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599A -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599A
KR20050042599A KR1020030077369A KR20030077369A KR20050042599A KR 20050042599 A KR20050042599 A KR 20050042599A KR 1020030077369 A KR1020030077369 A KR 1020030077369A KR 20030077369 A KR20030077369 A KR 20030077369A KR 20050042599 A KR20050042599 A KR 2005004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c
text
data
inform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1763B1 (ko
Inventor
오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763B1/ko
Priority to US10/781,658 priority patent/US7463768B2/en
Priority to US10/974,746 priority patent/US20050097460A1/en
Publication of KR2005004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발명은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화면에 표시될 모든 텍스트 데이터들이 그래픽 분류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 처리하는 전치 처리부, 상기 전치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텍스트 버퍼 및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 상황에 따라 위치나 폰트 및 물리적인 위치 등을 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후처리부로 구성되고 또한, 그 방법은 화면에 표시될 모든 텍스트 데이터들을 그래픽 분류 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에서 선별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가지 경우에 대한 대응이 하나의 범주로 설명이 되어 프로그램 제작이 편리하고 간편해지며 그래픽 ID정보에 따라서 텍스트 데이터가 보관되어 있으므로 데이터의 수정, 첨가 및 삭제 등이 용이해지고, 또한, 기능별로 GUI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별다른 수정없이 타세트에도 사용가능하므로 호환성이 우수해 모델 전개시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원하는 언어로 텍스트 데이터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언어 변환의 전개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장치{GUI operating method and the there of apparatus using Graphic ID information}
본발명은 그래픽 분류(ID)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AV기기용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 방향성과 작동성을 함께 내포하는 여러가지 유형의 텍스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GUI 운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PVR(Personal Video Recorder), DTV(Digital Television)등 TV, 비디오, 컴퓨터 등이 통합된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전자 제품들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기능들이 증가되어, 종래에는 크게 중요시되지 않았던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User Graphic Interface; 이하 "GUI"라고 한다)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특히, GUI들은 많은 대화식 응용들에서 사용되며 때때로 선택 가능한 옵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에는 AV기기, 컴퓨터 시스템, 텔레비전, 자동 입출금 장치, 게임 콘솔 등이 있다.
복잡한 대화식 GUI 즉, 다중 메뉴 구조들을 요구하는 GUI는 사용자가 이러한 응용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유동성이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이것은 첫째로 간단하고 인간 환경 공학적인 입력 장치로 인터페이싱하기에 적합한 메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둘째로 동작에서 직관적인 메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어느 정도 성취될 수가 있다.
특히, AV세트에서의 GUI 작업은 우선 어느 칩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많은 부분이 상이하기 마련이지만 대체적으로 몇가지로 분류된다. 즉, 그래픽 데이터 처리부분, 텍스트 데이터 처리부분, 내부 컨트롤을 위한 플랙처리부분, 그리고 리모콘이나 다른 여러가지 커멘드를 처리하는 종합 구현부분으로 분류된다. 모두가 다 중요하지만 현재까지 그리고 추후 몇세대가 지날 때 까지는 대부분의 AV기기의 GUI접근 방식은 텍스트 위주로 전개될 수 밖에 없다. 이는 컴퓨터나 다른 네트웍을 이용한 제품에 비하여 그래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현재는 아이콘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으나, 그 기본적인 역활은 텍스트가 담당한다는 점에서는 변화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고 또 어떤 방식으로 이를 이용하여 종합 구현할 것이냐가 GUI파트에서의 최우선 순위를 갖게 된다. 불행이도 지금까지의 AV 세트용 GUI는 다른 응용 GUI에 비하여 비교적 단순한 일부 역활만 맡아 왔기 때문에 간단한 일로 치부되어 왔으며 주먹구국식의 구현 형태가 많았고 상대적으로는 계속 누적되는 기술도 거의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GUI의 비중이 커져서 이제는 제품 자체의 디자인보다도 제품을 가동시켰을 때 모니터에 나타나는 GUI의 성능에 따라 제품의 선호도가 바뀌는 시대가 된 것이다. 