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041A - 몸통단련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몸통단련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041A
KR20050050041A KR1020040096400A KR20040096400A KR20050050041A KR 20050050041 A KR20050050041 A KR 20050050041A KR 1020040096400 A KR1020040096400 A KR 1020040096400A KR 20040096400 A KR20040096400 A KR 20040096400A KR 20050050041 A KR20050050041 A KR 20050050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esistance
support frame
frame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148B1 (ko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석 filed Critical 최윤석
Publication of KR2005005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통 근육을 단련하여 강화함에 있어서, 장요근의 협응을 억제하여 복근만을 운동하며, 슬곡군근과 둔근군의 협응을 억제하여 척추기립근만을 운동할 수 있도록 각 링크의 각조절되는 수단에 의해 등판의 회전운동이 체증 및 체감되는 각도변이를 통해 몸통 근육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하조절이 가능한 의자와 상기 의자 후면 좌우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을 수평프레임상에 입설하되, 상기 대칭된 제1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제1고정축에 지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제1고정축과 대칭되게 형성된 등판 고정축에 의해 등판 지지프레임이 회전운동을 하는 등판 회전수단;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별개의 링크로 연결하여 등판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운동시, 각 링크의 각도변이가 적용되는 지지프레임의 회전운동과 결합되어 구성되는 링크 각 조절수단; 상기 등판 회전수단에 링크로 연결되어 등판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시, 일정한 힘의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으로 구성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몸통단련 운동기구{Exercising apparatus to train trunk}
본 발명은 상체 근육 가운데 몸통 근육군인 복근, 척추 기립근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키는 몸통단련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근과 척추 기립근으로 이루어진 몸통 근육의 움직임에서 골반의 협응성을 낮추며 척추의 움직임 형태를 시뮬레이션화 해서 복근군과 기립근군 부위에 집중적으로 운동부하를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체 척추의 움직임이 각 링크에 의해 원호운동을 하게 될 때, 각 링크에 의해 등판의 회전 운동이 체증 및 체감되는 각도변이를 통해 복근과 척추 기립근의 근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 몸통단련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면서 운동부족으로 인해 만성질환 및 기형적인 몸 체형으로 인해 부위별로 전문화된 운동처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현대인들은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복부 비만으로 인해 복부 비만 체질개선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단순히 런닝 등과 같이 전신 운동을 하거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윗몸 일으키기 등과 같이 부위별 운동으로 복부 비만을 해결하려고 하고 있지만 별다른 실효성은 없는 실정이다.
복부 비만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될 때에는 활동상의 장애를 받게 되고, 인체의 중심을 지탱하고 있는 척추에도 무리를 가하게 되며, 성인병 및 다양한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복부 비만을 해결하기 위해 복근을 집중적으로 단련함으로 인해 비만체질을 개선하려는 선출원된 특허 제1992-19390호인 "복근운동구"를 살펴보면, 프레임에 한쌍의 전, 후방다리가 부착되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등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그 전방부가 부하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유동하는 운동부하수단과; 상기 운동부하수단의 선단부에 그 양측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무릎을 지지하여 주는 무릎걸이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내장되어 전방으로 수평하게 출몰하는 다리지지대와; 상기 다리지지대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발을 지지하여 주는 발걸이와; 상기 무릎걸이와 발걸이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근운동기구는 상체의 몸통의 주요 근육군인 복근군과 척추 기립근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리 운동과 허벅지 운동까지 병행하여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인체 척추의 움직임을 단순 링크에 의한 원호운동의 작용으로 인해 등판의 회전 운동이 일정 회전 운동만 형성됨으로 