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101A -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 Google Patents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101A
KR20050042101A KR1020050025380A KR20050025380A KR20050042101A KR 20050042101 A KR20050042101 A KR 20050042101A KR 1020050025380 A KR1020050025380 A KR 1020050025380A KR 20050025380 A KR20050025380 A KR 20050025380A KR 20050042101 A KR20050042101 A KR 20050042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attach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곤
Original Assignee
(주)씨,엔,케이 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케이 무역 filed Critical (주)씨,엔,케이 무역
Priority to KR102005002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2101A/ko
Publication of KR2005004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2Collapsible; extensible; combinations with othe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습기능을 가진 방수장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전방수를 요하는 장화의 본체 일부에 방수 및 투습 기능을 가진 부재를 부착하여 내부에서 발생된 땀 등에 의한 수증기는 용이하게 배출하면서 방수 및 방풍 기능이 있는 투습기능을 가진 방수장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재질의 겉감과, 통기성재질의 안감이 층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에 하나의 투습공이 뚫리고, 상기 투습공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투습부재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이 뚫린 보호케이싱이 상기 투습부재를 내포하여 겉감에 부착된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A breathable waterproof rubber boots}
본 발명은 투습기능을 가진 방수장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전방수를 요하는 장화의 본체 일부에 방수 및 투습 기능을 가진 부재를 부착하여 내부에서 발생된 땀 등에 의한 수증기는 용이하게 배출하면서 방수 및 방풍 기능이 있는 투습기능을 가진 방수장화에 관한 것이다.
장화는 그 목적상 완전방수 및 방풍의 기능이 요구되는 것으로, 비오는 날이나 물이 많은 곳에서 사용되거나, 유해한 작업장 등에서 발의 보호를 위해 작업화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방수장화는 방수가 주목적이라서 일정 시간 동안 착화하여 사용하게 되면, 땀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장화의 내부는 매우 습하여 바닥과 발바닥이 미끄러지는 등의 불쾌함은 물론이고, 습진과 무좀 및 동상 등의 발에 관한 질환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화 본연의 기능인 방수와 방풍을 유지하면서 내부에서 발생된 땀 등에 의한 수증기를 용이하게 배출하여, 습진이나 무좀 및 동상 등의 발에 관한 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장화의 본체 일정부분에 방수 및 투습 기능이 있는 부재가 설치된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체(1)와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투습기능을 가지게 한 것으로, 본체(1)의 구조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즉, 본체(1)는 고무패턴(3) 등의 방수재질로 된 겉감과, 직물라이닝(4) 등의 통기성재질 또는 고무라이닝(5) 등의 방수재질로 된 안감과, 겉감과 안감의 사이에 삽입되어 층합된 충전재(6)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1)는 겉감으로 방수재질이 사용되고, 안감으로 방수재질 또는 통기성재질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구성의 본체(1)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방수재질의 겉감과, 통기성재질의 안감이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겉감에 넓은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리고, 상기 투습공(11c)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방수기능을 가진 투습부재(7)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린 보호케이싱(8)이 상기 투습부재(7)를 내포하여 겉감에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방수재질의 겉감과, 통기성재질의 안감이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의 경우는, 상기 겉감의 일정영역에 내부 습기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리고, 상기 투습공(11b)의 영역과 안감의 사이에 투습부재(7)가 삽입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방수재질의 겉감과 안감이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의 경우는, 상기 겉감에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리고, 상기 안감에는 겉감의 투습공(11c)이 뚫린 영역부분에 다수개의 투습공(11a)이 뚫리며, 상기 투습공(11c)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투습부재(7)의 가장자리가 부착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린 보호케이싱(8)이 상기 투습부재(7)를 내포하여 겉감에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방수재질의 겉감과 안감, 겉감과 안감의 사이에 삽입된 충전재(6)가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의 경우는, 상기 겉감에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리고, 상기 충전재(6)와 안감에는 겉감의 투습공(11c)이 W린 영역부분에 다수개의 투습공(11a)이 관통되게 뚫리며, 상기 투습공(11c)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투습부재(7)의 가장자리가 부착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린 보호케이싱(8)이 상기 투습부재(7)를 내포하여 겉감에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의 보호케이싱(8)의 투습공(11b)에는 보호캡(9)이 설치되어 내부의 투습부재(7)를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의 보호캡(9)은 일측변이 투습공(11b)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거나,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개의 연결주(10)가 형성되어 투습공(11b)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실시예를 가진다.
