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975A -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975A
KR20050049975A KR1020030083757A KR20030083757A KR20050049975A KR 20050049975 A KR20050049975 A KR 20050049975A KR 1020030083757 A KR1020030083757 A KR 1020030083757A KR 20030083757 A KR20030083757 A KR 20030083757A KR 20050049975 A KR20050049975 A KR 20050049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mark
video content
list
input
playback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215B1 (ko
Inventor
조현욱
박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15B1/ko
Priority to US10/988,619 priority patent/US20050114897A1/en
Priority to CNA2004100957160A priority patent/CN1622612A/zh
Publication of KR2005004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36Handling of requests in head-e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모드시 특정 재생구간을 북마크로 등록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시 북마크 메뉴를 실행시켜 등록된 북마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리스트중 선택된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부터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METHOD FOR SERVING BOOK MARK OF MOVING PICTURE CONTENT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재생시 다시보고자 하는 재생구간을 북마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시 동영상 재생시 북마크된 그 재생구간부터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 영상데이터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기술발전을 통해 음성통화 기능외에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이 추가되어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캠코더 기능을 내장하여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재생하거나, 또한,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조회한후 그 영상 데이터를 다운받거나 실시간으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VOD(Video On Demand) 기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감상한다.
그러나, 종래의 동영상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동영상 감상중에 명장면 등을 다시 감상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재생되는 해당 동영상 콘텐트를 직접 사용자가 FF(Fast Forward. 이하, "빨리감기"), REW(Rewind. 이하, "되감기") 기능을 이용하여 다시 감상하고자하는 상기 명장면을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당히 빠르게 진행하는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시점을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기능의 키조작을 수회반복해야 할뿐만 아니라 정확한 재생구간을 찾기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동영상 감상시 다시 보고싶어하는 재생구간을 북마크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재생구간부터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영상데이터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북마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동영상 감상시 다시 감상하고자 하는 재생구간을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기능을 통해 찾을 필요없이 쉽고 빠르게 상기 재생구간부터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영상 감상시 북마크 서비스를 지원하여 재생중에 부득이하게 중지된 재생구간부터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북마크로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모드시 특정 재생구간을 북마크로 등록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시 북마크 메뉴를 실행시켜 등록된 북마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리스트중 선택된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부터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모드시 특정 재생구간을 북마크로 등록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시 북마크 메뉴를 실행시켜 등록된 북마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리스트중 선택된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부터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리스트 중 메뉴키에 의해 선택된 해당 북마크의 동영상 콘텐트를 관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관리 모드는 팝업메뉴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관리 항목, 즉, 콘텐트 정보, 북마크 추가, 북마크 삭제, 제목 변경과 내용 변경 및 검색 등을 제공하여 선택되는 관리 항목에 따라 해당 동영상 콘텐트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로컬 동영상 콘텐트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동영상 콘텐트를 의미하고,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동영상 콘텐트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저장된 동영상 콘텐트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오디오신호를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뉴키, 방향키, 북마크 등록키, 확인키, 취소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콘텐트를 북마크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박마크 리스트의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 정보와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되는 동영상 콘텐트의 제목이 저장되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로컬 동영상 콘텐트의 제공업체의 ID와 그 콘텐트에 따른 ID, 즉 식별자가 추가로 저장된다.
제어부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감상중 해당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을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부터 동영상 재생 및 북마크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카메라5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카메라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70은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 또는 상기 카메라50을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한다.
표시부8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카메라 촬영 모드시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 콘텐트와 북마크 리스트 및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부터 재생되는 동영상 콘텐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인물 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화면으로 표시 또는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50은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50은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에 촬영되는 영상은 내부의 CCD 센서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6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70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영상 데이터의 북마크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감상하고자 하는 동영상 콘텐트를 선택하여 감상한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 콘텐트에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다운로드한 로컬 동영상 콘텐트와 상기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는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로 크게 2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동영상 콘텐트를 감상하고 있는 중에 다시 감상하고자 하는 장면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키패드27을 조작하여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하고자 하면 제어부10은 이를 인식하여 상기 북마크에 관한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정보와 재생구간을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한후 메모리29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을 감상하고자 하면 상기 키패드27을 조작하여 북마크 리스트를 온하고, 그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를 선택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인식하고 상기 메모리29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에 해당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부8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조작하여 상기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를 관리하고자 해당 동영상 콘텐트를 선택하면 이를 인식하고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동영상 콘텐트 검색, 그 동영상 콘텐트에 관한 북마크 정보수정이 가능한 관리모드를 실행시켜 변경된 상기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정보를 메모리29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북마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2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대기모드에서 메뉴키 입력후 북마크 메뉴의 선택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북마크 메뉴를 선택하면 도 3의 (a)와 같이 표시부80에 표시하고 212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9에 저장된 북마크 리스트를 독출하여 표시부80에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80에 상기 북마크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서는 상기 메모리29에 특정 동영상 콘텐트 감상중 사용자가 다시 감상하고자 하는 재생구간과 그 특정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특정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이 북마크 되는 과정을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동영상 콘텐트는 상술한 바와같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메모리29에 저장된 로컬 동영상 콘텐트와 무선 인터넷을 통해 VOD(Video On Demand)서버에 접속하여 동영상 콘텐트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가 있다.
