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290A - 부직포 이형지 - Google Patents

부직포 이형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290A
KR20050049290A KR1020030088460A KR20030088460A KR20050049290A KR 20050049290 A KR20050049290 A KR 20050049290A KR 1020030088460 A KR1020030088460 A KR 1020030088460A KR 20030088460 A KR20030088460 A KR 20030088460A KR 20050049290 A KR20050049290 A KR 20050049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olypropylene
yarn
nonwoven
tensil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심재헌
유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ublication of KR2005004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29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축 연신되어 MD방향 비신장성과 인장강도가 증진된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와;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 접착된 코팅 기층필름과; 코팅기층 필름 상면에 조성된 이형제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한 부직포 이형지로서, 본 발명은 무소음 이형지를 제공하고; 유연성이 좋은 이형지를 제공하고; 부직포를 기재로 사용하는 이형지를 제공하고; 이형제 코팅라인에서 MD방향 변화가 없도록 인장 내력을 강화시킨 부직포 기재 이형지를 제공하고; 인장 내력강화 부직포기재와 중간층으로 이형제 코팅 기층 필름과 이형제 층으로 적층된 3층 구조 이형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리용품에 사용시 소음의 발생이 없어 수요자 기피 현상을 방지하고, 유연성이 좋아 이용자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부직포 이형지 {Non-woven textile fabrics separation paper}
본 발명은 부직포 이형지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 도포면을 포함하는 상품은 점착제 도포면 상부에 점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가 덮혀 있다. 이형지는 상품의 유통 과정에서 점착제 도포면에 이물질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한다. 점착면을 사용 하자면 이형지를 벗기고 점착면을 피착부에 부착한다. 여성 위생용품인 일회용 생리대에 이형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형지는 생리대의 배면에 도포되어 있으며 생리대를 착용하자면 이형지를 벗기고 생리대를 의류에 부착한다. 도1에 페이퍼 이형지의 구조를 인용하였다. 도1의 부호 100은 페이퍼층을, 부호 110은 이형제 코팅층을 보인것이다. 종래의 이형지는 대체로 강인한 섬유지의 일면에 이형 코팅층을 조성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제조라인에서 MD방향 장력에 늘어나지 않고 파손되지 않는 안정성을 보이므로 정확한 크기로 절단 할 수 있다. 종래 이형지 특성 중 하나는 이형지가 소음을 발생하는 것이다. 생리대에 사용된 이형지는 점착층에서 분리될 때, 구겨질 때, 다른 재료와 마찰될 때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형지는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소비자들로부터 기피되고 있으며, 이형지의 복합 구성은 환경 친화적 요건이 결여되어 있고 재활용 성도 없다. 종래 이형지의 또 다른 특성은 강한 페이퍼의 빳빳한 성질을 가지는 점이다. 이점도 위생용품에 사용 시 소비자들로부터 기피되는 현상이다. 위생용품에서 고품질의 이형지는 박리되거나, 구겨지거나, 버려지거나 다른 재료와 마찰 될 때 소음을 발생하지 않고, 부드러운 이형지이다.
감촉이 부드럽고 무소음성인 재료로 부직포가 있다. 부직포는 섬유파일이 자유 조직으로 적층된 소재로 무탄성, 무소음 재활용성 재료지만 이형지 제조라인에서 MD방향 인장력을 견디지 못하고 변형되어 정밀 규격 절단이 불가하고, 종이보다 절단의 난이도가 높다. 이형지는 조립속도 200개/min 이상의 라인스피드를 유지하는 위생용품 제조라인에 사용되는 부품 규격을 만족시켜야 되므로 이형제 코팅 라인에서 MD방향 비신장성, 비탄성, 안정성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 무소음성, 재활용이 구비된 이형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를 기재로 사용하는 이형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연성이 좋은 이형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형지 부착라인에서 MD방향 변화가 없도록 인장 내력 및 비신장성을 강화시킨 부직포 기재 이형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인장 내력강화 부직포기재와 중간층으로 이형제 코팅 기층 필름과 이형제 층으로 적층된 3층 구조 이형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층재 상면에 이형제 코팅층을 조성하여 된 것에 있어서,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와;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에 접착된 코팅 기층필름과; 코팅기층 필름 상면에 조성된 이형제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한 부직포 이형지이다.
