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573A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42573A KR20050042573A KR1020030077287A KR20030077287A KR20050042573A KR 20050042573 A KR20050042573 A KR 20050042573A KR 1020030077287 A KR1020030077287 A KR 1020030077287A KR 20030077287 A KR20030077287 A KR 20030077287A KR 20050042573 A KR20050042573 A KR 200500425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uction
- suction part
- vacuum cleaner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부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는,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필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11)의 하단에 체결되는 흡입부(13)와; 상기 본체부(11)와 흡입부(13)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13)가 본체부(11)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하는 착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본체부(11)의 하단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걸림수단(20)과; 상기 흡입부(13)의 상면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걸림봉(13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흡입부(13)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본체부(11)를 계단과 같이 높은 위치까지 올리지 않아도 계단 청소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부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팬모터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흡입력으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닥 또는 카펫등의 먼지를 청소하는 장치이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캐니스터형(canister type)과 업라이트형(upright type)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캐니스터형은 본체와 흡입구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사용되는 보편화된 형태이며, 업라이트형은 본체와 흡입구 그리고 호스등이 일체로 형성되는 비교적 큰 크기의 청소기이다. 이러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거실과 같이 비교적 넓은장소, 특히 카펫이 깔려있는 유럽이나 미주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한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부에 부착되어 먼지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3)와, 상기 본체(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7)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1)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모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봉투(미도시)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는 상기 팬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코드(9)가 구비된다. 상기 파워코드(9)는 상기 본체(1)의 내부에서 팬모터와 연결되며, 본체(1)의 외부로 연장 돌출된다. 상기 파워코드(9)는 진공청소기가 보다 넓은 지역을 청소할 수 있도록 가능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3)의 내부에는 회전브러시(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브러시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카펫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카펫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흡입부(3)는 힌지에 의해 본체부(1)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3)가 힌지결합되는 것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탁자나 가구의 밑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손잡이가 탁자 하면에 의해 간섭되므로, 이때 상기 본체부(1)를 접으면 상기 흡입부(3)는 그대로 있고, 본체부(1)가 바닥으로 내려와 탁자밑을 청소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 내부에 팬모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3)가 본체부(1) 하단에 체결된 상태가 되면,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무게가 무거워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계단등과 같이 본체부(1)보다 높은 위치를 청소하려고 하면, 무거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흡입부가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는,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필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체결되어 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본체부와 흡입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가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하는 착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흡입부의 상면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그 하단에 상기 걸림수단의 일측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흡입부의 상면과 걸림봉의 하단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걸림리브와; 상기 복수개의 걸림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리브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봉은, 상기 흡입부의 일측 상면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리브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단이 더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걸림리브를 동작시키는 회동레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레바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리브가 걸림봉의 하단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후퇴시키는 회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걸림리브를 동작시키는 푸시레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레바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진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리브의 단부를 후퇴시키는 다수개의 푸시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본체부를 어깨에 맬 수 있는 어깨끈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깨끈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가로질러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다수개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착탈구조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흡입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본체부보다 높은 위치 즉 계단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수단이 회동레바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체부 하단에 흡입부가 체결되는 것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흡입부가 본체부 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의 요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먼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하단에 체결되는 흡입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팬모터(미도시)와,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봉투(미도시)와 같이 다수개의 부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의 후면에는 손잡이홈(11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홈(11a)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15)와 대응된다.
상기 본체부(11)의 손잡이홈(11a)에는 손잡이(15)가 삽입 고정된다. 본 발명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5)는 2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즉,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직립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15)를 잡고 본체부(11)와 흡입부(13)를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에서 흡입부(13)를 분리시킨 상태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5)를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부(13)의 축봉(13b)에 끼워, 상기 흡입부(13)만을 이동시키는 역할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1)의 배면에는 어깨끈(50)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깨끈(50)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부(13)가 본체부(11)에서 분리된 다음, 상기 본체부(11)를 어깨에 짊어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어깨끈(50)을 통해 상기 본체부(11)를 짊어진 상태에서, 흡입부(13)를 이동하며 청소면이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체부(11)의 하단, 대략 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부(13)의 축봉(13c)이 상기 본체부(11) 하단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축봉안내홈(11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축봉안내홈(11b) 내부로 흡입부의 축봉(13c)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부(11)의 하단에는 바닥면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통로인 흡입부(13)가 체결된다.
