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070A -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070A
KR20050045070A KR1020030079013A KR20030079013A KR20050045070A KR 20050045070 A KR20050045070 A KR 20050045070A KR 1020030079013 A KR1020030079013 A KR 1020030079013A KR 20030079013 A KR20030079013 A KR 20030079013A KR 20050045070 A KR20050045070 A KR 20050045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and
fuel cell
end plate
cell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준
조규택
김수환
최재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5070A/ko
Publication of KR2005004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를 이용하여 분리판과 전극을 적층하여 구성된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 시,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에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양측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의 분리판과 전극 전체질 접합체(MEA)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연료전지 스택을 밴드를 이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에서,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가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하여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에 대하여 밴드의 단부에 지지면을 갖는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형성하며, 체결수단을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A DEVICE FOR TIGHTENING STACKS OF FUEL CELL IN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를 이용하여 분리판과 전극을 적층하여 구성된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 시,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에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용 연료전지(Fuel Cell)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전극과,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된 수소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 막의 접합체인 전극 전해질 접합체(101,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과, 이를 지지하는 분리판(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에 비해 효율이 높고, 전류밀도 및 출력 밀도가 크며 시동시간이 짧은 동시에, 고체 전해질을 쓰기 때문에 부식 및 전해질 조절이 필요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로 순수 물만을 배출하는 친환경적인 동력원이기 때문에 현재 전 세계 자동차 업계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물과 열을 발생시키면서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로, 공급된 수소가 어노드(Anode) 전극의 촉매에서 수소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분리된 수소이온은 전해질 막을 통해 캐소드(Cathode)로 넘어가게 되며, 이 때, 공급된 산소와 외부 도선을 타고 들어온 전자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이 때, 발생되는 이론 전위는 약 1.3V이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node : H2 → 2H++2e- ,
Cathode : (1/2)O2 +2H++2e- H2O
실제로 전기자동차용 연료전지에서는 위에서 나타난 전위보다 더 큰 전위를 필요로 하는데, 더 높은 전위를 얻기 위해서는 개별 단위전지를 필요한 전위만큼 적층하여야 하며, 이렇게 적층한 것을 스택(100; Stack)이라 한다.
이러한 연료전지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출력밀도 증가 및 촉매, 전해질 막, 분리판 같은 스택의 주요 구성품의 생산단가 절감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만 하는데, 스택 체결기구를 간소화함으로 연료전지의 대량 생산시 빠른 작업성을 확보하고 스택 단품의 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스택의 체결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엔드 플레이트(105,107; End plate), 분리판(103), 가스켓 및 전극 전해질 접합체(101,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를 적층하여 구성된 스택(100)을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밴드(109; Band)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밴드(109)의 양단은 스택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엔드 플레이트(105,107)에 볼트(111)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택(100)을 고른 압력으로 눌러주며 고정하게 된다.
즉, 밴드(109)의 양단 끝부분과 같은 모양의 체결홈이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105,107)를 가진 스택(100)을 유압 프레스기로 적정 압력이 부과된 상태에로 놓고, 두께 1~2mm의 상기 밴드(109)의 양단부를 볼트(11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 때, 상기 밴드(109) 양단 끝부분은 스택 양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105,107)의 체결홈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며, 볼트(111)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택(100)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택(100)은 수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양측 엔드 플레이트(105,107)를 밀어 팽창하려는 성질을 갖는데, 스택(100)을 체결한 상기 밴드(109)는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고, 자체 구속력이 없으므로 스택 팽창에 의해 밴드(109) 양단 끝부분이 휘어지면서 스택(100)의 윗부분으로 탈거되려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밴드(109)의 체결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스택(100)의 팽창응력을 흡수하고 스택(1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큰 사이즈의 볼트(111)가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팽창응력을 볼트(111)가 모두 받게 되기 때문에, 장기 운전이나 외부 진동에 의한 계속된 하중 스트레스로 인해 볼트(111)가 파손되어 스택의 내구성을 보존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를 이용하여 분리판과 전극을 적층하여 구성된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 시,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에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는 양측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의 분리판과 전극 전체질 접합체(MEA)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연료전지 스택을 밴드를 이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에서,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가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하여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에 대하여 밴드의 단부에 지지면을 갖는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형성하며, 체결수단을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팽창하중 지지구조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 상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이 상기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지지홈면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홈의 경사진 지지홈면에 대응하는 경사진 지지면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에, 상기 밴드의 양단부을 끼워 상호 볼트 체결한 상태로, 상기 밴드의 양단부가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에이 삽입된 상태로 빠지지 않도록 엔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보조 밴드를 더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적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을 체결한 상태의 조립 사시도로써,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료전지 스택(1)은 양측 엔드 플레이트(3,5) 사이에 다수개의 분리판(7)과 가스켓 및 전극 전해질 접합체(미도시,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를 적층하여 구성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밴드(11; Band)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밴드(11)의 양단은 스택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양측 엔드 플레이트(3,5)에 볼트(13)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택을 고른 압력으로 눌러주며 고정하게 된다.
