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236A -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236A
KR20050050236A KR1020030083937A KR20030083937A KR20050050236A KR 20050050236 A KR20050050236 A KR 20050050236A KR 1020030083937 A KR1020030083937 A KR 1020030083937A KR 20030083937 A KR20030083937 A KR 20030083937A KR 20050050236 A KR20050050236 A KR 2005005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signal
hop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일
황유선
김응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236A/ko
Publication of KR2005005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2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물리적으로 인접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다수의 단말기를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들 간의 통신에 있어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를 이용해 단말기간의 멀티 홉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기존의 RTS-CTS-데이터-ACK 방식에 추가적인 제어 메시지를 적용하여 RTS-CTS-데이터-ACK/RTS 방식의 데이터 전송 및 제어 신호 교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메시지 전송에 부가되는 RTS, CTS, ACK와 같은 제어 메시지의 교환 횟수를 감소시키고, 그로 인해 무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처리 용량이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METHOD FOR DATA PROCESSING OF WIRELESS AD HOC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리적으로 인접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다중 노드를 통한 각 단말기간의 통신에 적용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임시(Ad-hoc) 네트워크는 기지국 또는 AP(Access Point)와 같은 기반 망 장치의 도움 없이 단말기 노드들 간에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이다. 무선 임시 네트워크의 단말기들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전송 거리상의 제약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물리적으로 통신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해서, 무선 임시 네트워크 단말기들은 중간에 위치한 단말기들을 경유하는 논리적 통신 영역 내의 단말기를 통한 멀티 홉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무선 임시 네트워크의 단말기들 간의 통신을 위해, 각 단말기는 무선 채널의 상태를 감지하고,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 채널 접근을 위한 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하나의 단말기가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우선 목적 단말기의 물리적 통신 영역 또는 논리적 통신 영역 내의 존재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통신 영역에 대한 결정은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주기적인 네트워크 설정 상태 점검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목적 단말기가 논리적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데이터 전송의 출발지 단말기는 경유하고자 하는 각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한 후에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 메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종래의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를 이용한 MAC 프로토콜의 경우에, 물리적 통신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간의 통신은 RTS(Request To Send), CTS(Clear To Send) 및 ACK(Acknowledgment)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논리적 통신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간의 통신은 각 단말간의 통신에 물리적 통신 영역에서의 단말기간 통신 방식이 그대로 적용되며, 이로 인하여 경유해야 하는 단말기의 숫자에 비례하여 데이터 통신 처리 용량이 감소한다.
즉, 출발 단말기와 각각의 경유 단말기, 경유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간의 통신은 항상 물리적 통신 영역에 있는 단말기간의 통신과 마찬가지로, RTS-CTS-Data-ACK 메시지의 전송 및 교환이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각 두개의 단말기간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고, 경유되는 두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DIFS(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 또는 DCF IFS) 및 SIFS(Short IFS)과 같은 채널 감지 시간이 요구되며, 이 또한 경유되는 단말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종래 무선 임시 네트워크의 단말기들 간의 멀티 홉 통신 방식은 멀티 홉의 증가에 따른 제어 메시지 교환 및 채널 감지 시간의 증가는 무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처리 용량을 감소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 횟수를 감소시켜 데이터 처리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을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유 단말기를 거쳐 출발 단말기에서 목적 단말기로 데이터 전송시, 멀티 홉 데이터 전송을 위해 ACK/RTS의 제어 신호를 적용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무선 임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기들이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 단말기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멀티 홉 데이터와 싱글 홉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출발 단말기, 경유 단말기, 및 목적 