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576A -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576A
KR20050038576A KR1020047005457A KR20047005457A KR20050038576A KR 20050038576 A KR20050038576 A KR 20050038576A KR 1020047005457 A KR1020047005457 A KR 1020047005457A KR 20047005457 A KR20047005457 A KR 20047005457A KR 20050038576 A KR20050038576 A KR 20050038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processing assembly
cover
contain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스맨노만제이.
메이어윌리엄제이.
Original Assignee
모노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122,151 external-priority patent/US7771662B2/en
Application filed by 모노젠, 인크. filed Critical 모노젠, 인크.
Publication of KR2005003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5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3Openwork frame or cage stirr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a separate receptacle-stirrer unit that is adapted to be coupled to a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portable during use, e.g. hand-h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60Safety arrangements
    • B01F35/605Safety device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1Sealing filled ampo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comprising robots or similar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2Forward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08By influencing the flow st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38Sl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03Sample carriers with closing or sealing means
    • G01N2035/0405Sample carriers with closing or sealing means manipulating closing or opening means, e.g. stoppers, screw caps, lids 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39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 G01N2035/0441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for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39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 G01N2035/0443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for reag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39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 G01N2035/0458Multiple concentric rows of w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Robot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바이알 내에서 직접 입자 물질 함유 액체 시료를 취급 및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에 기초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교반기와 입자 물질 분리 챔버를 포함하는 처리 조립체가 바이알 커버의 내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처리 조립체는 바이알이 내부에 시료를 삽입하도록 개방될 때 커버와 함께 남아있다. 폐쇄된 바이알에 대한 특정 외력의 인가는 이후에 커버가 제거되었을 때 자동 또는 수동 실험실 장비에 의한 접근을 위해 바이알 내에 남아있도록 처리 조립체를 커버로부터 분리한다.

Description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 시스템 및 방법{VIA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BASED SPECIMENS}
본 발명은 세포학 프로토콜에서와 같이 이후의 테스트 또는 분석을 위해, 입자 물질, 예를 들어 세포의 균일한 층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체 시료, 예를 들어 생체 유체 시료를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우 다양한 기술에서, 유체로부터 물질, 전형적으로 입자 물질을 분리하는 능력 및/또는 설비는 유체 내의 물질의 존재에 대한 시험 능력의 중요한 요소이다. 너무 자주, 샘플 준비와 관련된 간섭은 처리가 충분히 신뢰할 수 없고 너무 비싸게 될 정도로 목표 입자를 모호하게 한다. 그러한 문제점은 환경 평가, 방사능 연구, 세포학적 조사를 통한 암 스크리닝, 미생물 테스트, 및 위험한 폐기물 오염 등을 포함하는 검출 및/또는 진단을 포함하는 조사의 영역에서 존재한다.
샘플의 세포학적 조사는 경부 시료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형적으로 일정 영역을 문지르거나 닦아내거나 솔질함으로써, 또는 흉강, 담낭, 또는 척수로부터 얻어지는 것과 같은 체액을 수집함으로써, 또는 미세 니들 흡출 또는 미세 니들 생검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환자로부터의 세포 샘플을 포함하는 시료를 얻는 것으로 시작한다. 종래의 수동의 세포 준비에서, 유체 내의 세포는 그 다음 직접 또는 원심 분리에 기초한 처리 단계에 의해 관찰을 위해 유리 슬라이드 상으로 전달된다. 종래의 자동화된 세포 준비에서, 필터 조립체는 액체 현탁액 내에 위치되며 필터 상에서 세포를 분산시키고 세포를 포착한다. 그 다음 필터는 제거되어 현미경 슬라이드와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모든 노력에서, 샘플 준비 프로토콜에서의 제한 인자는 고형 물질을 그의 유체 담체로부터 적절하게 분리하고, 고형 물질을 현미경 하의 조사에 대해 즉시 이용 가능한 형태로 쉽고 효율적으로 수집 및 농축하는 것이다. 특히 임상 병리학 분야의 진단 미생물학 및/또는 세포학은 진단을 세포의 현미경 조사 및 다른 미세 분석에 기초한다. 진단의 정확성 및 최적 해석 가능한 시료의 준비는 전형적으로 적절한 샘플 준비에 의존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적인 시료는 대체로 균일하게 이격된 세포의 단일층으로 구성될 것이다. 면역 세포 화학 및 화상 분석과 같은 새로운 방법은 재현 가능하고 빠르며 생물학적 위험이 없고 저렴한 준비를 요구한다.
