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250A -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250A
KR20050043250A KR1020030078084A KR20030078084A KR20050043250A KR 20050043250 A KR20050043250 A KR 20050043250A KR 1020030078084 A KR1020030078084 A KR 1020030078084A KR 20030078084 A KR20030078084 A KR 20030078084A KR 20050043250 A KR20050043250 A KR 20050043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task
aphasia
pictur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385B1 (ko
Inventor
남기춘
편성범
임희석
김동휘
정재범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to KR10-2003-007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38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38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저장부에는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된다. 입력부는 피검자로부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다. 출력부는 피검자에게 제시문제를 출력한다. 과제수행부는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피검자의 수행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그림명명과제, 그림에 맞는 이름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그림-단어일치과제, 피검자의 어휘집에 제시된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의 보전여부 및 피검자의 제시단어에 대한 파악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어휘판단과제, 피검자의 읽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어명명과제, 및 피검자의 언어외적인 의미처리과정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의미판단과제 각각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의해 피검자에 제시하고,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기초로 평가기준에 따라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의 유무를 측정한다. 진단부는 과정수행부에 의해 측정된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을 기초로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피검자에 대한 명칭성 실어증 발생여부 및 명칭성 실어증 유형을 진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어처리 모형에 기반을 둔 증상위주의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언어장애중에 특히 여러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심도있고 정밀하게 진단 및 분류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본 발명은 언어장애 중 명칭성 실어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를 진단하고 분류하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인의 언어정보처리 모형에 기초하여 처리모형의 하위 요소들을 측정하여 명칭성 실어증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출혈이나 뇌경색 또는 광범위한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장애가 생길 경우 실어증이라고 한다. 언어장애의 경우 신체의 장애와 달리 재사회화에 큰 장애가 있으나 신체 장애처럼 진단, 치료, 및 재활의 방법이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언어의 경우 민족의 특성과 언어의 특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학문이 발달한 선진국의 검사도구나 치료도구를 그대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명칭성 실어증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도구에는 KBNT(Boston naming task)의 한국판이 있으나, 이는 단지 빈도순에 의한 오프라인 검사이므로, 명칭성 실어증의 타입이나 차이를 보여주는 측면보다는 단지 명칭성 실어증의 정보에 대한 정보만 제공한다.
명칭성 실어증이라 함은 언어장애의 일부로서, 특히, 친숙한 사물의 이름을 명명하지 못하는 장애를 의미한다.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개념적인 지시대상은 있으나 단어를 인출하는데 장애를 가지고 있다. 명칭성 실어증은 실어증 중에서 가장 발생률이 높으며, 발생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명칭성 실어증의 특징에 따라 여러 하위 개념에 따른 손상을 보고하고 있다. Semenza, Zettin(1989), Damasio(1991) 등은 고유명사와 일반명사의 차이에 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McCarthy 및 Warrington(1988)은 인공물과 자연물에 대한 차이를 보이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보고하였고, 다수의 연구가 사물의 카테고리에 따른 선택적 손상을 보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기존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진단하기 위한 도구에는 반영되어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모두 여러 증상(symptom)이 아닌 증후군(Syndrome)위주의 진단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명칭성 실어증 환자에 대한 진단이 구체적인 증상이 아닌 넓은 범주의 증후군을 기초로 이루어지므로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을 기초로 명칭성 실어증을 검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는,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되는 저장부; 피검자로부터 상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피검자에게 상기 제시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대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그림명명과제, 제시되는 그림에 맞는 이름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그림-단어일치과제, 상기 피검자의 어휘집에 제시된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가 잘 보전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피검자가 제시된 단어를 정확히 단어라고 파악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어휘판단과제, 상기 피검자의 읽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어명명과제, 및 상기 피검자의 언어외적인 순수 의미처리과정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의미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의해 상기 피검자에 제시하고, 상기 각각의 과제에 대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기초로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의 유무를 측정하는 과제수행부; 및 상기 과정수행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을 기초로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에 대한 명칭성 실어증 발생여부 및 명칭성 실어증 유형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언어처리 모형에 기반을 둔 증상위주의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언어장애중에 특히 여러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심도있고 정밀하게 진단 및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요소를 기초로 설계된다. 