상기 흡입부(13)의 후방 양단에는 바퀴(13a)가 설치되며, 상기 바퀴(13a)는 흡입부(13)가 바닥면, 즉 청소면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3)의 상면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상태의 본체안착부(13b)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안착부(13b)에는 상기 본체부(11)의 하단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안착부(13b)는 상기 본체부(11) 하단의 형상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체안착부(13b)의 전방에는 축봉(13c)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손잡이(15)의 하단이 삽입되는 축홀(13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축봉(13c)에는 상기 손잡이(15)의 하단이 축홀(13c')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안착부(13b)의 후방에는 걸림봉(13d)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봉(13d)은 본체안착부(13b)를 좌우로 가로질러 구비된다. 상기 걸림봉(13d)은 본체안착부(13b)의 상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것은 상기 걸림봉(13d)의 하단과 본체안착부(13b)의 상면 사이로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가 삽입되도록 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흡입부(13)의 상면 일측에는 호스삽입홀(13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스삽입홀(13e)에는 흡입부(13)와 상기 본체부(11)의 집진봉투(미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C)의 일측이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흡입부(13)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상기 호스삽입홀(13e)에 고정된 연결호스(C)를 통해 본체부(11)의 집진봉투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1)의 하면 전방에는, 상기 흡입부(13)가 본체부(11) 하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대략 'ㄷ'자 형상의 걸림수단(20)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수단(20)을 첨부된 도면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걸림수단(20)은 후방을 향해 각각 소정크기 돌출되는 복수개의 걸림리브(22)와, 상기 복수개의 걸림리브(22)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프레임(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리브(22)는 후방을 향해 나란히 돌출되어 있으며, 그 양단은 상기 흡입부(13) 본체안착부(13b)의 양 벽면사이의 거리와 대응된다. 즉 상기 걸림리브(22)가 본체안착부(13b)의 양 벽면 사이를 슬라이딩된 다음, 상기 걸림봉(13d)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4)은 상기 복수개의 걸림리브(22)와 일체로 형성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24)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프링(25)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24)이 스프링(25)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걸림수단(20)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리브(22)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단(22a)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단(22a)은 아래에서 설명할 회동레바(30)의 회전돌기(32)가 밀착되는 부분으로, 회전돌기(32)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11)의 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4)의 전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24)과 본체부(11)의 하단 사이에는 스프링(25)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5)은 상기 지지프레임(24)의 전단면을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수단(20)은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돌기(32)가 회전하면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회전돌기(32)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걸림수단(20)의 후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부(11)의 후단에는 회동레바(30)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레바(3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고정되는 복수개의 회전돌기(32)와, 상기 복수개의 회전돌기(32)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누를수 있는 대략 사각형의 발판(34)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회전돌기(32)는 상기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34)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돌기(32)는 아래에서 설명할 발판(34)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회전은 상기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가 전방으로 밀려나게 한다. 즉 상기 회전돌기(32)가 걸림리브(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단(22a)을 미끄러지는 것에 의해 걸림리브(22)가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돌기(32)는 축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것은 상기 회전돌기(32)가 경사단(22a)을 보다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돌기(32)는 상기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의 갯수와 대응된다. 이와 같이 대응되는 갯수로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 걸림리브(22)가 회전돌기(32)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1)의 하면 후방에는, 상기 걸림수단(20)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레바(30)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레바(30)는 상기 걸림수단(20)의 경사단(22a)에 밀착되는 회전돌기(32)와, 상기 본체부(11)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돌기(32)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발판(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발판(34)을 밟으면 상기 회전돌기(32)가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전방에 밀착되는 걸림리브(22)가 후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하면에 걸림수단(20)이 형성된 상태에서, 흡입부(13)가 본체부(1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안착부(13b)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흡입부(13)를 바닥면에 놓는다. 이때 상기 본체안착부(13b) 내부에는 걸림봉(13d)이 좌우로 가로질러 구비된 상태임은 당연하다. 