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432A -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432A
KR20050039432A KR20030074899A KR20030074899A KR20050039432A KR 20050039432 A KR20050039432 A KR 20050039432A KR 20030074899 A KR20030074899 A KR 20030074899A KR 20030074899 A KR20030074899 A KR 20030074899A KR 20050039432 A KR20050039432 A KR 20050039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user terminal
control server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077B1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인와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와이저 filed Critical (주)인와이저
Priority to KR2003007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07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77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환경의 관제단말과 보안 사업자 환경의 관제서버 상호간에서 송수신 되는 정보가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하며 상기 정보는 소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 단위의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TCP 소켓정보가 이용되어 전송되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제정보가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고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발생된 제어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제서버는 독립적인 통신경로를 통해 상호 접속되며,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관제정보와 제어정보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 TCP소켓을 이용하여 소정 길이의 프레임 단위로 정보 전송을 행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있어서, 데이터암호화표준(DES)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정보는 전체를 암호화하고 영상정보는 헤더만 암호화하는 방식이 적용되는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정보가 전송될 때 그 프레임의 전송시작을 나타내는 프레임시작필드(STX)와,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논리적인 식별자를 나타내는 고유ID필드(SYS ID)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식별 인식자를 나타내는 인식ID필드(AUTH ID)와,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유형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타입필드(TYPE)와,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길이필드(Data Length)와, 상기 정보유형 식별자인 상기 타입필드(TYPE)에 따라 구성이 구분되는 데이터필드(Data)와, 상기 관제정보 및 제어정보 전송시에 발생되는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에러검출필드(RSV), 및 상기 정보 전송 완료후에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프레임종료필드(ETX)의 순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동IP 및 고정IP가 모두 지원되며,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반드시 정상 또는 에러를 나타내는 응답메시지가 전송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전송대역폭의 증가로 인하여 텍스트 정보뿐만 아니라 정보량이 많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Communication protocol structure and processing method for unmanned vedio security service using a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입자 환경에 설치되는 무인경비단말부와 보안사업자 환경에 설치되는 관제서버 사이에서 사용되는 정보가 동일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TCP 소켓정보를 이용하여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입자환경 예컨대 아파트, 빌딩, 공공건물, 주택 등에는 제 3자에 의한 무단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문에 센서 등의 안전장치가 설치되거나 감시카메라가 장착되며 더욱이 방범 및 방재 등을 목적으로 비상벨이나 비상등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등을 원격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입자 환경내의 각종 설비 등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라 DTMF방식에 의한 관제신호의 서비스 처리를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TN망을 매개하여 사용자 환경에 있는 가입자 단말(10)은 디코더(22)와 모니터링PC(24)가 구비되는 관제모듈부(20)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가입자 단말(10)로부터 발생된 임의의 관제신호는 공중전화교환망(PSTN)을 통해 TONE방식(DTMF방식)으로 일방적으로 상기 디코더(22)에 전송되고, 상기 디코더(22)에 전송된 관제신호는 상기 모니터링PC(24)에게로 전송되어 실제 관제요원이 이를 확인하게 되어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라 전용선을 이용하여 관제신호의 서비스 처리를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입자 단말(10)로부터 발생된 관제신호는, 먼저 소정 네트워크망을 통해 대략 9.6k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전용선을 매개로 디지털서비스유닛(DSU;digital service unit)(30)에게로 전송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후, 라우터(32)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IP주소를 액세스하여 적절한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스위칭부(34)로 전송하고, 그 스위칭부(34)의 스위칭 구동에 따라 해당 모니터링PC(36)에게로 관제신호가 전송된다. 물론, 상기 관제신호는 관제서버(38)로도 전송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PSTN망을 이용한 관제신호 처리방식과 전용선을 이용한 관제신호 처리방식은 텍스트(TEXT) 기반의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고 대화식 서비스 지원 및 영상 보안과 같이 데이터 량이 많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은 전송대역폭으로 인한 영상정보 전송과 통신요금으로 인해 전송주기 및 전송을 위한 통화시간이 극히 제한적이며, 관제신호중에서 보안프로토콜인 Ademco Contact ID(이하 CID라 함)와 같이 센서정보 전송을 제외한 일체의 모든 정보의 전송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 관제신호 처리는 아날로그 통신방식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암호화 처리가 불가능하여 신호처리의 보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환경에 있는 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의 신호처리에 있어서도, 정보 전송에 따른 응답신호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단선체크나 망의 현재 상태 등만을 체크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환경에 설치된 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정보전송시에 요청 발생된 정보에 대하여 응답메시지가 필연적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관제신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정보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제정보가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고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발생된 제어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제서버는 독립적인 통신경로를 통해 상호 접속되며,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관제정보와 제어정보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 TCP소켓을 이용하여 소정 길이의 프레임 단위로 정보 전송을 행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있어서, 데이터암호화표준(DES)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정보는 전체를 암호화하고 영상정보는 헤더만 암호화하는 방식이 적용되는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정보가 전송될 때 그 프레임의 전송시작을 나타내는 프레임시작필드(STX)와,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논리적인 식별자를 나타내는 고유ID필드(SYS ID)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식별 인식자를 나타내는 인식ID필드(AUTH ID)와,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유형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타입필드(TYPE)와,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길이필드(Data Length)와, 상기 정보유형 식별자인 상기 타입필드(TYPE)에 따라 구성이 구분되는 데이터필드(Data)와, 상기 관제정보 및 제어정보 전송시에 발생되는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에러검출필드(RSV), 및 상기 정보 전송 완료후에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프레임종료필드(ETX)의 순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처리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시키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전송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은 보안 프로토콜(CID)을 포함하여 보안정보를 교환하도록 하는 관제정보와 상기 관제정보에 의한 관제 수행도중에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발생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시키는 제 1과정, 및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요구되는 시스템 제어정보와 관제 제어정보 및 영상제어정보를 제어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시키는 제 2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구조가 적용되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관제정보와 제어정보를 TCP/IP 통신경로(즉, 관제통신경로와 제어통신경로)를 이용하여 관제서버(200)와 송수신하는 무인경비단말부(100)와,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로부터 관제정보를 전송받아 비상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그 무인경비단말부(100)를 제어하는 관제서버(200)와,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로부터 수신한 관제정보가 상기 관제서버(200)에 의해 로그(LOG)화 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10)와, 상기 관제서버(200)가 수신한 관제정보에 의해 비상상황 발생시 그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고 제어정보를 무인경비단말부(100)로 전송하는 관제요원터미널(220)과, 상기 관제서버(200)를 매개하여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상태를 관리하고 갱신할 수 있는 관제제어터미널(230)과, 및 가입자의 요구를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터널링 서버(200a)와 접속하는 웹서버(240)로 구성된다.
