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044A - 녹화공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녹화공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044A
KR20050046044A KR1020030080016A KR20030080016A KR20050046044A KR 20050046044 A KR20050046044 A KR 20050046044A KR 1020030080016 A KR1020030080016 A KR 1020030080016A KR 20030080016 A KR20030080016 A KR 20030080016A KR 20050046044 A KR20050046044 A KR 2005004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drain pipe
crest
collap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402B1 (ko
Inventor
최영근
Original Assignee
최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근 filed Critical 최영근
Priority to KR102003008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4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40Afforestation or refore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공사시 현장에서 발생하는 토사를 이용하여 절취된 표면의 붕괴 및 암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취사면의 표면에 몰탈 조성물100중량%에 대하여0.5-130mm크기의 토사 90-95중량%, 시멘트 6-8중량%, 2-4cm의 볏집 3-5중량%, 2-4cm의 잡초 3-5중량%, 접착제 3-5중량%, 1-2cm의 길이로 된 폐플라스틱 섬유보강제 1-2중량%, 씨앗 1-2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조성물(10)을 1차로 포설하고, 상기 1차 조성물(10)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배수관(30)을 내설하고, 상기 배수관(30)의 상단에 볏집거적매트(20)를 덮고 ,상기 볏집거적매트(20)의 상단에 상기 조성물(10)을 2차로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재료는 폐기물을 활용한 것으로 기존 녹생토 암절개면 보호식재공의 문제점으로 제기 되었던 보습력과 응집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연섬유인 볏짚, 잡초 등을 짧게 썰어 혼합한 조성물로 인해 틈(crack)으로 인한 건조 방지와 시공후 단단해지는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으며, 배수관으로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포설된 씨앗의 성장이 빨라서 녹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고, 포설된 조성물이 뿌리와 섬유에 엉킴현상에 의해서 경사진 부분에 대한 붕괴 및 암반 붕괴를 경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녹화공법 및 그 구조{Tree-planting construction method and it's structure}
본 발명은 공사현장이나 일반사면에서의 토사나 암반의 붕괴를 방지하고 자연환경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한 녹화공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습력을 30~35% 이상 증진시키고, 견고한 점토질과 사력 경사면에도 녹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 한 공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의 토사 및 암반의 붕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숏크리트를 도포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방법은 시공방법이 환경친화적이지 못해 녹화공법을 선호하는 현대의 추세에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자연현상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근래에는 녹화공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는바, 각종 토목공사나 조경공사시 발생되는 절토면이나 성토면의 사면지역은 초목의 자연생장여건이 불리하기 때문에, 공사 후 사면의 토사에 대한 유실 방지와 주변의 초목과의 조경을 도모하기 위해 인공으로 그 절토면 또는 성토면에 각종 식생재가 혼합된 인공토양을 취부하여 사면에 대해 녹화를 하는 인공녹화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절토면 또는 성토면의 사면에 대한 녹화공법으로는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공법이나 각종 네트(Coir net, 거적 등)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종래에 다수 안출된 바 있다.