이후 상기 본체부(11)의 하단을 하방,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안착부(13b)로 내리면, 상기 본체부(11)의 하단이 상기 본체안착부(13b)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체부(11)가 본체안착부(13b)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리브(2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단(22a)이 본체안착부(13b) 내부의 걸림봉(13d)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를 하방으로 계속 내리면, 상기 경사단(22a)이 걸림봉(13d)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즉 상기 걸림리브(22)가 전방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리브(22)의 경사단(22a)이 걸림봉(13d)을 지나면, 상기 걸림리브(22)가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걸림리브(22)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걸림리브(22)의 상면은 상기 걸림봉(13d)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리브(22)가 걸림봉(13d)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부(11)의 하단에 흡입부(13)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1) 하단에 흡입부(13)가 고정되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직립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로 계단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부(13)를 본체부(11)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상기 흡입부(13)가 분리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부(13)는 본체부(11) 하단의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가 걸림봉(13d)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흡입부(13)를 분리시키려면, 회동레바(30)를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눌러야 한다.
상기 회동레바(30)의 발판(34)을 누르면, 발판(34)이 아래로 내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돌기(32)가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돌기(32)는 상기 걸림리브(22)의 경사단(22a)에 밀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돌기(32)는 걸림리브(22)의 경사단(22a)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리브(22)가 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전방으로 밀려나는 걸림리브(22)는 그 우측단부가 상기 흡입부(13)의 걸림봉(13d)을 벗어나게 되고, 이때 본체부(11)을 상방으로 당기면 상기 흡입부(13)가 본체부(1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흡입부(13)의 축봉(13c)에는, 손잡이(15)가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흡입부(13)를 손잡이(15)를 사용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흡입부(13)가 본체부(11) 하단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손잡이(15)를 분리한 다음 본체부(11) 후면의 손잡이홈(11a)에 삽입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 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착탈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의 하단 전방에는 걸림수단(20)이 설치되고, 하단 후방에는 누름레바(40)가 설치된다.
상기 누름레바(40)는 그 일측이 상기 본체부(11)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수단(20)이 전방으로 밀리도록 하는 역할, 도 2의 회동레바(3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누름레바(40)는 대략 'ㄷ'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단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푸시리브(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리브(42)는 실질적으로 상기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를 전방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푸시리브(42)는 상기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푸시리브(42)의 사이에는 지지프레임(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4)은 상기 푸시리브(42) 사이를 연결함은 물론 복수개의 푸시리브(42)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4)의 전방에는 스프링(45)이 더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45)은 가느다란 철심을 나선형으로 감아 제작된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44)의 전방 단부를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누름레바(40)는 탄성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누름레바(40)가 구비된 상태에서 걸림수단(20)이 동작되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본체부(11)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레바(40),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44)을 전방으로 민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4)과 일체로 형성된 푸시리브(42) 또한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수단(20)의 걸림리브(22)를 전방으로 민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림리브(22)가 걸림봉(13d) 하단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물론 상기 누름레바(40)는 스프링(45)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상기 걸림리브(22)를 전방으로 밀어 걸림리브(22)가 걸림봉(13d)의 하단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한 다음에는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것은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흡입부(13)가 본체부(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가 사용되는 것은, 사용자가 어깨끈(50)을 이용하여 어깨에 짊어진다. 그러나 상기 본체부(11)는 사용자가 어깨끈(50)을 잡고 본체부(11)를 들어올려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체부(11)는 어깨에 짊어진 상태에서, 분리된 흡입부(13)를 바닥 또는 카펫 상면을 밀고 다니면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그리고 계단을 청소할 때에도, 상기 본체부(11)를 짊어진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내리며 청소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착탈구조는, 흡입부가 선택적으로 분리 및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리브(22)의 경사부(22a)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은 회동레바(30)의 회전돌기(32)가 상방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돌기(32)가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걸림리브(22)의 경사부(22a)가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본체부 내부에 팬모터, 집진봉투등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무거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본체부를 계단과 같이 높은 위치까지 올리지 않아도 흡입부만 계단위로 올릴 수 있어 계단 청소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흡입부를 본체부 하방에 체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일반적인 바닥면이나 카펫 청소가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다.