상기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면사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MD방향 10~900% 연신하여 인장 내력이 강화된 부직포이다. 상기 다른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엠보싱 하여 인장내력을 강화시킨 부직포이다. 상기 다른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면사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0~10% 연신 상태로 가열하고 폭을 수축시켜서 MD방향 인장내력이 강화된 부직포이다. 상기 다른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연신 처리, 가열 수축시킨 넥킹 처리, 엠보싱 처리, 가열 경화 처리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처리 된 부직포인 MD방향 인장내력을 강화시킨 부직포 이다. 상기 다른 인장 내력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로서 엠보싱된 부분의 면적이 30% 이상인 부직포이다. 상기 다른 인장내력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로서 엠보싱 모양이 MD방향 직선 엠보싱인 부직포 이다.
상기 코팅 기층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 성형용 폴리머를 1 ~ 70g/㎡로 압출 성형하면서 필름의 냉각롤에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를 라미네이션 접착하여 제조된다. 코팅 기층 필름은 녹는점 180℃ 미만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이다. 상기 이형제 도막은 실리콘 이형제 도막이다.
본 발명을 실시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서, 부직포 섬유를 MD방향으로 재배열하여 MD방향 비신장성과 인장강도가 증진된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10)와;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에 접착된 코팅기층필름(20)과; 코팅기층 필름 상면에 조성된 이형제 코팅층(30)을 구성한 무소음 부직포 이형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형지에 포함시킨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는, 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1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면사부직포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MD방향 1 ~ 9배 신장하고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가격을 고려하면 폴리프로필렌계열의 부직포가 적당하다. 도3에 부직포 섬유를 MD방향으로 재배열하여 인장내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연신장치가 인용되었다. 인장전 부직포(10a)는 공급롤(51,52)과 인장롤(53,54)사이에 물려있다. 공급롤(51,52)은 미신장 부직포(10a)를 인장롤(53,54) 방향으로 공급하고, 인장롤(53,54)은 공급롤(51,52)의 공급속도 보다 빠르게 부직포를 이송시켜 좌우 롤 사이에서 부직포(10b)를 인장하여 인장내력 강화부직포 기재(10)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연신장치에는 부직포를 연신하기 위해 부직포를 가열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4에 다른 인장내력 강화 장치를 인용하였다. 인장전 부직포(10a)는 공급롤(51,52)과 인장롤(53,54)사이에 물려있다. 공급롤(51,52)은 미신장 부직포(10a)를 인장롤(53,54) 방향으로 공급하고, 인장롤(53,54)은 공급롤(51,52)의 공급속도 보다 빠르게 부직포를 이송시켜 좌우 롤 사이에서 부직포(10b)를 인장하고, 인장과정에서 부직포를 오븐(55)으로 가열(인장전 또는 인장 후 가열포함)함으로써 특성이 안정화된 인장내력 강화부직포 기재(10)를 제조하는 것이다.
도5에서 인장전 부직포(10a)와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10)를 대비할 수 있게 도시하였다. 폭의 축소를 억제하면서 MD방향 연신도 가능하다. 인장내력이 강화된 부직포는 폭이 축소하고 MD방향의 길이가 신장되어 있다. 인장내력이 강화된 부직포 기재(10)는 자유 결합 부직포 섬유가 MD방향으로 직선화되면서 재배열되어 있다. 상기 연신율은 0~900%이나 부직포의 칭량과 밀도와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
부직포의 칭량이 낮을 경우에는 연신전이나 연신후의 롤의 속도가 같더라도 가열과정에서 강한 텐션을 가하면 부직포의 폭이 줄면서 부직포의 섬유의 조직이 MD방향으로 재배열 될 수 있다. 이 부직포는 연신율 0%인 넥킹 부직포이다.