즉, 밴드(11)의 양단 끝부분과 같은 모양의 체결홈이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를 가진 스택(1)을 유압 프레스기로 적정 압력이 부과된 상태에로 놓고, 두께 1~2mm의 상기 밴드(11)의 양단부를 볼트(13)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1)의 체결에서,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3,5)와 각 밴드(11)의 양단 체결부(9)는 스택(1)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하여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각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에 대하여 밴드(11)의 단부에 지지면을 갖는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형성하며, 체결수단인 상기 볼트(13)를 통하여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팽창하중 지지구조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팽창하중 지지구조는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3,5)와 밴드(11)의 양단 체결부(9) 상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이 상기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s)에 대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지지홈면(17)을 형성하다.
상기 밴드(11)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홈(15)의 경사진 지지홈면(17)에 대응하는 경사진 지지면(19)을 형성하여 밴드(11)의 양단부가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13)로 체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 때, 상기 볼트(13)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 내측면에 볼트 체결구(21)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밴드(11)의 양단부에는 볼트홀(23)을 형성하여 상호 볼트(13)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에, 상기 밴드(11)의 양단부을 각각 끼워 상호 볼트 체결한 상태로, 상기 밴드(11)의 양단부가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에 삽입된 상태로 빠지지 않도록 엔드 플레이트(3,5)의 길이방향으로 보조 밴드(25)를 더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팽창하중 지지구조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팽창하중 지지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와 밴드(11)의 양단 체결부(9) 상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이 상기 스택(1)의 팽창하중 작용방향(S)에 대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지지홈면(17)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11)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홈(15)의 경사진 지지홈면(17)에 대응하는 경사진 지지면(19)을 형성하여 밴드(11)의 양단부가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13)로 체결되는 구조는 동일하나,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 내에 밴드(11)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수평방향의 진동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 내에 상기 경사진 지지홈면(17)에 연장된 수직면(25)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11)의 단부에는 상기 수직면(25)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면(19)에 연장된 대응 수직면(27)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13)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팽창하중 지지구조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창하중 지지구조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와 밴드(11)의 양단 체결부(9) 상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이 상기 스택(1)의 팽창하중 작용방향(S)에 대응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 지지홈면(29)을 형성한다.
상기 밴드(11)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홈(15)의 수평 지지홈면(29)에 대응하는 수평 지지면(31)을 형성하여 밴드(11)의 양단부가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13)로 체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 또한, 상기 볼트(13)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팽창하중 지지구조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팽창하중 지지구조는,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와 밴드(11)의 양단 체결부(9) 상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이 상기 스택(1)의 팽창하중 작용방향(S)에 대응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 지지홈면(29)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11)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홈(15)의 수평 지지홈면(29)에 대응하는 수평 지지면(31)을 형성하여 밴드(11)의 양단부가 상기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13)로 체결되는 구조는 동일하나, 상기 스택(1)의 팽창하중 작용방향(S)에 대응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 지지홈면(29)은 3단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밴드(11)의 양단부에도 상기 수평 지지홈면(29)과 동일한 3단의 수평 지지면(31)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체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볼트(13)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에 의하면,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3,5)와 밴드(11)의 양단 체결부(9)가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스택(1)의 팽창하중 작용방향(S)에 대하여 각각 엔드 플레이트(3,5)의 체결홈(15)에 대하여 밴드(11)의 단부에 지지되는 면을 갖는 각각의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취하고 있어, 작은 볼트의 사용이 가능함으로 공간 효율성이 증대되며, 기존 체결기구보다 볼트의 크기뿐만 아니라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작업 편리성을 가지며, 장기 운전시나 외부 충격시 볼트에 전해지는 하중이 체결기구로 분산되므로 스택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에 의하면, 밴드를 이용하여 분리판과 전극을 적층하여 구성된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 시,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에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응하여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작은 볼트의 사용이 가능함으로 공간 효율성이 높이며, 종래 체결기구보다 볼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작업 성이 향상되며, 장기 운전시나 외부 충격시 볼트에 전해지는 하중이 체결기구로 분산되므로 스택 전체의 내구성 향상으로 기밀을 보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 장치에 의한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적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을 체결한 상태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팽창하중 지지구조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팽창하중 지지구조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팽창하중 지지구조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팽창하중 지지구조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의 체결수단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연료전지 스택의 조립 사시도이다.

