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504A -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 Google Patents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504A
KR20050045504A KR1020030079587A KR20030079587A KR20050045504A KR 20050045504 A KR20050045504 A KR 20050045504A KR 1020030079587 A KR1020030079587 A KR 1020030079587A KR 20030079587 A KR20030079587 A KR 20030079587A KR 20050045504 A KR20050045504 A KR 2005004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t
weight
layer
retroreflectiv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880B1 (ko
Inventor
이민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얀
김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얀, 김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얀
Priority to KR102003007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8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는 이면에 삼각뿔 형상의 엠보스 무늬가 형성된 투명 엠보싱필름과, 상기 엠보싱필름의 이면에 합지 또는 적층되는 기재필름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에 축광안료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는 상기 엠보싱필름과 축광안료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층을 다양한 문양의 열 압착기로 열 압착, 합지시킴으로써 열 압착되는 합지부에는 엠보스 무늬가 뭉개져 형성되는 평활면인 발광부가 형성되고, 비 압착부의 합지부에는 엠보스 무늬가 그대로인 재귀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는 광원이 있을 경우에는 재귀 반사부의 엠보스 무늬에 의해 입사광이 반사되기 때문에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광안료층에 축광이 진행되고, 조사되는 광원이 없을 경우에는 축광안료층에 축광된 빛이 발광되어 식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Luminous and reflecting sheet}
본 발명은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광안료층과 함께 엠보스무늬층을 구비하여 발광기능과 재귀반사기능을 동시에 가진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로 표지, 안전 표지, 광고 표지 등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재 또는 발광재가 있었다. 재귀반사재 또는 발광재는 통상, 도로 표지나 바리케이드와 같은 평평하고 강성인 물품이나 또는 안전복과 같은 유연한 몸체 부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종래 재귀 반사재로서 유리 미세구(microsphere)를 갖는 재귀반사 재와 큐브 코너와 같은 엠보스 무늬를 갖는 재귀반사 재가 알려져 있다. 상기 유리 미세구를 갖는 반사재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바인더 층에 묻히고, 반사막을 형성한 다수의 유리 미세구를 구비하는 층 구조이고, 큐브 코너와 같은 엠보스 무늬를 갖는 재귀반사 재는 통상적으로 거의 평면인 외 표면을 갖는 몸체 부분과 상기 외 표면에 대향하는 다수의 큐브 코너 소자 즉, 엠보스 무늬를 구비하는 층 구조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엠보스 무늬를 갖는 재구반사 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스 무늬가 형성된 표면층인 엠보싱필름층(100), 백색 기재층(200), 접착제층(300) 및 이형지층(400)으로 이루어진다.
엠보스 무늬를 갖는 재귀반사 재는 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PVC)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아크릴 수지와 같은 투명 필름의 일면에 규브코너와 같은 엠보스 무늬를 형성하고, 이를 개재층으로 구성하는 기재필름과 합지한 다음, 기재필름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필름과 같은 이형지를 적층하여 제조된다.