첫째, 기존의 언어심리학에서 밝혀진 언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도 1은 Ellis와 Young이 제안한 읽기에 관련된 언어처리 모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각에 의해 인지된 음성단어(heard word)는 청각분석시스템(100)에 의해 음소수준(170)으로 해석되어 발화되며, 시각에 의해 인지된 시각단어(written word)는 시각분석시스템(110)에 의해 자소-음소의 대응관계(160)가 분석된 후 음소수준(170)으로 해석되어 발화된다. 이 때, 청각분석시스템(100)과 시각분석시스템(110)은 각각 청각입력어휘집(120)과 시각입력어휘집(130)을 참조하며, 청각입력어휘집(120)과 시각입력어휘집(130)은 공통의 의미시스템(140)을 참조한다. 또한, 의미시스템(140)은 음성출력어휘집(150)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는 언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명칭성 실어증이라는 증후군을 언어처리모형에 의거하여, 언어처리모형을 구성하는 요소중에서 어느 부분에 손상 또는 장애가 생겨서 글을 읽지 못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순히 그림을 보여주고 명명에 장애가 있어 명칭성 실어증이라는 진단에서 더욱 발전시켜 동일한 단어를 그림으로도 보여주고 어휘판단(lexical decision task) 등을 이용하면, 동일한 명칭성 실어증이라도 의미 시스템이나 어휘집이 손상이 있는지 아니면 의미시스템과 어휘집은 온전하나 그 연결이 불완전하여 명칭성 실어증 증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진단에 쓰이는 재료는 모두 선행연구에 의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한글재료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언어관련 연구가 외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한국어 화자를 진단하는 상황에서는 기존의 한국어 연구결과를 참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둘째, 기존의 검사도구에 없었던 피검자에 대한 반응시간의 측정에 의한 검사를 실시한다. 즉, 단어어휘판단이나, 읽기과제에서의 정오판단에 기초하여 명칭성 실어증을 검사하는 방식을 발전시켜 각각의 어휘판단이나 읽기, 의미판단 등의 반응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정오판단으로 알 수 없는 언어장애의 여러 특징들을 발견하고 분류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검사의 결과를 분석에 용이하도록 정량화하고, 컴퓨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자료 제시, 결과 수집,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수행함으로써 원할한 진단이 가능하다. 넷째, 증후가 아닌 증상위주의 진단장치이므로 명칭성 실어증에 대한 더욱 자세하고,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200)는 저장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제어부(240), 과제수행부(250), 및 진단부(260)를 구비한다.
저장부(210)에는 각각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제시문제의 정답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10)에는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된다. 평가기준은 각각의 과제에 대한 답의 정오여부를 기초로 피검자의 어휘판독능력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 및 피검자의 반응속도를 기초로 피검자의 어휘판독능력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을 포함한다.
입력부(220)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등과 같은 정보의 입력수단이며, 입력부(220)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과제수행부(250)로 전달된다. 출력부(230)는 모니터, 스피커 등과 같은 정보의 출력수단이며, 과제수행부(250)는 제시과제를 출력부(230)를 통해 피검자에게 제시한다. 제어부(240)는 입력부(220)를 통해 검사수행자로부터 검사진행명령이 입력되면, 설정되어 있는 과제수행순서에 기초하여 과제수행부(250)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40)는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정보의 형태에 해당하는 입력부(220)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피검자로부터 답을 음성으로 입력받을 과제는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모니터에 출력된 보기중에서 답을 선택하는 유형의 과제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활성화함) 및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을 정보의 형태에 해당하는 출력부(230)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그림으로 제시되는 과제는 모니터를 활성화하고, 음성으로 제시되는 과제는 스피커를 활성화함 )를 활성화한다.
과제수행부(250)는 피검자에게 그림명명과제(Picture Naming Task : PNT), 그림-단어일치과제(Picture-word Matching Task : PMT), 어휘판단과제(Lexical Decision Task : LDT), 의미판단과제(Semantic Decision Task : SDT), 및 명명과제(Word Naming Task : WNT)를 정해진 순서에 의해 제시하고,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측정한다. 과제수행부(250)는 과제의 수행순서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과제별 제시문제와 제시자극을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에는 그림명명과제에서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제시문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피검자는 출력부(230)를 통해 제시된 각각의 그림의 명칭을 입력부(220)에 구비된 입력키를 이용해 입력하거나 입력부(22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한다. 과제수행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피검자의 반응에 대한 정오여부와 반응시간을 기록한다. 아울러, 과제수행부(250)는 각각의 과제에 대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과제에 대한 올바른 수행여부를 판단하여 진단부(260)에 제공한다.
