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270A -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 - Google Patents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270A
KR20050049270A KR1020030083190A KR20030083190A KR20050049270A KR 20050049270 A KR20050049270 A KR 20050049270A KR 1020030083190 A KR1020030083190 A KR 1020030083190A KR 20030083190 A KR20030083190 A KR 20030083190A KR 20050049270 A KR20050049270 A KR 2005004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s
core
coil
stator
linea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011B1 (ko
Inventor
정시환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011B1/ko
Priority to JP2004066140A priority patent/JP2005155593A/ja
Priority to US10/805,671 priority patent/US20050112000A1/en
Priority to BR0401581-9A priority patent/BRPI0401581A/pt
Priority to CNB2004100343864A priority patent/CN100517911C/zh
Priority to IT000188A priority patent/ITRM20040188A1/it
Publication of KR2005004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고정자(32)는 일측이 개구되며 개구부(33a)에 한 쌍의 연장부(33b,33c)가 형성된 코어(33)와, 연장부(33b,33c) 내측 공간 및 두 연장부(33b,33c)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쳐 권선된 코일(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코일(34)이 두 연장부(33b,33c)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도 설치되므로 코일(34) 주위에 생성되는 자속이 증가되어 가동자(35)의 추력이 증대되고, 압축기의 성능이 전체적으로 향상되게 된다.