우선,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등록방법을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등록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을 참조하면, 4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동영상 재생모드를 선택하면 412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9에 다운로드 되어 저장된 다수의 로컬 동영상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4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로컬 동영상 콘텐트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로컬 동영상 콘텐트를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29로부터 그 해당 로컬 동영상 콘텐트를 독출하고, 414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처리부70을 통해 해당 로컬 동영상 콘텐트를 재생하도록 한다.
상기 414단계를 통해 로컬 동영상 콘텐트 재생중, 415단계에서 북마크 등록키가 입력되었는지 감지하여 상기 북마크 등록키가 입력되면 41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인식하고 입력되는 북마크 정보를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하여 메모리29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정보라 함은 북마크된 해당 로컬 동영상 콘텐트가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되기 위해 필요한 북마크 제목과 북마크 되는 재생구간을 의미하며, 그 북마크 되는 재생구간은 상기 북마크 등록키가 입력되는 시점을 북마크 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직접 북마크 하고자 하는 재생구간을 시간으로 입력할 수 도 있다.
다음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등록방법을 후술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등록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무선인터넷(WAP)을 통한 VOD서버의 접속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VOD서버에 접속하면 512단계로 진행하여 VOD서버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513단계에서 VOD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재생하고자 선택한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51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재생한다.
상기 514단계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중에 4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북마크 등록키의 입력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북마크 등록키가 입력되면 북마크 정보를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후 메모리29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리스트는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정보에 추가로 콘텐트 제공업체의 ID와 콘텐트 ID 및 콘텐트의 URL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212단계에서 제어부10은 상기 도 4와 도5를 통해 메모리29에 저장된 북마크 리스트를 표시부80에 디스플레이하고, 213단계에서 확인키 입력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확인키가 입력되면 그 확인키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콘텐트가 로컬 동영상 콘텐트인지 혹은,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인지를 감지한다.
반면, 상기 확인키가 입력되지 않고 북마크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제어부10이 214단계에서 메뉴키 입력여부를 감지한 결과 상기 메뉴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은 215단계로 진행하여 북마크 관리모드로 진입하여 그 관리모드에서 선택되는 관리항목에 대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 상기 북마크 관리모드에 대해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북마크 관리모드는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콘텐트 정보, 2. 북마크 추가, 3. 북마크 삭제, 4. 북마크 제목변경, 5. 북마크 검색" 등 으로 이루어져 확인키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상기 북마크 관리 항목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결과, 상기 "1. 콘텐트 정보"가 선택되면 제어부10은 메모리29에 저장된 해당 로컬 동영상 콘텐트 혹은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등록시 등록한 북마크 제목과 재생구간의 재생시간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일 경우에는 상기 북마크 제목과 함께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해당 URL과 콘텐트 제공업체의 ID와 콘텐트ID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공업체의 ID와 콘텐트 ID는 이후,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트를 다운하고자 희망할때 메모리29에 기 저장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식별자로 사용된다.