상기의 보호케이싱(8)은 별도로 제작되어 겉감에 부착되거나, 통상의 장화에 구비된 토우캡에 투습공(11b)을 형성시켜 실시하거나, 상기 투습공(11b)에 보호캡(9)을 더 구비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투습부재(7)는 통기성 있는 보호직물(12)과, 상기 보호직물(12)에 부착된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으로 구성되어,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이 내부를 향하도록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투습부재(7)가 겉감과 충전재(6)의 사이에 층합되거나, 겉감과 안감의 사이에 층합되고, 상기 겉감의 일정부위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려 구성된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에서 투습공(11b)이 뚫린 겉감의 상부에 보호케이싱(8)이 부착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겉감의 내측에 안감이 층합되거나, 겉감의 내측에 충전재(6)와 안감이 차례로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과 안감의 사이, 또는 겉감과 충전재(6)의 사이에 투습부재(7)가 층합되고, 상기 겉감의 일정부위에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리고, 상기 투습공(11c)의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린 보호캡(9)이 부착된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종래의 방수기능만을 추구하던 방수장화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으로, 내부에서 발생된 땀 등에 의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수증기보다 입자가 큰 물방울의 침투를 방지하여, 쾌적한 사용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사용되는 소재는 투습부재(7)인데, 이에는 종래의 고어텍스 원단과 같은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의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은 아주 얇은 박막의 형태를 가지므로, 이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써 메시상을 가져 통기가 되는 보호직물(12)이 상기의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과 접착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보호직물(12)은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의 외측에 부착되어 외부 고형물에 대하여서도 보다 더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실시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겉감이 방수재질인 고무패턴(3)이 사용되고, 안감이 통기성재질의 직물라이닝(4)이 사용된 것으로, 직물라이닝(4)에는 별도의 투습공의 형성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고무패턴(3)에만 일정영역 내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을 형성하고, 상기 투습공(11b)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와 직물라이닝(4)의 사이에 투습부재(7)가 삽입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방수장화의 내부에서 발생된 습기는 직물라이닝(4)의 안감을 통과하게 되고, 투습부재(7)의 내측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을 통과하며, 겉감인 고무패턴(3)의 투습공(1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내부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되나, 빗물 등의 물방울은 수증기의 입자보다 크므로,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을 통과할 수 없어 방수의 기능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 그리고, 겉감의 투습공(11b)을 통해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보호직물(12)이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의 외측에 부착되어 이를 보호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투습공(11b)을 겉감에 형성시키지 않고, 하나의 큰 투습공(11c)만을 형성시키고, 이의 상부에 투습부재(7)를 설치하고, 이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싱(8)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의 보호케이싱(8)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려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6의 경우에는 투습공(11c)이 넓어서 많은 양의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상기 또는 이후의 어떠한 경우에도 투습부재(7)는 안감 또는 겉감에 그 가장자리가 접착되어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겉감은 방수재질인 고무패턴(3) 등으로 되고, 안감도 방수재질인 고무라이닝(5)으로 된 경우인데, 안감에는 다수개의 투습공(11a)이 뚫리고, 겉감에는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린 구조이다. 투습공(11c)의 상부에는 역시 투습부재(7)가 내설된 보호케이싱(8)이 설치되고, 그 역할은 상술한 바와 같다.
