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123A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123A
KR20050039123A KR1020030074513A KR20030074513A KR20050039123A KR 20050039123 A KR20050039123 A KR 20050039123A KR 1020030074513 A KR1020030074513 A KR 1020030074513A KR 20030074513 A KR20030074513 A KR 20030074513A KR 20050039123 A KR20050039123 A KR 20050039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pplication program
program
content fil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0846B1 (ko
Inventor
이은복
김후종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8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한 컨텐츠 파일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연결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입 타입(MIME Type)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 다운로드 받은 각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연결 설정을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다운로드 받은 각각의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로딩(Loading)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면 각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저장부 및 데이터 저장부에 각각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부가사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간의 연결 설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파일 형식을 갖는 컨텐츠 파일과 이를 재생하는 여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간의 연결 기능이 규격화 되어 있지 않아서 오는 컨텐츠 파일 유실과 같은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상업성이 극대화 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Method for Aplication Program Connetion with Contents in Mobile Phone by Using MIM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한 컨텐츠 파일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연결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임 타입(MIME Type)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한 컨텐츠 파일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의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9년 한국에서 이동 통신 사업자별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동 전화 단말기의 개념이 종래의 걸고 받는 음성 전화의 개념에서 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단말기가 되는 시대로 접어 들게 되었다. 이후 이동 통신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2000년 세계 최초로 다운로드형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정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게임, 이메일 작성, 음악 감상, 실시간 동영상 감상 및 TV 시청이 가능한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도 1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부가사업자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시스템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무선기지국(110), 이동 통신 교환국(120), WAP 게이트웨이(130), 인터넷(140),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 부가사업자 데이터베이스(160) 등이 포함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각종 무선 인터넷 서비스 예를 들어 게임, 벨소리, 동영상, MP3파일 등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 : 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TP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텔레콤사의 'NATE'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로 접속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무선 기지국(110)은 기지국 전송기(BTS :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112),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14) 및 중계기(Cell Enhancer : 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 전송기(11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국(12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11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1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1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등록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112)를 통하여 이동 통신 교환국(120)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12)를 통하여 이동 통신 교환국(120)으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등록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이동 통신 교환국(120)간을 이동할 때,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14)는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 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114)는 위치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 통신 교환국(120)으로 전달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20)은 무선 기지국(110)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교환국(120)은 무선 기지국(110)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이동 통신 교환국(120) 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칭함)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여기서, HLR(미도시)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단말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 단말기 고유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 ESN)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HLR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기지국(110)과 이동 통신 교환국(120)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20)은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VLR(미도시)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 등록을 수행할 때,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HLR로 통보를 하며 HLR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단말 식별 번호,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서비스 정보 등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AP 게이트웨이(130)는 유선 인터넷 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 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 간에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130)는 WAP 프로토콜과 인터넷 TCP/IP(Transmiss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상호간 변환하여 준다. 따라서, 인터넷(140)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이동 통신 교환국(120)을 거쳐 무선 인터넷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전술한 바에서, WAP이란 이동 통신 단말기나 개인 정보 단말기 등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프로토콜의 총칭이다. WAP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린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의 텍스트 코드(Text Code)를 그대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고 이를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해서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또한 WAP은 모델 설계부터 WAP을 이용할 컨텐츠(Content)와 무선 통신 단말기를 고려해 설계하므로 사용자들이 무선 단말기만 갖고도 인터넷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는 인터넷(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자하는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와 다운로드하려는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부가사업자 데이터베이스(160)는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에 연결되어 있으며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에 접속한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데이타 예를 들어 게임, 동영상, MP3파일 등의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제공한다.
