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476B1 -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476B1
KR100744476B1 KR1020060063425A KR20060063425A KR100744476B1 KR 100744476 B1 KR100744476 B1 KR 100744476B1 KR 1020060063425 A KR1020060063425 A KR 1020060063425A KR 20060063425 A KR20060063425 A KR 20060063425A KR 100744476 B1 KR100744476 B1 KR 10074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ata
file
data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욱
박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의 저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 저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정 사용자 데이터 저장 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하는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목록 구성 정보와,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나머지 정보들로 구분하는 과정; 상기 목록 구성 정보를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나머지 정보들을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일(file)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메모리, 데이터 영역, 파일 시스템, 콘텐츠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STORAGE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기능화, 영상의 고화질화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춘 성능이 진 보된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동통신 환경도 함께 발전하여 소정의 웹 서버(Web Server)와 휴대 단말기 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자신의 휴대 단말기로 다운로드 받아서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콘텐츠 정보에는 콘텐츠의 제목, 재생시간, 크기, 유효기간,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저작권자, 유효 재생 횟수, 잠금 상태 및 재생 선택 유무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개수를 제한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 Volatile Memory)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공간 부족 문제뿐만 아니라, 상기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가 차지하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예컨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부족 문제 때문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조기억장치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또는 이동디스크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기억장치 또한 저장되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개수를 제한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 수단의 저장 용량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에 형성되는 저장 수단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에서 실제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또한,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의 전역 데이터 영역에 저장을 한다. 이는 메모리의 전체 용량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항상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어서 메모리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서 더욱 많은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램의 크기를 많이 확보해야 하지만, 이러한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메모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메모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가 차지하는 크기를 줄임으로써,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 확보하여 메모리의 효 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은, 소정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저장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하는 정보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 이외의 나머지 정보들로 이루어지는 제2 정보로 구분하는 과정; 상기 제1 정보를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정보를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일(file)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재생 방법은,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목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정보들에 의거하여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목록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하는 목록 중,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파일을 추출하여 데이터 영역으로 복사하는 과정; 및 상기 정보 및 파일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는, 휴대 단말기 운용을 위한 운용체제, 상기 운용체제에 대응하는 파일 시스템,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획득하여 두 개의 정보 집합으로 구분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가 메모리 내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폰 북(Phone book) 데이터 및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의 제목, 재생시간, 크기, 유효기간,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저작권자, 유효 재생 횟수, 잠근 상태 및 재생 선택 유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메모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각종 사용자 데이터 정보 중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 또는 실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 예컨대, 제목, 파일명 등의 기본 정보 즉, 사용자 데이터의 목록 구성을 위한 목록 구성 정보는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 사용자 데이터 정보들은 파일 시스템(FS, File System)에 의거하여 파일로 저장한 후 필요시에만 읽어 들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많은 정보들을 파일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는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줄 인 크기만큼 메모리의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람직한 동작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01),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부(103), 데이터 처리부(105), 오디오 처리부(107), 키입력부(109), 메모리(111), 카메라부(Camera Module)(113), 영상 처리부(115) 및 디스플레이부(1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103)는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사용자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콘텐츠(contents)의 송수신 기능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RF 처리부(10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키입력부(109)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10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 기 위한 다수의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09)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정보 등을 입력받는 장치로서, 키워드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111)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파일 시스템(FS, File System) 등을 저장한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외장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등을 통해서 전달되는 콘텐츠 및 웹 서버 등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외부 콘텐츠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기 콘텐츠와 그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대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의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를 예로 하는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저장하는 모든 사용자 데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중에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위해 필요한 제목 및 파일명 등의 목록 구성 정보와,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콘텐츠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콘텐츠 정보는 예컨대, 재생시간, 크기, 유효기간,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저작권자, 유효재생횟수, 잠금 상태 및 재생선택유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콘텐츠 정보들에 대해서는 상기 파일 시스템에 의거하여 파일(file)로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파일은 소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들 중에서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다수 콘텐츠 정보들의 묶음을 나타내며, 상기 목록 구성 정보와 구분 지어놓는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각 콘텐츠에 대한 파일은 해당 콘텐츠에 포함되는 정보들에 의거하여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운영체제에서는 상기와 같이 소정 데이터 정보들을 파일 형태로 기록하는 경우, 해당 파일들의 위치를 찾기 쉽도록 저장된 파일들의 파일이름과 해당 콘텐츠가 기록된 위치를 나타내는 일련번호를 따로 기록한다. 즉, 운영체제에서는 저장된 파일들의 이름과 일련번호의 목록을 생성하여 관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동작 수행을 파일 시스템이라 한다.