반면, 상기 "2. 북마크 추가"가 선택되면 제어부10은 메모리29에 저장된 해당 로컬 동영상 콘텐트 혹은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중 북마크하고자 하는 해당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을 사용자가 직접 추가로 북마크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원하는 재생구간을 북마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 상기 "3. 북마크 삭제"가 선택되면 제어부10은 메모리29에 저장된 해당 로컬 동영상 콘텐트 혹은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를 북마크 리스트로부터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없는 북마크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 상기 "4. 북마크 제목 변경"이 선택되면 제어부10은 메모리29에 저장된 해당 로컬 동영상 콘텐트 혹은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제목을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도록 원하는 제목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북마크 제목과 함께 간단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반면, 상기 "5. 북마크 검색"이 선택되면 제어부10은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되어 메모리29에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는 상기 북마크 리스트에 저장된 다수의 북마크중 사용자가 원하는 북마크의 동영상 콘텐트를 찾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확인키가 입력되면 222단계에서 제어부10은 그 확인키가 입력된 북마크 리스트의 해당 동영상 콘텐트가 로컬 동영상 콘텐트 인지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이면 223단계로 진행하여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되어 메모리29에 저장된 해당 로컬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구간을 독출하고 224단계를 통해 그 독출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구간부터 재생하여 225단계에서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의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부80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상기 212단계의 감지결과, 상기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이면 226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URL을 독출하여 227단계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VOD서버에 접속하고 228단계를 통해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된 재생구간부터 재생하여 네트워크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부8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북마크 리스트 디스플레이 환경을 변경하기 위해 로컬 동영상 콘텐트 또는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 재생중 북마크 메뉴보기를 선택하면 그 재생중인 동영상을 감상하는데 무리가 없는 색상으로 북마크 리스트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재생중인 동영상 콘텐트위에 디스플레이하여 재생중인 재생구간에서 곧바로 북마크 리스트중 선택한 재생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영상 감상시 다시 보고싶어하는 재생구간을 북마크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재생구간부터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구간을 북마크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히 등록된 북마크 리스트로부터 쉽게 다시 감상하고자 하는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을 선택함으로써, 빨리 감기, 되감기 기능을 이용하여 다시 보고싶어하는 장면을 찾을 필요 없이 빠른 시간안에 원하는 장면을 감상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북마크 리스트에 실시간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도 URL과 함께 북마크 함으로써 VOD서버에 접속하여 다시 보고자 하는 재생구간을 빨리 감기, 되감기 기능을 이용하여 찾던 시간동안 부과되던 통신 요금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도 1에 있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북마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등록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등록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등록된 북마크 리스트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1: RF부
23: 데이터 처리부 25: 오디오 처리부
27: 키패드 29: 메모리
50: 카메라 60: 신호 처리부
70: 영상 처리부 80: 표시부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Claims (8)

  1.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모드시 특정 재생구간을 북마크로 등록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시 북마크 메뉴를 실행시켜 등록된 북마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리스트중 선택된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부터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과정은 북마크로 등록된 북마크 리스트중 선택한 동영상 콘텐트가 저장된 로컬 동영상 콘텐트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이면 북마크된 재생구간부터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선택한 동영상 콘텐트가 로컬 동영상 콘텐트가 아닌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이면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URL로 접속하여 북마크된 재생구간부터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과정은 북마크 리스트 디스플레이중에 메뉴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메뉴키가 입력되면 선택된 해당 북마크의 동영상 콘텐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과정은 메뉴키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메뉴키가 입력되면 북마크 관리 항목을 팝업 메뉴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팝업 메뉴창에 디스플레이된 관리 항목중 선택되는 상기 관리항목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해당 동영상 콘텐트에 대한 관리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항목은 동영상 콘텐트 정보, 북마크 추가, 북마크 삭제와 북마크 제목 변경 및 북마크 검색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과정은 로컬 동영상 콘텐트 인지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인지 감지하여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이면 북마크 등록키가 입력되는 재생구간의 재생시간과 북마크 제목을 함께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이면 상기 북마크 등록키가 입력되는 재생구간의 재생시간과 북마크 제목 및 해당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URL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과정은 로컬 동영상 콘텐트 인지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인지 감지하여 상기 로컬 동영상 콘텐트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재생시간과 북마크 제목을 함께 북마크 리스트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재생시간과 북마크 제목 및 해당 네트워크 동영상 콘텐트의 URL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모드시 특정 재생구간을 북마크로 등록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시 북마크 메뉴를 실행시켜 등록된 북마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리스트중 선택된 동영상 콘텐트의 재생구간부터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리스트 중 메뉴키에 의해 선택된 해당 북마크의 동영상 콘텐트를 관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83757A 2003-11-24 2003-11-24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 KR100566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57A KR100566215B1 (ko) 2003-11-24 2003-11-24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
US10/988,619 US20050114897A1 (en) 2003-11-24 2004-11-16 Bookmark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picture content
