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101A -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 - Google Patents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101A
KR20050048101A KR1020030081938A KR20030081938A KR20050048101A KR 20050048101 A KR20050048101 A KR 20050048101A KR 1020030081938 A KR1020030081938 A KR 1020030081938A KR 20030081938 A KR20030081938 A KR 20030081938A KR 20050048101 A KR20050048101 A KR 2005004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icroprocessor
detecting
boil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우
민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Priority to KR102003008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8101A/ko
Publication of KR2005004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내에 실내의 부유분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습도 등을 측정하여 표시 및 경보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거주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알려줄 수 있는 실내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일러 본체의 기능을 원격조작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내온도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단에는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분진센서, 일산화탄소량을 감지하기 위한 일산화탄소센서,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그리고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가 포함되어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단에는 측정된 공기 오염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측정된 공기 오염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났을 때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경보부가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발명임.

Description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Room controller for boiler with indoor air pollution alarm function}
본 발명은 보일러실에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를 실내에서 온/오프 원격제어하거나 난방온도 제어를 위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온도조절기에 실내의 부유분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습도 등을 측정하여 실내의 오염도를 표시하거나, 위생관리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경보수단을 작동시켜 공기오염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열수단과 자체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보일러실에 설치되는 보일러 본체와 실내에서 보일러의 작동을 편리하게 원격제어하기 위한 실내온도조절기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의 실내온도조절기는 난방하고자 하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수단, 실내온도 혹은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보일러의 운전 및 정지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온도설정수단, 실내온도나 난방수온도 혹은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보일러의 주제어장치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내부통신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홈오토메이션의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도 있다.
최근의 주거문화로써 실내환경조건의 개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바, 실내 건축 자재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는 페인트, 접착제, 스프레이, 왁스, 카펫트 등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진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알레르기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발암성 물질로 작용할 수도 있음이 보고되었고, 또 실내에서 담배를 흡연할 때 발생되는 담배연기에는 불완전연소로 발생되는 유독성 가스인 일산화탄소(CO)를 비롯해 미세 먼지와 VOCs등 200여개의 독성물질과 약4천가지의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실내에서 활동하는 비흡연자에게까지도 폐암, 후두암, 간암 등의 각종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밖에 실내공기의 오염물질로서 호흡성 분진, 포름알데히드, 석면 등이 대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려졌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고층 아파트 주거형태와 지하공간은 가구와 건축자재에서 합성화학물질을 쓰는데다 환기를 잘 안시켜줄 경우 실내오염이 바깥보다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주로 생활을 많이 하는 어린이와 노약자의 경우, 화학물질 등 실내오염물질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실내에서 오염물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면 이를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환기를 시켜주거나 실내를 소독하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보일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온도조절기가 대부분 실내에 설치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실내온도조절기내에 실내의 부유분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습도 등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하여 각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공기 오염도를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아울러, 위생관리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경보수단을 작동시켜 거주자가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함으로써 공기오염에 따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는, 보일러 본체의 기능을 원격조작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내온도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단에는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분진센서, 일산화탄소량을 감지하기 위한 일산화탄소센서,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그리고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가 포함되어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단에는 측정된 공기 오염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측정된 공기 오염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났을 때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경보부가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는 각종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10)와 실내온도조절기의 고유기능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센서부(10)로부터의 측정신호를 기초로 공기오염도를 판단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공기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30), 측정된 공기 오염도를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40) 및 측정된 공기 오염도가 기준치를 벗어났을 때 사용자에게 오염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경보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센서부(10)는 분진센서(11), 일산화탄소센서(12), 이산화탄소센서(13), 온도센서(14), 습도센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또다른 항목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여 후술되는 바와 마찬가지로 공기 오염도를 판단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기 센서부(10)의 분진센서(11)는 실내의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을 감지하는 작용을 하고, 일산화탄소센서(12)는 위와 마찬가지로 실내의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일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작용을 한다.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센서(13)는 이산화탄소량, 온도센서(14)는 실내온도, 습도센서(15)는 실내의 습도를 각각 감지하는 작용을 한다.
저장부(30)는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억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와 별개의 소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저장부가 일체로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만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부(30)에는 상기 센서부(10)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공기 오염도를 표시하거나 경보할 수 있도록 기초가 되는 데이터로서, 분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에 대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공중 위생법상 실내 위생관리기준에 따라 공기 오염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값은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설정값
부유분진 0.15 ㎎/㎥
일산화탄소 10 PPM 이하
이산화탄소 1000 PPM 이하
상대습도 40% 이상, 70% 이하
한편, 표시부(40)는 센서부(10)를 통해 측정한 각종 공기 오염도를 수치화하여 표시할 있도록 된 것으로, 표시부(40)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측정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하나의 측정데이터씩 차례차례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경보부(50)는 실내의 공기 오염도가 기준치 보다 높거나 낮아 사용자가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하여야 됨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인지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청각적 경보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각적 경보수단으로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를 점멸시켜 표시할 수 있고, 청각적 경보수단으로는 부저 혹은 스피커 등을 작동시켜 특정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실내온도조절기에 전원이 투입되어 동작중인 상태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센서부(10)의 각 센서(11∼15)들의 측정데이터를 차례차례 스캔하여 읽어들인다. 이후 각 센서(11∼15)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부(30)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표시부(40)에 표시한다.
이때, 예컨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온도, 분진 측정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위의 측정 및 표시 동작을 반복하여 각종 측정데이터를 표시부(40)에 표시하고, 위 측정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경보부(50)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실내공기가 오염되어 있음을 인식시킨다.
습도의 경우에는 예컨대 습도가 40% 내지 70% 이내이어서 생활하기에 적합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계속 측정 및 표시 동작을 반복하고, 만일 40% 보다 낮거나 70%보다 높아 생활하기에 부적합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경보부(50)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실내 습도를 조절할 것을 경보한다. 위와 같은 공기 오염도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값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설치환경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온도조절기가 주로 실내에 설치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실내온도조절기에 분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측정되는 신호를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게 될 때 경보수단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는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하여 실내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서부, 11 -- 분진센서,
12 -- 일산화탄소센서, 13 -- 이산화탄소센서,
14 -- 온도센서, 15 -- 습도센서,
20 -- 마이크로프로세서, 30 -- 저장부,
40 -- 표시부, 50 -- 경보부.