한편, 무선 이동 통신망의 진화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14.4 Kbps/56K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IS-95A/B(EIA Interim Standard 95 A/B)를 거쳐 144 Kbps의 1x CDMA(Code Division Multipe Access) 방식, 2.4 Mbps의 1x EV-DO(1x Evolution-Data Optimized) 방식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가 멀티미디어화되어 가고 있다. 서비스의 종류로는 정보 제공 서비스(Information Service), 대화형 서비스(Communication Service), 엔터테인먼트 서비스(Entertainment Service), 이동 전자 상거래 서비스(Mobile-Commerce Service), 이동 위치 기반 서비스(Mobile Location-Based Service), 텔레메트리 서비스(Telemetry) 등이 있다. 이렇듯 서비스의 멀티미디어화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실시간 방송을 접할 수도 있고, 화상 전화, 모바일 결제, 은행 이체, 쇼핑, 위치 추적, 게임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통신 기술은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신지 소프트사의 GVM(General Virtual Machine)이나 퀄컴사의 BREW(Binary Runtime for Wireless), 또는 썬마이크로시스템사의 JAVA Machine 등을 기본 운영 체제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을 탑재하여 무선 인터넷 망과 접속되면서 더욱 발전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 플랫폼이 고도화되면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부가 사업자가 경쟁적으로 등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부가 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는 그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하지만 현재의 모바일 서비스에서는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간의 연결 기능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간의 연결 설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파일 형식이 MP3인 컨텐츠를 A라고 하고 A를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B라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B를 삭제하고 다른 부가사업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C를 다운로드하여 A를 재생하고자 할 때 C가 A를 인식하지 못하여 재생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각 부가사업자마다 표준화되어 있는 동종 형식의 파일에 대해서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또한 현재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출시할 때 기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출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의 폭이 좁다. 향후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컨텐츠 파일간의 적절한 연결 설정이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컨텐츠 파일을 단순히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의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하던 방법과는 달리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컨텐츠 파일의 연결 설정을 적절히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운로드한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마임 타입(MIME Type)으로 변환하여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각각의 컨텐츠 테이블에 등록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의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입 타입(MIME Type)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 다운로드 받은 각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연결 설정을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다운로드 받은 각각의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로딩(Loading)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면 각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저장부 및 데이터 저장부에 각각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b)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 (c) 다운로드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분리하는 단계; (d)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각각 마임 타입으로 변환하는 단계; (e)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각각의 컨텐츠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프로그램 저장부(200)는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무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접속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저장부(200)에는 인터넷(14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이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구현할 수 있는 GVM, BREW 또는 JAVA Machine 프로그램(이하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데이터 저장부(206)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수신된 MP3 파일, 동영상 파일, 문서 파일 등 각종 컨텐츠 파일을 저장한다.
전술한 프로그램 저장부(200)와 데이터 저장부(206)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분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물리적으로 동일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다른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202)는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간편하게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된 특수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202)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내장되어 있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의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할 수 있다.
LCD 표시부(204)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에 접속된 경우에는 LCD 창에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컨텐츠 파일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내용 및 다운로드 진행 상황을 표시해 준다. 또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하여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과정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부(206)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키 입력부(202)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수신된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206)는 마임 타입으로 변환된 컨텐츠 파일을 저장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212)에는 가입자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 등록 정보란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로서, 가입자 정보 저장부(21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회로기판(미도시)에 메모리 칩 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면 플래시 메모리의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있는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을 불러오고,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문자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사실 또는 메시지의 내용을 LCD 표시부(204)로 표시해 주는 기능을 제어하고, 즉시 실행하지 아니하는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06)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키 입력부(202)에 의해 무선 인터넷 접속 메뉴가 선택되면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로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고, 부가사업자 인터넷서버(15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로 전송한다(TX DATA). 또한 다운로드한 데이터 또는 다운로드중인 데이터를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내장되어 있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와 음성 데이터(SPEECH)를 주고 받으며,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는 RF 신호 처리부(224)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 스피커(218) 및 마이크로폰(2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변조된 음향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스피커(218)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2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246)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224)의 전력(POWER)을 제어하거나 전력제어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224)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안테나(222)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RF 신호 처리부(224)는 안테나(222)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로 출력한다.