인해 몸통 근육과 고관절 근육이 협응되는 현상이 일어나며, 특히 등판 패드가 신체 일부에서 이탈이 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나 효과면에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상체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복근을 단련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장요근의 협응으로 인해 복근만의 운동이 불가능하며, 척추 기립근을 단련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 슬곡근군과 둔근군의 협응으로 인해 척추 기립근만의 운동이 불가능하여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인체의 몸통을 지탱하는 복근 및 척추 기립근의 운동만을 집중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인체의 척추 움직임이 각 링크에 의해 등판의 회전 운동이 체증 및 체감을 동시에 행하는 각도변이를 통해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장요근의 협응을 억제하여 복근만의 수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슬곡근군과 둔근군의 협응을 억제하여 척추 기립근만의 수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부위별 저항(웨이트) 운동을 통해 비만 체질을 개선하면서 해당 근육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체의 몸통 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하여 상체를 상·하 교대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수평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하조절이 가능한 의자와 상기 의자 후면 좌우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을 수평프레임상에 입설하되, 상기 대칭된 제1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제1고정축에 지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제1고정축과 대칭되게 형성된 등판 고정축에 의해 등판 지지프레임이 회전운동을 하는 등판 회전수단;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별개의 링크로 연결하여 등판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운동시, 각 링크의 각도변이가 적용되는 지지프레임의 회전운동과 결합되어 구성되는 링크 각 조절수단; 상기 등판 회전수단에 링크로 연결되어 등판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시, 일정한 힘의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으로 구성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를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1)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1)의 측면도이고, 도3abcde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1)의 링크 각 조절수단(B)에 의한 각 운동변이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1)의 작동시 생성되는 궤적의 생성과정을 도시한 측면 궤적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프레임(3)상에 축고정된 지지프레임(12)에 등판 지지프레임(15)을 프레임 연결대(14)에 의해 축고정되게 연결하여 등판 회전수단(A)을 형성하고,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5)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원호운동과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원호운동이 결합되게 하되, 링크 각 조절수단(B)을 구성하는 각 링크에 의해 등판(10)의 원호 운동이 체증 및 체감을 행하는 각도변이를 통해 몸통 근육인 복근과 척추 기립근의 수축과 팽창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각 링크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되게 하며, 제2수직프레임(4)상의 제3고정축(40)에 축고정된 저항링크를 형성하여 일정 저항을 제공하도록 쇼버로 이루어진 저항제공수단(C)과 연결되게 하여 등판(10)의 회전 운동에 따라 복근과 척추 기립근을 집중적으로 단련할 수 있도록 저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수평프레임(2)을 일정 간격 이격하여 대칭되게 형성하되, 제1,2,3 연결대(2a,2b,2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하여 안정된 형상으로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연결대(2a)의 소정의 위치에 제2수직프레임(4)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대(2b)의 소정의 위치에 상·하로 조절이 가능한 의자(5)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3 연결대(2c)의 소정의 위치에 발걸이(6)가 고정 설치되게 구성하며, 상기 수평프레임(2)의 중간 부위에 제1수직프레임(3)을 대칭되게 고정 설치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3)의 외측 상단 부위에 'ㄷ'자 형상의 지지프레임(12)의 하단이 제1고정축(11)에 의해 축고정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단에 등판 고정축(13)을 형성하여 프레임 연결대(14)가 샤프트(14a,14b)에 의해 축고정되게 하여 등판(10)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등판 지지프레임(15)에 의해 지지되는 등판 회전수단(A)을 구비한다.