현재, 생체 시료는 세포학적 조사를 위해 특수한 용기를 사용하여 수집된다. 이러한 용기는 보통 수집 장소로부터 진단 세포학 실험실로 운반하는 동안 세포 시료를 보존하기 위해 보존 용액을 담는다. 또한, 면봉, 도말, 스패툴라, 또는 브러쉬를 사용하여 체강으로부터 수집된 세포 시료는 염색 또는 조사를 위해 세포를 슬라이드 또는 박막 상으로 전달하기 전에 정착제(예를 들어, 알코올 또는 아세톤 정착제)를 구비한 특수한 용기 내에 보존된다.
용기 자체와 관련된 (입자 물질 분리 챔버를 한정하는 필터 하우징 내의) 수집 장소 상에 세포의 대체로 균일한 층을 얻기 위해 액체계 생체 시료가 용기 내에서 직접 처리되도록 하는 시료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된, 미국 특허 제5,301,655호, 제5,471,994호, 제6,296,764호, 및 제6,309,362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시료 용기는 특수하게 구성되어 개구가 형성된 커버와, 필터 하우징 및 용기로부터 액체를 흡출하여 필터를 통해 흡인하도록 사용되는 흡입 장비(예를 들어, 주사기 또는 기계화된 진공 공급원)와 정합되도록 설계된 커버용 어댑터를 요구한다. 또한, 필터가 수집된 세포를 슬라이드로 전달하기 위해 현미경 슬라이드에 대해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의 취출은 커버 및/또는 그와 관련된 어댑터의 협동 부품들의 조립을 요구한다. 처리가 자동화된 장비에 의해 행해지면, 특수한 취급 장치가 그러한 분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된다. 이러한 모든 복잡성은 실제 세포학적 조사 이전에 요구되는 처리에 대해 시간과 재료 및 노동 비용을 추가한다.
도1은 커버에 결합된 바이알 내의 처리 조립체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바이알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2a는 바이알의 용기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2b는 처리 조립체가 제거되어 도시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3은 처리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4는 커버 내에 끼워진 라이너의 저면도이다.
도5는 처리 조립체 및 처리 조립체 내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필터 조립체의 분해된 수직 단면도이다.
도6은 입자 물질 분리 챔버 내의 위치에서 흡입 헤드에 의해 맞물린 필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처리 조립체의 상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7은 액체 및 그로부터 분리된 입자 물질의 유동을 도시하는, 도6에 도시된 배열의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도8a는 도1과 유사하지만 커버로부터 분리된 처리 조립체를 도시하는 시료 바이알의 부분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8b는 도8a와 유사하지만 처리 조립체의 변형을 도시하는 부분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9 내지 도13은 자동화된 실험실 취급의 다양한 단계를 겪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수직 단면도로서 다음과 같다.
도9는 용기의 캡 제거(커버 제거)를 도시한다.
도10은 시료의 1차 교반을 도시한다.
도11은 처리 조립체의 입자 물질 분리 챔버 내의 필터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12는 처리 조립체를 통한 액체의 흡출에 의한 필터 상에서의 시료의 획득을 도시한다.
도13은 필터의 제거 및 현미경 슬라이드로의 시료의 전달을 도시한다.
도14는 도9 내지 도13에 도시된 시료 처리 단계를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취급을 위한 자동화된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내부에서 액체계 시료를 교반하고 세포의 균일한 층이 시료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필터를 보유하기 위한, 완전한 처리 조립체를 수용하는 시료 바이알에 관한 것이다. 시료 바이알이 보편적인 바와 같이 액체 보존 용액과 함께 패키징될 것으로 기대된다.
처리 조립체는 간단하고 저렴한 해제 가능한 결합에 의해 바이알을 위한 간단한 커버에 결합된다. 커버가 현장 검사 장소(내과의사 진료실, 의원, 병원 등)에서 제거되면, 처리 조립체는 바이알 내로의 생체 시료의 삽입을 위해 의료 종사자가 용기 내부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 커버와 함께 남겨진다. 커버는 부착된 처리 조립체와 함께, 그 다음 바이알을 밀봉하도록 교체된다. 바이알은 그 다음 처리를 위해 연구실로 보내질 수 있다.