도 3은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MP3화일, 게임, 동영상 파일 등의 데이터 파일을 컨텐츠 파일이라고 하며, 이러한 데이터 파일인 컨텐츠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파일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인터넷(140)에 접속한다. 인터넷(140)에 접속한 후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로부터 원하는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300)에서 다운로드 컨텐츠 관리 모듈(302)은 부가사업자 서버(15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분석하여 다운로드 받을 데이터 패킷을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각각 나눈다.
마임(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이란 RFC 822에 기술된 전자우편 표준의 한계(7비트의 아스키 메세지를 작성하도록 한 규정)를 극복하기 위해서 1991년 보렌스타인(Borenstein)과 프리드(Freed)가 RFC 1521에서 전자 우편 헤더 필드(Header Field)와 바디(Body)를 확장하여 제시한 전자우편 표준이다.
마임 타입은 개체(Entity)라는 기본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개체는 헤더 필드와 바디로 구성되는데, 헤더 필드는 메시지의 내용 형식과 전송 부호화 형식을 결정하는 플래그(Flag)정보가 있다. 전송 데이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마임에서는 여러가지 헤더 필드를 가진다.
마임 타입 변환 모듈(304)은 마임 타입을 이용하여 마임의 헤더 필드에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를 설정한다. 마임 타입 변환 모듈(304)은 플래그를 헤더 필드에 저장하고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각각 마임 타입으로 변환한다.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306)에서는 마임 타입 변환 모듈(304)에서 마임 타입으로 변환된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 각각 컨텐츠 테이블을 생성한다.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은 컨텐츠 테이블(A)와 컨텐츠 테이블(B)에 있는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연결 설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열(A)와 식별 정보열(B)를 제어한다.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운영 체제인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에 상주하고 있으며,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은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있다.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은 컨텐츠 테이블(A)와 컨텐츠 테이블(B)에 있는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식별 정보열(A)와 식별 정보열(B)를 가지고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분한다. 식별 정보열(A)와 식별 정보열(B)에는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플래그가 설정된 헤더 필드가 들어 있다.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파일은 데이터 저장부(206)에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언제나 사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에 등록한 후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저장한다.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은 컨텐츠 파일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 각각의 컨텐츠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서로 다른 부가 사업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실행 가능한 컨텐츠 파일의 형식 정보를 컨텐츠 테이블에 보관되어 있다. 따라서,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은 컨텐츠 테이블의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지고 서로 대응되도록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설정을 하면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306)에 의해서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컨텐츠 테이블(A)를 나타낸 도면이다.
컨텐츠 파일을 마임 타입으로 변환한 컨텐츠 테이블(A)(400a)에는 식별 정보열(A)(402)과 데이터 정보열(A)(404)이 있다. 마임 타입으로 변환한 컨텐츠 파일의 헤더 필드와 바디는 컨텐츠 테이블의 식별 정보열(A)(402)과 데이터 정보열(A)(404)에 각각 보관한다. 예를 들어 MP3이면 01h로, 동영상 파일이면 02h로, 문서 파일이면 03h로, PDF 파일이면 04h로 설정된 플래그가 들어있는 헤더 필드를 식별 정보열(A)(402)에서 보관하고, 이에 대응된 컨텐츠 파일의 데이터 정보가 있는 바디 부분은 데이터 정보열(A)(404)에 보관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306)에 의해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컨텐츠 테이블(B)를 나타낸 도면이다.
컨텐츠 파일의 컨텐츠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마임 타입으로 변환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헤더 필드와 바디를 컨텐츠 테이블(B)(400b)에 있는 식별 정보열(B)(406)와 데이터 정보열(B)(408)에 보관한다. 단, 컨텐츠 테이블(B)(400b)에는 추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컨텐츠 파일의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식별 정보열(A)(402)도 같이 보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메뉴, 예컨대 SK 텔레콤의 'NATE' 메뉴를 선택하고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140)에 접속한다(S502).