단말기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각 단말기들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에 멀티 홉 전송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상기 출발 단말기와 경유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경유 단말기는 상기 목적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신호 중 응답(ACK) 및 송신 요구(Request To Send, RTS) 신호를 하나의 ACK/RTS 신호로 적용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상기 경유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ⅰ) 상기 출발 단말기, 경유 단말기, 및 목적 단말기간의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arrier Sense) 프로토콜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멀티 홉 전송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 필드를 각각의 프레임 내에 생성하는 단계; 및 ⅱ) 상기 ⅰ) 단계에서 생성된 멀티 홉 전송 정보 메시지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각 단말기간의 무선 채널을 통해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ⅰ) 상기 출발 단말기는 제1 무선 채널의 상태를 감지하고, 채널이 쉬고(IDLE)있는 상태에서 상기 멀티 홉 데이터 송신 요구(RTS) 신호를 상기 경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ⅱ) 상기 경유 단말기는 상기 RTS 신호가 정상 수신하고 송신 완료(Clear To Send, CTS) 신호를 상기 출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ⅲ) 상기 출발 단말기는 상기 CTS 신호를 정상 수신하면, 상기 제1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멀티 홉 데이터를 상기 경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ⅳ) 상기 경유 단말기는 상기 멀티 홉 데이터를 정상 수신한 경우에, 상기 ACK/RTS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채널을 통해 출발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는, ⅰ) 상기 목적 단말기는 경유 단말기로부터 ACK/RTS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경유 단말기로 CTS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ⅱ) 상기 ⅰ) 단계에서 CTS 신호를 수신한 경유 단말기는 상기 멀티 홉 데이터를 목적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ⅱ) 단계에서 멀티 홉 데이터를 수신한 목적 단말기는 상기 경유 단말기로 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MA/CA MAC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단말기1(TE1)과 단말기2(TE2)는 제1 무선 채널(CH1)을 통하여 물리적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며, 단말기2(TE2)와 단말기3(TE3)은 제2 무선채널(CH2)을 통하여 물리적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한다.
단말기1에서 단말기3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단말기1에서 제1 무선 채널(CH1)을 통하여 단말기2에 전송되고, 단말기2는 전송 데이터를 제2 무선채널(CH2)을 통하여 단말기3에 전송한다.
단말기1의 MAC 프로토콜 처리부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단말기3에게 멀티 홉을 통GO 전송해야 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무선 채널의 상태를 감지한다. T1 시간 동안의 채널감지는 물리계층에 의한 채널 감지 또는 NAV(Network Allocation Vector)에 의한 가상 채널 감지로 진행되며, 채널이 아이들(idle) 상태가 되면 RTS(Request To Send) 신호를 제1 무선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2에게 전송한다.
단말기2는 RTS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후에 CTS(Clear To Send) 신호를 제1 무선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1에게 전송한다. CTS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단말기1은 데이터 메시지를 제1 무선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2로 전송하고, 단말기2는 수신된 데이터가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ment)신호를 단말기1에 전송한다.
이렇게 하여, 단말기1과 단말기2와의 무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다.
단말기2는 단말기1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단말기3으로 제2 무선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즉, 단말기2는 무선 채널을 감지하고, 무선 채널이 아이들(idle) 상태에 있으면, RTS 신호를 단말기3으로 제2 무선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단말기3은 수신된 RTS) 신호를 분석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CTS 신호를 단말기2에게 전송한다.
CTS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단말기2는 단말기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2 무선채널을 통해 단말기3으로 전송하고, 단말기3은 정상적으로 단말기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신호를 단말기2로 전송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단말기1에서 단말기2를 경유하여 단말기3로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CSMA/CA MAC 프로토콜에서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제어 메시지 교환시 ACK_RTS 신호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먼저 단말기1과 단말기2는 제1 무선 채널(CH1)을 통하여 물리적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며, 단말기2와 단말기3은 제2 무선채널(CH2)을 통하여 물리적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단말기1에서 단말기3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단말기1에서 제1 무선 채널을 통해 단말기2에 전송되고, 단말기2는 이 전송 데이터를 제2 무선채널을 통해 단말기3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기1은 출발 단말기가 되고, 단말기2는 경유단말기, 단말기3은 목적 단말기가 된다.