물론 도 7의 경우의 다른 실시예는 겉감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리고, 안감에도 다수개의 투습공(11a)이 뚫리며, 이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투습부재(7)가 삽입된 구조로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투습부재(7)의 내측에 부착된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의 작용을 좋게 하기 위하여 겉감에는 넓은 투습공(11c)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으므로,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만 기술하고, 각각의 본체(1)에 대한 도 5과 같은 실시예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겉감과 안감의 사이에 충전재(6)가 삽입된 본체(1)의 경우로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즉, 충전재(6)와 고무라이닝(5) 등의 방수재질에는 관통된 투습공(11a)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수증기는 보호케이싱(8)의 투습공(11b)을 통해 배출되는데, 물과 같은 입자가 큰 것은 보호케이싱(8)의 내부에 설치된 투습부재(7)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의 보호케이싱(8)의 투습공(11b)에는 다양한 형태의 보호캡(9)이 부착되어, 투습공(11b)으로 유입된 외부 이물질에 의한 투습부재(7)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 9과 도 10에 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한 기공으로 이루어진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에 의해 수증기 분자는 외부로 배출되고, 물방울 입자는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됨으로써, 방수장화를 신고 장시간 보행하거나 작업할 때 언제나 쾌적한 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장화 본연의 기능인 방수와 방풍을 유지함은 물론이고, 장화본연의 기능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된 땀 등에 의한 수증기의 배출이 불가능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진이나 무좀 및 동상 등의 발에 관한 질환을 방지하고, 착화하여 사용시에 언제나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시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체에 따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밑창
3 : 고무패턴 4 : 직물라이닝
5 : 고무라이닝 6 : 충전재
7 : 투습부재 8 : 보호케이싱
9 : 보호캡 10 : 연결주
11a, 11b, 11c : 투습공 12 : 보호직물
13 : 방수및투습멤브레인

Claims (10)

  1. 방수재질의 겉감과, 통기성재질의 안감이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에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리고, 상기 투습공(11c)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투습부재(7)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린 보호케이싱(8)이 상기 투습부재(7)를 내포하여 겉감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2. 방수재질의 겉감과, 통기성재질의 안감이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의 일정영역에 내부 습기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리고, 상기 투습공(11b)의 영역과 안감의 사이에 투습부재(7)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3. 방수재질의 겉감과 안감이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에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리고, 상기 안감에는 겉감의 투습공(11c)이 뚫린 영역부분에 다수개의 투습공(11a)이 뚫리며, 상기 투습공(11c)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투습부재(7)의 가장자리가 부착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린 보호케이싱(8)이 상기 투습부재(7)를 내포하여 겉감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4. 방수재질의 겉감과 안감이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의 일정영역에 내부 습기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리고, 상기 안감은 겉감의 투습공(11b)이 뚫린 동일한 영역에 다수개의 투습공(11a)이 뚫리며, 상기 투습공(11a)(11b)의 영역의 사이에 투습부재(7)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5. 방수재질의 겉감과 안감, 겉감과 안감의 사이에 삽입된 충전재(6)가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에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리고, 상기 충전재(6)와 안감에는 겉감의 투습공(11c)이 W린 영역부분에 다수개의 투습공(11a)이 관통되게 뚫리며, 상기 투습공(11c)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투습부재(7)의 가장자리가 부착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린 보호케이싱(8)이 상기 투습부재(7)를 내포하여 겉감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6. 방수재질의 겉감과 안감, 겉감과 안감의 사이에 삽입된 충전재(6)가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의 일정영역에 내부 습기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리고, 상기 투습공(11b)이 뚫린 동일 영역의 충전재(6)와 안감에 충전재(6)와 안감을 관통하는 투습공(11a)이 뚫리며, 상기 겉감의 투습공(11b) 영역과 충전재(6)의 투습공(11a) 영역의 사이에 투습부재(7)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7. 