상기 엠보스 필름(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엠보스 무늬는 큐브 코너와 같은 삼각뿔 형상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엠보스 무늬를 갖는 재귀반사 재는 반사재에 입사된 입사광을 원래의 광원 쪽으로 빛을 단순히 재 반사시키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어서 빛이 전혀 없는 곳에서는 식별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또 하나의 도로 표지, 안전 표지, 광고 표지 등에 사용되는 발광재는 일반적으로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광 안료층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엠보스 무늬를 갖는 재귀반사 재와는 반대로 빛이 없을 때에만 발광하기 때문에 그 용도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발광재는 자동차의 전조등과 같은 조사되는 빛에 대한 반사 효과가 거의 없는 식별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재귀반사와 함께 발광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표시재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이트가 빛을 반사시키는 기능과 축광/발광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여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기도 하며, 빛이 없을 경우 축광된 빛이 발광하게 되어 어떠한 조건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는 이면에 삼각뿔 형상의 엠보스 무늬가 형성된 투명 엠보싱필름과, 상기 엠보싱필름의 이면에 합지 또는 적층되는 기재필름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에 축광안료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는 상기 엠보싱필름과 축광안료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층을 다양한 문양의 열 압착기로 열 압착, 합지시킴으로써 열 압착되는 합지부에는 엠보스 무늬가 뭉개져 형성되는 평활면인 발광부가 형성되고, 비 압착부의 합지부에는 엠보스 무늬가 그대로인 재귀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는 광원이 있을 경우에는 재귀 반사부의 엠보스 무늬에 의해 입사광이 반사되기 때문에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광안료층에 축광이 진행되고, 조사되는 광원이 없을 경우에는 축광안료층에 축광된 빛이 발광되어 식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는 통상적인 엠보스 형성방법, 도포방법 및 합지 또는 적층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재 필름층은 투명필름을 기재로하여 하측면에 축광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축광안료층을 형성하고 이어 백색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백색안료층을 형성하여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층은 투명필름을 기재로하여 상측면에 축광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축광안료층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백색안료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와 백색안료를 혼합 용융하여 만든 백색필름을 기재로 하여 상측면에 축광안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축광안료층을 형성함으로써 말들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단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뿔 형상의 엠보스 무늬가 내측면에 형성된 투명 엠보싱 필름(1)과, 축광안료 조성물과 백색안료 조성물이 기재필름에 코팅되어 있는 기재필름층(2)이 합지되고, 그 아래측면에 접착제(3)를 개재하여 이형지(4)가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삼각뿔 형상의 엠보스 무늬에 육각형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육각형 문양이 엠보싱필름(1)과 축광안료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층(2)이 열 압착된 합지부로서 엠보스 무늬가 뭉개져 형성되는 평활면인 발광부(L)를 나타내고, 비 압착된 합지부는 엠보스 무늬가 그대로인 재귀반사부(R)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엠보싱필름(1)과 축광안료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층(2)이 열 압착된 합지부로서 엠보스 무늬가 뭉개져 형성되는 평활면인 발광부(L)의 문양은 육각형, 5각형 4각형, 원형 등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엠보스 무늬는 마이크로 프리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사용은 종래의 반사시이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한다. 즉, 필요부위에 이형지(4)를 벗겨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를 접착제층(3)을 이용하여 붙이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기능을 살펴보면, 먼저 조사되는 빛에 대한 반사기능은 종래의 반사시이트와 동일하면서, 축광안료를 사용함으로써 조사된 빛이 축광되어 야간이나 빛이 없는 경우에 발광하게 되는 발광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엠보스 무늬의 확대평면도 및 그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엠보스 무늬가 육각형 형태로 일정하게 뭉개진 부분은 발광부(L)로 발광 및 축광 기능을 수행할 때 중요하게 작용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축광안료에 의해 축광되어 발광하게 되는 빛은 그 강도가 미약하여 반사 엠보싱 시이트의 엠보싱 부분인 반사부(R)는 거의 통과하지 못하므로 반사부(R)는 식별력이 없지만, 엠보싱이 뭉개져 평활면으로 된 부분인 발광부(L)는 빛이 쉽게 통과하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부터 발광하는 빛만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축광기능면에서도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부(R)는 쉽게 통과하여 축광안료에 도달하지 못하지만, 발광부(L)는 쉽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축광면에서도 꼭 필요한 구성인 것이다.
도 4내지 도 6에 되시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인 기재필름층(2)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기재필름층(2)의 단면도로서, 투명필름(21)을 기재로 하여 하측면에 축광안료 조성물 도포하여 축광안료층(22)을 형성하고 이어 백색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백색안료층(23)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축광안료층(22) 및 백색안료층(23)은 통상적인 공지의 방법에 따라 도포할 수 있다.