출발 단말기의 MAC 프로토콜 처리부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목적 단말기에게 멀티 홉을 통하여 전송해야 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무선 채널의 상태를 감지한다. 채널감지(S1)는 물리 계층에 의한 채널 감지 또는 NAV(Network Allocation Vector)에 의한 가상 채널 감지로 진행된다.
출발 단말기는 채널 감지한 결과 채널이 아이들(idle) 상태가 되면 멀티 홉 데이터를 위한 RTS(RTS for Multi-Hop data)(S2) 신호를 제1 무선 채널을 통해 경유 단말기로 전송한다.
경유 단말기는 RTS for Multi-Hop data(S2)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후 CTS for Multi-Hop data(S3) 신호를 제1 무선 채널을 통하여 출발 단말기로 전송한다.
CTS for Multi-Hop data(S3)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출발 단말기는 멀티 홉 데이터(multi-hop data)(S4)를 제1 무선 채널을 통해 경유 단말기로 전송한다.
경유 단말기는 제1 무선 채널을 통하여 출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멀티 홉 데이터(S4)가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제2 무선채널을 통해 목적 단말기로 멀티 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ACK-RTS 신호를 적용하게 된다.
즉, 경유 단말기는 출발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멀티 홉 데이터에 대한 응답, 및 ACK/RTS for multi-hop data(S5, S8) 신호를 제1 및 제2 무선 채널을 통하여 출발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렇게 하여, 출발 단말기와 경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고(S6), 목적 단말기는 경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ACK/RTS for multi-hop data(S8)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CTS(S9) 신호를 경유 단말기로 전송한다.
CTS(S9)를 수신한 경유 단말기는 멀티 홉 데이터(S10)를 목적 단말기로 전송하고, 목적 단말기는 경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멀티 홉 데이터(S10)에 대한 응답으로 ACK(S11)를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전송 과정을 거쳐 출발 단말기와 경유단말기, 및 목적 단말기간의 모든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다.(S12)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출발 단말기, 경유 단말기, 그리고 목적 단말기의 각 신호처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고하면, 출발단말기의 MAC 프로토콜 처리부는 상위계층 프로토콜에서 무선 채널로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하면(S101), 이 데이터가 멀티 홉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멀티 홉 처리 데이터인지 확인한다.(S102)
멀티 홉 처리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 MAC 프로토콜 처리부는 기존의 CSMA/CA 싱글 홉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S103) 즉, 출발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동일한 파장으로 튜닝 되어야 한다.
멀티 홉 처리 데이터인 경우에, 무선 채널을 감지하여 무선 채널이 아이들(idle)한 상태에서 멀티 홉 통신 정보를 포함하는 RTS신호를 물리적으로 인접한 경유 단말기로 전송한다.(S104, S105, S106)
그리고 출발 단말기의 MAC 프로토콜 처리부는 채널을 감지하고 경유 단말기로부터 멀티 홉 통신 정보를 포함한 CTS 신호를 수신하면(S107, S108), 멀티 홉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멀티 홉 데이터를 경유 단말기로 전송한다.(S109)
그 후, 출발 단말기는 채널을 감지하고 인접한 경유 단말기로부터 멀티 홉 정보를 포함한 ACK/RTS 신호를 수신한 후에 데이터 전송 절차를 종료한다.(S110, S111)
도 4를 참고하면, 경유 단말기는 채널을 감지하다가 멀티 홉 정보를 포함한 RTS 또는 ACK/RTS 신호를 인접한 출발 단말기 또는 경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하면(S201, S202), 이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멀티 홉 정보를 포함한 CTS 신호를 인접한 출발 단말기 또는 경유 단말기에게 전송한다.(S203)
그리고 경유 단말기는 CTS를 수신한 인접 단말기로부터 멀티 홉으로 전송되는 멀티 홉 데이터를 수신한 후(S204), 채널이 idle 한 상태에서 멀티 홉 데이터에 대한 응답 및 멀티 홉 전송을 위한 요구 신호로 ACK/RTS 신호를 인접한 출발 단말기 및 경유 단말기 또는 목적 단말기로 송신한다.(S205, S206)
경유 단말기는 인접한 경유 단말기 또는 목적 단말기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 신호인 CTS 신호를 수신하면(S207), 멀티 홉으로 전송되는 멀티 홉 데이터를 인접한 단말기 또는 목적 단말기로 전송한다.(S208)
경유 단말기는 채널을 감지하다가 멀티 홉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인 ACK/RTS 신호를 수신한 후에 데이터 전송 절차를 종료한다.(S209, S210)
도 5를 참고하면, 목적 단말기는 채널을 감지하다가 인접한 경유 단말기로부터 ACK/RTS 신호를 수신하면(S301, S302), 이에 대한 응답으로 CTS신호를 송신하고, 멀티 홉으로 전송된 멀티 홉 데이터를 수신한다.(S303, S304)
그리고 목적 단말기는 정상적인 멀티 홉 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지면 채널이 idle 한 상태에서 ACK 신호를 전송한 후 데이터 수신 절차를 종료한다.(S305, S306)