Claims (6)

  1. 양측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의 분리판과 전극 전체질 접합체(MEA)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연료전지 스택을 밴드를 이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가 자체 구속력을 갖도록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하여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에 대하여 밴드의 단부에 지지면을 갖는 팽창하중 지지구조를 형성하며, 체결수단을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팽창하중 지지구조는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 상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이 상기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지지홈면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홈의 경사진 지지홈면에 대응하는 경사진 지지면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팽창하중 지지구조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밴드의 양단 체결부 상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이 상기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응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 지지홈면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홈의 수평 지지홈면에 대응하는 수평 지지면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팽창하중 작용방향에 대응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 지지홈면은 적어도 2단 이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밴드의 양단부에도 상기 수평 지지홈면과 동일한 단의 수평 지지면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 내측면에는 볼트 체결구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밴드의 양단부에는 볼트홀을 형성하여 상호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양측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에, 상기 밴드의 양단부을 끼워 상호 볼트 체결한 상태로, 상기 밴드의 양단부가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빠지지 않도록 엔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보조 밴드를 더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KR1020030079013A 2003-11-10 2003-11-10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KR20050045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13A KR20050045070A (ko) 2003-11-10 2003-11-10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13A KR20050045070A (ko) 2003-11-10 2003-11-10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70A true KR20050045070A (ko) 2005-05-17

Family

ID=3724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013A KR20050045070A (ko) 2003-11-10 2003-11-10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507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35B1 (ko) * 2008-03-12 2010-10-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면압 조절 장치
KR101349017B1 (ko) * 2012-08-09 2014-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기구
US20140162168A1 (en) * 2012-12-12 2014-06-12 Hyundai Motor Company Fuel cell stack
WO2014168330A1 (ko) * 2013-04-08 2014-10-16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우수한 체결력을 갖는 연료전지
WO2017095001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램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CN110718710A (zh) * 2018-06-26 2020-01-21 武汉众宇动力系统科技有限公司 燃料电池堆及其堆叠方法
WO2020025597A3 (de) * 2018-07-31 2020-05-14 Robert Bosch Gmbh Brennstoffzellenstack,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rennstoffzellenstack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nnstoffzellenstacks
US20210226244A1 (en) * 2020-01-20 2021-07-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module
CN114447392A (zh) * 2022-02-11 2022-05-06 氢电中科(广州)新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电堆保护系统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35B1 (ko) * 2008-03-12 2010-10-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면압 조절 장치
KR101349017B1 (ko) * 2012-08-09 2014-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기구
US20140162168A1 (en) * 2012-12-12 2014-06-12 Hyundai Motor Company Fuel cell stack
US9450263B2 (en) * 2012-12-12 2016-09-20 Hyundai Motor Company Engaging structure of fuel cell stack
WO2014168330A1 (ko) * 2013-04-08 2014-10-16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우수한 체결력을 갖는 연료전지
KR101479836B1 (ko) * 2013-04-08 2015-01-06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우수한 체결력을 갖는 연료전지
TWI682572B (zh) * 2015-11-30 2020-01-1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夾持構件及使用此夾持構件的電池模組
KR20170062736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램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WO2017095001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램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US11088388B2 (en) 2015-11-30 2021-08-10 Lg Chem, Ltd. Clamp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CN110718710A (zh) * 2018-06-26 2020-01-21 武汉众宇动力系统科技有限公司 燃料电池堆及其堆叠方法
WO2020025597A3 (de) * 2018-07-31 2020-05-14 Robert Bosch Gmbh Brennstoffzellenstack,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rennstoffzellenstack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nnstoffzellenstacks
US11652229B2 (en) 2018-07-31 2023-05-16 Robert Bosch Gmbh Fuel cell stack, method for producing a fuel cell stack and method for operating a fuel cell stack
US20210226244A1 (en) * 2020-01-20 2021-07-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module
CN114447392A (zh) * 2022-02-11 2022-05-06 氢电中科(广州)新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电堆保护系统
CN114447392B (zh) * 2022-02-11 2023-09-15 氢电中科(广州)新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电堆保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872B2 (en) Fuel cell stack
US6218039B1 (en)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fuel cell
US6689503B2 (en) Fuel cell with uniform compression device
EP2360768B1 (en) Cell stack of fuel cells and method for fastening cell stack of fuel cells
US7977011B2 (en) Fuel stack structure with an adhesive layer
US7232582B2 (en) Fuel cell
JP2005142145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締結構造
KR101479836B1 (ko) 우수한 체결력을 갖는 연료전지
KR10070921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US20100159345A1 (en) Cell stack of fuel cell and method of fastening cell stack of fuel cell
US7709132B2 (en) Fuel cell stack
US20100092837A1 (en) Plate-laminated type fuel cell
US8354197B2 (en) Fuel cell stack having an integrated end plate assembly
KR20050045070A (ko)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KR100569133B1 (ko) 전기자동차용 연료 전지 모듈
KR100514375B1 (ko)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EP1998399A1 (en) Stack for fuel cell
KR100869805B1 (ko) 연료 전지용 스택
CN109075371B (zh) 燃料电池堆栈结构体
CA2492426C (en) Fuel cell
US9012109B2 (en) Pre-treatment method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y
KR10072879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KR20090085291A (ko) 연료 전지 스택의 체결 장치
KR20020056186A (ko) 연료전지의 스택 조립구조
JP2008004505A (ja) 燃料電池スタック、燃料電池スタックの締結方法、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組立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