바이알이 여전히 폐쇄되어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될 때, 처리 조립체는 커버로부터 분리되어 이후에 커버가 제거되면 자동 또는 수동 실험실 장비가 접근하도록 바이알 내에 남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커버의 중심에 대한 하향력은 커버로부터 처리 조립체를 분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모든 것이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시료 바이알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바이알은 간단한 캡 제거 장치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오염을 회피하기 위해 폐기되는 커버와의 더 이상의 상호 작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상단부에서 개구를 갖는 용기와,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와, 커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이알 내에서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커버가 용기 상에 있는 동안 커버로부터 처리 조립체를 분리하는 단계와, 용기 내의 분리된 처리 조립체를 노출시키도록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와, 용기 내에서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처리하기 위해 처리 조립체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분리 단계는 폐쇄된 바이알에 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외력은 커버를 내측으로 변형시키도록 커버의 중심부에 인가될 수 있다.
처리 조립체는 분산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조작 단계는 액체 내에서 입자 물질을 분산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분산 요소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 요소는 액체를 교반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그러한 회전 전에, 분산 요소는 먼저 처리 조립체와 용기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도록 약간 상승될 수 있다.
처리 조립체는 필터 조립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처리 조립체의 상부에 있는 입자 물질 분리 챔버와, 분리 챔버와 연통하며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서, 조작 단계는 필터 조립체를 분리 챔버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분리 챔버를 밀봉하는 단계와, 필터 조립체의 표면 상에 입자 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교반된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튜브를 통해 상방으로 그리고 필터 조립체와 접촉하게 흡인하도록 분리 챔버에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필터 조립체는 분리 챔버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필터 조립체 상에 수집된 입자 물질은 슬라이드와 접촉되어 수집된 입자 물질을 슬라이드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보유하고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에 관한 것이다. 바이알은 상단부에서 개구를 갖는 용기와,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와, 커버가 여전히 결합되어 있는 용기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그리고 이후에 커버가 제거되었을 때 용기 내에 남아있게 커버가 용기 상에 있는 동안에 커버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커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조립체를 포함한다.
커버와 처리 조립체 사이의 해제 가능한 결합은 커버의 내부 및 처리 조립체의 상부에 의해 각각 유지되는 정합 커플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보유력에 의해 서로 유지되고 보유력을 극복하는 바이알에 대한 외력의 인가 시에 분리된다. 커플러들은 축방향, 즉 용기의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정합되고 분리될 수 있다. 보유력은 마찰식일 수 있고, 커플러들은 서로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커플러들은 환형일 수 있는 밀착 끼워 맞춤 돌출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처리 조립체의 상부는 용기 축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바닥 벽을 포함할 수 있고, 처리 조립체 상의 환형 돌출부는 바닥 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필터 조립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있는 입자 물질 분리 챔버를 한정할 수 있는) 컵형 리세스를 형성한다. 바닥 벽은 중심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튜브는 구멍과 연통하며 바닥 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튜브는 액체 내에서 입자 물질을 분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산 요소를 갖는다.
커버는 처리 조립체가 커버에 결합될 때 컵형 리세스 내로 연장되는 중심 보스를 가질 수 있고, 중심 보스의 말단부는 바닥 벽에 접촉하거나 가까이 놓인다. 외력이 커버를 내측으로 변형시키도록 커버의 중심부에 인가되면, 중심 보스는 바닥 벽에 대해 가압하고 바닥 벽과 그 위의 환형 돌출부를 커버로부터 멀리 밀어낸다. 바닥 벽 상의 환형 돌출부는 외력이 커버 상의 환형 돌출부를 바닥 벽 상의 환형 돌출부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변형시키도록, 커버 상의 환형 돌출부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보유하고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에 관한 것이다. 바이알은 상단부에 개구를 갖는 용기와,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와, 완전히 용기 내에서 커버가 제거된 후에 외부 조작기와 결합 가능한 처리 조립체를 포함한다. 용기는 개구를 통해 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과, 축 둘레의 벽을 갖는다. 개구 아래의 용기 둘레 벽의 부분은 조작기와 결합되지 않았을 때 처리 조립체의 상부가 개구 근방에 배치되도록 처리 조립체를 지지한다.