출발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간의 통신시 (N-1)개의 경유 단말기가 존재하여 N개의 멀티 홉이 존재하는 경우에, 기존의 CSMA/CA MAC 프로토콜에서는 N개의 RTS, N개의 CTS, N개의 멀티 홉 데이터 및 N개의 ACK 메시지가 전송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ACK/RTS 메시지를 이용하여 1개의 RTS, N개의 CTS, N개의 멀티 홉 데이터, (N-1)개의 ACK/RTS 및 1개의 ACK 신호가 전송된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RTS, CTS, ACK 및 ACK/RTS 제어 신호의 길이를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갖도록 하고, 메시지의 길이가 L 프레임(frame)이면, 기존의 CSMA/CA 프로토콜에 비해 멀티 홉의 수가 N인 경우 (N-1)*L frame의 제어 메시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출발 단말기와 경유 단말기, 및 목적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시 ACK/RTS 신호를 적용하여 제어 신호를 감소시키고, 무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출발 단말기의 신호처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경유 단말기의 신호처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목적 단말기의 신호처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6)

  1. 각 단말기들이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 단말기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멀티 홉 데이터와 싱글 홉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출발 단말기, 경유 단말기, 및 목적 단말기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각 단말기들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에 멀티 홉 전송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상기 출발 단말기와 경유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경유 단말기는 상기 목적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신호 중 응답(ACK) 및 송신 요구(Request To Send, RTS) 신호를 하나의 ACK/RTS 신호로 적용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상기 경유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멀티 홉 데이터인 경우에, 최초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출발 단말기, 상기 출발 단말기로부터 최종 데이터가 수신되는 목적 단말기, 및 상기 출발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 사이에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유 단말기로 분류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싱글 홉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출발 단말기에서 목적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되는 동안 동일한 파장으로 튜닝 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ⅰ) 상기 출발 단말기, 경유 단말기, 및 목적 단말기간의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프로토콜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멀티 홉 전송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 필드를 각각의 프레임 내에 생성하는 단계; 및
    ⅱ) 상기 ⅰ) 단계에서 생성된 멀티 홉 전송 정보 메시지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각 단말기간의 무선 채널을 통해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ⅰ) 상기 출발 단말기는 제1 무선 채널의 상태를 감지하고, 채널이 쉬고(IDLE)있는 상태에서 상기 멀티 홉 데이터 송신 요구(RTS) 신호를 상기 경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ⅱ) 상기 경유 단말기는 상기 RTS 신호가 정상 수신하고 송신 완료(Clear To Send, CTS) 신호를 상기 출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ⅲ) 상기 출발 단말기는 상기 CTS 신호를 정상 수신하면, 상기 제1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멀티 홉 데이터를 상기 경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ⅳ) 상기 경유 단말기는 상기 멀티 홉 데이터를 정상 수신한 경우에, 상기 ACK/RTS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채널을 통해 출발 단말기와 목적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ⅰ) 상기 목적 단말기는 경유 단말기로부터 ACK/RTS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경유 단말기로 CTS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ⅱ) 상기 ⅰ) 단계에서 CTS 신호를 수신한 경유 단말기는 상기 멀티 홉 데이터를 목적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ⅱ) 단계에서 멀티 홉 데이터를 수신한 목적 단말기는 상기 경유 단말기로 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30083937A 2003-11-25 2003-11-25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50050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937A KR20050050236A (ko) 2003-11-25 2003-11-25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937A KR20050050236A (ko) 2003-11-25 2003-11-25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236A true KR20050050236A (ko) 2005-05-31

Family

ID=3866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937A KR20050050236A (ko) 2003-11-25 2003-11-25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2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77B1 (ko) * 2010-03-10 2012-01-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신장치, 중계장치, 수신장치 및 그 프레임 송신방법, 중계방법, 수신방법
