결에 의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랜 장치부와;
    상기 무선 랜 장치부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페이스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저장 또는 인출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장치부는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부로 전송하거나, 메모리 장치부로부터 출력되는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부는 임베디드 운영체제(OS)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 드라이버를 내장하여 무선 메모리 장치를 독립형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체제 및 드라이버 저장부와; 상기 무선 랜 장치부를 통해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메모리부와; 상기 운영체제 및 드라이버 저장부와 메모리부를 제어하여, 무선 랜 장치부가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메모리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장치부와 메모리 장치부로 구성된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5. 무선 메모리 장치가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내부 전원부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저장이나 인출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요청이 있을 경우, 직접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인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직접 연결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요청인 경우, USB, CF, SD 등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요청인 경우, IEEE 802.11 a/b/g 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방법.
KR1020030084153A 2003-11-25 2003-11-25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 KR20050050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153A KR20050050418A (ko) 2003-11-25 2003-11-25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153A KR20050050418A (ko) 2003-11-25 2003-11-25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418A true KR20050050418A (ko) 2005-05-31

Family

ID=3866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153A KR20050050418A (ko) 2003-11-25 2003-11-25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4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498B1 (ko) * 2005-08-25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498B1 (ko) * 2005-08-25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2052B2 (en) Wireless system bus
KR100904005B1 (ko)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접속의 사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장치
US771132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402863B1 (en) Wireless internet access device, SD control chip,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US90659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ternal component to conduct wireless communications
US7921244B2 (en) Data sharing and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EP2466480B1 (en)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US20030109218A1 (en) Portable wireless storage unit
US20030212838A1 (en) Small memory device with drivers on device
US20060160569A1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JP2005526407A (ja)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装置
JPH1069338A (ja) 多機能化できるコンピュータ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2003078950A (ja) 携帯型外部記憶装置
US20080215774A1 (en)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Dual Role Device
KR20110049121A (ko) 디바이스 활성화 방법 및 장치
US2011011169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ccess control method
US20050060490A1 (en) Apparatus for multiple host access to storage medium
JP2001156797A (ja) ワイヤレスusbハブ
US7047040B2 (en) Portable computer
TW200401537A (en) Network accessing system for compu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45694B1 (ko) 복수의 무선 매체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 usb호스트/장치 어댑터 및 그 방법
CN114281722A (zh) 一种双总线接口的嵌入式控制电路、芯片和电子设备
JP2007006153A (ja) 無線lan装置
KR20050050418A (ko) 독립형 무선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입출력 방법
KR100392199B1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