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032A -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 - Google Patents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032A
KR20050045032A KR1020030078965A KR20030078965A KR20050045032A KR 20050045032 A KR20050045032 A KR 20050045032A KR 1020030078965 A KR1020030078965 A KR 1020030078965A KR 20030078965 A KR20030078965 A KR 20030078965A KR 20050045032 A KR20050045032 A KR 20050045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data
control unit
facsimil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5032A/ko
Publication of KR2005004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0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8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 H04N1/4486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using digital data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비화기와 인터페이스되어 외부의 도청을 방지할 수 있는 팩시밀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는, 공중전화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망제어유닛, 망제어유닛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변환하는 모뎀, 모뎀에 의해 디지털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제어부, 및 외부의 비화기와 연결되며, 제어부와 모뎀 사이에 송수신되는 병렬통신 데이터를 직렬통신데이터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뎀은 제어부로부터 공중전화망에 송신할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변환하여 망제어유닛에 전송하며, 인터페이스부는 변환된 직렬통신데이터를 비화기와 송수신한다.

Description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Facsimile capable of interfacing with secret device}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화기와 인터페이스되어 외부의 도청을 방지할 수 있는 팩시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공중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사용하는 팩시밀리는, 중앙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모뎀 사이의 데이터버스를 통해 FSK(Frequency Shift Keying) 신호 및 화상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한다. 여기서, FSK 신호는, 바이너리 데이터(binary data)를 하나의 캐리어로 합한 단순한 주파수 변조신호로서, 이것은 주파수 내에서 0과 1의 오직 두 개의 변화만으로 구현된다. FSK 신호의 장점으로는 잡음에 대한 면역성이 강하고, 연속진폭의 특성을 가지므로 레벨 변동에 강하다. 단점으로는 광대역을 필요로하며, 비트 오율 특성이 ASK(Amplitude Shift Keying) 신호와 유사하다는 점이다. FSK 신호는 구성이 용이하고 비교적 원거리 전송에 강하여 공중전화망에서 많이 이용되며, 또한 저속 비동기식으로 200~1200 bps 정도의 데이터 전송에 많이 사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팩시밀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팩시밀리는 NCU(Network Control Unit)(10), 모뎀(20), 및 CPU(30)를 구비한다.
NCU(10)는 공중 통신회선을 사용할 때 필요한 장치로서, 공중 통신회선에 접속하기 위한 발신과 착신, 통신 종료 후의 통신 회선 복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모뎀(20)의 수신단(RxA)은 NCU(10)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다. 모뎀(20)은 수신단(RxA)을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조하며,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를 통해 CPU(30)에 전송한다. CPU(30)는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신호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CPU(30)는 공중 통신회선을 통해 발신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모뎀(20)에 전송한다. 모뎀(20)은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조하여 송신단(TxA)을 통해 NCU(10)로 전송한다. NCU(10)는 일반 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된 팁 및 링(TIP, RING)단을 통해 상대편과 통신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통신 보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공중전화망을 사용하는 일반 전화기는,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통신 보안을 수행할 경우에는 비화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비화기는 직렬통신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대해, 팩시밀리의 모뎀(20) 및 CPU(30) 사이는 병렬 데이터 버스를 통해 화상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한다. 따라서, 일반 전화기에 사용되는 비화기는 팩시밀리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으며, 비화기와 팩시밀리의 사이에는 병렬통신 데이터를 직렬통신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터페이싱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할 뿐만아니라, 보다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는, 공중전화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망제어유닛, 상기 망제어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디지털변환하는 모뎀, 상기 모뎀에 의해 디지털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제어부, 및 외부의 비화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모뎀 사이에 송수신되는 병렬통신 데이터를 직렬통신데이터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공중전화망에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변환하여 상기 망제어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변환된 상기 직렬통신데이터를 상기 비화기와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뎀은,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클록수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기 위한 송신클록 및 수신클록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뎀에 의해 조절된 상기 클록수에 동기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에 의해 동기된 상기 클록수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비화기와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RS232C, 및 상기 RS232C를 제어하는 UART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뎀은 33.6Kbps 모뎀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는 접속된 비화기를 통하여 통신 보안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송신모드 또는 수신모드에 따라 비화되는 신호의 클록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팩시밀리의 비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팩시밀리는 NCU(110), 모뎀(120), 스위치(121),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 revision C)(123), 비화기(125),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및 CPU(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위치(121), RS232C(123), 및 UART(127)는 인터페이스부(129)에 구비된다.