상기 등판 회전수단(A)은 제1고정축(11)에 축고정된 지지프레임(12)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원호운동과 등판 고정축(13)에 축고정된 등판 지지프레임(15)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원호운동이 결합하여 인체의 복근과 척추 기립근의 수축 및 팽창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되, 링크 각 조절수단(B)을 구성하는 각 링크에 의한 각도변이를 이용한 회전운동이 발생되게 하는데, 그 구성을 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의 하단에 형성된 제1고정축(11)과 대칭되게 상단에 등판 고정축(13)이 형성되게 하여 프레임 연결대(14)에 의해 연결되게 하되, 상기 프레임 연결대(14)의 일측은 샤프트(14a,14b)에 의해 등판 고정축(13)에 축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타측은 등판 지지프레임(15)에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등판 고정축(13)에 축고정된 프레임 연결대(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일측 하단에 지지프레임(12)의 자체 무게를 상쇄시키기 위한 저항체(18a)를 형성한다.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5)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판(10)을 형성하되, 양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17)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양팔을 얹은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팔걸이대(16)를 대칭되게 형성하며, 일측 하단에 등판 지지프레임(15)의 자체 무게를 상쇄시키기 위한 저항체(18b)를 형성하고,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5)의 후면 소정의 위치에 제1링크 고정대(21)와 제1저항링크 고정대(31)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1링크(20)와 제1저항링크(30)에 의해 링크 각 조절수단(B) 및 저항제공수단(C)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 각 조절수단(B)은 제1,2,3링크(20,23,27)가 볼조인트에 의해 연결되게 하되, 상기 제1링크(20)는 등판 지지프레임(15)에 결합되고, 상기 제3링크(27)는 지지프레임(12)에 결합되게 하여 제1고정축(11)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지지프레임(12)의 회전운동과 등판 고정축(13)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등판 지지프레임(15)의 회전운동이 결합하여 각 링크에 의해 발생하는 각도변이를 이용한 궤적의 회전운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링크 고정대(21)에 형성된 장홈의 고정홈(21a) 소정의 부위에 제1링크(20)의 일측에 형성된 볼조인트(22a)가 결합되게 하고, 상기 제1링크(20)의 타측에 형성된 볼조인트(22b)는 제2링크(23)의 일측에 형성된 제2링크 고정대(24)의 고정홈(24a) 소정의 부위에 결합이 되게 하며, 상기 제2링크(23)의 타측은 제1수직프레임(3)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제2고정축 지지대(25a)에 지지되어 있는 제2고정축(25)에 축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링크(23)의 형상은 원활한 각도변이를 위해 'L'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는 부위에 제2링크 연결대(26)를 형성한 후, 장홈의 고정홈(26a) 소정의 부위에 제3링크(27)의 일측에 형성된 볼조인트(28a)와 결합이 되게 하고, 상기 제3링크(27)의 타측에 형성된 볼조인트(28b)는 제1고정축(11)에 축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지지프레임(12)의 소정의 부위에 결합되게 하여 각 링크에 의해 전달되는 각 운동변이에 따라 등판이 일정한 형태의 궤적을 이루면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5)의 후면 소정의 위치에 제1저항링크 고정대(31)를 형성하여 등판 회전수단(A)의 작동에 의한 회전운동시, 일정 힘의 크기의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C)을 구비하는데, 상기 저항제공수단(C)은 제1저항링크 고정대(31)에 형성된 장홈의 고정홈(31a) 소정의 부위에 제1저항링크(30)의 일측에 형성된 볼조인트(32a)가 결합되게 하고, 상기 제1저항링크(30)의 타측에 형성된 볼조인트(32b)는 제2저항링크(33)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대(34)의 장홈의 고정홈(34a) 소정의 부위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 제2저항링크(33)의 타측은 제3고정축(40)에 축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하는데, 상기 제3고정축(40)은 제2수직프레임(4)의 상단에 형성된 제3고정축 지지대(41)에 설치되어 지지하되, 상기 제3고정축 지지대(41)의 양측에 형성된 제3고정축(40)을 샤프트(40a)에 의해 연결되게 하여 