용기 벽의 지지 부분은 처리 조립체가 놓이는 적어도 세 개의 이격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호하게는 네 개의) 리브(rib)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조립체는 필터 조립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처리 조립체의 상부에 있는 입자 물질 분리 챔버와, 분리 챔버와 연통하며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튜브와, 튜브에 의해 보유되는 분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조립체의 상부는 둘레 벽에 가깝게 리브 상에 놓이는 주연부를 갖는다. 처리 조립체는 분산 요소가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교반하도록 중심 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처리 조립체는 회전 조작기에 의해 리브로부터 약간 상승되었을 때 둘레 벽과 접촉하지 않고서 용기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처리 조립체의 밀착 끼워 맞춤 주연부는 액체가 교반 중에 용기로부터 튀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생물학적 위험 노출을 최소화한다. 리브는 액체 내에서의 입자 물질의 분산을 돕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유체 시료를 보유하고 처리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둘레 벽과, 둘레 벽의 상단부의 개구와, 둘레 벽의 바닥 단부를 폐쇄하는 바닥 벽과, 둘레 벽의 일부에 의해 용기 내에서 지지되지만 용기에 부착되지는 않은 처리 조립체를 갖는다. 처리 조립체는 용기로부터 처리 조립체를 통해 유체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외부 장치와 개구를 통해 결합 가능하다. 처리 조립체는 액체가 용기를 빠져나가는 단부가 개방되고 현수된 튜브를 갖고, 용기의 바닥은 환형 유체 유출 계량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튜브의 개방 단부 내에 밀착 끼워 맞춤되는 상향 돌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 모드를 포함하는 양호한 실시예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만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며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의 세부적인 구성 및 구성요소의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가 세포학적 조사를 위해 생체 유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데 주로 유용한 것으로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입자 물질의 샘플이 그러한 입자 물질을 함유하는 액체로부터 준비되어야 하는 임의의 분야에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10)은 용기(20), 커버(30), 및 처리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처리 조립체(40)는 혼합을 포함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고, 이러한 양호한 회전식 실시예에 대해서는 간편하게 교반기로서 불릴 것이다. 용기(20)는 플라스틱, 양호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되고, 종방향 축 둘레에서 원추형 바닥 벽(22)에 연결된 대체로 원통형인 벽(21)을 갖는다. 벽(21)의 작은 부분(24)은 양호하게는 평평하고, 평평 부분의 외측 표면은 바이알 내에 위치된 시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 예를 들어 바코드 라벨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평평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용기는 각각 표시부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둘 이상의 평평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표시부는 벽(21)의 만곡된 부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평평 부분(24)의 바닥 단부는 언급된 바와 같이 용기를 받쳐서 다양한 처리 스테이션을 통해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자동화된 실험실 처리 장비에 의해 취급될 때 용기를 적절한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아치형 노치(25)를 갖는다. 네 개의 종방향 리브(26)가 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다. 리브(26)의 상단부(27)는 커버(3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처리 조립체(40)에 대한 받침을 형성한다 (도8a 참조). 용기(20)의 상부는 개구(28)와, 양호하게는 1.5 회전으로 연장되어 커버(30) 상의 유사한 나사산과 정합되는 표준 우선 나선형 나사산(29)을 갖는다. 베이어닛(bayonet) 결합, 스냅 결합 배열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커버 대 용기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30)는 상용의 단순한 성형 플라스틱 나사 캡(31)과, 캡 내에 보유되는 신규한 라이너(32)를 포함한다. 캡(31)은 평평한 솔리드 상부와, 용기(20) 상의 나사산(29)과 정합되는 내부 나선형 나사산(33)을 구비한 외부가 널링(knurling)된 현수 플랜지를 갖는다. 도4를 참조하면, 라이너(32)는 플라스틱 재료, 양호하게는 폴리에틸렌으로 성형되고, 라이너가 캡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나사산(33) 후방에서 캡(31) 내에 꼭 맞게 끼워지는 크기의 대체로 평평한 기부(34)를 갖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기부(34)는 캡(31)과 용기 벽(21)의 림 사이의 가스켓형 시일(seal)로서 사용된다.