상기 파일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에 상응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software) 포맷(format) 시에 함께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3)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에 상응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되는 광 신호를 디지털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213)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 즉,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113)는 휴대 단말기의 제공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영상 처리부(115)는 상기 카메라부(113)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15)는 상기 카메라부(11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프레임(frame) 단위의 영상 신호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7)의 특성 및 규격에 맞추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115)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사용자 요청에 따른 부가기능들에 대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7)의 특성 및 규격에 맞추어 출력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15)는 영상 코덱(CODEC)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7)에 출력하는 영상 신호를 선택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신호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신호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7)는 상기 영상 처리부(115)에서 출력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7)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7)는 입력 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 키입력부(109), 메모리(111), 카메라부(113) 및 영상 처리부(115)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1)는 소정 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하는 콘텐츠 정보들 중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목록 구성 정보와,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나머지 콘텐츠 정보들로 구분하고, 상기 목록 구성 정보는 상기 메모리(111)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콘텐츠 정보들은 파일 시스템에 의거하여 파일로 저장하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와 같이 저장된 콘텐츠의 재생 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콘텐츠의 목록 구성 정보와 상기 목록 구성 정보에 연결되는 파일을 읽어 들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하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웹 서버와의 연계를 통해 소정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다른 휴대 단말기 또는 외장 저장 매체로부터 소정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S201),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요청되는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한다(S203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운로드 요청 신호는 사용자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에 형성되는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03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소정 웹 서버와의 연동을 통한 콘텐츠 다운로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 자신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저장 매체 또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다운로드 하는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획득한다(S205).
상기 S205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다운로드 하는 해당 콘텐츠의 포맷(format)을 파싱(parsing)하여 콘텐츠의 스크립트(script) 또는 파일 헤더(file header)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정보 는 상기 콘텐츠의 제목, 파일명, 재생시간, 크기, 유효기간,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저작권자, 유효 재생 횟수, 잠금 상태 및 재생 선택 유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205단계에서 획득하는 콘텐츠 정보를 분리한다(S207).
상기 S207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획득하는 콘텐츠 정보로부터 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기본 정보 즉, 콘텐츠들의 목록 구성을 위한 정보(이하 '목록 구성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와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나머지 정보로 구분한다. 상기 목록 구성 정보는 상술한 콘텐츠 정보에서 해당 콘텐츠의 제목, 파일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머지 정보는 상술한 콘텐츠 정보에서 해당 콘텐츠의 재생시간, 크기, 유효기간,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저작권자, 유효 재생 횟수, 잠금 상태 및 재생 선택 유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207단계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 하는 콘텐츠의 목록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09).
상기 S209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정보에 목록 구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획득하는 나머지 정보들을 파일 시스템에 의거하여 파일로 저장한다(S211).
상기 S209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정보에 목록 구성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목록 구성 정보는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고(S213), 상기 목록 구성 정보 이외의 나머지 정보들에 대해서는 파일 시스템에 의거하여 파일로 저장한다(S215).
상기 S215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콘텐츠 정보들을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경우, 해당 파일들의 빠른 검색을 위해, 저장된 파일의 파일이름과, 해당 콘텐츠가 기록된 위치를 나타내는 일련번호를 별도로 기록할 수 있으며, 소정 콘텐츠의 목록 구성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파일을 매핑(mapping)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소정 콘텐츠의 재생을 위하여 소정 키 입력 등을 통하여 콘텐츠 목록을 표시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목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S301), 그에 응답하여 콘텐츠들에 대응하는 목록 구성 정보들을 출력한다(S303).
상기 S303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각 콘텐츠들에 대한 목록 구성 정보들을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추출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303 단계에서와 같이 콘텐츠들에 대한 목록 구성 정보들을 출력한 후, 콘텐츠 선택 신호 입력을 대기한다(S305 단계).