먼저, 그림명명과제는 피검자에게 그림을 제시하고 힌트없이 명명하게 하는 과제이다. 과제수행부(250)는 피검자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답을 입력받지 못하거나 입력받은 답이 오답일 경우에 피검자에게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의 사용용도나 의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피검자로부터 정해진 시간내에 정답을 입력받지 못하면, 과제수행부(250)는 피검자에게 의미적인 힌트 및 음운적인 힌트를 순차적으로 피검자에게 제시하고 명명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후에 실시되어질 실험과 그 결과들에 일종의 지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사용용도나 의미 설명을 잘 못할 경우에 의미적인 힌트 및 음운적인 힌트가 제시된 후에도 피검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지 못할 확률이 높고, 이후의 의미판단과제에서도 정확하지 않은 반응이 나올 수 있다. 그림명명과제는 인간 언어정보처리 모형 중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 모든 과정을 측정한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어느 한 부분이라도 손상이 있을 경우 이 과제의 수행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시 과제수행부(250)에 의해 출력부(230)에 출력되는 그림은 라인드로잉으로 된 100개의 그림에 대해 50개의 그림으로 2개의 동종이형 세트를 구성하고, 각각의 세트는 10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각 세트는 구체(자연/인공)와 추상(직업,활동)으로 대분되고, 자연물은 식물, 동물, 신체일부, 비생물로 구성된다. 또한, 인공물은 가전제품, 가구, 교통기관, 의복, 도구 등의 하위 카테고리로 나누어져 있다. 그림의 카테고리를 나눔으로써 기존의 검사도구와는 다르게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특정 카테고리 손상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과제수행부(250)는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중에 피검자가 특정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과제에 대한 오답의 입력횟수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반응시간이 소정의 기준시간보다 높으면 해당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과제를 피검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인공물 세트에 속하는 과제에 대한 응답과정에서 피검자에게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과제수행부(250)는 인공물 세트의 하위 카테고리인 가전제품에 대한 그림만을 피검자에게 출력한다. 각각의 그림은 고빈도와 저빈도로 나누어져 있어서 기존 KBNT와 높은 신뢰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명명과제는 기존의 연구와 임상장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을 그룹화하여 새로이 구성되었다. 또한 동종이형의 세트를 구성함으로써 추적검사시에 같은 자극을 반복함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림-단어일치과제는 피검자가 그림명명과제와 동일한 그림에 맞는 이름에 대한 탐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그림-단어일치과제는 그림명명과제와는 달리 단어의 인출 및 명명에 관한 처리를 요구하지 않으며, 시각입력의 처리와 그에 맞는 적절한 단어를 인출하는 어휘접근에 대한 처리능력을 측정한다. 도 4에는 그림-단어일치과제에서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제시문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과제수행부(250)는 출력부(230)를 통해 저장부(240)로부터 독출한 그림-단어일치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피검자에게 제공하며, 입력부(220)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체크한다. 제시되는 각각의 과제의 난이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세개의 보기는 제시되는 그림에 해당하는 단어, 제시되는 단어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단어, 및 제시되는 단어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단어로 구성된다.
어휘판단과제는 피검자에게 그림명명과제의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와 동수의 비단어를 제시하여 피검자가 제시된 단어의 비단어여부를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어휘판단과제를 통해 피검자의 어휘집에 제시된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가 잘 보전되어 있는지 여부 및 피검자가 제시된 단어를 정확히 단어라고 파악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피검자가 어휘판단과제를 잘 수행하지 못하면, 심성어휘집에 저장되어있는 일부 단어가 손상되어 명칭성 실어증 장애가 발생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앞의 실험과 동일하게 on-line task로 진행되며, 반응시간과 오류율을 측정한다. 과제수행부(250)는 저장부(210)로부터 어휘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독출하여 출력부(230)에 출력하며, 입력부(220)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된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체크한다.