라이너 기부(34)는 양호하게는 중심 축에 대해 약5°의 각도를 형성하는 약간 원추형 형상인 환형 돌출부(35) 형태의 커플러를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환형 커플러(35)의 내경은 그의 말단부보다 라이너 기부(34)와 연결되는 기부 단부에서 더 크다. 라이너 기부(34)는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처리 조립체(40)와 상호 작용하도록 환형 커플러(35)보다 기부(34)로부터 더 돌출하는 중심 환형 보스(36)를 갖는다. 표준 캡에 정합되는 분리된 라이너의 사용이 양호하지만, 커버는 환형 커플러(35) 및 중심 환형 보스(36)를 포함하도록 단일편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러한 단일편 커버 (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2-부품 커버)는 용기 벽(21)의 림의 내부로 돌출하여 그에 대해 밀봉함으로써 플러그형 시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처리 조립체(40)는 플라스틱, 양호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된 교반기의 형태이고, 중심 입구 포트(42)를 구비하며 중심에서 경사진 원형 기부 또는 바닥 벽(41)과, 튜브의 바닥 근방에서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흡입 포트(44)를 구비한 중심 현수 흡입 튜브(43)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인(45)의 형태인 분산(혼합) 요소를 갖는다. 교반기(40)의 상부는 기부(41) 및 직립 환형 벽(47)에 의해 한정된 컵형 입자 물질 분리 챔버 또는 매니폴드(46)를 갖는다. 벽(47)의 상부 모서리는 경사지고, 내측 모서리(48)는 양호하게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46) 내에서의 필터 조립체(F)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더 큰 각도로 경사진다.
환형 벽(47)은 캡 라이너(32)에 교반기(40)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러로서 사용되고, 그러므로 환형 커플러(35) 내에 꼭 맞게 끼워지는 치수이다 (도1 참조). 특히, 폐쇄된 바이알의 정상적인 취급 및 (예를 들어, 용기 내에 생체 시료를 위치시키기 위해) 용기(20)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커버(30)의 정상적인 취급이 커버로부터의 교반기의 분리를 야기하지 않도록 커플러(35, 37)들 사이에 마찰 또는 억지 끼워 맞춤이 있다. 커플러(47)는 커플러(35)에 대해 양호하게는 약 0.31 mm의 매우 약간의 초기 직경방향 간섭이 있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커플러(47)는 커플러(35)보다 더 강성이고, 따라서 커버에 대한 교반기의 조립은 주로 커플러(35)의 약간의 변형을 포함하여, 교반기와 커버를 맞물리게 유지하는 마찰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마찰 보유력을 극복하는 바이알에 대한 외력의 인가는 교반기(40)가 커버(30)로부터 분리되어 중력에 의해 용기(20) 내로 강하되게 한다 (도8a 참조).
외부 분리력은 양호하게는 커버(30)의 중심부에 인가되고 (도8a의 화살표 참조), 이는 캡(31)과 라이너(32)를 내측으로 변형시킨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32) 상의 중심 보스(36)는 그의 말단부가 교반기의 기부(41)와 접촉만하거나 그에 매우 가까이 놓이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커버의 중심부가 눌리면, 중심 보스(36)는 라이너(32) 상의 환형 커플러(35)보다 더 변형되어 교반기(40)를 커플러(35)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밀어낸다. 라이너(32)의 내향 변형은 또한 커플러(35)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하고, 이에 의해 보유력을 감소시키며 교반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커버(30)에 인가되며 교반기를 분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분리력은 4.54 내지 13.6 kg(10 내지 30 lbs)의 범위, 양호하게는 약 5.44 kg(12 lbs)이어야 한다.
커버로부터 교반기를 분리하는 다른 방식은 바이알 상에 수동으로 또는 기계식(자동)으로 갑작스런 외력을 인가하여, 마찰 보유력을 극복하고 교반기를 커버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당기는 가속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상당히 단단한 표면에 대해 용기(20)의 바닥을 치도록 폐쇄된 바이알을 빠르게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자동화된 바이알 취급 기계는 이를 예를 들어 이후의 처리 단계 중에 바이알을 보유하는 캐리어 내로 폐쇄된 바이알을 기계식 및/또는 공압식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또는 교반기를 분리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바이알을 구멍을 따라 아래로 캐리어 내로 강하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바이알 상에 갑작스런 상향 외력을 작용하는 다른 방식은 타격 부재로 용기(20)의 바닥을 타격하는 것이다. 자동화된 바이알 취급 기계는 이를 예를 들어 용기(20)를 받치고서 예를 들어 바이알 캐리어 내의 바닥 개구를 통해 용기의 바닥에 대해 타격기를 순간적으로 밀어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자동화된 기구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변경의 설계는 기계공학 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다.