단계 S502에서 인터넷(140)에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의 부가사업자 데이터베이스(160)에서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S504).
단계 S504에서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았다고 판단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된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300)이 실행된다(S506).
단계 S504에서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 패킷에 대해서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300)의 다운로드 관리 모듈(302)이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 패킷의 다운로드 정보를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분리한다(S508).
단계 S508의 다운로드 관리 모듈(302)에서 출력된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300)의 마임 타입 변환 모듈(304)이 각각 마임 타입으로 변환한다(S510).
단계 S510에서 마임 타입으로 변환된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300)의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306)이 각각에 대해서 컨텐츠 테이블(400a, 400b)을 생성하고 컨텐츠 테이블(A)(400a)와 컨텐츠 테이블(B)(400b)에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각각 등록한다(S512).
단계 S512에서 생성한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컨텐츠 테이블(A)(400a)와 컨텐츠 테이블(B)(400b)에 있는 식별 정보열(A)(402)와 식별 정보열(B)(406)를 참조한다.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300)의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이 각각의 컨텐츠 테이블에서 서로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가지고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연결 설정을 한다(S514).
단계 S514에서 연결 설정을 마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컨텐츠 파일에 대해서 데이터 저장부(206)에 저장할 것인지 아니면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저장할 것인지를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300)의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이 결정한다(S516).
단계 S516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연결 설정을 마친 컨텐츠 파일이라면 데이터 저장부(206)로 저장된다(S518).
단계 S518에서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설정을 마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면 프로그램 저장부(200)로 저장되고(S520),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있는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등록한다(S52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마법사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컨텐츠 파일을 연결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메뉴, 예컨태 SK 텔레콤의 'NATE' 메뉴를 선택하고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140)에 접속한다(S602).
단계 S602에서 인터넷(140)에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150)의 부가사업자 데이터베이스(160)에서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S604).
단계 S604에서 다운로드를 종료한 후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컨텐츠 관리 마법사' 메뉴를 선택하여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한다(S606).
단계 S606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하면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300)의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이 실행되고 컨텐츠 파일에 대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연결 설정을 할 것인가 아니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연결 가능한 컨텐츠 파일 설정을 할 것인가를 선택하게 된다(S608).
특정 컨텐츠 파일 형식에 대한 재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연결 설정을 하는 경우, 먼저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부(206)에 저장되어 있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파일을 불러온다(S610).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파일 중에서 연결 설정하고자 하는 컨텐츠 파일을 선택한다(S612).
단계 S612에서 선택한 컨텐츠 파일에 대해서 컨텐츠 테이블(B)(400b)에서 식별 정보열(A)(402)를 갖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검색한다(S614).
단계 S614에서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하나를 사용자는 컨텐츠 파일에 대한 기본 실행 프로그램으로 지정한다(S616).
단계 S616에서 지정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있는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에 등록한다(S618).
단계 S608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상에서 기본 실행 프로그램으로 지정하는 경우라면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308)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불러온다(S620).
단계 S62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자는 기본 실행 프로그램으로 지정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한다(S622).
단계 S622에서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연결 정보로써 식별 정보열(A)(402)를 갖고 있는 컨텐츠 파일을 컨텐츠 테이블(A)(400a)에서 검색한다(S624).
단계 S624의 컨텐츠 테이블(A)(400a)의 검색 결과 중에서 단계 S620에서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컨텐츠 파일 형식을 선택한다(S626).
단계 S628에서 설정을 마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있는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에 등록한다(S618).
도 7a내지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하여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본 실행 프로그램으로 지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시킨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이다.
도 7b는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여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한 모습을 나타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이다.
도 7c는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지원 가능한 컨텐츠 파일의 파일 형식을 지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이다.