상기 터널링 서버(200a)는 물리적인 서버 또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관리서버(200)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제어터미널(230) 상호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 간에는 두개의 통신포트(Port A, Port B)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포트(Port A)는 관제통신경로로 사용되고, 상기 통신포트(Port B)는 제어통신경로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10)에는 후술하는 프로토콜 구조중에서 고유ID필드(SYS ID)와 인식ID필드(AUTH ID) 정보가 룩업테이블 방식으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관제통신경로를 통해 관제서버(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송하고자 한 관제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는 상기 관제통신경로를 폐쇄(CLOSE)하여 상기 관제서버(200)가 다른 무인경비단말부를 관리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관제서버(200)와 연결되는 관제요원터미널(220) 및 관제제어터미널(230)로부터 제어정보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관제서버(200)는 제어통신경로(Port B)를 폐쇄하여 이외의 무인경비단말부와 제어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무인경비단말부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02), 비상등/비상벨(104), 조명기구(106), 각종 센서가 구비된 센서모듈부(108)가 구비되어 비상상황 발생시에 상기 관제서버(200)가 인지하도록 관제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관제서버(200)로부터 제어정보를 전송받아 원격제어를 행하는 관제신호처리부(110)와, 상기 관제서버(20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관제정보와 제어정보의 전송을 행하는 네트워크통신부(120)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132)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120)와, 제어부(142)에 의해 상기 감시카메라(132)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4)와 상기 출입문을 이용시 출입 인증을 위해 제공되는 키이패드부/카드판독부(146)를 갖는 관제용 입출력부(140)와, 시스템 관리 및 상기 관제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전체적인 시스템 운영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32bit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프로세서가 채용되며,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으나 시스템 구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4MB 이상의 메모리 용량을 갖는 플래쉬롬과 상기 플래쉬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액세스 구동에 따라 소정 번지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에스디램을 더 갖춘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통신부(120)는 10Mbase-T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고속통신모듈(122)과 보조통신포트로서 PSTN모듈(124)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모듈부(108)는, 도어개폐와 충격/적외선/열선/유리파손 등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일반지역 센서와 가스누출감지와 화재감지 및 비상버튼을 위한 특수지역 센서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관제신호처리부(110)는,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센서모듈부(108)의 센서 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게로 전송하는 센서인터페이스와, 경광등/비상벨 제어를 위한 일반 제어용 2포트와 파워릴레이 제어용 2포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인터페이스와, 내부 관제신호처리를 위한 시리얼포트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30)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132)와, 마이크로프로세서(150)에 의해 다수의 감시카메라(132)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채널멀티플렉서(134)와, 그 채널멀티플렉서(134)를 통해 인가되는 임의의 감시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웨이블렛(Wavelet) 방식의 MJPEG방식으로 압축하여 최대 초당 8프레임으로 처리하고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에 의해 복원된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압축코덱부(136)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프로토콜 구조는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 상호간에서 송수신되는 관제정보와 제어정보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TCP 소켓을 이용하여 소정 길이의 프레임 단위로 전송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프로토콜(300)를 이루는 프레임 구조는, 상기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프레임시작필드(STX)(302)와, 접속하고자 하는 시스템(즉, 무인경비단말부)의 논리적인 식별자를 나타내는 고유ID필드(SYS ID)(304)와, 가입자 또는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식별 인식자를 나타내는 인식ID필드(AUTH ID)(306)와, 정보유형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타입필드(TYPE)(308)와,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길이필드(Data Length)(310)와, 상기 정보유형식별자인 타입(TYPE)에 따라 구분되는 데이터필드(Data)(312)와, 데이터 전송시 발생되는 에러검출을 위한 에러검출필드(RSV)(314)와, 상기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프레임종료필드(ETX)(3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데이터암호화표준(DES;Data Encryption Standard)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정보는 전체를 암호화하고 영상정보는 헤더만 암호화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프레임시작필드(302)는, 1바이트로 구성되고 헥사값으로 'OXFE' 를 갖는다.
상기 고유ID필드(304)는 4바이트로 구성되며, 종래 PSTN망과의 연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종류-보안서비스회사-관제지역을 표시한다. 그를 나타내는 표시방식은, 아리비아 숫자(0~9)와, 알파벳 대문자 및 소문자(A~Z, a~z)의 아스키코드(ASCII)로 표시되며, 표현가능한 ID는 00000~zzzzz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D중에서 '00000~0zzzz'은 테스트(Test)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서비스 운영과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유ID필드(304)는 상기 서비스종류-보안서비스회사-관제지역을 나타내는 하부필드(304a~304c)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필드(304a~304c)는, 첫번째로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의 통신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1바이트의 서비스 종류식별자(SRV ID)(예컨대, ~Ver 1.0)(304a)와, 보안서비스회사를 구분하기 위한 1바이트의 보안회사식별자(SEC ID)(304b), 및 관제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인 3바이트의 관제지역식별자(DEC ID)(304c)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인식 ID필드(306)는, 5바이트로 구성되며 보안프로토콜(CID)과의 연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보안프로토콜의 필드와 동일한 표기방식을 갖는다. 상기 표기방식은 아라비아 숫자 0~9와, 알파벳 B~F의 아스키코드(ASCII)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 표현가능한 ID는 '0000~FFFF'(즉 155=759,375)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유 ID(4바이트)와 인식 ID(5바이트)를 결합한 9바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타입필드(308)는 4바이트로 구성되며, 그 표기방식은 텍스트코드로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길이필드(310)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며 2바이트로 구성된다. 이는 '0~65535'까지 표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필드(312)는, 상기 정보유형 식별자인 타입필드(308)에 따라 그 구성이 구분되며, '0~65535'까지 표현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는 영상스트림 정보와 같은 원형(raw)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데이터의 구성은 텍스트 표기를 따르며,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주체들의 분석을 위하여 공백(white space)으로 분리된 토큰들의 나열로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에러검출필드(314)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필드값은 '0xCC'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종료필드(316)는 1바이트로 구성되고 헥사값으로 '0xFE'를 갖는다.
그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1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 상호간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며 TCP/IP 프로토콜에 의하여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해당 관제서버(200)에 접속하여 관제서비스를 행하게 된다.
그와 같이 관제서비스를 행하기 이전에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처리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전체적인 통신과정을 보인 도 5a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로부터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할 메시지가 발생되면,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 상호간은 TCP/IP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경로가 설정되고,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로부터 관제서버(200)에게로 관제정보가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관제정보를 전송받고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전송한 후 상시 설정되어 있는 통신경로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상기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후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할 메시지가 계속해서 있는 경우에는 상기 TCP/IP 통신경로는 계속 유지된다.
즉, 도 5b는 도 5a에서 메시지가 하나 이상 발생되는 경우의 통신진행과정을 보인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CP/IP 통신경로는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관제서버(200)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받은 후(단계 400~404), 일정시간 이내에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지 등의 여부를 확인하는 대기시간(Ready Time)이 요구된다.
이때, 상기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단계 406)에는, 상기 메시지는 상기 대기시간 이내에 전송되어야 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TCP/IP 통신경로가 해제된다(단계 408, 단계 410).
한편, 도 5c는 도 5a에서 통신진행중에 발생되는 장애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를 설명하면, TCP/IP 통신경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에서 상기 관제정보가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이 이루어지는데(단계 420, 단계 422), 이때 상기 관제서버(200)로부터 응답메시지가 무인경비단말부(100)로 전송되는 시간 예컨대 5초가 경과되면 타임아웃(Time out)이 발생된다.
상기 타임아웃은 응답메시지를 기다리는 시간으로서 그 타임아웃이 발생되면(단계 424에서 예),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는 메시지를 관제서버(200)로 재전송하여야 하는데 그러한 재전송을 통해서도 응답메시지가 무인경비단말부(100)로 전송되지 않으면 통신장애가 발생된것으로 간주한다(단계 426~단계 430). 상기 통신장애는 가입자의 문제로 발생되거나, 네트워크 사업자의 문제로 발생되거나, 보안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전송은 최초 메시지 전송 1회와 재전송 메시지 3회를 포함하여 총 4회 이내에서 메시지를 재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통신장애가 발생되지 않으면 메시지 전송 이후에 TCP/IP 통신경로가 해제되지만, 통신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PSTN망의 접속을 통해 관제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434).