커버(30)로부터 분리되면, 교반기(40)는 리브(26)의 상단부(27) 상에 놓이게 된다. 도8a 참조. 따라서, 입자 물질 분리 챔버(매니폴드)(46)는 용기 개구 근방에 안정되게 지지되며, 용기 내에서 직접 시료를 처리하도록 교반기를 조작하는 수동 또는 자동의 처리 장비에 의해 쉽게 접근된다. 적어도 세 개의 리브(26)가 교반기에 대한 안정된 지지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지만, 네 개가 양호하며 이는 그러한 개수가 교반 중에 액체 내에서의 입자 물질의 더욱 완전한 분산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환자 시료의 작은 비율은 부인과 PAP 테스트 및 다른 시료 유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포, 인공물 및/또는 세포성 또는 비세포성 찌꺼기의 큰 클러스터를 함유한다. 이러한 큰 물체의 일부는 슬라이드 상에 수집되어 침착되면, 진단 세포의 가시화를 흐리게 하여 결과적으로 슬라이드 샘플의 덜 정확한 해석 또는 진단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대부분이 진단과 관련이 없으므로, 샘플로부터의 이들의 제거가 통상 요구된다.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교반기 흡입 튜브(43) 내의 측면 흡입 포트(44)는 양호하게는 흡입 튜브(43)의 바닥과 용기(20)의 바닥 벽(22) 중심의 작은 돌출부(23) 사이의 경계부의 폐쇄 제어를 위해 제거된다 (도8b 참조). 이러한 경계부는 교반기(40)가 용기(20)의 리브(26) 상에 놓였을 때 생성되는 기하학적 구조(오리피스)(23a)를 갖는 계량 밸브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환형 유동 오리피스(23a)의 적절한 크기 결정은 큰 물체가 흡입 튜브(43)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진단에 유용할 수 있는 작은 물체의 통과를 허용한다. 오리피스(23a)가 얇은 통로 단면 및 작은 계량 면적을 갖지만, 막힘은 그의 큰 직경으로 인해 문제가 되지 않는다. 환형 오리피스(23a)는 양호하게는 2.67 mm(0.105 인치) 정도의 외경과, 1.80 mm(0.071 인치) 정도의 내경을 가져서, 0.432 mm(0.017 인치) 정도의 통로 폭을 생성한다. 이러한 오리피스 크기는 부인과 시료에 대해 최적화된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라 시료 바이알을 취급하기 위한 자동화된(컴퓨터 제어식) 장치의 일 형태의 개요 및 몇몇 세부를 도시한다. 장치는 (액체계 슬라이드 준비에 대해) "LBP" 장치로서 불리며, 완전한 자동화된 실험실 시스템 내로 통합될 수 있다. LBP 장치 및 시스템의 다른 세부는 전술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372,080호 및 발명의 명칭이 "복수의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 및 방법"인 전술한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에 설명되어 있다.
LBP 장치에서, 스프로켓(102, 104) 둘레에 감긴 컨베이어(100)는 시료 바이알을 처리 경로를 따라 하나의 작동 헤드로부터 다른 작동 헤드로 전진시키기 위해 특수화된 작동 프로토콜에 따라 단계식으로 구동된다. 컨베이어(100)는 핀(108)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30개의 바이알 캐리어(106; 1 내지 30으로 번호가 매겨짐)를 갖는다. 바이알 캐리어(106)는 하나의 위치에서만 용기(20)를 수용하도록 키이(key) 결합된 (즉, 용기(20) 내의 노치(25)에 키이 결합된) 리셉터클의 형태이다. 컨베이어(100) 내로의 바이알의 반입은 집어서 놓는 자동 적재기(110)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처리된 용기의 반출은 수동으로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집어서 놓은 자동 적재기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시료 바이알이 리셉터클(106) 내로 반입된 후에, 환자의 신원을 포함하는 내부 시료에 관한 데이터가 먼저 바코드 판독 스테이션(112)에서 획득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수행되어야 하는 특정 작동 프로토콜을 지배한다. 바이알은 그 다음 캡 제거 스테이션(120)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리드 스크루 구동식(lead screw-driven) 플런저를 갖는 캡 제거 헤드는 커버로부터 교반기(40)를 분리하기 위해 커버(도8a 참조)의 중심에 하향력을 인가한 다음,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테이퍼진 파지 조(jaw)를 사용하여) 커버의 널링된 림을 파지하여 그를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서 커버를 제거한 다음 커버를 폐기한다. 도9는 커버 제거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커버가 제거된 후에 리브(26) 상에 놓인 교반기를 도시한다.