상기 S305 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목록 구성 정보들을 통해 자신이 재생 희망하는 소정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목록 구성 정보들을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선택을 위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305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에 연결된 파일을 검색한다(S307).
상기 S307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목록 구성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목록 구성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파일을 검색한다. 이러한 파일 검색은 상기 목록 구성 정보와 동일한 파일명의 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해당 파일의 일련번호 등을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307 단계에서 검색되는 해당 파일을 데이터 영역으로 복사하여(S309),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한다(S311).
상기 S309 단계 및 S311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목록 구성 정보와, 상기 목록 구성 정보에 연결되는 파일을 데이터 영역으로 읽어 들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메모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메모리에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가 차지하는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서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의 크기를 줄여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 저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정 사용자 데이터 저장 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하는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 이외의 나머지 정보들로 이루어지는 제2 정보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를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정보를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일(file)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 저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스크립트(script) 또는 파일 헤더(file header)로부터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 저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의 제목 또는 파일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 저장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목록 요청 시,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정보들에 의거하여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목록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하는 목록 중,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파일을 추출하여 데이터 영역으로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및 파일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추출은,
    상기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정보와 동일한 파일명을 가지는 파일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정보에 연결되는 해당 파일의 일련번호에 의거하여 파일을 추출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에 의거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 재생 방법.
  9. 휴대 단말기 운용을 위한 운용체제, 상기 운용체제에 대응하는 파일 시스템,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획득하여 두 개의 정보 집 합으로 구분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정보 획득은, 사용자 데이터의 스크립트(script) 또는 파일 헤더(file header)로부터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정보 집합은,
    사용자 데이터 정보 중, 사용자 데이터의 목록 구성을 위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를 제외한 사용자 데이터와 관련되는 다수개의 정보 집합으로 이루어진 제2 정보로 구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파일 시스템에 의거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을 서로 매핑(mapping)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 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목록 구성을 위한 제1 정보와, 상기 목록 구성 정보에 연결되는 파일을 읽어 들여 해당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수행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063425A 2006-07-06 2006-07-06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074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425A KR100744476B1 (ko) 2006-07-06 2006-07-06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425A KR100744476B1 (ko) 2006-07-06 2006-07-06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476B1 true KR100744476B1 (ko) 2007-08-01

Family

ID=3860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425A KR100744476B1 (ko) 2006-07-06 2006-07-06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4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446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기계어 코드 실행영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파일및 그를 이용한 파일 실행방법
KR20050039123A (ko) * 2003-10-24 2005-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KR20050041604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KR20050082429A (ko) * 2005-07-21 2005-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포맷 기록 및 재생 장치와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060026307A (ko)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휘발성 메모리 이용 효율을 향상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446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기계어 코드 실행영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파일및 그를 이용한 파일 실행방법
KR20050039123A (ko) * 2003-10-24 2005-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KR20050041604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KR20060026307A (ko)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휘발성 메모리 이용 효율을 향상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82429A (ko) * 2005-07-21 2005-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포맷 기록 및 재생 장치와 방법, 및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834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선택장치 및 방법
US7814220B2 (en)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7894854B2 (en)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106814B (zh) 数字权限管理方法和能够进行数字权限管理的移动装置
KR200800463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절약 장치 및 방법
JP200828229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3020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RU2426279C2 (ru)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изации работы порта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ему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WO2006112429A1 (ja) 録画装置
CN101656837A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影像与音频数据合成方法
US8045682B2 (en) Stream current song
US200701885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with category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4476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US200801392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597669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재생방법
CN101094366A (zh) 在移动终端中设置内容文件的播放列表的方法和设备
JP2008139977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2402570A (zh) 数据管理设备和记录介质
KR100678159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음악파일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80032751A (ko)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40123326A (ko) 메시지 수신 음 출력 장치 및 방법
JP2005025626A (ja) 電子商取引支援システム、電子商取引支援方法、情報通信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0263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조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장치 및 그 운영 방법
JP2013239988A (ja) 携帯端末、記録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ライフレコーダ
KR101219594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