상기 PSTN망에 의해 관제수행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보안프로토콜(Ademco Contact ID)를 적용하여 제한된 정보만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서 PSTN 환경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송이 실패한 메시지와 전송해야 할 메시지들을 먼저 백업한 후 PSTN 통신설정이 완료되면 백업된 정보로서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PSTN망을 통해 관제수행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통신장애가 복구되면(단계 436에서 예), 현재 행해지고 있는 PSTN 통신방식을 종료하고 네트워크 통신방식으로 변경되어 수행되며(단계 438), 마찬가지로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TCP/IP 통신경로는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방식인 TCP/IP 통신방식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장애로 간주되는데, 대략 1초 간격으로 4회 정도 접속시도를 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면 TCP/IP 통신방식으로 관제수행을 행하게 되나, 접속시도가 안되는 경우에는 상기 PSTN 통신환경으로 변경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TCP/IP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 상호간에는 시스템 정보와 관제정보와 영상정보 및 제어정보 등이 송수신되는바, 이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 상호간의 통신 정보중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 교환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이후에 무인경비단말부(100)로부터의 관제정보 및 영상정보가 관제서버(200)로 전송되는 과정이나, 무인경비단말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관제서버(200)로부터 발생되어 전송되는 과정은 순서에 관계없이 발생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관제신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가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통신 처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는,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관제서버(200)에 최초로 접속할 때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시스템 정보와 네트워크와 관련된 각종 파라메터들을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에서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되거나, 상기 관제서버(200)의 요청에 의해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응답할 때나, 관제대상이 아닌 임의의 무인경비단말부가 접속할 때 해당되는 관제서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관제서버(200)에 최초로 접속할 때 또는 관제서버가 변경되어 새로운 관제서버로 무인경비단말부가 연결을 시도할 때,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에서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술한 바 있는 프레임 정보가 전송되는데, 그 프레임 정보는 전술한 프로토콜 구조를 근거로 다음 예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STX|SYSID |AUTH ID| "INFO"| "0x008c"|
"FW 021115 UT 00971546 MAC 0050FC55A37D
IP 192.168.123.251 PORT 08080
TEMP 70.1 PWR1 12.512 PWR2 05.125 PWR3 03.400
TSIP 192.168.123.252 TSPT 18080
USEZ 0000000XXX CAME OOOO" |
RSV |ETX.와 같다.
이를 설명하면, 통신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에서 시스템/네트워크에 관한 정보임을 알리는 'INFO'라는 4바이트 텍스트 정보가 타입필드(308)에 표시된다.
그리고 'FW YYMMDD(년도/월/일)'는 무인경비단말부(100)의 펌웨어 버전을 나타내며, 'UT DDDDHHMM(일/시간/분)'는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의 구동시간(Running time)을 나타낸다.
상기 'MAC AABBCCDDEEFF'는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의 네트워크 고유식별자인 맥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즉, 16진수 어드레스를 텍스트로 표기한 12바이트로 나타낸다.
상기 'IP ###.###.###.###'는 무인경비단말부(100)에 설정된 IP 주소를 나타내고, IP 공유기 사용자의 경우 관제서버(200)에서 수신된 IP 정보와는 전혀 다른 사설 IP 주소를 나타내기 때문에 사설망으로 분리된 환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상기 'PORT 00000'는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에서 서버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한 TCP 포트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IP 주소와 PORT 주소를 표기할 때 고정된 길이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모자라는 바이트 수만큼을 공백으로 채워서 표기하도록 한다. 예컨대, '192.168.123.005'는 잘못된 표현이고, '192.168.123.5'와 같이 표현 된다.
계속해서, 'TEMP ##.#'는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섭씨 온도를 나타내며, 'PWR ##.###'는 각각의 시스템인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전압을 나타낸다.
상기 'TSIP ###.###.###.###'는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클라이언트 모드로 제어포트를 설정하는 경우 사용하게 되는 서버 IP 주소를 의미하고, 상기 'TSPT 0000'는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클라이언트 모드로 제어포트를 설정하는 경우 사용하게 되는 서버의 TCP 포트를 의미한다.
상기 'USEZ 0000000XXX'와 'CAME OOOO'는 센서(108)와 감시카메라(132)의 설치여부를 나타내는바, '0'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X'는 미설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와 같이,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최초로 관제서버(200)에 접속되어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관제서버(200)는 접속 허용을 의미하는 응답메시지를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전송한다. 예컨대, 'STX|SYS ID|AUTH ID|"INFO"|"Ox0004"|"EACK"|RSV|ETX'와 같다.
그러나,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로부터 전송받은 메시지에서 상기 서버 IP 주소(TSIP)와 서버의 TCP 포트(TSPT)가 잘못된 경우에는 'STX|SYS ID|AUTH ID|"INFO"|"Ox00??"|"EMAL Wrong TSRV"|RSV|ETX'와 같이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가 상호 접속되어 시스템 정보를 상호 송수신하여 통신경로가 정상적으로 설정되면, 이후 상기 관제정보와 영상정보와 제어정보 등을 교환하게 된다.
우선, 관제정보를 송수신하여 관제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관제정보는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하는 보안정보를 말하고 있는 것으로서, CID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있다.
상기 CID 프로토콜은 아라비아 숫자 0~9와, 알파벳 B~F의 아스키코드(ASCⅡ)인 총 15개의 디지트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현하며, 그 세부 필드의 구성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CID 프로토콜은 'ACCT|MT|Q|XYZ|GG|CCC|S'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ACCT'는 4디지트로 구성된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갖는 식별자로서 관제프로토콜과 CID 프로토콜의 연관성을 위하여 전술한 바 있는 'AUTH ID'(306)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상기 'MY'는 2디지트로 구성된 메시지 타입 식별자로서, 상기 CID 프로토콜은 '18'(또는 '98')로 정의된다.
상기 'Q'는 1디지트로 구성된 이벤트의 상태/유형 식별자이다. '1'은 사건이 발생하였거나 경계가 설정되었음을 의미하고, '3'은 사건이 해결/복구/복원 되었거나 경계가 해제되었음을 의미하고, '6'은 현재의 사건이 계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XYZ'는 3디지트로 구성되며 어떠한 이벤트인지를 나타내는 분류식별자이다.
상기 'GG'는 2디지트로 구성되며 특정 그룹 또는 파티션/섹터를 의미한다.
상기 'CCC'는 3디지트로 구성되며 관제지역 또는 가입자를 구별하는 식별자이며, 이때 관제지역이나 가입자의 정보가 필요없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000'으로 나타낸다.
상기 'S' 는 1디지트로 구성되며 체크섬(Checksum)을 나타내고, 검출을 위한 계산식은 '(Sum-of-All-message-digits +S)MOD 15'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CDI 프로토콜 정보는 각각의 디지트 정보가 DTMF방식으로 PSTN망을 이용하여 무인경비단말부(100)로부터 관제서버(200)의 디코더(도면 미도시)로 전송되고, 상기 디코더는 정상수신에 대한 응답신호로서 'Kissoff Tone'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전송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려준다.