축광안료층(22)을 형성하는 조성물 및 형성방법은 통상적인 공지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솔벤트에 폴리우레탄을 10 : 3~4의 비율로 녹이고 여기에 소포제와 가소제 등을 4~6중량% 정도 첨가하여 조제한 용액과 축광안료를 1 : 1.4 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광안료는 장 축광안료로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고,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번호 제10-1999-0024240호(축광 특성을 갖는 합성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에 기재된 축광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산화스트론튬(Strontium Oxide) 55 ∼ 62.5중량%,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35 ∼ 42.5중량%, 산화디스프로슘(Dysprosium Oxide) 1 ∼ 9중량% 및 산화유로퓸(Europium Oxide) 0.5 ∼ 1.5중량%로 구성되는 축광성 황색 발광체나, 산화스트론튬 20 ∼ 68.75중량%, 산화알루미늄 30 ∼ 78.75중량%, 산화칼슘(Calcium Oxide) 1 ∼ 49.75%, 산화디스프로슘 0.1 ∼ 49.75중량%, 산화유로퓸 0.1 ∼ 49.75중량% 및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0.05 ∼ 48.8중량%로 구성되는 축광성 청색 변색 발광체 또는 칼슘설파이드(Calcium sulfide) 70 ∼ 98.85중량%, 칼슘설페이트(Calcium sulfate) 1 ∼ 29.85중량%, 유로퓸 및/또는 톨륨(Thulium) 0.05 ∼ 28.9중량% 및 이산화규소 0.1 ∼ 28.95중량%로 구성되는 축광성 적색 변색 발광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축광성 황색 발광체는 산화스트론튬 57중량%, 산화알루미늄 39중량%, 산화디스프로슘 3.3중량% 및 산화유로퓸 0.7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고, 축광성 청색 변색 발광체는 산화스트론튬 43중량%, 산화알루미늄 51중량%, 산화칼슘 4.4중량%, 산화디프로슘 0.6중량%, 산화유로퓸 0.6중량% 및 이산화규소 0.4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축광성 적색 변색 발광체는 칼슘설파이드(Calcium sulfide) 95중량%, 칼슘설페이트(Calcium sulfate) 5중량%, 유로퓸 및/또는 톨륨(Thulium) 0.1중량% 및 이산화규소 0.25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축광 발현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기재필름층(2)의 단면도로서, 투명필름(21)을 기재로 하여 상측면에 축광안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축광안료층(22)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필름(21)의 하측면에는 백색안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백색안료층(23)을 형성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기재필름층(2)의 단면도로서, 합성수지와 백색안료를 혼합 용융하여 만든 백색필름(210)을 기재로 하여 상측면에 축광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축광안료층(22)을 형성한 것이다.
당연한 것이겠지만, 상기 접착제층(3)과 이형지(4)는 선택적 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제거하여도 그 기능 및 효과의 면에서는 다를 바 없다. 즉, 접착제층(3)과 이형지(4)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형성 합지한 것이므로, 접착제층(3)과 이형지(4)가 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를 다른 부착방법, 예를 들면 재봉이나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한 방법으로 사용하여도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도로 표지, 안전 표지, 광고 표지 등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는 종래 백색필름층(200) 대신에 축광 및 발광기능을 가진 축광안표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층(2)을 사용함으로써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가 축광된 빛이 발광되는 발광부(L)와 조사된 빛을 각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R)로 나뉘어져 어떠한 조건에서도 빛을 발하여 식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사 시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에 사용되는 엠보싱 필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기재필름층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기재필름층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기재필름층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및 선 A-A'로 자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엠보싱필름 2: 기재 필름층 3: 접착제층
4: 이형지 21: 투명필름 22: 축광안료층
23: 백색안료층 210: 백색필름 L: 발광부
R: 반사부

Claims (6)