도 7d는 도 7b와 도 7c의 선택한 결과에 대해 최종 확인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하여 다운로드한 컨텐츠 파일 중에서 특정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기본 실행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시킨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이다.
도 8b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파일 중에서 특정 컨텐츠 파일을 선택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이다.
도 8c는 도 8b에서 선택한 컨텐츠 파일에 대해서 실행 프로그램으로 선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이다.
도 8d는 도 8c의 선택한 결과에 대해 최종 확인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는 LCD 표시부(204)의 출력 화면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부가 사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간의 연결 설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표준화된 파일 형식을 갖는 컨텐츠 파일과 이를 재생하는 여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연결 기능이 규격화 되어 있지 않아서 오는 컨텐츠 파일 유실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부가 사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컨텐츠 파일이 표준화된 파일이면 어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나 실행 가능하도록 연결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기본 재생 프로그램으로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른 부가사업자가 제공하는 성능이 개선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바꾸더라도 이후에 재설치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이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했던 컨텐츠 파일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부가사업자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에 의해서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컨텐츠 테이블(A)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에 의해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컨텐츠 테이블(B)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마법사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컨텐츠 파일을 연결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하여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본 실행 프로그램으로 지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마법사를 실행하여 다운로드한 컨텐츠 파일 중에서 특정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기본 실행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무선 기지국
112 : 기지국 전송기 114 : 기지국 제어기
120 : 이동통신 교환국 130 : WAP 게이트웨이
140 : 인터넷 150 : 부가사업자 인터넷 서버
160 : 부가사업자 데이터베이스 200 : 프로그램 저장부
202 : 키 입력부 204 : LCD 표시부
206 : 데이터 저장부 208 : 모드상태 저장부
210 : 마이크로프로세서 212 : 가입자 정보 저장부
214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6 : 베이스 밴드 변환부
218 : 스피커 220 : 마이크로폰
222 : 안테나 224 : RF 신호 처리부
300 :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 302 : 다운로드 컨텐츠 관리 모듈
304 : 마임 타입 변환 모듈 306 :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
308 :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 400a : 컨텐츠 테이블(A)
400b : 컨텐츠 테이블(B) 402 : 식별 정보열(A)
404 : 데이터 정보열(B) 406 : 식별 정보열(B)
408 : 데이터 정보열(B)

Claims (34)

  1. 마입 타입(MIME Type)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 다운로드 받은 각각의 상기 컨텐츠 파일 및/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연결 설정을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다운로드 받은 각각의 상기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로딩(Loading)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상기 컨텐츠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면 각각의 상기 컨텐츠 파일 및/또는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각각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임 타입은 RFC 822에 기술된 전자우편 표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전자 우편 헤더 필드(Header Filed)와 바디(Body)를 확장하여 제시한 전자우편 표준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임 타입은 개체(Entity)라는 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임 타입에서 상기 개체는 헤더 필드와 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필드에는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파일의 형식 정보인 식별 정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에는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플래그(Flag) 정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정보에는 상기 컨텐츠 파일과 이를 실행 할 수 있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컨텐츠 파일을 데이터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컨텐츠 파일은 텍스트(Text), 오디오(Audio), 이미지(Image)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 버튼 값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화면, 각각의 상기 컨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 및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LCD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을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은 신지 소프트사의 GVM(General Virtual Machine)이나 퀄컴사의 BREW(Binary Runtime for Wireless) 및 썬마이크로시스템사의 JAVA Machine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1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
    (c) 다운로드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각각 마임 타입으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각각의 컨텐츠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때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은 다운로드 관리 모듈, 마임 타입 변환 모듈,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다운로드 관리 모듈은 다운로드하는 데이터 패킷의 다운로드 정보를 참조하여 컨텐츠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로 각각 나누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마임 타입 변환 모듈은 상기 다운로드 관리 모듈을 통과한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입력 데이터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임 타입 변환 모듈은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 각각 마임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임 타입 변환은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분해주는 패킷의 데이터 정보를 플래그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정보는 상기 마임 타입의 헤더 필드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은 상기 마임 타입으로 변환한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컨텐츠 