예컨대, '1234|18|1|401|02|003|5'로 표현된 CID 프로토콜은 가입자'003'이 무인경비단말 '1234'의 파티션 '02' 지역에 관제를 해제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 CID프로토콜에 따른 이벤트는 알람(Alarms), 감시(Supervisory),발생(Troubles),오픈제어/폐쇄제어/원격제어(Open/Close/Remote ACCESS), 허가/거부(Bypass/Disables) 및, 테스트(Test) 등과 같이 총 6개군과 총 200여개의 이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이벤트에 대한 기능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CID 프로토콜을 통하여 전송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10)에 로그화되어 저장된다.
상기 로그화 과정은 CID프로토콜 구조에서 'ACCT'는 'AUTH ID'(306)와 동일한 값을 가지며, 메시지 타입은 '18'로 고정되며, 체크섬은 임의의 값이 적용되기 때문에, CID프로토콜 구조에서 'ACCT', 'MT', 'S' 필드를 제거하고 나머지 '|XYZ|GG|CCC'로 이루어진 총 9바이트만을 저장한다. 그러나, 비상시 PSTN 백업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ACCT'와 'S'는 CID 규정에 근거하여 정확한 처리가 요구된다.
여기서, 상기 9바이트만을 이용한 메시지의 경우 수를 간략하게 표현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코드 메시지 설명 비 고
101 1 101 01 001 비상호출이 발생하다(비상)
111 1 111 01 001 연기 검출(화재-발생)
3 111 01 001 연기 해결(화재-복구)
130 1 130 01 CCC CCC 지역에서 침입 감지
3 130 01 CCC CCC 지역에서 침입 복구
151 1 151 01 001 가스 누출
3 151 01 001 가스 복구
302 1 302 01 000 배터리 방전 발생
3 302 01 000 배터리 방전 복구
350 1 350 01 000 네트워크 통신 장애 발생
3 350 01 000 네트워크 통신 장애 복구
401 1 401 01 CCC 경계 설정
3 401 01 CCC 경계 해제
602 1 602 01 000 무인감시단말부가 정상동작
570 1 570 01 CCC 방문지역에 센서 검출
3 570 01 CCC 방문지역에 센서 복구
이후, 상기와 같은 메시지에 따라 후술하는 관제상태와 각각의 관제상태를 천이하는 이벤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6에서 관제정보 전송시에 관제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관제상태의 천이내용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상태는 관리자(Supervisor)모드, 경계해제(Disarm)모드, 경계(Arm)모드, 부분경계(Partial Arm)모드, 알람(Alarm)모드, 보호(Duress)모드로 구분된다.
상기 관리자(Supervisor)모드는 관제지역의 구성 및 운영방식에 대한 설정 정보들을 처리하는 상태이다.
상기 경계해제(Disarm)모드는 관제가 해제된 상태를 말한다. 상기 무인경비단말부가 초기 설정되는 상태이다.
상기 경계(Arm)모드는 설치된 모든 센서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들을 검사하고, 비상상황이 검출된 경우 즉각적인 방법/방재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알람상태로 천이된다.
상기 부분경계(Partial Arm)모드는 일부 센서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들을 검사하고, 비상상황이 검출된 경우 즉각적인 방법/방재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알람상태로 천이된다.
상기 알람(Alarm)모드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며 방법/방재 처리가 종료되기 전까지 자체 경보시스템의 작동과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Duress) 모드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나, 가입자의 안전을 위하여 자체 경보시스템을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그러나 관제서버(200)와의 메시지 전송은 알람상태와 동일하게 방법/방재 처리가 종료되기 전까지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상태 천이 이벤트를 분류하면 다음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디지트는 CID 필드중에서 'Q|XYZ'의 4개의 디지트가 적용된다.
즉, 'A'이벤트는 관리자모드로 진입함을 알려주는 메시지로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설정정보를 주고 받는다.
'B'이벤트는 관리자모드에서 종료함을 알려주는 메시지로서, 이후 관리해제모드에서 수행한다.
'C'이벤트는 센서정보검사모드로 진입함을 알려주는 메시지이다.
'D'이벤트는 센서정보검사모드에서 종료함을 알려주는 메시지이다.
'E'이벤트는 일부센서검사모드에서 종료함을 알려주는 메시지이고, 'F'이벤트는 일부센서검사모드로 진입함을 알려주는 메시지이다.
'G'이벤트와 'H'이벤트와 'I'이벤트 및 'J'이벤트는 메시지 전송후에 관제서버로 영상정보 전송이 시작되는 메시지로서, 'Q|XYZ'의 4개의 디지트 종류에 따라 비상호출발생, 연기검출발생, 침입감지발생, 가스누출발생, 미지정 가입자의 경계해제발생의 메시지로 구분된다.
'K'이벤트는 가입자가 경계해제를 수행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상기 모드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드에서만 발생되는 이벤트도 'Q|XYZ'의 4개의 디지트 구분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진다.
그와 같은 각종 관제정보는 CID프로토콜 구조에 따라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되는 바, 예컨대 시스템의 정상을 알리는 메시지가 02/11/15 21시 10분 51초에 통보되었다라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즉, STX|SYSID |AUTH ID|
SECU| "0x0010"|"123418160201000F021115211051"|
RSV |ETX
물론,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면 관제서버(200)는 무인경비단말부(100)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두번째로, 영상정보를 전송하여 영상관제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132)를 통하여 입수된 영상정보가 영상신호처리부(130)에서 디지털 변환 및 실시간 압축되어 네트워크 통신부(120)를 통해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되면, 상기 관제서버(200)가 상기 전송된 영상정보를 근거로 영상관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정보는 무인경비단말부(100)에서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되는 영상 스트림정보와, 상기 관제서버(200)에서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전송되며 영상정보의 전송시작/중지, 감시카메라 선택, 프레임 수의 조절, 밝기조절, 칼라/흑백 조절, 화질 조정 등에 대한 요청을 하는 영상 제어정보로 구분된다.
상기 영상 스트림정보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감시카메라(132)의 영상정보을 자동으로 관제서버(200)로 전송하는 경우와, 원격지의 가입자나 가입자에게 영상관제에 대한 허가를 받은 관제서버(200)에서 감시카메라(132)를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상기 영상 스트림 정보는 보다 높은 영상품질을 유지하면서 압축률이 뛰어난 웨이블렛 코덱(Wavelet CODEC)을 이용한 MJPEG방식이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스트림 정보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프로토콜 구조에서 웨이블렛 코덱(Wavelet CODEC)을 이용한 MJPEG 영상정보임을 알리는 'VDOW'라는 4바이트 텍스트 정보가 타입필드(308)에 표기된다.
그리고, 데이터 필드(310)는 영상정보인 원형 데이터로 구성됨에 따라서 32비트 더블 워드로 표현되는 바이너리 데이터로 표현된다. 상기 데이터 크기는 2808바이트로 고정되어 전송된다.
상기 영상정보 구조에서 비디오 스트림(500)은 영상원형데이터에서 새로운 필드의 오프셋(Offset)을 나타내는 오프셋필드(502,506)와, 상기 새로운 필드의 해당 감시 카메라 정보를 나타내는 카메라ID필드(504,508), 및 영상원형정보를 나타내는 비디오원형스트림(509)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프셋필드(502,506)는 2바이트로 구성되며 영상정보에서 새로운 필드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기 카메라ID필드(504,508)는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 번호를 나타낸다. 즉, 감시카메라 ID는 '01'~'04'와 같이 표현하고 새로운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전 번호와 동일한 값으로 표현하거나 'FF'로 표현하게 된다.
상기 비디오원형스트림(509)은 영상정보의 최소단위로서 32비트 더블 워드로 표현되는 바이너리 데이터이고 2800바이트로 고정된 크기를 갖는다.