따라서, GUI에서 다루는 내용의 양이 증가할 수 밖에 없게 되었고 이에 대하여 기존의 주먹구구식의 구현 방식으로는 도저히 대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리 ID화한 그래픽 정보를 이용한 GUI 텍스트 오브젝트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이 편리하고 간단하며 호환성이 높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변환이 용이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는, 화면에 표시될 모든 텍스트 데이터들이 그래픽 분류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 처리하는 전치 처리부, 상기 전치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텍스트 버퍼 및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 상황에 따라 위치나 폰트 및 물리적인 위치 등을 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는 그래픽타입, 그래픽페이지, 그래픽포지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각국 언어에 맞춘 텍스트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동일한 위치에서 변수에 따라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저장될 텍스트공간, 입력되는 키에 대한 처리방식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간, 상기 키입력 처리에 따라 하이라이트가 움직일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 텍스트의 길이 및 폰트 타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간 및 그래픽 상에서 실제 표시해야 할 물리적인 위치에 대한 X, Y정보를 표시하는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치 처리부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에서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타입(gType), 그래픽 페이지(gPage) 그리고 그래픽 포지션(gPos)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오브젝트를 억세스 하는 텍스트 설정 루틴 및 상기 억세스된 텍스트 오브젝트를 세트의 셋업(Setup)에서 설정해 놓은 국가 언어 기호에 따라서 해당하는 언어로 텍스트 데이터 자체를 바꾸는 작업을 하는 언어 설정 루틴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는, 화면에 표시될 모든 텍스트 데이터들을 그래픽 분류 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에서 선별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는 그래픽타입, 그래픽페이지, 그래픽포지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출력 단계는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에서 선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상기 변환처리된 데이터를 텍스트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 상황에 따라 위치나 폰트 및 물리적인 위치 등을 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각국 언어에 맞춘 텍스트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동일한 위치에서 변수에 따라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저장될 텍스트공간, 입력되는 키에 대한 처리방식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간, 상기 키입력 처리에 따라 하이라이트가 움직일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 텍스트의 길이 및 폰트 타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간 및 그래픽 상에서 실제 표시해야 할 물리적인 위치에 대한 X, Y정보를 표시하는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그래픽 ID정보를 이용한 GUI 텍스트 오브젝트 처리 블록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GUI 텍스트 오브젝트 처리 블록도는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Text Data Base;100), 전치 처리부(Pre Processing;200), 텍스트 버퍼(Text Buffer;300), 후처리부(Post Processing ; 400) 및 사용자 데이터(500)로 구성된다.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Text Data Base;100)에는 모든 텍스트 데이터들(110,120,..N)이 ID화 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전치 처리부(Pre Processing;200)는 기 결정된 그래픽 ID정보를 참고하여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는 텍스트 버퍼(Text Buffer;300)에 저장된다. 후처리부(Post Processing ; 400)는 텍스트 버퍼(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 상황에 따라 위치(Physical Position)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 내부 변수를 참조하여 적당한 용어를 선택 또는 생성하거나, 폰트의 크기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및 길이가 제한된 부분에서 적당한 길이만 선별하여 표시하기 위해 조정하는 경우 등에 상기 데이터를 조정하여 출력하고 최종 사용자 데이터(500)로 사용하게 된다. 