NCU(110)는 망 제어유닛이라고도 하며, 공중 통신회선을 사용할 때 필요한 장치로서 공중 통신회선에 접속하기 위한 발신과 착신, 통신 종료 후의 통신 회선 복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모뎀(120)은 NCU(110)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한다. 또한, 모뎀(120)은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서류나 도면의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NCU(110)에 전송한다.
여기서, 모뎀(120)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DCLK이 송신용의 TDCLK와 수신용의 RDCLK의 서로 다른 두 개로 분리된 33.6Kbps 모뎀을 사용한다. 이로써, 14.4Kbps 모뎀을 이용하는 기존의 팩시밀리가 비화교신시에는 9.6Kbps의 속도로 고정되지만, 비화교신이 아닌 일반 교신시에는 최대 14.4Kbps의 교신속도로 송수신하던 것을, 일반 교신시에는 최대 33.6Kbps의 속도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비용을 약 2배 정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CPU(130)는 팩시밀리가 수신측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모뎀(120)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또한, CPU(130)는 팩시밀리가 송신측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서류나 도면등의 영상이 공중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즉, CPU(130)는 서류나 도면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많은 화소로 분해하여 각 점의 밝기에 따라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전화선, 통신망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며, 수신측에서는 이를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여 인쇄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29)는 외부의 비화기(125)와 연결되며, 모뎀(120)과 CPU(130)의 상이에서 송수신되는 병렬통신 데이터를 직렬통신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모뎀(120)과 CPU(130) 사이는 8비트의 병렬통신 데이터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인터페이스부(129)는 모뎀(120)과 CPU(130)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병렬통신 데이터를 직렬통신 데이터로 변환한다.
인터페이스부(129)는 변환된 직렬통신 데이터를 비화기(125)에 전송하며, 비화기(125)는 인터페이스부(129)로부터 수신된 직렬통신 데이터를 비화하여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해 모뎀(120)으로 전송하거나, CPU(130)로 전송한다.
비화기(125)에 의한 비화송신 과정을 살펴보면, 팩시밀리와 외부의 다른 통신 기기간에 착신신호 교환이 있은 후, CPU(130)는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비화기(125)로 RTS-A(Request To Send-A) 신호를 전송한다. 비화기(125)는 수신된 RTS-A 신호에 대응하여 모뎀(120)에 RTS-B 신호를 전송한다. 모뎀(120)은 수신된 RTS-B 신호에 대응하여 CTS-B(Clear To Send-B)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하여 비화기(125)로 전송한다. 비화기(125)는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해 CTS-B 신호가 수신되면, 일정시간 후 CTS-A 신호를 CPU(130)에 전송한다. 팩시밀리의 메인보드(도시하지 않음)는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하여 인터럽트 서비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데이터의 전송경로는, CPU(130)가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하여 비화기(125)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비화기(125)는 수신된 데이터를 비화하여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해 모뎀으로 전송한다.
비화기(125)에 의한 비화 수신과정을 살펴보면, 팩시밀리와 외부의 다른 통신기기 간에 착신신호 교환이 있은 후에 외부의 통신기기로부터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가 수신되면, 모뎀(120)은 RLSD(Receive Line Signal Detect) 신호를 CPU(130)에 전송한다. CPU(130)는 모뎀(120) 내부의 레지스터를 통하여 캐리어를 검출한다. 캐리어가 검출되면, CPU(130)는 모뎀(120) 내부의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ENCRY 신호를 발생시킨다. 인터페이스부(129)는 RLSD 신호와 ENCRY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비화기(125)로 RLSD-B 신호를 전송한다. 비화기(125)는 RLSD-B 신호가 수신되면, RLSD-A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29)의 DSR(Data Set Read)(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한다. RLSD-A 신호에 의해 인터페이스부(129)의 DSR이 온(ON) 되면, CPU(130)와 비화기(125)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데이터의 전송경로는,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가 수신되면, 모뎀(120)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부9129)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다시 비화기(125)로 전송된다. 비화기(125)는 비화신호를 팩스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하여 CPU(130)로 전송함으로써, 인터럽트 서비스에 의한 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진다.
인터페이스부(129)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페이스부(129)에 구비된 스위치(121)는 팩시밀리의 수신모드 또는 송신모드의 상태에 따라 비화기(125)에 의한 적절한 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위칭 작용을 한다. 즉, 33.6Kbps 모뎀과 같이, 공중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통신회선 내에서의 데이터의 방목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모뎀의 경우, 그 모뎀의 수신모드상태 또는 송신모드상태에 따라 비화기(125)의 비화동작을 다르게 동기화시킬 필요가 있다. 모뎀(120)의 수신모드 상태 또는 송신모드 상태의 여부는 CPU(130)에 의해 스위치(121)에 통지되며, 스위치(121)는 모뎀(120)의 수신모드 상태 또는 송신모드 상태에 따라 모뎀(120)과 비화기(125)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록수가 동기화되도록 스위칭작용을 한다.
RS232C(123)는 모뎀(120)과 다른 직렬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한다. 이때, 모뎀(120) 또는 CPU(130)로부터 나오는 데이터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127)에 의해 DTE(Data Terminal Equipment) 인터페이스로부터 비화기(125)로 전송된다. 모뎀(120)과 CPU(13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병렬회로를 따라 흐르지만 직렬장치들은 오직 한번에 한 비트씩만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UART(127)가 병렬로 되어 있는 비트들을 직렬 비트 열로 변환시킨다. 이때, 모뎀(120)과 같은 DTE 에이전트는, DCE(Data Communication Equipment) 인터페이스라고 불리는 보완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공중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정화되어 통신 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팩스 모뎀에 비하여 보다 빠른 모뎀을 사용하고 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싱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품질이 좋은 비화팩시밀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팩시밀리는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하게 될 뿐만아니라, 보다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데이터버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NCU 120 : 모뎀
121 : 스위치 123 RS232C
125 : 비화기 127 : UART
130 : CPU