상기 시드 스프레이 공법의 경우, 녹화를 하고자 하는 사면이 안정화된 경우에 식물의 씨앗을 사면에 살포하여 살포된 씨앗으로부터 발아된 식물초본을 통해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나, 이러한 공법을 통해 녹화를 하는 경우 살포된 씨앗이 사면에 뿌리를 내리기 전에 강우에 의해 살포된 씨앗이 유실되거나 사면의 침식 등을 통해 사면 녹화의 효과가 얻기 어려운 면이 있었으며, 또한 식물의 씨앗이나 사면의 토양이 유실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면의 토양에 수분유지가 어려워 초기 식물의 발아에 지장을 초래하여 녹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면의 붕괴방지와 아울러 사면식생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절취사면의 표면에 볏집과 잡초등이 투입된 몰탈 조성물과 식물의 생식에 필요한 보습력을 주고자 볏집거적매트를 설치하여 환경친화적인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취사면의 표면에 몰탈 조성물100중량%에 대하여0.5-130mm크기의 토사 90-95중량%, 시멘트 6-8중량%, 2-4cm의 볏집 3-5중량%, 2-4cm의 잡초 3-5중량%, 접착제 3-5중량%, 1-2cm의 길이로 된 폐플라스틱 섬유보강제 1-2중량%, 씨앗 1-2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조성물을 1차로 포설하고, 상기 1차 조성물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배수관을 내설하고, 상기 배수관의 상단에 볏집거적매트를 덮고 ,상기 볏집거적매트의 상단에 상기 조성물을 2차로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볏집거적매트는 압축볏집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장섬유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은 일정간격으로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홀에 미세망이 부착되어 있는 배수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사면에 적용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볏집거적매트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구성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배수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를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사면의 녹화시공을 하는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에 의해 사면에 적용된 설치상태 단면도인 도1과, 본 발명의 볏집거적매트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구성도인 도2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절취사면의 표면에 몰탈 조성물100중량%에 대하여 0.5-130mm크기의 토사 90-95중량%, 시멘트 6-8중량%, 2-4cm의 볏집 3-5중량%, 2-4cm의 잡초 3-5중량%, 접착제 3-5중량%, 1-2cm의 길이로 된 폐플라스틱 섬유보강제 1-2중량%, 씨앗 1-2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조성물(10)을 1차로 포설하고, 상기 1차 조성물(10)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배수관(30)을 내설하고, 상기 배수관(30)의 상단에 압축볏집(21)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장섬유 부직포(22)가 부착되어 있는 볏집거적매트(20)를 덮고 ,상기 볏집거적매트(20)의 상단에 상기 조성물(10)을 2차로 포설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암절개지에 녹화시공된 기존 녹생토는 시공후 수분증발과 함께 큰 틈(crack)이 벌어지면서 개체 덩어리로 분할됨으로 인하여 상하좌우로 모세관 현상의 연계가 끊어지게 되고 녹생토에 건조를 촉진시켜 보습력을 저하시켰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집제를 사용한 결과 녹생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지만 동절기에 발생하는 틈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고 오히려 녹생토가 단단해져서 발아율이 낮았고 발아가 된 경우에도 장기간의 극심한 가뭄이 오면 보습력의 저하로 식물이 고사하는 사례가 종종 있었으나, 자연섬유인 볏짚과 잡초를 썰어서 혼합하여 취부한 결과 틈이 적어지고 보습력이 기존 녹생토보다 35~50%이상 증진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조성물(10)의 주재료는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것으로 기존 녹생토 암절개면 보호식재공의 문제점으로 제기 되었던 보습력과 응집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연섬유인 볏짚, 잡초 등을 짧게 썰어 혼합함으로써 건조 방지와 시공 후 단단해지는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기존 재료인 연탄재를 대량으로 수집하기 어렵고 연소재, 플라이애쉬(Fly ash), 바텀애쉬(Bottom ash), 마사토 등을 대체하는 방법으로 재료의 질을 개선하여 식물환경에 좋은 영향을 주도록 하고 공사비를 절감시키기 위하여 생산공정을 개선하였고, 시공 능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체 공사비에 21% 이상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수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상단에는 우기시에는 물을 저장하고 건기시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차집통(5)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사각모서리에 엘보(31)를 부착하여 각각의 배수파이프(32)를 연결하였으며,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의 단면도인 도4와,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를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인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배수관(30)은 일정간격으로 배수홀(3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성물(10)에 혼합되어 있는 씨앗에 수분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배수홀(33)에는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수홀(33)이 막히는 것을 방지코자 미세망(34)을 부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성물의 주재료로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것으로 기존 녹생토 암절개면 보호식재공의 문제점으로 제기 되었던 보습력과 응집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연섬유인 볏짚, 잡초 등을 짧게 썰어 혼합함으로써 건조 방지와 시공 후 단단해지는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기존의 재료인 연탄재를 대량으로 수집하기 어렵고 연소재, 플라이애쉬(Fly ash), 바텀애쉬(Bottom ash), 마사토 등을 대체하는 방법으로 재료의 질을 개선하여 식물환경에 좋은 영향을 주도록 하고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어 전체 공사비의 21% 이상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녹화공법은 이후 국내의 개발지역에서 발생하는 암절개지 및 사면에 저렴한 가격으로 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산업폐기물 재활용처리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사면에 적용된 설치상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볏집거적매트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배수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를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 : 저수통 10 : 조성물
20 : 볏집거적매트 21 : 압축볏집
22 : 장섬유부직포 30 : 배수관
31 : 엘보 32 : 배수파이프
33 : 배수홀 34 : 미세망

Claims (3)

  1. 절취사면의 표면에 몰탈 조성물100중량%에 대하여0.5-130mm크기의 토사 90-95중량%, 시멘트 6-8중량%, 2-4cm의 볏집 3-5중량%, 2-4cm의 잡초 3-5중량%, 접착제 3-5중량%, 1-2cm의 길이로 된 폐플라스틱 섬유보강제 1-2중량%, 씨앗 1-2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조성물(10)을 1차로 포설하고, 상기 1차 조성물(10)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배수관(30)을 내설하고, 상기 배수관(30)의 상단에 볏집거적매트(20)를 덮고 ,상기 볏집거적매트(20)의 상단에 상기 조성물(10)을 2차로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 및 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볏집거적매트(20)는 압축볏집(21)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장섬유 부직포(22)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 및 그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30)은 일정간격으로 배수홀(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홀(33)에 미세망(34)이 부착되어 있는 배수파이프(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 및 그 구조.