Description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Linear motor and linear compress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인가받아 피스톤을 구동하는 리니어 모터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압축기는 냉장고나 공기조화기와 같은 냉각장치의 냉매 압축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피스톤의 진퇴동작을 위한 구동수단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리니어모터가 채용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 리니어 압축기는 내부에 압축실 형성된 실린더블록과, 압축실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냉매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흡입실과 토출실이 각각 형성된 실린더헤드를 구비한다.
또 피스톤을 진퇴시키는 구동장치로 일측이 피스톤과 결합되며 실린더블록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의 마그네트가 일체로 된 가동자와, 가동자의 내.외부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1코어와 고정자로 된 리니어모터를 구비한다.
고정자는 전기강판 재질의 제 2코어와 자속을 생성하는 코일로 구성되는데, 제 2코어는 마그네트와의 대향측이 개구되며, 개구부의 일부를 덮도록 개구측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장부는 제 2코어와 마그네트 간의 대향면적을 증가시켜 마그네트의 스트로크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코일은 두 연장부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제 2코어에 자속을 생성시키며, 자속은 제 2코어로부터 마그네트를 거쳐 제 1코어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리니어 압축기는 코일의 설치 위치가 제 2코어의 두 연장부 내측 공간으로만 한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동자의 추력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코일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경우에 불가피하게 고정자의 부피를 늘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자에 권선된 코일의 형상을 개선하여 가동자의 추력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도록 피스톤과 함께 직선운동 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자장을 형성하는 고정자를 구비한 리니어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일측이 개구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개구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코어의 개구부측 양단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두 연장부의 내측 공간 및 두 연장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일은 두 연장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권선된다.
또한 두 연장부는 대향하는 단부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두 연장부는 대향하는 단부가 반원형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자 및 제 1코어와, 상기 고정자와 상기 제 1코어 사이를 직선운동 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한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일측이 개구된 제 2코어와, 상기 제 2코어의 개구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 2코어의 개구부측 양단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두 연장부의 내측 공간 및 두 연장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일은 두 연장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권선된다.
또한 두 연장부는 대향하는 단부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두 연장부는 대향하는 단부가 반원형상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용기(11)와 하부용기(12)의 결합을 통해 밀폐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밀폐용기(10)와,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 및 토출하는 압축부(20)와, 압축부(20)를 구동하는 구동부(30)를 구비한다.
압축부(20)는 압축실(21a)을 형성하는 실린더(21)와, 압축실(21)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22)과, 냉매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는 실린더헤드(23)를 구비한다. 또, 실린더(21)의 하측 둘레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지지부(24)가 마련되며, 이 지지부(24)는 후술한 구동부(30)의 고정자(32)를 지지하게 된다.
실린더헤드(23)에는 피스톤(22)이 진퇴할 때 냉매의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압축실(21a)과 연계되는 흡입실(23a)과 토출실(23b)이 각각 마련된다. 또한 실린더헤드(23)와 실린더(21)사이에는 흡입실(23a)과 토출실(23b)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흡입밸브(24a)와 토출밸브(24b)가 설치된 밸브플레이트(24)가 배치된다.
구동부(30)는 실린더(21)의 외측에 결합된 제 1코어(31)와, 제 1코어(3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고정자(32)와, 제 1코어(31)와 고정자(32) 사이에 마련되어 고정자(32)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과 상호 작용하는 가동자(35)로 된 리니어모터를 구비한다.
가동자(35)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실린더(21)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착자형 마그네트(35a)와, 마그네트(35a)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35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동자(35)의 고정부(35b)는 피스톤(22)과 함께 상하로 진퇴하도록 피스톤(22) 상단에 마련된 연결축(22a)과 동일 축선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제 1코어(31)와 고정자(32)는 가동자(35)의 마그네트(35a)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때 제 1코어(31)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실린더(21)의 외측에 설치되므로써 가동자(35)의 상하 진퇴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고정자(32)로부터 가동자(35)의 마그네트(35a)를 통하는 자속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자(32)는 전기강판 재질의 제 2코어(33)와 자속을 생성하는 코일(34)로 마련되며, 고정자(32)의 하단은 지지부(24)에 지지되고 상단은 별도의 고정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고정자(32)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자(32)의 제 2코어(33)는 반경방향으로 다수개가 겹쳐져서 마련되는데, 마그네트(35a)와의 대향측이 개구되며 개구부(33a)의 일부를 덮도록 제 2코어(33)의 개구부(33a) 측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 1연장부(33b) 및 제 2연장부(33c)가 연장되게 된다.
이러한 두 연장부(33b,33c)를 통해 제 2코어(33)는 마그네트(35a)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대향면적이 증가되어 마그네트(35a)의 스토로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두 연장부(33b,33c)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데, 이는 코일(34)에 의해 생성된 자속이 제 2코어(33)로부터 마그네트(35a)를 거쳐 제 1코어(31)로 원활히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코일(34)은 두 연장부(33b,33c)의 내측에 형성된 제 1수용부(33d)와 두 연장부(33b,33c)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형성된 제 2수용부(33e)에 걸쳐 권선된다. 이때, 코일(34)은 제 1수용부(33d)와 제 2수용부(33e)에 최대한으로 권선되도록 제 1수용부(33d) 및 두 연장부(33b,33c)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권선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코어(33)는 두 연장부(33b,33c) 간의 대향 단부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자속이 마그네트(35a) 측으로 흘러가지 않고 두 연장부(33b,33c) 사이로 통과되면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같은 연장부(33b,33c)의 형상에 따라 두 연장부(33b,33c)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코일(34)이 설치될 수 있도록 코일(34)은 두 연장부(33b,33c)의 형상에 대응되게 권선되게 된다.
또,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두 연장부(33b,33c)의 단부는 자속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반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코일(34)은 두 연장부(33b,33c)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권선되게 된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전체적인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한다.
고정자(32)의 코일(34)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32)와 제 1코어(31) 사이에는 자장이 형성되고, 교류전원의 특성상 그 자장의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되므로 마그네트(35a)가 결합된 가동자(35)의 상하 진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동자(35)가 진퇴함에 따라 가동자(35)와 결합된 피스톤(22)이 압축실(21a) 내부를 진퇴하며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 마련된 고정자(32)는 두 연장부(33b,33c) 내측의 제 1수용부(33d) 뿐만 아니라 두 연장부(33b,33c)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 2수용부(33e)에도 코일(34)이 설치되게 되므로, 코일(34)이 종래 압축기와 동일한 횟수로 제 2코어(33)에 권선되는 경우 코일(34)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코일(34)의 저항값이 줄어들게 되므로 코일(34)을 통과하는 전류값 및 코일(34) 주위에 생성되는 자속이 증가되어 가동자(35)의 추력이 증대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고정자는 일측이 개구되며 개구부에 한 쌍의 연장부가 형성된 코어와, 연장부 내측 공간 및 두 연장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코일이 두 연장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도 설치되므로 코일 주위에 생성되는 자속이 증가되어 가동자의 추력이 증대되고, 압축기의 성능이 전체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고정자 및 가동자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자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자의 또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압축부, 21 : 실린더,
21a : 압축실, 22 : 피스톤,
30 : 구동부, 31 : 제 1코어,
32 : 고정자, 33 : 제 2코어,
33b : 제 1연장부, 33c : 제 2연장부,
33d : 제 1수용부, 33e : 제 2수용부,
34 : 코일, 35 : 가동자,
35a : 마그네트.