부직포의 인장 내력을 강화하는 다른 방법으로, 부직포를 가열하면서 엠보싱하여 자유 조직 부직포를 경화함으로서 인장내력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인장내력 부직포는 유연성이 감소한다. 위생 용품 외의 제품에서 이형지를 사용하는 제품들은 이형지의 유연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품들은 부직포를 가열하고 엠보싱하여 인장 내력을 강화시킨 부직포가 제품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
가열 가압하는 엠보싱에 의해 인장내력을 강화하기 위한 부직포로,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사용하고; 상기 부직포를 50~300℃ 로 가열되고 가압되는 엠보싱롤에서 엠보싱하여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다. 엠보싱롤의 엠보싱 패턴은 사각 점무늬, 선무늬, 점무늬등 다양한 무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 중 MD강도가 높고 저가인 폴리 프로필렌계열의 부직포가 좋다.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부직포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 ,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와 폴리프로필렌 멜트브로운이 다층으로 구성된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서멀본드 부직포 등이다. 상기부직포들은 부직포 제조시 엠보싱을 하는데 가장 보편적인 엠보싱 무늬는 도7의 무늬와 같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에 있어 엠보싱 부분의 면적은 보통 13% ~ 28% 이다. 본 발명에선 인장 내력부직포는 엠보싱 면적이 30% 이상인 폴리프리프로필렌 계 부직포와, 아직까지 제품화 된 것은 없지만 엠보싱 면적이 30% 미만 이더라도 엠보싱 모양이 MD방향으로 연속적인 직선을 갖는 부직포를 포함한다. 엠보싱이 직선으로 되면 MD강도가 증가하고 MD신율이 줄어드는 것은 분명하다.
부직포의 인장 내력을 강화하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연신에 의한 인장내력 강화 방법과, 부직포를 가열하여 경화하는 인장내력 강화 방법과, 가열하고 엠보싱 하는 방법을 중복 실시하여 인장 내력을 강화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코팅 기층 필름은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에 코팅 기층 필름을 라미네이션 접착하는 것이다. 라미네이션 접착 기층필름은 녹는점 180℃ 미만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이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성형용 폴리머를 1~70g/㎡로 압출 성형하면서 필름의 냉각롤에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를 라미네이션 접착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코팅 기층 필름 폴리머들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옥텐, 헥센, 부텐,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모노머 한가지 이상을 중합한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중의 하나 이상의 폴리머이다.
도6에 코팅 기층 필름의 압출 라미네리션 장치를 인용하였다. 압출기에서 용융된 폴리머는 압출다이(61)에서 필름(20a)으로 성형되고, 냉각롤(62,63)에서 냉각된다. 상기 냉각롤(62)에 상기 인장력이 강화된 부직포 기재(10)를 공급하여 기재(10) 일면에 냉각 과정의 필름(20a)이 부착되어 부직포 기재(10) 상면에 이형제 코팅 기층필름(20)이 접착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부직포 기재 상면의 기층필름에 이형제를 코팅층(30)을 조성 하여 본 발명 제품을 완성한다.
본 발명 이형 코팅액은 수용성 실리콘 이형제 코팅액; 톨루엔, 메틸에틸케톤등에 잘 녹는 지용성 분산제에 분산된 실리콘이형 코팅액등 실리콘류 코팅액이 기층필름(20)에 잘 부합된다.
본 발명 이형 코탕액의 코팅은 3단 그라비아 롤 코팅, 리버스 그라비아 롤 코팅; 그라이비아 롤 코팅을 포함하는 롤 코팅 법이 좋다.