우선적으로 적합한 텍스트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은 모든 그래픽 정보 ID가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 필요한 정보가 더 있을 수 있겠지만 본설명에서는 AV세트에서 사용되는 3가지 타입의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그래픽 ID 생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그래픽 정보 ID는 크게 그래픽 타입(Graphic Type;이하 "gType"이라 한다)과 그래픽 페이지(Graphic Page;이하 "gPage"라 한다), 그리고 그래픽 포지션(Graphic Position; 이하 "gPos"라 한다)으로 구성된다. gType은 그래픽의 종류가 완전히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되며 하기의 그래픽 페이지나 그래픽 포지션의 물리적인 위치 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즉 도 2a에서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그래픽의 종류가 완전히 변경되는 경우에 gType이 변경되는 것이다. gPage는 일반적인 AV 세트에서 SETUP화면을 보면 그래픽의 종류는 같아도 그 내용이 바뀌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비슷한 종류의 기능을 수행하는 텍스트 세트를 하나로 모아서 분류한 것으로 같은 그래픽내에서 일정 영역을 분할하거나 동일한 그래픽이데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같은 그래픽내에서 어떤 목적에 의하여 어떤 텍스트 세트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즉 도 2b에서와 같이 상위그룹인 gType A중에서 중앙 우측부분의 그래픽(600)이 일부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gPage 1은 gType A중에서 중앙 우측부분의 그래픽(600) 부분이 " A LANGUAGE, B LANGUAGE, C LANGUAGE"와 "VIDEO, AUDIO", 그리고 "PHOTO, MUSIC, MOVIE"와 같이 변경되는 경우 gPage로 구분하여 도면과 같이 각각을 gPage 1, gPage 2, gPage N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따라서, gPage의 변경에 의하여 전혀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는 것이다. gPos는 상기에서와 같이 gType과 gPage가 결정되면 해당 영역내에서 순번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텍스트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이지들을 구성하는 텍스트들을 하나씩 라벨링(Labeling)한 것이다. 따라서, gPos는 커서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처리될 수 있는 텍스트단위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c에서와 같이 gType A의 gPage 2의 중앙 우측부분의 그래픽(600) 부분에서 "VIDEO"와 "AUDIO"를 구별하고자 할 경우 "VIDEO"는 gPos 1으로 "AUDIO"는 gPos 2로 ID화 하는 것이다. 결국 "VIDEO"의 그래픽 ID는 도 2d에서와 같이 "gType A, gPage 2, gPos 1"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분류법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AV세트에서 사용되는 모든 그래픽의 텍스트를 ID화 할 수 있으다. 그러나 세트의 기능과 사양이 결정되고 그래픽 디자인이 완성되면 그 기능에 따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그래픽 정보 ID를 이용하여 적당한 텍스트 데이터를 검색하여 텍스트 오브젝트로 텍스트 버퍼(300)에 저장하게 된다. 도 3에 텍스트 버퍼(300)에 저장된 정보를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도시되어 있다. 완성된 텍스트 버퍼(300)내에는 각국 언어에 맞춘 텍스트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동일한 위치에서 변수에 따라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저장될 텍스트공간(710)을 5개 까지 지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AV기기의 일반적인 리모콘 동작과 관련된 UP/DOWN/LEFT/RIGHT/ENTER?RETURN 등의 키에 대한 처리방식(Deal)에 관한 자세한 action 정보(730)와 그 action을 취할 경우 어디로 하이라이트가 움직일 것인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740; 도 3의 음영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래픽 상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어 어느 길이 이상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경우도 있고, 어느 나라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하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 위한 폰트 타입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부분(750), 그리고 그래픽 상에서 실제 표시해야 할 물리적인 위치에 대한 X, Y정보(PHYSICAL X,Y POSITION)를 표시하는 부분(720)이 지원된다. 미설명부호 760은 예비를 위하여 남겨둔 부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발명의 그래픽 ID정보를 이용한 GUI 텍스트 오브젝트 방법은 일련의 액션을 특정화(Classify)해서 같은 행동을 취하는 무리는 하나의 기능함수로 처리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세트의 메뉴 그래픽 상의 어떤 위치에 하이라이트가 있다고 하면 리모콘의 키를 입력받았을 때 예상할 수 있는 동작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표적인 예로 다음 두가지 경우를 예측할 수 있다. 첫째는 하이라이트가 바로 위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이고 둘째는 하이라이트가 있는 위치에서 텍스트의 내용이 바뀌는 경우이다. 상기 두가지 경우만 대응한다고 할때 기존의 방식들은 어떤 그래픽인가 또는 어떤 위치인가에 따라서 처리해야할 경우가 수십 또는 수백가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의 경우, 현재 위치가 첫번째 줄인가?를 먼저 결정하여야 하며 어느 그래픽인가에 따라서 "UP"키가 들어오면 그대로 유지하거나 가장 아래 줄로 이동하여야 할 것이다(롤링이나 다음 페이지를 찾아가는 경우 등). 마지막 줄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다음 페이지가 있는가, 총 몇개의 줄로 이루어져 있는 가를 알아야 일일이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두번째의 경우와 같이 내용이 변하는 경우는 어욱 어려워진다. 해당 그래픽 타입과 페이지와 포지션에 따라 일일이 그 내용을 모두 대응하여야 하므로 그 경우의 수가 몇 가지가 될지 알수가 없다.