저항제공수단(C)에 의한 저항을 등판 회전수단(A)에 공급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고정축(40)에 축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제2저항링크(33)의 타측상에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설치된 복근 저항제공대(35)와 척추 기립근 저항제공대(37)를 형성하여 복근 저항수단(36) 및 척추 기립근 저항수단(38)과 연결되게 하되, 상기 저항수단은 쇼버를 사용하여 일정 힘의 저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저항수단은 신장될 때 저항을 제공하는 2개의 신장쇼버를 형성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근 저항수단(36)의 일측은 복근 저항제공대(35)에 형성된 장홈의 고정홈(35a) 소정의 부위에 결합되게 하고, 타측은 후방의 수평프레임(2)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저항수단 고정대(39)와 결합되게 하되, 상기 저항수단 고정대(39)에 형성된 장홈의 고정홈(39a)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척추 기립근 저항수단(38)의 일측은 척추 기립근 저항제공대(37)에 형성된 장홈의 고정홈(37a) 소정의 부위에 결합되게 하고, 타측은 저항수단 고정대(39)에 형성된 장홈의 고정홈(39a)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가 등판 지지프레임(15)의 상단 팔걸이대(16)에 팔을 얹은 후, 손잡이(17)를 잡고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를 회전하여 작동하게 되면, 단순 원호운동에 의해 상체를 폈다 구부리는 운동이 아니라 링크 각 조절수단(B)에 의한 각 링크에 의해 몸통 근육인 복근과 척추 기립근의 수축과 팽창을 최대화할 수 있는 궤적을 형성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몸통단련 운동기구(1)가 작동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의자(5)에 착석하고, 발걸이(6)에 발을 걸어 안정된 상태에서 양팔을 벌려 등판 지지프레임(15)의 상단에 형성된 팔걸이대(16)에 팔을 얹은 후, 양손에 각 손잡이(17)를 잡고 인체의 등 부위를 등판(10)에 맞닿도록 하여 상·하로 구동을 하면, 각 링크에 의해 등판(10)의 회전운동이 체증 및 체감을 행하는 각도변이를 따라 사용자의 상체가 따라서 움직이게 되는데, 이 때 등판(10)의 회전운동은 각 링크에 의한 각도변이에 따라 인체의 몸통 근육인 복근과 척추 기립근의 수축과 팽창이 극대화되고, 상기 등판(10)이 회전운동시 인체의 맞닿은 등부위에서 유동없이 안정된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구동을 하게 된다.
인체의 척추 중에 흉추와 요추의 움직임은 단순 관절에 의한 움직임이 아니라 복합 관절운동으로서, 등판(10)의 각운동 변이와 등판 고정축(13)의 각운동 변이가 각각 상이한 가속도 변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2)의 회전운동이 등판(10)의 회전운동에 종속되게 하여 체증하거나 정방향에서 역방향의 회전운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등판(10)이 등판 고정축(13)에 축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할 때, 제2링크(23)의 회전운동이 체증되게 링크의 위치를 구성하되, 상기 제2링크(23)의 수직으로 교차된 부위에 결합된 제3링크(27)가 지지프레임(12)에 연결되게 하여 지지프레임(12)의 체증구간의 위치에 놓이게 함으로써, 등판 고정축(13)은 지지프레임(12)의 각 운동변이 즉, 체증 또는 역방향에서 정방향구간의 체증으로 회전운동되어 등판(10)의 전체 각도변이는 체증 또는 역방향에서 정방향 구간으로 이동하면서 체증하게 되는 것으로, 도3abcde를 중심으로 하여 등판(10)의 각 운동변이가 각 링크에 의해 형성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등판 지지프레임(15)의 상단에 형성된 팔걸이대(16)에 양팔을 얹고, 각 손잡이(17)를 잡아 인체의 등 부위를 등판(10)에 맞닿게 한 후, 상·하로 서서히 작동하여 등판(10) 부위가 ∠α로 원호운동을 하여 제1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링크(20)의 양측에 형성된 볼조인트(22ab)에 의해 소정의 각이 흡수되어 제2링크(23)가 이동하는 ∠β는 ∠α에 비해 작은 원호운동을 하게 되고, 제2링크(23)의 수직으로 교차된 부위에 형성된 제2링크 연결대(26)의 짧은 원호운동으로 제3링크(27)와 연결되는 제2링크 연결대(26)가 이동하는 ∠β'는 보다 작은 원호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구간에서는 아직까지 ∠γ와 ∠γ'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이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0) 부위가 ∠αⅠ으로 원호운동을 하여 제2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링크(20)의 양측에 형성된 볼조인트(22a,b)에 의해 소정의 각이 흡수되어 제2링크(23)가 이동하는 ∠βⅠ은 ∠αⅠ에 비해 작은 원호운동을 하게 되고, 제2링크 연결대(26)는 짧은 원호운동으로 제3링크(27)와 연결되는 제2링크 연결대(26)가 이동하는 ∠β'Ⅰ은 보다 작은 원호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구간에서는 ∠γⅠ와 ∠γ'Ⅰ이 서서히 움직임이 나타나게 된다.