Claims (8)

  1. 냉매를 압축하도록 피스톤과 함께 직선운동 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자장을 형성하는 고정자를 구비한 리니어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일측이 개구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개구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코어의 개구부측 양단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두 연장부의 내측 공간 및 두 연장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두 연장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3. 제 2항에 있어서,
    두 연장부는 대향하는 단부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4. 제 2항에 있어서,
    두 연장부는 대향하는 단부가 반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5. 고정자 및 제 1코어와, 상기 고정자와 상기 제 1코어 사이를 직선운동 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일측이 개구된 제 2코어와, 상기 제 2코어의 개구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 2코어의 개구부측 양단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두 연장부의 내측 공간 및 두 연장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두 연장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7. 제 6항에 있어서,
    두 연장부는 대향하는 단부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8. 제 6항에 있어서,
    두 연장부는 대향하는 단부가 반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KR10-2003-0083190A 2003-11-21 2003-11-21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 KR10053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190A KR100537011B1 (ko) 2003-11-21 2003-11-21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
JP2004066140A JP2005155593A (ja) 2003-11-21 2004-03-09 リニアモータ及びこれを有するリニア圧縮機
US10/805,671 US20050112000A1 (en) 2003-11-21 2004-03-19 Linear motor and linear compressor having the same
BR0401581-9A BRPI0401581A (pt) 2003-11-21 2004-04-13 Compressor linear e motor linear
CNB2004100343864A CN100517911C (zh) 2003-11-21 2004-04-15 直线电机和具有这种直线电机的直线压缩机
IT000188A ITRM20040188A1 (it) 2003-11-21 2004-04-15 Motore lineare e compressore lineare dello stess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190A KR100537011B1 (ko) 2003-11-21 2003-11-21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270A true KR20050049270A (ko) 2005-05-25
KR100537011B1 KR100537011B1 (ko) 2005-12-16

Family

ID=3458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190A KR100537011B1 (ko) 2003-11-21 2003-11-21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12000A1 (ko)
JP (1) JP2005155593A (ko)
KR (1) KR100537011B1 (ko)
CN (1) CN100517911C (ko)
BR (1) BRPI0401581A (ko)
IT (1) ITRM200401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27B1 (ko) * 2005-10-06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
KR20200031843A (ko) * 2018-09-17 202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 및 리니어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005A (ko) * 2004-03-17 2005-09-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US20090232666A1 (en) * 2004-08-30 2009-09-17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CN102025240A (zh) * 2011-01-04 2011-04-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一研究所 斯特林制冷机用直线电机结构
BRPI1103496A2 (pt) 2011-07-20 2013-10-01 Whirlpool Sa motor linear para compressor e compressor provido de motor linear
CN103001451B (zh) * 2011-09-13 2015-11-0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直线电机及具有其的压缩机
WO2014071854A1 (zh) * 2012-11-07 2014-05-15 海尔集团公司 直线压缩机的定子及其固定方法、直线电机及直线压缩机
DE102017103090B4 (de) * 2017-02-15 2020-06-04 Kolektor Group D.O.O. Elektromagnetischer Linearaktuator
EP3473855B1 (en) 2017-09-28 2021-03-10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7054A (en) * 1997-12-23 2000-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tor of linear compressor
BR0011833A (pt) * 1999-06-21 2002-03-05 Fisher & Paykel Motor linear
KR100397557B1 (ko) * 2001-04-19 2003-09-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왕복동식 모터의 보빈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27B1 (ko) * 2005-10-06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
KR20200031843A (ko) * 2018-09-17 202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 및 리니어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12000A1 (en) 2005-05-26
CN100517911C (zh) 2009-07-22
CN1619916A (zh) 2005-05-25
ITRM20040188A1 (it) 2004-07-15
KR100537011B1 (ko) 2005-12-16
JP2005155593A (ja) 2005-06-16
BRPI0401581A (pt)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8715B1 (en) Linear compressor
KR100707418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KR100527176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44373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모터
KR100537011B1 (ko)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
EP1391025B1 (en) Linear compressor
KR20090044890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87860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244362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모터
EP2102974B1 (en) Linear motor for linear compressor
KR200367248Y1 (ko) 리니어 모터용 가동자
KR10074641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
KR10083633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KR101990061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212655B1 (ko) 리니어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KR10018647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구조
KR100200781B1 (ko) 선형 압축기
KR10040411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220782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모터
KR100819612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KR20060015867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50040050A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83198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0156404Y1 (ko) 선형 압축기의 냉매누설방지 구조
KR100608696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풍손 저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