테이블을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에서 생성한 상기 컨텐츠 파일의 컨텐츠 테이블은 식별정보(A)(402)와 데이터 정보(A)(40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A)(402)는 다운로드 받은 상기 컨텐츠 파일의 파일 형식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파일의 파일 형식 정보는 플래그로 표시되어 상기 마임 타입으로 변환한 상기 헤더 필드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보(A)에는 다운로드한 상기 컨텐츠 파일의 파일의 형식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테이블 생성 모듈에서 생성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컨텐츠 테이블은 식별정보(B)(402), 데이터 정보(B)(404)와 식별정보(A)(4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B)(402)는 다운로드 받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파일 형식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파일의 파일 형식 정보는 플래그로 표시되어 상기 마임 타입으로 변환한 상기 헤더 필드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보(B)에는 다운로드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파일 형식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테이블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파일 형식을 갖는 상기 컨텐츠 파일의 파일 형식 정보를 갖는 상기 식별 정보(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3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컨텐츠 파일을 연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은 상기 컨텐츠 파일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각각의 컨텐츠 테이블에 있는 식별 정보(A)와 식별 정보(B)를 참조하여 연결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34. 제 11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마법사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LCD 표시부(206)에 상기 컨텐츠 연결 프로그램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KR1020030074513A 2003-10-24 2003-10-2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KR100560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513A KR100560846B1 (ko) 2003-10-24 2003-10-2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513A KR100560846B1 (ko) 2003-10-24 2003-10-2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123A true KR20050039123A (ko) 2005-04-29
KR100560846B1 KR100560846B1 (ko) 2006-03-13

Family

ID=3724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513A KR100560846B1 (ko) 2003-10-24 2003-10-2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8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271B1 (ko) * 2004-06-12 2006-01-23 (주) 엠버튼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호환방법
KR100712067B1 (ko) * 2005-09-14 2007-04-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플랫폼이 지원하지 않는 새로운 타입의 실행형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744476B1 (ko) * 2006-07-06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US8385899B2 (en) 2004-06-14 2013-02-26 Nokia Corporation Automated application-selective processing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links
KR101246344B1 (ko) * 2005-11-21 2013-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바 미들렛을 이용한 컨텐츠 실행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271B1 (ko) * 2004-06-12 2006-01-23 (주) 엠버튼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호환방법
US8385899B2 (en) 2004-06-14 2013-02-26 Nokia Corporation Automated application-selective processing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links
KR100712067B1 (ko) * 2005-09-14 2007-04-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플랫폼이 지원하지 않는 새로운 타입의 실행형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246344B1 (ko) * 2005-11-21 2013-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바 미들렛을 이용한 컨텐츠 실행 방법
KR100744476B1 (ko) * 2006-07-06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846B1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2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저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5608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KR1006054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메시지가디스플레이되는 멀티 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054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이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아바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22720A (ko)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100514658B1 (ko) 위치 기반 지능형 캐릭터 시스템 및 그 방법
CA2625126C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KR20060104324A (ko) 캐릭터 합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646356B1 (ko) 실시간 정보 갱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654186B1 (ko) 이미지콜 서비스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제어 방법
KR100706980B1 (ko) 서브 화면에 위치되며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컨텐츠메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80233887A1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KR20060108988A (ko) 플랫폼 계층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KR100723693B1 (ko) 코드 서명 모듈을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1786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웹 앨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0846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신상정보 전송/관리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627840B1 (ko)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메뉴를 구성하는 방법, 서버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3721B1 (ko)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590690B1 (ko)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의 실시간 수신을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200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 전환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017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엠엠에스를 이용한 파일 공유방법
KR100627801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06978B1 (ko)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06977B1 (ko)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