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0) 부위가 ∠αⅡ로 원호운동을 하여 제3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링크(23)가 이동하는 ∠βⅡ는 ∠αⅡ에 비해 작은 원호운동을 하게 되지만 상기 제2링크(23)는 점차로 등판(10)쪽으로 운동거리가 증가하여 체증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제2링크 연결대(26)의 짧은 원호운동으로 제3링크(27)와 연결되는 제2링크 연결대(26)가 이동하는 ∠β'Ⅱ 또한 등판(10) 부위로 점차로 운동거리가 증가하여 체증하게 되면서 이에 따라 제3구간에서는 ∠γⅡ와 ∠γ'Ⅱ는 점진적으로 이동하여 원호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0) 부위가 ∠αⅢ로 원호운동을 하여 제4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링크(23)가 이동하는 ∠βⅢ는 ∠αⅢ에 비해 작은 원호운동을 하게 되지만 상기 제2링크(23)는 지속적으로 운동거리가 증가하여 계속 체증하게 되고, 제2링크 연결대(26)의 짧은 원호운동으로 제3링크(27)와 연결하는 제2링크 연결대(26)가 이동하는 ∠β'Ⅲ 또한 지속적으로 운동거리가 체증하게 되면서 이에 따라 제4구간에서는 ∠γⅢ는 확연하게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γ'Ⅲ도 확연히 증가하여 등판(10) 부위를 이송하게 된다.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0) 부위가 ∠αⅣ로 원호운동을 하여 제5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링크(23)가 이동하는 ∠βⅣ는 ∠αⅣ에 비해 작은 원호운동을 하게 되지만 상기 제2링크(23)는 계속적으로 운동거리가 증가하여 체증하게 되고, 제2링크 연결대(26)의 짧은 원호운동으로 제3링크(27)와 연결하는 제2링크 연결대(26)의 이동하는 ∠β'Ⅳ 또한 계속적으로 운동거리가 증가하여 체증하면서 이에 따라 제5구간에서는 ∠γⅣ는 운동거리가 계속 증가하여 체증하게 되고, ∠γ'Ⅳ도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체증하면서 등판(10) 부위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등판(10)의 회전운동이 등판 고정축(13)에 의한 단순 회전운동이 아니라 링크 각 조절수단(B)의 각 링크에 의해 전달되는 각 운동변이에 의한 지지프레임(12)의 회전운동과 결합되게 하는데, 제1고정축(11)에 축고정된 지지프레임(12), 등판 고정축(13)에 축고정된 등판 지지프레임(15), 제1,2,3링크(20,23,27)가 각각 하나의 링크 역활을 하게 되어 인체의 등부위에 맞닿은 등판(10)이 회전운동에 의해 등부위에서 이탈되거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인체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인체의 몸통, 즉 복근과 척추 기립근의 수축과 팽창을 극대화하여 운동 효율성을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5)에 착석하여 등판 지지프레임(15) 상단의 팔걸이대(16)에 양팔을 얹은 후, 손잡이(17)를 잡고 상·하로 회전운동을 할 때, 저항제공수단(C)을 이용하여 복근 또는 척추 기립근 운동시 그에 해당하는 저항이 발생하도록 하는데,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5)을 최초 상태에서 하강을 하게 되면, 제1저항링크 고정대(31)에 결합되어 있는 제1,2저항링크(30,33)에 의해 상기 제2저항링크(33)의 타측에 형성된 복근 저항제공대(35)가 상승하게 되면서 복근 저항수단(36)인 쇼바는 신장하게 되는데, 이 때 일정한 힘의 저항을 제공하게 되어 인체의 복근은 수축하게 되면서 힘을 받게 되고, 척추 기립근은 팽창하게 되면서 복근 운동시 저항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5)을 상승하게 되면, 제1저항링크 고정대(31)에 결합되어 있는 제1,2저항링크(30,33)에 의해 상기 제2저항링크(33)의 타측에 형성된 척추 기립근 저항제공대(37)가 상승하게 되면서 척추 기립근 저항수단(38)인 쇼바는 신장하게 되는데, 이 때 일정한 힘의 저항을 제공하게 되어 인체의 척추 기립근은 수축하게 되면서 힘을 받게 되고, 복근은 팽창하게 되면서 척추 기립근 운동시 저항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몸통 근육의 단련시, 복근의 경우 장요근의 협응을 억제하고, 상·하복부의 차별된 단련과 척추 기립근의 경우 슬곡근군과 둔근군의 협응을 억제하고, 흉추와 요추의 기립근의 차별된 단련이 가능하도록 목표된 근육 부위에 접근도가 우수하여 운동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등판 고정축에 의한 회전운동시, 각 링크에 의해 체증 및 체감되는 각도변이가 적용되는 지지프레임의 회전운동과 결합이 되게 함으로써,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장요근의 협응을 억제하여 복근만의 운동이 이루어지며, 슬곡근군과 둔근군의 협응을 억제하여 척추 기립근만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인체의 등부위에 맞닿은 등판이 회전운동에 의해 이탈되거나 유동이 생기지 않아 회전운동시 인체의 안정성을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표 근육에 대한 접근도가 우수하며, 집중적인 근육 단련이 가능하여 운동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3abcde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의 링크 각 조절수단에 의한 각 운동변이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의 작동시 생성되는 궤적의 생성과정을 도시한 측면 궤적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등판 회전수단 B. 링크 각 조절수단