그와 같은 영상정보의 하나의 프레임은 2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바, 각각의 필드는 NTSC방식의 화면 출력과 유사한 비월주사방식에 의해 영상정보를 복원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필드가 위치하는 순서는 관계없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영상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영상정보의 전송과 종료를 알리는 방법은 데이터 필드(312)에 'STRT'만 존재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종료를 알리는 방법은 데이터 필드(312)에 'STOP'만 존재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정보는 자동전송에 의해 전송 시작이 발생되거나,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전송요청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예컨대, '000 000.000.000.000'은 비상이 검출되어 자동으로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의미하고, 'MON 192.168.244.252'/'MGR 192.168.244.252'는 관제요원이 요청하여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의미하며, 'WEB 192.168.244.252'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웹서버(240)를 통하여 요청한 영상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MON/MGR는 관리자의 유형정보이며, WEB는 사용자의 유형정보이고, 후술하는 정보는 사설 IP정보이다.
다음으로, 관리서버(200)가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제어나 정보를 요구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통신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정보는 시스템 제어정보와, 관제제어정보와, 영상제어정보로 구분되며 이를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전술한 도 6를 참조하여 계속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시스템 제어정보는 관제서버(200)가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할 때 그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전송하는 정보로서, 시스템에 관한 정보임을 알리는 'CINF'라는 4바이트 텍스트와, 시스템/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REQU'라는 4바이트 텍스트가 각각 타입필드(308)와 데이터필드(312)에 표기된다.
예를들면 'STX|SYS ID|AUTH ID|"CINF"|"0xOOO4"|"REQU"|RSV|ETX' 와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무인경비단말부(100)은 관제서버(200)에게로 응답 프로토콜 구조에 따라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보낸다.
계속해서, 시스템 식별자 변경요청, 시스템 사용자 변경요청, 관제서버 정보요청, 로컬서버 정보요청에 대한 결과, 관제서버 변경정보, 터널링 서버 변경정보, 로컬서버 및 터널링서버 변경정보에 대한 응답, 펌웨어 업그레이드 요청, 펌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에 대한 응답이 발생된다.
이를 설명하면, 우선 시스템 식별자 변경요청은 접속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논리적인 식별자를 나타내는 고유ID필드(SYS ID) 4바이트와 가입자 또는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식별 인식자를 나타내는 인식ID필드(AUTH ID) 5바이트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보 변경은 무인경비단말부9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의 TCP/IP 소켓 통신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시스템에 관한 정보임을 나타내는 4바이트 "CINF" 텍스트와,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식별자 변경을 의미하는 'AUTH', 및 변경되는 9바이트 정보가 포함되어 'STX|SYS ID|AUTH ID|"CINF"|"0xOOOE"|"AUTH 123456789"|RSV|ETX'와 같이 정의된다.
그리고, 시스템 사용자 변경요청은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에 관한 정보임을 나타내는 4바이트 "CINF" 텍스트와, 무인경비단말부의 식별자 변경을 의미하는 "CHPW" 및 변경되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 정보가 나열되어 'STX|SYS ID|AUTH ID|"CINF"|"0xOOOF"|"CHPW USR01 1234"|RSV|ETX'와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ID는 'USER01' 부터 'USER14'까지 제한되며, 패스워드는 4자리로 제한된다.
계속해서, 관제서버(20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STX|SYS ID|AUTH ID|"CINF"|"0xOOO4"|"RSRV"|RSV|ETX'와 같이 정의되며, 그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는 결과값을 첨부하여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한다. 즉 응답메시지를 나타내는 텍스트정보와 관제서버(200)의 IP어드레스 및 포트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는 바, 'STX|SYS ID|AUTH ID|"CINF"|"0xOO22"|"EACK IP 192.168.123.150 PORT 30000"|RSV|ETX'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관제서버(200)에 접속한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관리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에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접속해야 할 관제서버(200)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예컨대 'STX|SYS ID|AUTH ID|"CINF"|"0xOO22"|"LSRV IP 192.168.123.150 PORT 08000"|RSV|ETX'인 경우, 상기 'LSRV'는 접속해야 할 관제서버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고, 순서대로 접속할 관제서버의 IP 정보와 TCP 포트정보가 나열된다.
그리고,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제어정보 송수신을 위하여 터널링 서버(200a)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 그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접속해야 할 해당 터널링 서버(200a)를 알려주는 정보로서 터널링 서버(200a)의 변경정보가 발생된다.
예컨대, 'STX|SYS ID|AUTH ID|"CINF"|"0xOO22"|"TSRV IP 192.168.123.150 PORT 20000"|RSV|ETX'와 같다면, 이는 접속해야할 터널링 서버(200a)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TSRV'정보와, 접속할 터널링 서버(200a)의 IP정보 및, TCP 포트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IP정보는 십진수를 텍스트로 표현하여 구분자(Dot)를 포함한 15바이트로 정의되고, TCP 포트정보는 십진수 5바이트로 정의된다.
그리고, 관제서버(200) 및 터널링서버(200a)의 변경정보에 대한 응답메시지는 부가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STX|SYS ID|AUTH ID|"CINF"|"0xOOO4"|"EACK"|RSV|ETX'와 같다.
그리고, 무인경비단말부(100)의 펌웨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제서버(200)는 해당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 FTP 서버정보를 알려주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STX|SYS ID|AUTH ID|"CINF"|"0xOO??"|
"UPGD IP 192.168.123.122 PT 21 ID anonymous
PW sec@??.com DIR./pub/ftpupgrade"|RSV|ETX'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PGD'는 업그레이드 요청임을 나타내고, 'IP'는 접속할 FTP 서버의 IP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상기 'PT'는 접속할 FTP 서버의 포트 어드레스이며, 'ID'는 접속 인증을 위하여 사용되는 ID이다. 상기 'PW'는 접속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패스워드, 'DIR'는 업그레이드 파일이 위치한 경로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펌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에 대한 응답은 무인경비단말부(100)가 상기 펌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관리서버(200)에게로 통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업그레이드가 성공한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CID '1 414 01 000'가 포함된 'STX|SYS ID|AUTH ID|"SECU"|"0xOO10"|"123418141401000F 021115211051"|RSV|ETX' 메시지를 관리서버에게로 전송하고, 업그레이드가 실패한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CID '1 313 01 CCC'가 포함된 'STX|SYS ID|AUTH ID|"SECU"|"0xOO10"|"123418131301000F 021115211051"|RSV|ETX' 메시지를 관리서버(200)에게로 전송한다.
한편, 관제제어정보는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제어통신 수신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원격제어정보를 말하며, TCP Listen 모드와 TCP Client로 터널링 서버(200a)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관제설정정보와 원격제어정보로 구분된다.
상기 관제제어정보는 무인경비단말부(1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어자 인증을 위하여 제어설정시작정보가 최초로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전송된다.
예컨대, 이는 'STX|SYS ID|AUTH ID|"CSEC"|"0xOO19"|"LOGI MON SUPER #### 192.168.244.182 32000 192.168.244.153"|RSV|ETX' 과 같다.
여기서, 상기 'CSEC'는 관제정보임을 알린다.