KR101450869B1 (ko) * 2007-07-25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의무를 위임하여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WO2015089457A1 (en) * 2013-12-13 2015-06-18 M87, Inc. Methods and systems of secure connections for joining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US9414434B2 (en) 2013-11-27 2016-08-09 M87, Inc. Concurrent uses of non-cellular interfaces for participating in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69B1 (ko) * 2007-07-25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의무를 위임하여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KR101103077B1 (ko) * 2010-03-10 2012-01-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신장치, 중계장치, 수신장치 및 그 프레임 송신방법, 중계방법, 수신방법
US9414434B2 (en) 2013-11-27 2016-08-09 M87, Inc. Concurrent uses of non-cellular interfaces for participating in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US10771144B2 (en) 2013-11-27 2020-09-08 M87, Inc. Concurrent uses of non-cellular interfaces for participating in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WO2015089457A1 (en) * 2013-12-13 2015-06-18 M87, Inc. Methods and systems of secure connections for joining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US10136311B2 (en) 2013-12-13 2018-11-20 M87, Inc. Methods and systems of secure connections for joining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US10575170B2 (en) 2013-12-13 2020-02-25 M87, Inc. Methods and systems of secure connections for joining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US11064355B2 (en) 2013-12-13 2021-07-13 M87, Inc. Methods and systems and secure connections for joining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US11832097B2 (en) 2013-12-13 2023-11-28 M87, Inc. Methods and systems and secure connections for joining wireless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4554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391789B2 (en) Ad-hoc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5565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ision avoidance in mobile multi-hop packet radio networks
KR100739765B1 (ko) 무선랜에서 사용되는 제어 응답 프레임의 포맷을 결정하는액세스 포인트 장치
JP462250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433291B1 (en) Method for multihop routing for distributed wlan networks
US7376100B2 (en) Channel assigning method for ad-hoc network
US20040157637A1 (en) Transit link coord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distribu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4666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MAC protocol using multi-tone synchronous collision resolution
US200601666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the same time slot of the same channel by multiple pairs of devices via a direct link protocol
US2005014154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dapting priority for transmitting packets in WPAN
US76234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network negotiation
JP4633720B2 (ja) メディアアクセスプロトコルを提供する方法
Haas et al. Collision-free medium access control scheme for ad-hoc networks
US20190289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ulti-hop network
JP359903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局
JP2008172283A (ja)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の構成方法、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50050236A (ko) 무선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Ye et al. A jamming‐based MAC protoco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ireless multihop ad‐hoc networks
JP4185424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端末
Wang et al. An improved busy-tone solution for collision avoidance in wireless ad hoc networks
US20110255442A1 (en) Method of reducing occurrence of masked nodes, a nod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US20100067506A1 (en) Wireless network
JP2002057677A (ja) 無線パケット送信方法
JP2006005653A (ja) 無線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