KR1020030080016A 2003-11-13 2003-11-13 녹화공법 및 그 구조 KR100592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016A KR100592402B1 (ko) 2003-11-13 2003-11-13 녹화공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016A KR100592402B1 (ko) 2003-11-13 2003-11-13 녹화공법 및 그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474U Division KR200341390Y1 (ko) 2003-11-13 2003-11-13 녹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044A true KR20050046044A (ko) 2005-05-18
KR100592402B1 KR100592402B1 (ko) 2006-06-23

Family

ID=3724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016A KR100592402B1 (ko) 2003-11-13 2003-11-13 녹화공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4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75B1 (ko) * 2007-05-21 2007-09-10 와생녹화산업 (주)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2963B1 (ko) * 2007-11-16 2009-12-21 에프엑스코어솔루션(주) 워터배터리층을 이용한 건조지역 녹화시스템
CN109105186A (zh) * 2018-08-10 2019-01-01 淮安市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易漏水土壤机插钵体带蘖壮秧的培育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840B1 (ko) * 2012-12-10 2014-09-04 윤택규 사면 녹화의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75B1 (ko) * 2007-05-21 2007-09-10 와생녹화산업 (주)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2963B1 (ko) * 2007-11-16 2009-12-21 에프엑스코어솔루션(주) 워터배터리층을 이용한 건조지역 녹화시스템
CN109105186A (zh) * 2018-08-10 2019-01-01 淮安市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易漏水土壤机插钵体带蘖壮秧的培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402B1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84275B (zh) 一种山区风电场高陡弃渣边坡加筋锚固生态修复系统
CN100393948C (zh) 防冲刷基材生态护坡方法
CN108124632B (zh) 一种适用于高陡泥页岩边坡的绿化方法
KR100631380B1 (ko) 절취사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강섬유함유 합성녹화토의시공방법
CN108547307A (zh) 基于人造壤土的边坡生态防护方法
CN112482402A (zh) 一种绿化生态土护坡施工方法
CN107964963A (zh) 高陡边坡创面纤维骨架团粒结构修复技术及其施工方法
CN108914744B (zh) 一种足球场的施工工艺
CN110249756A (zh) 一种团粒混合纤维喷播方法
KR100592402B1 (ko) 녹화공법 및 그 구조
JPH1132568A (ja) 乾燥地・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JP4351719B2 (ja) 地面被覆工及び地面被覆工法
CN111484278A (zh) 一种生态混凝土、生态防护坡及生态防护坡的施工方法
KR100224504B1 (ko)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KR200341390Y1 (ko) 녹화구조
KR101074565B1 (ko) 황마네트와 펄프를 이용한 친환경 사면 녹화 시공방법
KR20090032266A (ko) 비탈면 녹화공법
KR100466007B1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
KR100496118B1 (ko)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KR20060009068A (ko) 도로변의 비탈면 보호 공법
KR200404318Y1 (ko) 친환경적인 사면보강구조
KR100950466B1 (ko) 친환경 네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생태하천 조성공법
CN112586227A (zh) 一种植被垫、植被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042158A (zh) 一种用于混凝土框架和浆砌片石骨架护坡的植物措施方法
KR20060011929A (ko) 토사면의 녹지화촉진 요철매트활용 식생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