단어명명과제는 피검자의 읽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과제수행부(250)는 그림명명과제에서 제시된 그림의 이름을 출력부(230)를 통해 피검자에게 제시하고 피검자에게 제시된 그림의 이름을 읽도록 지시한다. 피검자의 음성은 입력부(22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며, 과제수행부(250)는 입력된 피검자의 음성을 기초로 발음의 정확성 및 읽기속도를 측정한다. 어휘판단과제가 피검자의 단어/비단어에 대한 판단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인 반면, 단어명명과제는 피검자의 심성어휘집에서 단어를 탐색한 후 조음 및 음성적인 처리까지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만약, 피검자가 어휘판단과제는 제대로 수행하나 단어명명과제를 잘 수행하지 못한다면, 피검자의 심성어휘집의 단어는 모두 잘 보전되어 있으나 그것을 음성자극으로 바꾸거나 산출하는데 문제가 생긴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의미판단과제는 피검자의 언어외적인 순수 의미처리과정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도 5에는 출력부(230)에 출력된 의미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검자는 입력부(220)에 구비된 버튼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보기중에 제시된 그림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그림을 선택한다. 의미 판단 과제는 피검자의 언어처리와 관련된 부분을 배제한 순수한 의미처리만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의미 분류 과제와 차이가 있다. 만약 피검자가 의미 판단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이 부족하면, 의미처리부분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명칭성 실어증이 발생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진단부(260)는 과제수행부(250)에 의해 도출된 검사결과를 각각의 과제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피검자의 명칭성 실어증에 대한 진단결과를 생성한다. 상술한 과제수행부(250)에 의한 검사결과에 따라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진단부(260)는 각각의 과제에 대응하는 검사결과를 기초로 피검자가 속하는 환자타입을 판정하여 출력한다.
PNT PMT LDT SDT WNT
A X O O O O
B X X O O X
C X X X O X
D X X O X X
E X X O O O
표 1에 기재된 기준에 의해 분류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A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의미시스템과 음운출력어휘집(phonological output lexicon)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고, 의미시스템과 음운출력어휘집(phonological output lexicon) 자체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B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어휘집 자체는 어느 정도 완전하나, 음운출력어휘집(phonological output lexicon)에 문제가 있어서 적절한 단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환자이다. C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의미시스템에 문제가 있어서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일 가능성이 높다. D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의미시스템과 심성어휘집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아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일 가능성이 높다. E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시각입력 시스템과 의미시스템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아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일 가능성이 높다. 이밖에도 환자의 특성과 과제의 수행정도에 따라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다른 많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에 따르면, 언어처리 모형에 기반을 둔 증상위주의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언어장애중에 특히 여러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심도있고 정밀하게 진단 및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DB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 및 재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다른 실어증 검사도구의 기초 모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Ellis와 Young이 제안한 읽기에 관련된 언어처리 모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그림명명과제에서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제시문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그림-단어일치과제에서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제시문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출력부(230)에 출력된 의미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되는 저장부;
    피검자로부터 상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피검자에게 상기 제시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반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그림명명과제, 제시되는 그림에 맞는 이름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그림-단어일치과제, 상기 피검자의 어휘집에 제시된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가 잘 보전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피검자가 제시된 단어를 정확히 단어라고 파악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어휘판단과제, 상기 피검자의 읽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어명명과제, 및 상기 피검자의 언어외적인 순수 의미처리과정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의미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의해 상기 피검자에 제시하고, 상기 각각의 과제에 대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기초로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의 유무를 측정하는 과제수행부; 및
    상기 과정수행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을 기초로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에 대한 명칭성 실어증 발생여부 및 명칭성 실어증 유형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수행부는 상기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소정의 그림을 출력하고 상기 피검자로부터 소정의 제1기준시간내에 정답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피검자에게 상기 출력된 그림의 사용용도나 의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그림의 사용용도나 의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 후에 상기 피검자로부터 소정의 제2기준시간내에 정답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피검자에게 상기 출력된 그림에 대한 의미적인 힌트 및 음운적인 힌트를 순차적으로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시 상기 과제수행부에 의해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그림은 50개의 그림으로 2개의 동종이형 세트를 구성되고 각각의 세트는 10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구성되며,