Claims (5)

  1. 공중전화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망제어유닛;
    상기 망제어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디지털변환하는 모뎀;
    상기 모뎀에 의해 디지털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제어부; 및
    외부의 비화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모뎀 사이에 송수신되는 병렬통신 데이터를 직렬통신데이터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뎀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공중전화망에 송신할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변환하여 상기 망제어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변환된 상기 직렬통신데이터를 상기 비화기와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클록수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기 위한 송신클록 및 수신클록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뎀에 의해 조절된 상기 클록수에 동기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에 의해 동기된 상기 클록수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비화기와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RS232C; 및
    상기 RS232C를 제어하는 UAR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33.6Kbps 모뎀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KR1020030078965A 2003-11-10 2003-11-10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 KR20050045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965A KR20050045032A (ko) 2003-11-10 2003-11-10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965A KR20050045032A (ko) 2003-11-10 2003-11-10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32A true KR20050045032A (ko) 2005-05-17

Family

ID=3724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965A KR20050045032A (ko) 2003-11-10 2003-11-10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50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141A (en) Variable bitrate radio modem system to enhance data transmission and reduce error rates
US57521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faxes over analog cellular
US54835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over a radio transceiver with a modem
EP0159326A4 (en) DIGITAL SIGNAL PROCESSOR MODEM.
US56920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voice and data on a single analog-loop telephone line
US57152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ss of a telecommunications channel connection
US5633890A (en) Method for intelligent data terminal equipment (DTE) data communication
KR20010014245A (ko) 데이터 통신 장치를 무선 단말을 거쳐 통신망에 연결하기위한 시스템
US558781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disabling messages specifying non-standard communication features
US7409195B2 (en) Wireless modem
JP2012114551A (ja) 変復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通信装置
KR20050045032A (ko) 비화기와 인터페이싱 가능한 팩시밀리
GB2130845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ling the transmission mode of a communication system
US5920402A (en) Use of compression to improve the sending of faxes over analog cellular
US67283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over a four-wire subscriber line
CA1290475C (en) Integrated data voice multiplexer supporting handshake and loop-back protocols
KR930000010B1 (ko) Pc 및 fax 통신용 어댑터 장치
KR100234056B1 (ko) 모뎀 내장형 무선전화기
KR100314944B1 (ko) 모뎀회로
KR100224272B1 (ko)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EP0103324A2 (en) Simultaneous voice and data transmission circuit having a digital loop transceiver
JP2684125B2 (ja) 音声処理装置
KR100282059B1 (ko) 인터넷 팩스 기능을 갖는 아이피 보이스 단말기
KR20020063366A (ko)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팩시밀리
JPH03296347A (ja) データ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