본발명에서는 상기 두가지 경우를 특정화하여 일단 두가지 방식으로 처리를 한다. 예를 들어 "MOVE"와 "CHANGE" 두개의 키로 분류를 한 다음 목표 그래픽 ID 정보를 설정한다. 상세하게는 "MOVE"의 경우 기존의 위치에서 하이라이트를 제거하고 목표 GUI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에서 새로운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면 이런 종류의 텍스트 오브젝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추가로 고려하여야 할 것은 페이지가 다를 경우 또는 그래픽타입(gTYPE)이 다를 경우 등인데 이는 현재 GUI ID와 설정된 GUI ID를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즉, 비교하여 각각 다를 경우 목표 그래픽으로 변환하거나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다시 표시한 후 목표 지점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면 된다. 또한, 각각의 경우를 세분화하여 정의를 내릴 수도 있다. 예를 들면 "MOVE-NORMAL", "MOVE-GTYPE", "MOVE-PAGE"등으로 구분을 하여 각각의 기능을 처리하면 간략하고 전문적인 함수 구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HANGE"의 경우는 보다 강력한 기능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5개 이하의 아이템을 보유한 경우에는 저장된 텍스트 오브젝트의 텍스트 버퍼 내에서 처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추가 데이터가 필요없게 된다. 즉, "CHANGE"의 경우 "UP"키가 입력되면 기존의 내용을 삭제 한 후에 해당 파라미터를 조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골라서 다시 표시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5개 이상인 경우나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완전히 새로운 텍스트를 만드는 경우(연, 월, 일, 시간 등등의 수자정보나 타이틀 이름 등 디스크에 종속되는 데이터인 경우)등이 있지만, 상기의 "MOVE"의 동작과 동일하게 이미 알고 있는 GUI ID정보를 이용한 간단한 추가적인 조건을 이용하던지 아니면, 보다 세분화되게 특정화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처리하면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전치처리부(200)와 후처리부(400)의 상세 블록도로서, 목표로 하는 그래픽 정보 ID를 이용하여 적합한 텍스트 데이터를 찾고 해당 국가의 언어에 맞춰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필요한 경우 텍스트 버퍼(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황에 맞춰서 직접적으로 컨트롤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변화를 주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모든 텍스트들이 ID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Text Data Base(100)에서 그래픽 ID 정보(Target graphic position;210)를 이용하여 거기에 부합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원하는 그래픽 타입(gType), 페이지(gPage) 그리고 포지션(gPos)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오브젝트를 access 하는 텍스트 설정 루틴(Text Mapping Routine;220)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access된 텍스트 오브젝트를 세트의 셋업(Setup)에서 설정해 놓은 국가 언어 기호에 따라서 해당하는 언어로 텍스트 데이터 자체를 바꾸는 작업을 하는 부분이 언어 설정 루틴(Language Mapping Routine;230)이다. 텍스트 오브젝트는 구조(도 3참조)에서 보시면 알 수 있듯이, 텍스트 데이터를 별개로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텍스트 오브젝트 정보를 우선 가지고 그 중 텍스트 정보를 각국 언어에 맞게 교체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완성된 정보를 실제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Text Buffer(300)에 저장한다.
이렇게 Text Buffer(300)에 저장된 텍스트정보를 이용하여 후처리부(400)의 Real time GUI parameters(410)에서는 해당 부분에서 표시해야 할 텍스트의 종류에 대한 파라미터나 길이의 제한이 가해져야 할 부분에 대한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Physical position compensation(421) 또는 Font type control(423)을 해서 그래픽 내에 텍스트가 온전히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조절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Select or make text output(422)에서는 루틴으로 표시해야 할 텍스트를 선택(예를 들면 On/Off, 또는 채널 번호 2 - 125 등)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Text width control(424)은 그래픽 특성상 예를 들면 10개의 캐릭터를 스트링으로 표현을 할 수 있는데, 실제 데이터는 30개의 캐릭터가 넘는 경우 텍스트를 임의로 잘라서 10개만 넣어 조절하도록 동작된다. 즉, 후처리부(400)는 Text Buffer(300)의 조절 역할을 하도록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 후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조절된 텍스트 오브젝트를 실제 데이터로서 Using Data(500)에서 표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에 의하면, 첫째로 여러가지 경우에 대한 대응이 하나의 범주로 설명이 되고 이에 대한 전용처리함수 하나만 있으면 되므로 실제 프로그램의 소스(Source)의 양이 줄게 되고, 또한 기능별 분류가 가능하므로 소스 전체가 일목요연하게 되므로 버그예방에 도움을 불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제작이 편리하고 간편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기능 처리함수와 텍스트 데이터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때문에 덱스트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으며 그래픽 ID정보에 따라서 텍스트 데이터가 보관되어 있으므로 해당 위치의 데이터를 찾기도 쉽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디버깅이나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 첨가 및 삭제 등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기능별로 GUI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별다른 수정없이 관련 기능함수를 타세트에도 사용가능하므로 호환성이 우수해 모델 전개시 개발기간 단축등의 효과가 있다.