그리고 데이터 필드는 인증을 위하여 무인경비단말부(100)에 등록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로 구성되는 바, 'MON'은 제어요청지를 구분하며, 'SUPER ####'는 원격제어 사용자 인증를 나타내며, 순차적으로 원격제어를 요청한 무인경비단말부(100) 및 웹서버(240)의 공인 IP와 공인 포트와 사설 IP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설정시작에 대한 응답메시지는 상기 제어설정시작 정보의 원격제어를 요청한 무인경비단말부(100) 및 웹서버(240)의 IP와 포트에 의해 개설된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LOGI'에 대한 결과를 전송한다. 이때 인증처리과정에서 오류가 검출되면 무인경비단말브(100)는 관제서버(200)에게로 접속 거부를 알려주고 통신경로를 해제한다.
예컨대, 이는 'STX|SYS ID|AUTH ID|"CSEC"|"0xOO0F"|"EACK"|RSV|ETX', 또는 'STX|SYS ID|AUTH ID|"CSEC"|"0xOO??"|"EMAL "LOGI Error""|RSV|ETX'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 해제 이전에 마지막으로 제어설정 종료정보가 무인경비단말부에게로 전송되어야 한다. 만약 네트워크 장애로 인하여 정상적인 진행이 안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는 소정 시간동안 제어통신경로에 메시지수신이 없을때 자동 제어설정 종료 및 통신해제를 진행한다.
예컨대, 'STX|SYS ID|AUTH ID|"CSEC"|"0xOO04"|"LOGO"|RSV|ETX'이다.
그리고, 무인경비단말부(100)에 관제와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들을 요청하는 관제설정정보요청은 관제요원이 관제요원터미널(220)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입자는 사용하지 못해야 한다. 이는 'STX|SYS ID|AUTH ID|"CSEC"|"0xOO04"|"REQU"|RSV|ETX'와 같다.
상기 관제설정정보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는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관제서버(200)에게로 응답하는 것으로 다음 메시지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STX|SYS ID|AUTH ID|"CSEC"|"0xOO??"|
"EACK PPP TEL1NUM TEL2NUM
CEN TEL1NUM TEL2NUM GAP ## CRN ## SUPER ####
USEZ OOOOOOOOOO EMGZ 0000000000 DELZ 0000000XXX
VISIZ 0000000XXX CAMZ 1234123412XX PARZ 0000000XXX
ENTRD ## EXITD ## BELL O LAMP O VDO 0 RC 00000
ATOT 060 GAS H"|
RSV|ETX'와 같다.
상기 메시지 예를 설명하면, PPP통신을 고려한 관제서버(200)의 전화번호 정보로서, 전화번호의 최대길이는 20자로 제한되며 전화번호 정보가 20자 미만인 경우 공백에 대해서는 스페이스 처리하도록 한다. 예컨대 "9, 3446-0728"은 "9***34460728"와 같이 표기되며 "9" 3초후에 "34460728"을 다이얼링 함을 의미한다.
상기 'CEN TEL1NUM TEL2NUM'는 PSTN 디코더를 사용하는 경우 전화번호 정보이다. 상기 'GAP ##'은 정시통보 시간 설정을 의미 하는 것으로서 "01"은 이상의 값을 가지며, 간격은 30분 단위이다.
상기 'CRN ##'은 설치된 카드판독부 갯수이다.
상기 'SUPER ####'은 관제요원의 비밀번호 4자리이다.
상기 'USEZ 0000000000'은 사용되는 관제지역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0'은 설치 되었음을 나타내고, 'X'는 미설치 되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관제지역 정보중 3개의 비상존이 포함되며, 이는 비상호출/화재감지/가스누출의 순서로 되어있다.
상기 'EMGZ 0000000000"은 24시간 비상 알람 지역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DELZ 0000000XXX"은 가입자의 경계 설정 후 안전한 퇴실을 위해 보장되는 지연시간 설정 정보로서 상기 3개의 비상존은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VSIZ 0000000XXXX'은 방문자 검출 지역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3개의 비상존은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CAMZ 1234123412'은 가입자의 경계 설정 후 비상검출시에 자동 전송되는 영상정보의 감시카메라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PARZ 0000000XXX'는 가입자의 부분경계설정 후 비상검출에 사용되는 설정 지역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ENTRD ##'는 경계해제를 위한 입실 지연시간(초 단위)이며, 상기 'EXITD ##'는 경계설정을 위한 퇴실 지연시간(초 단위)이다.
상기 'BELL O'는 자동 비상벨 설정으로서, 자동은 '0', 수동은 'X'로 설정된다. 상기 'LAMP 0'는 자동 경광등 설정으로서, 자동은 '0', 수동은 'X'로 설정된다.
상기 'VD0 0'는 자동전송 영상정보의 설정과 해제를 나타낸다.
상기 'RC 00000'는 원격제어장치의 설치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각의 필드는 '비상등/경광등/비상벨/밸브/출입문' 순서로 된다.
상기 'ATOT 000'는 자동전송 자동종료시간 설정을 나타낸다.
상기 'GAS H'는 가스밸브의 제어타입을 설정한다.
한편, 관제설정갱신요청정보는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관제와 관련하여 갱신해야 할 정보들을 전송하는 것을 정의하고 있는여, 관제요원만이 관제요원터미널(220)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원격경계설정요청은 관제요원이 관제요원터미널(220)을 조작하여 원격경계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경계요청을 의미하는 'RARM' 텍스트 정보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난다.
그리고, 원격경계해제요청은 관제요원이 관제요원터미널(220)을 조작하여 원격졍계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해제 요청을 의미하는 'RDIS'텍스트 정보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다.
그리고, 부분경계설정요청은 관제요원이 관제요원터미널(220)을 조작하여 부분경계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부분경계 요청을 의미하는 'PARM'텍스트 정보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다.
그리고, 부분경계해제요청은 관제요원이 관제요원터미널(220)을 조작하여 부분경계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해제 요청을 의미하는 'PDIS'텍스트 정보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다.
그리고, 비상등 제어요청은 관제요원이 야간 영상관제를 위하여 수동으로 원격 비상등을 제어하는것을 의미하며, 비상벨제어요청은 방범을 목적으로 수동으로 원격 비상벨을 제어하는것을 의미하며, 경광등제어요청은 원격 경광등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고, 가스밸브제어요청은 원격 가스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속해서, 출입문 제어요청은 관제요원과 가입자에 따라서 제어권한이 구분되며 출입통제를 위하여 수동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계상태요청은 출입통제 등의 목적으로 현 경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그 경계상태 요청에 대한 응답은 경계상태'A', 부분경계상태 'P', 경계해제상태 'D'의 부가정보가 포함되어 설정된다.
비상복구처리요청은 발생된 비상상태가 복구되었음을 무인경비단말부(100)로 통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가입자 요구에 의해 영상정보의 전송시작/중지, 감시카메라 선택, 프레임 수의 조절, 밝기조절, 칼라/흑백 조절, 화질 조정 등에 대한 요청을 할 수 있는바, 그 요청에 대한 영상제어정보는 관리서버(200)에서 무인경비단말부(100)에게로 전송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제어정보는 무인경비단말(100)과 관제서버(200) 상호간의 영상 파라메터에 대한 동기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후 설명되는 각각의 제어 요청에 대하여 응답메시지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이를 설명하면, 우선 관제서버(200)는 영상신호처리부(130)의 채널멀티플렉서(134)에 연결된 전체 감시카메라(132)의 영상정보 전송을 무인경비단말부(100)로 요청하면('STX|SYS ID|AUTH ID|"CVDO"|"Ox0004"|"CONN"|RSV|ETX'),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는 상기 요청정보에 대하여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전체 감시카메라(132)의 영상정보 정지를 요청하면('STX|SYS ID|AUTH ID|"CVDO"|"Ox0004"|"DISC"|RSV|ETX'), 상기 무인경비단말부(100)는 상기요청정보를 전송받고 그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한다.