C. 저항제공수단
1. 몸통단련 운동기구 2. 수평프레임
2a. 제1연결대 2b. 제2연결대
2c. 제3연결대 3. 제1수직프레임
4. 제2수직프레임 5. 의자
6. 발걸이 10. 등판
11. 제1고정축 12. 지지프레임
13. 등판 고정축 14. 프레임 연결대
14ab. 샤프트 15. 등판 지지프레임
16. 팔걸이대 17. 손잡이
18ab. 저항체 20. 제1링크
21. 제1링크 고정대 21a. 고정홈
22ab. 볼조인트 23. 제2링크
24. 제2링크 고정대 24a. 고정홈
25. 제2고정축 25a. 제2고정축 지지대
26. 제2링크 연결대 26a. 고정홈
27. 제3링크 28ab. 볼조인트
30. 제1저항링크 31. 제1저항링크 고정대
31a. 고정홈 32ab. 볼조인트
33. 제2저항링크 34. 제2저항링크 고정대
34a. 고정홈 35. 복근 저항제공대
35a. 고정홈 36. 복근 저항수단
37. 척추 기립근 저항제공대 37a. 고정홈
38. 척추 기립근 저항수단 39. 저항수단 고정대
39a. 고정홈 40. 제3고정축
40a. 샤프트 41. 제3고정축 지지대

Claims (4)

  1. 상체의 몸통 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하여 상체를 상·하 교대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수평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하조절이 가능한 의자와 상기 의자 후면 좌우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을 수평프레임상에 입설하되, 상기 대칭된 제1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제1고정축에 지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제1고정축과 대칭되게 형성된 등판 고정축에 의해 등판 지지프레임이 회전운동을 하는 등판 회전수단;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별개의 링크로 연결하여 등판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운동시, 각 링크의 각도변이가 적용되는 지지프레임의 회전운동과 결합되어 구성되는 링크 각 조절수단; 상기 등판 회전수단에 링크로 연결되어 등판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시, 일정한 힘의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 회전수단은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제1고정축과 대칭되게 상단에 형성된 등판 고정축에 축고정되어 프레임 연결대에 의해 연결된 등판 지지프레임;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에 등판을 형성하되, 양측에 사용자가 양팔을 얹은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대칭되게 형성된 팔걸이대와 손잡이;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의 후면 소정의 위치에 링크 각 조절수단과 저항제공수단과 결합되는 제1링크 고정대와 제1저항링크 고정대;의 결합으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각 조절수단은 양측에 볼조인트가 형성되어 일측은 등판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제1링크 고정대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링크와 결합되는 제1링크; 일측은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1링크의 타측과 결합되고, 타측은 제1수직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제2고정축에 축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하되, 원활한 각도변이를 위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링크; 상기 'L'자 형상의 제2링크의 수직으로 교차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제3링크의 일측과 결합되게 고정홈을 가진 제2링크 연결대; 양측에 볼조인트가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제2링크 연결대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고정축과 등판 고정축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3링크;의 결합으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제공수단은 양측에 볼조인트가 형성되어 일측은 등판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제1저항링크 고정대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저항링크와 결합되는 제1저항링크; 일측은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저항링크의 타측과 결합되고, 