넷째로 프리 프로세싱 부분에서 데이터를 버퍼에 담는 과정에서 세트의 내부 파라미터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텍스트 데이터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수출 대상국에 따른 언어 변환의 전개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그래픽 ID정보를 이용한 GUI 텍스트 오브젝트 처리 블록도,
도 2는 그래픽 ID 생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텍스트 오브젝트의 일반적인 구성,
그리고,
도 4는 그래픽 ID정보를 이용한 GUI 텍스트 오브젝트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 200 : 전치 처리기
300 : 텍스트 버퍼 400 : 후 처리기

Claims (8)

  1. 화면에 표시될 모든 텍스트 데이터들이 그래픽 분류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 처리하는 전치 처리부;
    상기 전치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텍스트 버퍼; 및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 상황에 따라 위치나 폰트 및 물리적인 위치 등을 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는 그래픽타입, 그래픽페이지, 그래픽포지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각국 언어에 맞춘 텍스트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동일한 위치에서 변수에 따라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저장될 텍스트공간;
    입력되는 키에 대한 처리방식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간;
    상기 키입력 처리에 따라 하이라이트가 움직일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
    텍스트의 길이 및 폰트 타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간; 및
    그래픽 상에서 실제 표시해야 할 물리적인 위치에 대한 X, Y정보를 표시하는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처리부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베이스에서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타입(gType), 그래픽 페이지(gPage) 그리고 그래픽 포지션(gPos)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오브젝트를 억세스 하는 텍스트 설정 루틴; 및
    상기 억세스된 텍스트 오브젝트를 세트의 셋업(Setup)에서 설정해 놓은 국가 언어 기호에 따라서 해당하는 언어로 텍스트 데이터 자체를 바꾸는 작업을 하는 언어 설정 루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장치.
  5. 화면에 표시될 모든 텍스트 데이터들을 그래픽 분류 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에서 선별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는 그래픽타입, 그래픽페이지, 그래픽포지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단계는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에 관한 적합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분류 정보에서 선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상기 변환처리된 데이터를 텍스트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 상황에 따라 위치나 폰트 및 물리적인 위치 등을 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각국 언어에 맞춘 텍스트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동일한 위치에서 변수에 따라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저장될 텍스트공간;
    입력되는 키에 대한 처리방식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간;
    상기 키입력 처리에 따라 하이라이트가 움직일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
    텍스트의 길이 및 폰트 타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간; 및
    그래픽 상에서 실제 표시해야 할 물리적인 위치에 대한 X, Y정보를 표시하는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KR1020030077369A 2003-02-21 2003-11-03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및 그 장치 KR10057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69A KR100571763B1 (ko) 2003-11-03 2003-11-03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및 그 장치
US10/781,658 US7463768B2 (en) 2003-02-21 2004-02-20 Graphic storing and reconstructing method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US10/974,746 US20050097460A1 (en) 2003-11-03 2004-10-28 GUI operating method using graphic ID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69A KR100571763B1 (ko) 2003-11-03 2003-11-03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599A true KR20050042599A (ko) 2005-05-10
KR100571763B1 KR100571763B1 (ko) 2006-04-18

Family

ID=3454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369A KR100571763B1 (ko) 2003-02-21 2003-11-03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097460A1 (ko)
KR (1) KR100571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875B1 (ko) * 2006-05-22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장치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0780B2 (en) * 2005-01-03 2007-08-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text display when encoding is not available
JP2009033530A (ja) * 2007-07-27 2009-02-12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9285948B2 (en) 2013-03-15 2016-03-15 Assima Switzerland Sa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e display screen manipulation
US20150212658A1 (en) * 2014-01-24 2015-07-30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Indicating altered user interface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4685A (ja) * 1985-02-12 1986-08-18 Hitachi Ltd 翻訳情報追加方法
US5416903A (en) * 1991-08-19 1995-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lingual translations of a windowed user interface
US5243519A (en) * 1992-02-18 1993-09-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anguage translation within an interactive software application
US5513342A (en) * 1993-12-28 1996-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window layout system that automatically accommodates changes in display resolution, font size and national language
US5392386A (en) * 1994-02-03 1995-02-21 Inter Hi-Tec Ag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functionality to computer programs executing under graphical user interfaces