그리고, 특정 카메라 즉 첫번째 감시카메라의 영상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STX|SYS ID|AUTH ID|"CVDO"|"Ox0007"|"ADDC01"|RSV|ETX' 와 같이 표현되며, 여기서, 상기 'ADDC##'에서 '##'는 영상신호처리부(130)에 장착된 감시카메라(132)를 나타낸다. 물론 미 설치된 감시카메라(132)에 대하여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무인경비단말부(100)는 관제서버(200)에게로 에러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특정 카메라에 대한 영상정보 정지요청은, 'STX|SYS ID|AUTH ID|"CVDO"|"Ox0007"|"DELC04"|RSV|ETX'와 같으며, 이는 네번째 감시카메라에 대하여 정지요청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입자는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전체 영상정보의 프레임수를 조절할 수 있는 바, 영상제어정보를 의미하는 'CVDO'의 4바이트 텍스트정보와 프레임수를 나타내는 'FRAM ##'의 7바이트 텍스트정보를 조합하여, 'STX|SYS ID|AUTH ID|"CVDO"|"Ox0007"|"FRAM04"|RSV|ETX'로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수를 나타내는 '#'은 '01'~'16'단계로 이루어지고, '01'은 32필드전송으로 고속전송을 의미하고 '16'은 2필드전송으로 저속전송을 나타낸다. 물론 무인경비단말부(100)의 성능에 다라 지원되는 프레임의 범위와 단계는 제한된다.
그리고, 영상정보를 컬러영상으로 요청하는 경우에는 'STX|SYS ID|AUTH ID|"CVDO"|"Ox0007"|"CLOL ON"|RSV|ETX'와 같고, 흑백영상은 'STX|SYS ID|AUTH ID|"CVDO"|"Ox0007"|"CLOL OF"|RSV|ETX'와 같다.
그리고, 영상정보의 밝기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STX|SYS ID|AUTH ID|"CVDO"|"Ox0007"|"BRIT ##"|RSV|ETX'와 같이 나타내며, 상기 'BRIT ##'에서 '#'은 '01'~'64'까지 가능하다. '##'의 숫자가 높을수록 영상정보가 더 밝아지게 된다.
그리고, 영상정보의 화질조절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STX|SYS ID|AUTH ID|"CVDO"|"Ox0007"|"QUAL ##"|RSV|ETX'와 같으며, 상기 '##'은 '01'~'04'로서 숫자가 높을수록 고화질을 의미한다.
그리고, 영상파라메터요청은 관제서버 또는 가입자와 무인경비단말부(100)와의 영상과 관련된 정보들을 동기화 하기 위해 관제서버 또는 가입자가 요청하는 정보이다. 이는 'STX|SYS ID|AUTH ID|"CVDO"|"Ox0004"|"REQU"|RSV|ETX'와 같다.
상기 영상파라메터 요청이 발생되면, 무인경비단말부(100)는 영상신호처리부(130)에서 전송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한 응답메시지를 관제서버(200)에게로 전송하는바, 이는 'STX|SYS ID|AUTH ID|"CVDO"|"Ox0033"|"EACK VDOW CAME OXOX FRAM 04 COLO ON BRIT 60 QUAL 02"|RSV|ETX'와 같이 표현된다. 이는 응답메시지로서 'EACK'와, 코덱은 'VDOW'와, 감시카메라(132)는 2개(1번과 3번)가 설치되어 있고, 전송프레임은 8fps, 컬러영상이며, 60단계의 밝기와 2단계의 화질로서 영상정보가 전송되고 있음을 알린다.
그리고, 특정 감시카메라(132)로부터 영상정보를 단독으로 전송받을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 즉, 'STX|SYS ID|AUTH ID|"CVDO"|"Ox0007"|"SELC 01"|RSV|ETX'과 같은 메시지가 요청발생되면, 이는 첫번째 감시카메라로부터만 영상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정보 이외에 무인경비단말부(100)가 관제서버(200)에게 또는 관제서버(200)가 무인경비단말에게(100)로 시스템의 주기적인 상태 즉 네트워크 통신경로의 장애를 확인하기 위해 대략 10초 주기로 각각 요청이 발생된다. 물론, 상기 상태 확인에 대한 응답신호가 발생됨은 물론이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장애로 간주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와 그에 대한 응답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즉, 요청 메시지는 'STX|SYS ID|AUTH ID|"ALIV"|"Ox0004"|"REQU"|RSV|ETX' 이며, 응답메시지는 'STX|SYS ID|AUTH ID|"ALIV"|"Ox0004"|"EACK"|RSV|ETX'이다.
한편, 무인경비단말부(100)와 관제서버(200)는 영상스트림정보를 제외한 모든 요청/제어 정보들에 대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며 적절한 응답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 경우, 프로토콜 구조를 참조하여 타입필드(308)는 수신된 요청/제어 정보와 동일한 값을 가지며, 데이터필드(312)를 이용하여 정상인 경우에는 정상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및 부가정보를 전송하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에러 종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환경에 설치되는 무인경비단말부와 보안사업자환경측의 관제서버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모든 관제/제어정보들이 TCP 소켓을 이용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유동IP 및 고정IP가 모두 지원될 수 있으며, 또한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반드시 정상 또는 에러를 나타내는 응답메시지가 전송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대역폭의 증가로 인하여 텍스트 정보뿐만 아니라 정보량이 많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무인경비단말부와 관제서버 상호간에서 정보 전송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무인경비단말부에 제공된 네트워크 통신부에 의해 TCP/IP 통신경로 뿐만 아니라 장애 발생시에 PSTN 망을 이용하여 정보 전송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무인경비단말부와 관제서버에 국한하여 메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 있는 프로토콜 구조를 이용하여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가 관제서버와 메시지를 상호 송수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라 DTMF방식에 의한 관제신호의 서비스 처리를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라 전용선을 이용하여 관제신호의 서비스 처리를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구조가 적용되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무인경비단말부를 보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5a는 전체적인 통신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5b는 도 5a에서 메시지가 하나 이상 발생되는 경우의 통신진행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5c는 도 5a에서 통신진행중에 발생되는 장애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관제신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가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통신 처리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도 6에서 관제정보 전송시에 관제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관제상태의 천이내용을 보인 모식도,
도 8은 도 6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의 스트림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인경비단말부 110 : 관제신호처리부
120 : 네트워크통신부 130 : 영상신호처리부
140 : 관제용 입출력부 150 : 마이크로프로세서
200 : 관제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관제요원터미널 230 : 관제제어터미널
240 : 웹서버.