  1. 이면에 삼각뿔 형상의 엠보스 무늬가 형성된 투명 엠보싱필름(1)과, 상기 엠보싱필름(1)의 이면에 합지(또는 적층)되는 기재필름층(2)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2)에 축광안료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필름(1)과 기재필름층(2)을 열 압착, 합지시킴으로써 열 압착되는 합지부에는 엠보스 무늬가 뭉개져 형성되는 평활면인 발광부(L)를 이루고, 상기 열 압착되는 합지부 이외의 비 압착 합지부에는 엠보스 무늬 면인 재귀반사부(R)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축광안료층(22)을 이루는 축광안료가 산화스트론튬(Strontium Oxide) 55 ∼ 62.5중량%,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35 ∼ 42.5중량%, 산화디스프로슘(Dysprosium Oxide) 1 ∼ 9중량% 및 산화유로퓸(Europium Oxide) 0.5 ∼ 1.5중량%로 구성되는 축광성 황색 발광체 안료 조성물, 산화스트론튬 20 ∼ 68.75중량%, 산화알루미늄 30 ∼ 78.75중량%, 산화칼슘(Calcium Oxide) 1 ∼ 49.75%, 산화디스프로슘 0.1 ∼ 49.75중량%, 산화유로퓸 0.1 ∼ 49.75중량% 및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0.05 ∼ 48.8중량%로 구성되는 축광성 청색 변색 발광체 안료 조성물 또는 칼슘설파이드(Calcium sulfide) 70 ∼ 98.85중량%, 칼슘설페이트(Calcium sulfate) 1 ∼ 29.85중량%, 유로퓸 및/또는 톨륨(Thulium) 0.05 ∼ 28.9중량% 및 이산화규소 0.1 ∼ 28.95중량%로 구성되는 축광성 적색 변색 발광체 안료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안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2)이 투명필름(21)의 하측면에 축광안료층(22) 및 백색안료층(23)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2)이 투명필름(21)의 상측면에 축광안료층(22)이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백색안료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6.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2)이 합성수지와 백색안료를 혼합 용융하여 만든 백색필름(210)을 기재로 하여 상측면에 축광안료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KR1020030079587A 2003-11-11 2003-11-11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KR10055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587A KR100550880B1 (ko) 2003-11-11 2003-11-11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587A KR100550880B1 (ko) 2003-11-11 2003-11-11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504A true KR20050045504A (ko) 2005-05-17
KR100550880B1 KR100550880B1 (ko) 2006-02-14

Family

ID=3724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587A KR100550880B1 (ko) 2003-11-11 2003-11-11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897A (ko) * 2004-03-05 2005-09-07 박광석 투명필름을 이용한 고휘도 장시간축광필름
KR101303077B1 (ko) * 2011-05-16 2013-09-16 김헌종 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897A (ko) * 2004-03-05 2005-09-07 박광석 투명필름을 이용한 고휘도 장시간축광필름
KR101303077B1 (ko) * 2011-05-16 2013-09-16 김헌종 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880B1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780B1 (ko) 전계발광성 재귀반사 물품
US5759671A (en) Ultraviolet luminescent retroreflective sheeting
TW457469B (en) Fluorescent, structured shaped article
CN101743488B (zh) 具有内部光学特性结构的光学元件及其制造方法
US9896020B2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US20010021110A1 (en) Reflector,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eflector, and internal-lighting display device
US10532691B2 (en) Lighting assembly including light strip, photoluminescent structure, and reflector and positioned on vehicle panel
JPH08502131A (ja) 反射及び発光層状部材
KR20010013806A (ko) 자체 발광 역반사성 시이트 및 이것의 제조 방법
JP5243016B2 (ja) 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および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作成キット
US5988821A (en) Lens type functional retroreflective sheeting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0550880B1 (ko) 축광 및 재귀반사 시이트
KR20130028242A (ko) 형광반사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외장재
JPH1088531A (ja) 蓄光性道路標示材
JPH07218708A (ja) 夜光再帰反射シート
JP3504438B2 (ja) 夜光性再帰反射シート
JPH0784109A (ja) 蓄光性及び反射性を有するシート
KR20030079478A (ko) 재귀 반사 시트
KR20230126773A (ko) Oem 방식의 빛 반사 의류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0392390Y1 (ko) 축광 및 재귀반사 테이프
JP3514307B2 (ja) 夜光再帰反射シート
JPH10111406A (ja) 機能性再帰反射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0544A (ja) 反射体
JP2000112411A (ja) 表示部材および表示装置
JP3689850B2 (ja) サインボード用蓄光性を有する自発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