US5671378A (en) * 1995-03-31 1997-09-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izing of graphical user interface objects for localization
US6006242A (en) * 1996-04-05 1999-12-21 Bankers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creating a document
US6347398B1 (en) * 1996-12-12 2002-02-1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software downloading from a computer network
US5950190A (en) * 1997-05-13 1999-09-07 Aptek, Inc. Dynamic, self-modif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lational database applications
US5929857A (en) * 1997-09-10 1999-07-27 Oak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structing a graphic user interface from a DVD data stream
US6392673B1 (en) * 1998-09-04 2002-05-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resizing user interface elements for an operating system
US6356903B1 (en) * 1998-12-30 2002-03-12 American Management Systems, Inc. Content management system
US7003729B1 (en) * 1999-04-20 2006-02-21 I2 Technologies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alterna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in computer-moderated electronic commerce
US6275790B1 (en) * 1999-07-28 2001-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rospective editor system, program, and method for software translation
US6806890B2 (en) * 1999-08-17 2004-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rom a command syntax for managing multiple computer systems as one computer system
US6593944B1 (en) * 2000-05-18 2003-07-15 Palm, Inc. Displaying a web page on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having a limited display area
GB2373085B (en) * 2001-03-08 2004-10-06 Ib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style sheet generation
US7020841B2 (en) * 2001-06-07 2006-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presenting multi-modal applications from intent-based markup scripts
US6915485B1 (en) * 2001-08-16 2005-07-05 Unisy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parameters supplied by a user with a service request
US20030160822A1 (en) * 2002-02-22 2003-08-28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US6941521B2 (en) * 2002-03-29 2005-09-06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user interface from XML-based documents
US20030202014A1 (en) * 2002-04-25 2003-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development tool
US7032170B2 (en) * 2002-06-03 2006-04-18 General Electric Company Creating data structures from a form file and creating a web page in conjunction with corresponding data structures
EP1649361B1 (en) * 2003-07-11 2019-10-30 Google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lement
US20050010877A1 (en) * 2003-07-11 2005-01-13 Arthur Udler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genera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875B1 (ko) * 2006-05-22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장치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763B1 (ko) 2006-04-18
US20050097460A1 (en) 2005-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1649B2 (en) Automated content detection, analysis, visual synthesis and repurposing
US919003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434007B2 (en) Multimedia reproduction apparatus, menu screen display method, menu screen display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menu screen display program
US20090007014A1 (en) Center locked lists
JP470112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2003529156A (ja) 視覚的な隠喩に基づいた改善されたアクセス容易性及び使い易さの特徴を有するサーチ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2003529157A (ja) キーワードサーチ基準の自動生成及び人間工学的な表現を提供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2003529154A (ja) ユーザプロファイル定義及び操作のための人間工学的なメカニズムを有するデータサーチ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20070061732A1 (en) User interface options of an impact analysis tool
JP2003529830A (ja) 自動編成を提供してサーチ基準をフィルタリングす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0654448B1 (ko)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95299A (ko) 계층적 메뉴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탐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3526144A (ja) 検索問い合わせ及びユーザー・プロファイルを定義し、検索結果を見る方法及び装置
KR20020019052A (ko) 명시적인 기준 및 함축적인 기준의 조종을 위한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
US7720887B2 (en) Database navigation
KR20130131410A (ko) 미디어 추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474895B1 (en) User interface for exploring media content
KR20100116077A (ko) 탐색 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1763B1 (ko) 그래픽 분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및 그 장치
US7730067B2 (en) Database interaction
JP2009237865A (ja) リモコンキーにより操作可能な画像表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078091A (ja) メディアシーン情報表示編集装置、方法、および該方法に係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9069875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3157157A1 (ja) 入力文字列変換装置、電子機器、入力文字列変換方法、文字列変換プログラム
WO2012101702A1 (ja) UI(User Interface)作成支援装置、UI作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