Claims (22)

  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제정보가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고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발생된 제어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제서버는 독립적인 통신경로를 통해 상호 접속되며,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관제정보와 제어정보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 TCP소켓을 이용하여 소정 길이의 프레임 단위로 정보 전송을 행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있어서,
    데이터암호화표준(DES)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정보는 전체를 암호화하고 영상정보는 헤더만 암호화하는 방식이 적용되는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정보가 전송될 때 그 프레임의 전송시작을 나타내는 프레임시작필드(STX)와,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논리적인 식별자를 나타내는 고유ID필드(SYS ID)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식별 인식자를 나타내는 인식ID필드(AUTH ID)와,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유형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타입필드(TYPE)와,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길이필드(Data Length)와,
    상기 정보유형 식별자인 상기 타입필드(TYPE)에 따라 구성이 구분되는 데이터필드(Data)와,
    상기 정보전송시에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에러검출필드(RSV), 및
    상기 정보 전송 완료후에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프레임종료필드(ETX)의 순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ID필드(SYS ID)는;
    아리비아 숫자(0~9)와 알파벳 대문자(A~Z) 및 소문자 (a~z)의 아스키코드(ASCII)로 표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제서버의 통신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서비스종류식별자와,
    상기 관제서버를 관리하는 보안서비스회사를 구분하기 위한 보안회사식별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관제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관제지역식별자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ID필드는, 보안프로토콜(CID;Contact ID)과의 연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안프로토콜의 필드와 동일한 표기방식을 갖으며, 아라비아 숫자 '0~9'와 알파벳 'B~F'의 아스키코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필드에 표시되는 정보유형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는 시스템정보와,
    상기 관제서버가 관제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는 관제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에 구비된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관제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되는 제어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에 구비된 통신경로의 장애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네트워크 장애확인정보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펌웨어버전과, 구동시간과, 맥 어드레스와, 설정 IP주소와, 외부접속 TCP포트와, 온도/전압과, 서버 IP주소와, 서버 TCP포트와, 센서설치정보, 및 카메라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정보는,
    아라비아 숫자 0~9와 알파벳 'B~F'의 아스키코드가 적용되는 15개의 디지트가 이용되어 표현되는 보안프로토콜(CID)이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프로토콜은,
    상기 사용자단말의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되는 메시지 타입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는 이벤트의 상태유형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를 분류하는 식별자와,
    상기 관제수행을 위한 사용자단말의 특정 그룹 또는 파티션/섹터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상기 관제지역이나 가입자를 구별하는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의 송수신 정보의 에러검출을 위한 체크섬 식별자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8. 상기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의 식별자는 4디지트로 구성되며, 상기 인식 ID와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타입 식별자는 2디지트로 구성되며, 상기 이벤트 분류 식별자는 3디지트로 구성되며, 상기 특정그룹 또는 파티션/섹터 식별자는 2디지트로 구성되며, 상기 체크섬식별자는 1디지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상태유형 식별자는 1디지트로 구성되며, 상기 디지트는 사건 발생과 경계 설정일 경우에는 '1'로 표현되고, 상기 발생된 사건의 해결과 경계 해제인 경우에는 '3'으로 표현되며, 현재의 사건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6'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지역 또는 가입자 식별자는 3디지트로 구성되며, 상기 관제지역 또는 가입자 식별자의 정보가 필요없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000'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상태유형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 분류 식별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관제상태는, 관리자모드와 관리해제모드와 센서정보검사모드와 일부센서검사모드와 알람모드 및 경보시스템 중지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는 영상스트림정보와,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되는 영상제어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14. 제 4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그 영상정보에서 새로운 필드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오프셋필드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해당 카메라를 나타내는 카메라ID 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나타내며 2800바이트의 고정 크기를 갖는 영상원형스트림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원형스트림은 2개의 필드로 구성되며 비월주사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1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그 사용자단말의 시스템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시스템 제어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관제 제어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영상 제어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
  17.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간의 통신처리를 행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시키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전송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은 보안 프로토콜(CID)이 포함된 보안정보를 교환하도록 하는 관제정보와 상기 관제정보에 의한 관제 수행도중에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발생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시키는 제 1과정, 및
    상기 관제서버는 시스템 제어정보와 관제 제어정보 및 영상제어정보를 제어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하며 요청에 의한 영상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게로 전송시키는 제 2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처리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통신경로와 제어통신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기 정보들은 프레임시작필드와 고유ID필드와 인식ID필드와 타입필드와 데이터길이필드와 데이터필드와 에러검출필드 및 프레임종료필드의 순서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를 갖는 통신프로토콜에 의하여 TCP 소켓정보에 따라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처리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시스템정보와 관제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송한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처리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단말에게로 전송되는 메시지 타입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관제서버에게로 전송되는 이벤트의 상태유형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를 분류하는 식별자와 상기 관제수행을 위한 사용자단말의 특정 그룹 또는 파티션/섹터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상기 관제지역이나 가입자를 구별하는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관제서버 상호간의 송수신 정보의 에러검출을 위한 체크섬 식별자로 구비되는 보안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처리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이벤트의 상태유형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를 분류하는 식별자와에 의해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전송받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처리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관제서버는 TCP/IP 프로토콜이 적용된 상기 관제통신경로와 제어통신경로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고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관제서버로부터 응답메시지가 발생되지 않으면 공중교환망(PSTN)의 접속을 통해 관제수행을 지속적으로 처리하며 상기 관제통신경로와 제어통신경로가 복구되면 현재 수행되고 있는 공중교환망을 종료하고 상기 관제통신경로와 제어통신경로를 통한 네트워크 통신방식으로 변경되어 정보 송수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처리방법.
KR20030074899A 2003-10-25 2003-10-25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 KR10060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4899A KR100608077B1 (ko) 2003-10-25 2003-10-25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4899A KR100608077B1 (ko) 2003-10-25 2003-10-25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432A true KR20050039432A (ko) 2005-04-29
KR100608077B1 KR100608077B1 (ko) 2006-08-02

Family

ID=3724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4899A KR100608077B1 (ko) 2003-10-25 2003-10-25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0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48B1 (ko) * 2004-09-14 2007-08-1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관제서비스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08949B1 (ko) * 2008-10-01 2011-01-1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합 관리방법
KR20190078378A (ko) * 2017-12-26 2019-07-04 에스큐아이소프트(주) 태양광 인버터의 미등록 통신규약 정보 자동 검색 방법
WO2021107977A1 (en) * 2019-11-27 2021-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etwork security configura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35B1 (ko) 2018-02-12 2018-07-1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영상 암호화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및 스트리밍 영상 복호화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48B1 (ko) * 2004-09-14 2007-08-1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관제서비스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08949B1 (ko) * 2008-10-01 2011-01-1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합 관리방법
KR20190078378A (ko) * 2017-12-26 2019-07-04 에스큐아이소프트(주) 태양광 인버터의 미등록 통신규약 정보 자동 검색 방법
WO2021107977A1 (en) * 2019-11-27 2021-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etwork security configura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077B1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1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connectivity
US8036344B2 (en) Alarm system providing multiple network routing, interface module and method
US9300921B2 (en) Video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US8520068B2 (en) Video security system
US76403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e access to household terminals
US20080303903A1 (en) Networked video surveillance system
JP3994787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20080224862A1 (en) Selectively enabled threat based information system
CA2812808C (en) Alarm system providing tamper deterrent signalling and method
WO2003026305A1 (en) Video security system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EP1728226A2 (en) Construction system for supervision
KR100608077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
US107471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ncryption between alarm panel and monitoring station
WO2023107700A1 (en) On-premises communication bridges for premises security systems
Manual About this Manual
WO200004815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rol and/or monitoring systems
KR2004004971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4127A (ko) 인터넷 망 및 공중망을 이용한 방범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100434A (ko) 영상 감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59791A (ko)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7752A (ko) 영상관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영상관제 서비스 시스템
KR20050106237A (ko) 광대역통합망에서의 가상사설망과 서비스 품질기능이지원되는 무인영상경비 및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020094335A (ko)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KR20050113037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