Claims (1)

  1. 보일러 본체의 기능을 원격조작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내온도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단에는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분진센서, 일산화탄소량을 감지하기 위한 일산화탄소센서,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그리고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가 포함되어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단에는 측정된 공기 오염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측정된 공기 오염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났을 때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경보부가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
KR1020030081938A 2003-11-19 2003-11-19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 KR20050048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938A KR20050048101A (ko) 2003-11-19 2003-11-19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938A KR20050048101A (ko) 2003-11-19 2003-11-19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101A true KR20050048101A (ko) 2005-05-24

Family

ID=3724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938A KR20050048101A (ko) 2003-11-19 2003-11-19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810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20B1 (ko) * 2005-12-28 2008-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통계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지하 공간의 대기 환경 예측장치 및 방법
KR102017450B1 (ko) * 2019-01-22 2019-09-02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이용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KR102017448B1 (ko) * 2019-01-03 2019-09-03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시를 통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CN111637631A (zh) * 2020-05-25 2020-09-08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燃气热水器控制方法以及控制系统
KR20200143601A (ko) 2019-06-14 2020-12-24 김호영 보일러 공기오염 감지시스템
KR20210052649A (ko) * 2019-10-29 2021-05-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Co 농도 기반의 보일러 경보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20B1 (ko) * 2005-12-28 2008-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통계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지하 공간의 대기 환경 예측장치 및 방법
KR102017448B1 (ko) * 2019-01-03 2019-09-03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시를 통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WO2020141693A1 (ko) * 2019-01-03 2020-07-09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시를 통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KR102017450B1 (ko) * 2019-01-22 2019-09-02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이용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WO2020153574A1 (ko) * 2019-01-22 2020-07-30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이용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KR20200143601A (ko) 2019-06-14 2020-12-24 김호영 보일러 공기오염 감지시스템
KR20210052649A (ko) * 2019-10-29 2021-05-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Co 농도 기반의 보일러 경보 장치
CN111637631A (zh) * 2020-05-25 2020-09-08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燃气热水器控制方法以及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869B2 (en) Carbon monoxid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for a portable phone device
KR101512664B1 (ko) 통지기능을 갖는 포터블형 실내 공기상태 표시장치
US20170154517A1 (en) Air quality alert system and method
KR101862087B1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60986B1 (ko) 실내공기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 제어 시스템
US20100201531A1 (en) Carbon monoxide detector
CN202149793U (zh) 物联网气体监测警示装置
KR20110097001A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9577A (ko)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KR20170080894A (ko) 사용자 주변 미세먼지 농도 측정 시스템, 이를 이용한 사용자 주변 미세먼지 농도 제공 방법
KR20090059861A (ko) 공간별 실내 공기질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TWI679383B (zh) 空氣清淨機
US2020002539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concentration of a pollutant within a gas
KR20110136382A (ko) 환경센서를 통한 가정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05070064A3 (en) System for controlling ignition sources when flammable gas is sensed
KR20050048101A (ko) 실내 오염 경보기능이 구비된 보일러의 실내온도조절기
CN107842927A (zh) 一种基于mq‑135的智能楼宇通风系统
KR20120122700A (ko) 다중 가스센서를 이용한 공기 청정 로봇 청소기
KR102173716B1 (ko) Ict기반 기술과 유해가스 측정 기술을 융합한 다중이용시설 전용 대기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장치
CN108489010B (zh) 一种空气净化控制器
CN211906106U (zh) 地窖环境监控系统
KR200439810Y1 (ko)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연료연소형 난방기의 경보장치및 환기장치.
KR20170078377A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6174A (ko) 공기질 개선을 위한 IoT와 연동된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2331431B1 (ko)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