CNA2004100957160A CN1622612A (zh) 2003-11-24 2004-11-24 用于运动图像内容的书签服务装置与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57A KR100566215B1 (ko) 2003-11-24 2003-11-24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975A true KR20050049975A (ko) 2005-05-27
KR100566215B1 KR100566215B1 (ko) 2006-03-29

Family

ID=3458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757A KR100566215B1 (ko) 2003-11-24 2003-11-24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14897A1 (ko)
KR (1) KR100566215B1 (ko)
CN (1) CN162261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862B1 (ko) * 2005-08-25 2006-12-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의 북마크 표시방법, 북마크된 디지털이미지의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KR100661179B1 (ko) * 2005-11-01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플레이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090126349A (ko) * 2008-06-04 2009-12-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동영상 마킹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WO2011038012A3 (en) * 2009-09-25 2011-07-21 Sony Corporation Video bookmarking
US8082503B2 (en) 2005-10-24 2011-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ving picture clip and/or displaying content file lis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138394B1 (ko) * 2006-12-06 201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서버 및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1479C (zh) * 2004-05-03 2009-09-16 Lg电子株式会社 为联网的媒体服务器中所存储的内容管理书签信息的方法和装置
KR100690819B1 (ko) * 2005-07-2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서비스의 북마크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동작 방법
KR100776293B1 (ko) * 2005-12-06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859142A (zh) * 2006-03-08 2006-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播放方法和系统
CN101115192B (zh) * 2006-07-25 2010-09-01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数码视频录像机的多信道标签设置方法
KR101235341B1 (ko) * 2006-10-19 2013-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JP5422816B2 (ja) * 2007-05-08 2014-02-19 ティーピー ビジョン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複数のビデオチャネルから視聴のための1つ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312376B2 (en) * 2008-04-03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Bookmark interpretation service
KR20110101051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북마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35041A (ko) * 2010-10-04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퍼링크의 주소를 북마크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055313A1 (en) * 2011-08-31 2013-02-28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from a plurality of content sources
JP5825937B2 (ja) * 2011-08-31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4716A1 (en) * 2000-07-24 2006-03-23 Vivcom, Inc. Techniques for navigating multiple video streams
US7047201B2 (en) * 2001-05-04 2006-05-16 Ssi Corporation Real-time control of playback rates in presentation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862B1 (ko) * 2005-08-25 2006-12-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의 북마크 표시방법, 북마크된 디지털이미지의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US8082503B2 (en) 2005-10-24 2011-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ving picture clip and/or displaying content file lis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8762848B2 (en) 2005-10-24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ving picture clip and/or displaying content file lis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9100725B2 (en) 2005-10-24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ving picture clip and/or displaying content file lis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0661179B1 (ko) * 2005-11-01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플레이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1138394B1 (ko) * 2006-12-06 201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서버 및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KR20090126349A (ko) * 2008-06-04 2009-12-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동영상 마킹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WO2011038012A3 (en) * 2009-09-25 2011-07-21 Sony Corporation Video bookmarking
KR101352692B1 (ko) * 2009-09-25 2014-01-16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북마킹
US8705933B2 (en) 2009-09-25 2014-04-22 Sony Corporation Video bookmarking
US9997200B2 (en) 2009-09-25 2018-06-12 Saturn Licensing Llc Video bookmar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2612A (zh) 2005-06-01
KR100566215B1 (ko) 2006-03-29
US20050114897A1 (en) 200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215B1 (ko) 동영상 콘텐트의 북마크 서비스 방법
US201100395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EP2489035A1 (en) Voice pattern tagged contacts
JP2016517253A (ja) 音声通話方法、音声再生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KR20080035382A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저장장치 및 방법
KR20100041108A (ko)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5939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표시방법
US20080062251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6780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북 서비스 방법
CN111787408A (zh) 多类型多媒体混合播放的处理方法、播放装置及存储介质
KR10059414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재생방법
KR101448617B1 (ko) 화상 통신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방법
JP2006074538A (ja) 無線通信端末
KR100652760B1 (ko) 이동단말기의 비디오 파일 검색 방법
JP4987108B2 (ja) 携帯電話機
KR1007063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775190B1 (ko) 멀티미디어 합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0678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방법
KR10061782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mp3파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67804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단축키를 통한 사용자 데이터 검색방법
KR100605960B1 (ko) 영상 콘텐트 재생을 통한 광고 방송방법
KR10060599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메모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