상기 흡입부의 걸림봉에 본체부의 걸림리브가 걸어져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회동레바를 누르지 않으면 상기 흡입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즉, 상기 흡입부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 및 체결되는 이점도 있다.
한편 바닥면 청소시에는 흡입부가 본체부에 체결된 상태로 사용되고, 계단과 같이 높은 위치의 청소시에는 흡입부를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하는 이점도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수단이 회동레바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체부 하단에 흡입부가 체결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흡입부가 본체부 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본체부 11a: 손잡이홈
13: 흡입부 13a: 바퀴
13b: 본체안착부 13c: 축봉
13c': 축홀 13d: 걸림봉
20: 걸림수단 22: 걸림리브
22a: 경사단 24: 지지프레임
30: 회동레바 32: 회전돌기
34: 발판 40: 누름레바
42: 푸시리브 44: 지지프레임
45: 스프링
Claims (12)
-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필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체결되어 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상기 본체부와 흡입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가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착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장치는,상기 본체부의 하단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걸림수단과;상기 흡입부의 상면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그 하단에 상기 걸림수단의 일측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상기 흡입부의 상면과 걸림봉의 하단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걸림리브와;상기 복수개의 걸림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리브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은, 상기 흡입부의 일측 상면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리브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걸림리브를 동작시키는 회동레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바는,상기 본체부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발판과;상기 발판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리브가 걸림봉의 하단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후퇴시키는 회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걸림리브를 동작시키는 푸시레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레바는,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진하는 지지프레임과;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리브의 단부를 후퇴시키는 다수개의 푸시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본체부를 어깨에 맬 수 있는 어깨끈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가로질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은 다수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7287A KR20050042573A (ko) | 2003-11-03 | 2003-11-03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7287A KR20050042573A (ko) | 2003-11-03 | 2003-11-03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2573A true KR20050042573A (ko) | 2005-05-10 |
Family
ID=3724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7287A KR20050042573A (ko) | 2003-11-03 | 2003-11-03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42573A (ko) |
-
2003
- 2003-11-03 KR KR1020030077287A patent/KR200500425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77008B2 (en) |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 |
US7594296B2 (en) | Convertible vacuum cleaner | |
CA2413401C (en) | Convertible vacuum cleaner | |
KR101230294B1 (ko) | 가정용 기기 | |
CN105979839B (zh) | 具有可拆卸滤罐组件的真空吸尘器 | |
US7891050B2 (en) |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 |
WO2007021126A1 (en) | Main body mounting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 |
EP1924180A1 (en)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 |
AU2006201252A1 (en) | Dust separator/collector assembly for suction cleaner | |
CN105682525B (zh) | 包括可移除手柄组件的真空吸尘器 | |
KR20050042573A (ko)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분리구조 | |
KR101003601B1 (ko) | 진공 청소기 | |
CN101108108B (zh) | 立式吸尘器集尘装置打开结构 | |
KR100941426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KR200273961Y1 (ko) |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 |
KR200331794Y1 (ko) | 투웨이 방식의 청소기 | |
KR101370821B1 (ko) |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 |
CA2023347A1 (en) | Stick type vacuum cleaner | |
KR200364056Y1 (ko) | 진공청소기 | |
KR20040096022A (ko) | 진공청소기의 파워코드 권취구조 및 파워코드 | |
KR200353549Y1 (ko) |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 |
KR100587095B1 (ko) |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 |
KR20050042571A (ko) | 진공청소기의 버튼 | |
KR200167820Y1 (ko) |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
KR200353551Y1 (ko) |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