    상기 과제수행부는 상기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중에 특정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과제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오답 입력횟수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피검자의 반응시간이 소정의 기준시간보다 높으면 상기 특정한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과제들을 상기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른 환자유형은 의미시스템과 음운출력어휘집(phonological output lexicon)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고 상기 의미시스템과 상기 음운출력어휘집이 손상된 환자에 해당하는 제1타입, 어휘집 자체는 완전하나 상기 음운출력어휘집에 문제가 있어서 적절한 단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환자에 해당하는 제2타입, 상기 의미시스템에 문제가 있어서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에 해당하는 제3타입, 상기 의미시스템과 심성어휘집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아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에 해당하는 제4타입, 및 시각입력 시스템과 상기 의미시스템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아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에 해당하는 제5타입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수행부는 상기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시에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피검자에게 제시된 그림과 동일한 그림을 상기 그림-단어일치과제의 수행시 및 상기 어휘판단과제의 수행시에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KR10-2003-0078084A 2003-11-05 2003-11-05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1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084A KR100511385B1 (ko) 2003-11-05 2003-11-05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084A KR100511385B1 (ko) 2003-11-05 2003-11-05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50A true KR20050043250A (ko) 2005-05-11
KR100511385B1 KR100511385B1 (ko) 2005-08-30

Family

ID=3724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0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1385B1 (ko) 2003-11-05 2003-11-05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3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24B1 (ko) *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 평가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3161B1 (ko) * 2015-07-15 2017-01-05 대한민국 실어증 유형 판단 방법 및 실어증 유형 판단 장치
KR20220115350A (ko) * 2021-02-10 2022-08-17 휴브알엔씨 주식회사 조음장애 자동분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2704A1 (ja) * 2020-03-27 2021-09-30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認知機能障害診断装置および認知機能障害診断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24B1 (ko) *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 평가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3161B1 (ko) * 2015-07-15 2017-01-05 대한민국 실어증 유형 판단 방법 및 실어증 유형 판단 장치
KR20220115350A (ko) * 2021-02-10 2022-08-17 휴브알엔씨 주식회사 조음장애 자동분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385B1 (ko)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gmann et al. Repeatability of commonly used speech and language features for clinical applications
US8990082B2 (en) Non-scorable response filters for speech scoring systems
Munson et al. Acoustic and perceptual correlates of stress in nonwords produced by children with suspected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and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
Mirheidari et al. Computational cognitive assessment: Investigating the use of an intelligent virtual agent for the detection of early signs of dementia
Roberts et al. Information content and efficiency in the spoken discourse of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Wambaugh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for the Apraxia of Speech Rating Scale 3.0: Application with persons with acquired apraxia of speech and aphasia
WO2006109268A1 (en) Automated speech disorde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40023877A1 (en) Detection of cognitive impairment
US2015027248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hearing screening tests
CN115862868A (zh) 心理测评系统、平台、电子设备及存储介质
Fergadiotis et al. Algorithmic classification of five characteristic types of paraphasias
US2009027500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peech Assessment
CN110876611A (zh) 一种老年人群神经认知障碍远程评测方法
JP7307507B2 (ja) 病態解析システム、病態解析装置、病態解析方法、及び病態解析プログラム
Jing et 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atings of speech accuracy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JP7022921B2 (ja) 認知機能評価装置、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認知機能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11385B1 (ko)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Prange et al. Multimodal speech-based dialogue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Gong et al. Towards an Automated Screening Tool for Developmental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Bartee et al.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a theory-based questionnaire
Gelfand et al. Large-corpus phoneme and word recognition and the generality of lexical context in CVC word perception
Fukuda et al. Elderly Conversational Speech Corpus with Cognitive Impairment Test and Pilot Dementia Detection Experiment Using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peech in Japanese Dialects
Hamrick et al. Lexical Speech features of spontaneous Speech in older persons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reliability analysis
Vaughn et al. Grammaticality judgments of tense and agreement by child speakers of African American English: Effects of clinical status, surface form, and grammatical structure
Klee et al. Feasibility of real-time transcription in the clinical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