도7에 부직포를 엠보싱시에 적용된 엠보싱 패턴의 예를 인용하였다. 엠보싱패턴의 모양은 롤에 배열된 돌기 상단의 패턴조성부 ps 폭 a는 0.35mm, 돌기 높이 b는 0.35mm, 패턴부 p의 X축거리 c가 1.5mm, 패턴부 p의 Y축거리 d가 2.5mm이다
실시예 1
중량 15g/㎡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도3의 연신 장치에서 공급롤의 부직포 공급 속도를 50m/min으로 하고, 인장롤의 부직포 인장 속도를 60m/min으로 하여 중량 28g/㎡인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를 제조하고; 도6의 압출 라미네이션 장치에서 저밀도 폴리프로필렌을 15g/㎡로 성형하면서 상기 제조된 부직포기재를 냉각롤에 공급하여 부직포 기재에 폴리머 기층필름을 접착하였다. 상기 압출 라미네이션 후 열경화성 실리콘 용액을 기층필름 위에 코팅하고 건조한 후 실리콘 도막이 0.3g/㎡ 정도로 되게하여 소망하는 무소음 부직포 이형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30g/㎡인 미신장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무소음 부직포 이형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칭량 30g/㎡의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를 143℃ 의 도 7)과 같은 엠보싱 roll에서 가열가압하여 엠보싱하였다.
실시예 4
칭량 28g의 실시예 1의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를 실시 예 3과 같이하여 엠보싱 하였다.
성능시험
1) 소음특성
실시 예 1의 부직포 이형지를 손으로 구겼을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았다. 기존의 페이퍼 기재 이형지를 손으로 구겼을 때 소음이 발생하였다.
2) 실시 예에 인용된 부직포의 MD강도 및 신장특성은 표1과 같다.
표 1
파단점까지의MD 인장 강도(g/25mm) 파단점까지의신장율(%)
실시 예 1의부직포 이형지 4670 32%
실시 예 2의부직포 이형지 4420 71%
실시예 1의인장내력강화부직포 4080 21%
실시 예 3 4660 63%
실시 예 4 4570 21%
칭량 30g의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3860 68%
표1 에서 실시예 1 일축 100% 연신된 부직포의 MD 인장강도는 실시예 2의 미연신 부직포에 비교하여 250g/25mm 증가했다. 신장율은 실시예 1 인장내력 강화부직포 이형지가 32%에 머물고, 실시예 2의 미신장 부직포는 71%까지 신장되었다.
시험결과에서 부직포 섬유조직을 MD방향으로 재배열한 부직포는 신장율이 현저히 감소하여, 본 발명 비신장성 부직포 이형지의 제조에 부합되는 부직포 특성을 보인다. 엠보싱처리 부직포도 MD강도가 증가하고 신장율이 낮아졌다. 상기 시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 이형지 제조용 부직포는 부직포섬유를 MD방향으로 재배열한 부직포, 또는 엠보싱 처리한 부직포이다. 실시 예 3, 실시 예 4의 부직포는 부직포의 인장강도가 부직포 이형지 인장강도의 80%이상 되기 때문에 부직포의 강도 및 신장율 만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실시예3의 MD강도가 실시예4의 MD강도보다 큰 것은 부직포 칭량이 실시예3의 부직포보다 높음에 기인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소음 이형지를 제공하고; 유연성이 좋은 이형지를 제공하고; 부직포를 기재로 사용하는 이형지를 제공하고; 이형제 코팅라인에서 MD방향 변화가 없도록 인장 내력을 강화시킨 부직포 기재 이형지를 제공하고; 인장 내력강화 부직포기재와 중간층으로 이형제 코팅 기층 필름과 이형제 층으로 적층된 3층 구조 이형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리용품에 사용시 소음의 발생이 없어 수요자 기피 현상을 방지하고, 유연성이 좋아 이용자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 이형지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이형지의 단면도
도3은 부직포의 인장 내력 강화하는 장치도
도4는 다른 부직포에 인장내력을 강화 장치도
도5는 인장전 부직포와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의 비교도
도6은 부직포 기재에 코팅 기층을 라미네리션 합지하는 장치도
도7은 실시예 라미네이션 규격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은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 20은 코팅기층 필름; 30은 이형제 코팅층;

Claims (10)

  1. 기층재 상면에 이형제 코팅층을 조성하여 된 것에 있어서,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와; 인장내력 강화 부직포 기재에 접착된 코팅 기층필름과; 코팅기층 필름 상면에 조성된 이형제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한 부직포 이형지.