타측은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제3고정축에 축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제2저항링크; 상기 제2저항링크의 타측상에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복근 저항수단과 척추 기립근 저항수단의 일측이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복근 저항제공대 및 척추 기립근 저항제공대; 상기 저항제공대 후방의 수평프레임 소정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복근 저항수단과 척추 기립근 저항수단의 타측이 결합되는 저항수단 고정대; 상기 저항제공대와 저항수단 제공대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시 일정 힘의 저항을 제공하는 복근 저항수단 및 척추 기립근 저항수단;의 결합으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단련 운동기구.
KR1020040096400A 2003-11-24 2004-11-23 몸통단련 운동기구 KR100603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3712 2003-11-24
KR1020030083712 2003-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041A true KR20050050041A (ko) 2005-05-27
KR100603148B1 KR100603148B1 (ko) 2006-07-25

Family

ID=3866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400A KR100603148B1 (ko) 2003-11-24 2004-11-23 몸통단련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71B1 (ko) * 2006-03-02 2008-03-17 최윤석 자동저항조절장치가 구비된 3차원 상체 운동기구
KR101525225B1 (ko) * 2012-08-13 2015-06-04 신광의료기산업(주)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71B1 (ko) * 2006-03-02 2008-03-17 최윤석 자동저항조절장치가 구비된 3차원 상체 운동기구
KR101525225B1 (ko) * 2012-08-13 2015-06-04 신광의료기산업(주)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148B1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154B1 (ko) 인체의 밸런스를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
JP5627466B2 (ja) 腹臥位式爬行運動器具
US7090628B2 (en) Exercise apparatus
US5472401A (en) Ramped, horizontal, on-bench adjustable stretch bench for relieving a user's back pain
JP2010506608A (ja) 外転筋収縮、変動可能な(variable)脚/膝/腿/胴体および脊髄減圧の運動装置およ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70290538A1 (en) Spine tensioning support chair
US5460587A (en) Linear movement, trunk muscle exercise method
US8771151B2 (en) Adjustable exercise apparatus simulating a kayak
US5147259A (en) Abdominal muscle exercise machine
US5957816A (en) Exercise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le coordination and joint stability during multiaxial movement patterns involving rotational force
US5630778A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JP6917031B2 (ja) 人の肩帯、腰帯、及び体幹筋を同時に訓練するための楕円運動器具
RU2155622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азработки и укрепления позвонковых суставов,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исправления осанки и его варианты
US6106490A (en) Torso exercise and traction machine with vibrational therapy pads
US20040147376A1 (en) Multi-axis resistance exercise device
KR101525225B1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CN109529262A (zh) 一种运动医学或康复科学偏瘫健身器
US5299998A (en) Linear movement, trunk muscle exercise machine
KR100603148B1 (ko) 몸통단련 운동기구
KR20110011842U (ko) 복근운동기구
CN110559600A (zh) 一种多功能健身椅
AU2004224932B2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JPH10286273A (ja) Ox脚矯正用器具
KR200389132Y1 (ko) 다목적 종합근력 강화운동기구
KR102243602B1 (ko) 재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