겉감의 내측에 안감이 층합되거나, 겉감의 내측에 충전재(6)와 안감이 차례로 층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에 부착된 밑창(2)으로 구성된 방수장화에 있어서, 상기 겉감과 안감의 사이, 또는 겉감과 충전재(6)의 사이에 투습부재(7)가 층합되고, 상기 겉감의 일정부위에 하나의 투습공(11c)이 뚫리고, 상기 투습공(11c)의 상부에 다수개의 투습공(11b)이 뚫린 보호캡(9) 겉감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8. 제 1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보호케이싱(8)의 투습공(11b)에는 보호캡(9)이 설치되어 내부의 투습부재(7)를 보호하는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9. 제 8항에 있어서, 보호캡(9)은 일측변이 투습공(11b)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거나,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개의 연결주(10)가 형성되어 투습공(11b)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습부재(7)는 통기성 있는 보호직물(12)과, 상기 보호직물(12)에 부착된 방수및투습멤브레인(13)으로 구성된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KR1020050025380A 2005-03-28 2005-03-28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KR20050042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380A KR20050042101A (ko) 2005-03-28 2005-03-28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380A KR20050042101A (ko) 2005-03-28 2005-03-28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101A true KR20050042101A (ko) 2005-05-04

Family

ID=3724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380A KR20050042101A (ko) 2005-03-28 2005-03-28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21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91B1 (ko) * 2008-07-04 2009-03-04 (주)조은제화 통기와 방,발수 기능을 갖는 메쉬 구두용 어퍼 및 어퍼의제조방법
KR100896082B1 (ko) * 2008-06-27 2009-05-07 (주)조은제화 통기와 방,발수 기능을 갖는 정장 구두용 어퍼 및 어퍼의제조방법
CN111869986A (zh) * 2020-08-07 2020-11-03 界首市旭升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食品级环保透气雨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82B1 (ko) * 2008-06-27 2009-05-07 (주)조은제화 통기와 방,발수 기능을 갖는 정장 구두용 어퍼 및 어퍼의제조방법
KR100886791B1 (ko) * 2008-07-04 2009-03-04 (주)조은제화 통기와 방,발수 기능을 갖는 메쉬 구두용 어퍼 및 어퍼의제조방법
CN111869986A (zh) * 2020-08-07 2020-11-03 界首市旭升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食品级环保透气雨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4793C2 (ru)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паропроницаемая подметка для обуви
CA2761662C (en) Midsole structure, particularly for shoes, including shoes with a vapor-permeable sole, designed for use in sports activities
CA2901281C (en) Footwear with air permeable layer and air permeable portion in a lower peripheral area of the upper arrangement
ES2529623T3 (es) Disposición de caña de calzado así como calzado con una disposición de caña de este tipo
US20070169375A1 (en) Shoe with ventilated arch support region
ITPD20090300A1 (it) Suola per calzature impermeabile e traspirante e calzatura realizzata con detta suola
ITPD970230A1 (it) Calzatura traspirante ad azione di traspirazione migliorata
ITPD20020153A1 (it) Struttura di calzatura con tomaia permeabile e traspirante che riveste almeno parzialmente la suola impermeabile resa traspirante.
WO2004098333A3 (en) Improved waterproof footwear construction
ITMI990735U1 (it) Scarpa con tomaia aventre sistema per la traspirazione dell'interno della scarpa
KR20050042101A (ko) 투습 기능을 가진 방수장화
JP3160716U (ja) 通気性ソールを備える履物
KR101574622B1 (ko)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화
KR200411469Y1 (ko) 안전화용 통기성 강화 토캡
KR200416446Y1 (ko) 안전화
ITPN20060035A1 (it) "calzatura impermeabilizzata dotata di un sistema di ventilazione e traspirazione"
KR100564792B1 (ko)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JP2006304951A (ja) 透湿機能を有する防水長靴
CN201451618U (zh) 防水透气鞋
EA033595B1 (ru)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и паропроницаемая подошва для ботинок
JPH07136002A (ja) 通気性を有する靴
EP3834646A1 (en) Footwear sole structure and a footwear
JP4344047B2 (ja) 安全靴および雨靴
KR101750211B1 (ko) 통기수단이 마련되는 장화
IES87225Y1 (en) Ventilated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