  2. 제1항에 있어서,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면사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MD방향 10~900% 연신하여 인장 내력이 강화된 부직포인 부직포 이형지.
  3. 제1항에 있어서,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엠보싱 하여 인장내력을 강화시킨 부직포 이형지.
  4. 제1항에 있어서,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면사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0~10% 연신 상태로 가열하고 폭을 수축시켜서 MD방향 인장내력이 강화된 부직포인 부직포 이형지.
  5. 제1항에 있어서,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부직포를; 연신 처리, 가열 수축시킨 넥킹 처리, 엠보싱 처리, 가열 경화 처리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처리 된 부직포인 MD방향 인장내력을 강화시킨 부직포 이형지.
  6. 제1항에 있어서, 코팅 기층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 성형용 폴리머를 1 ~ 70g/㎡로 압출 성형하면서 필름의 냉각롤에 인장 내력 강화 부직포를 라미네이션 접착하여 제조된 필름인 부직포 이형지.
  7. 제1항에 있어서, 코팅 기층 필름은 녹는점 180℃ 미만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인 부직포 이형지.
  8. 제1항에 있어서, 이형제 도막은 실리콘 이형제 도막인 부직포 이형지.
  9.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인장 내력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로서 엠보싱된 부분의 면적이 30% 이상인 부직포 이형지.
  10.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인장내력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로서 엠보싱 모양이 MD방향 직선 엠보싱인 부직포 이형지.
KR1020030088460A 2003-11-20 2003-12-08 부직포 이형지 KR200500492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2779 2003-11-20
KR1020030082779 2003-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290A true KR20050049290A (ko) 2005-05-25

Family

ID=3461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460A KR20050049290A (ko) 2003-11-20 2003-12-08 부직포 이형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50049290A (ko)
AU (1) AU2003289553A1 (ko)
WO (1) WO20050497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568A (ja) * 1994-07-05 1996-01-23 Sekisui Chem Co Ltd 粘着包帯
KR19980033653U (ko) * 1996-12-09 1998-09-05 문정환 비지에이(bga) 패키지용 튜브
JP2002224158A (ja) * 2001-01-31 2002-08-13 Hirotake Kichisai 吸汗帯装置
KR200296935Y1 (ko) * 2002-08-19 2002-12-05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피부 부착용 늘어나는 부직포 밀착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9752A1 (en) 2005-06-02
AU2003289553A1 (en)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47855A1 (en) Stretchable elastic nonwoven laminates
JP3054930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49546B2 (en)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100714342B1 (ko) 착용자의 윤곽에 영구적으로 정합가능한 통기성 라미네이트
KR950005339B1 (ko) 포와 같은 액체 불투과성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EP2097571B1 (en) Stretchable elastic laminate having increased cd elongation zones and method of production
US20070105472A1 (en) Non-woven fabric laminate/elastomer/non-woven fabric
CZ286555B6 (cs) Pružná laminovaná textílie a způsob její výroby
KR101219249B1 (ko) 피트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장섬유 탄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2703A (ko) 비직조 합성직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생산물
WO1998055295A1 (en) High strength baby wipe composite
TW201420356A (zh) 層板及其製造方法
KR101302804B1 (ko)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7530A (ko) 탄성 부직포 복합체
KR20050049290A (ko) 부직포 이형지
KR101664544B1 (ko) 입체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412096B1 (ko) 저용량 필름의 부직포 라미네이션 합지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2336A (ko) 착용자의 윤곽에 영구적으로 정합가능한 액체 수송라미네이트
KR100533478B1 (ko) 신축성 부직포 합지체
JP6247921B2 (ja) 伸縮シート
JPH05125647A (ja) 柔軟なラミネート不織布
KR20120028551A (ko) 드레이프 특성이 향상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2001057992A (ja) 紙おむつ用ファスニングテープ
US20050124949A1 (en) Unitized cover and transfer layer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20040066436A (ko) 탄성 부직포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