캡 제거 후에, 바이알은 예비 처리가 일어나는 스테이션(130)으로 이동한다. 예비 처리 스테이션은 용기 내에서의 시료 분산과 같은 예비 처리 작업이 용기 및 그의 시료가 시료 획득 스테이션으로 이동하기 전에 수행되는 위치이다. 예비 처리 스테이션은 전형적으로 분산 작업을 수행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분산 작업은 시료 용기 내에서 일정 속도로 일정 기간 동안 회전하는 기계식 혼합기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예에서, 혼합기는 시료를 균질화함으로써 액체계 시료 내에서 큰 입자 및 사람 세포와 같은 미세 입자를 분산시키도록 사용된다. 또는, 시료는 결정 구조 또는 다른 입체 형태의 분자와 같은 세포 이하 크기의 물체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화학 약품은 예를 들어 특정 결정 구조를 용해하고 분자를 기계적인 교반에 대한 필요가 없이 화학적인 확산 과정을 통해 액체계 시료 전반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예비 처리 스테이션에서 시료에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화학적 예비 처리 스테이션은 예비 처리 헤드를 통해 그의 분산제를 도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속 교반이 스테이션(130)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도10 참조), 확장식 콜릿(collet)을 포함하는 교반 헤드는 교반기(40)의 개방 상부 리세스(매니폴드)(46) 내로의 (도시되지 않은) 리드 스크루의 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며, 환형 벽(47)에 대해 확장되어 교반기를 파지한다. 콜릿은 교반기를 리브(26)를 떠나도록 약간 상승시킨 다음, 바코드 판독기(112)에 의해 결정된 샘플에 따른 교반 프로토콜에 따라 교반기를 회전시킨다. 교반기의 기부 또는 바닥 벽(41)은 교반기를 따라 상승할 수 있는 임의의 액체를 용기 벽에 대해 밀어내기 위한 슬링어(slinger)로서 작용하며, 용기로부터의 액체의 탈출을 방지한다. 교반이 완료되면, 콜릿(132)은 교반기를 해제하고 용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승하여 용기를 떠난다.
다음의 스테이션(140)에서, 필터 조립체(F)가 교반기의 상단부에서 입자 물질 분리 챔버(매니폴드)(46) 내로 반입된다. 도11 참조. 필터 조립체는 상이한 유형의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8개의 필터 튜브(146)를 갖는 매거진(144)으로부터 리드 스크루 구동식 푸셔(142; pusher)에 의해 분배된다. 분배되는 필터는 시료에 따른 처리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된다.
필터 조립체(F)가 반입된 후에, 바이알은 시료 획득 스테이션(150)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흡입 헤드(152; 도12 참조)가 (도시되지 않은) 리드 스크루의 작동에 의해 하강되어 교반기(40)의 상부와 맞물린다. 흡입 헤드는 환형 벽(147)의 외부에 대해 밀봉하는 O-링(153)과, 필터 조립체(F)의 상부에 대해 밀봉하는 두 개의 동심 O-링(154, 155)을 갖는다. 내측 흡입 라인(146)은 시료에 따른 처리 프로토콜에 따라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용기로부터 흡입 튜브(43)를 통해 입자 물질 분리 챔버(매니폴드)(46) 내로 그리고 필터 조립체(F)를 통해 흡출하도록 필터(F) 상에 진공을 흡인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필터의 바닥 표면 상에 세포의 단일층을 남긴다. 흡출 전에, 시료는 액체 내에서의 입자 물질을 재현탁하기 위해 더욱 느리게 다시 교반될 수 있다. 이는 타이밍 벨트(151)에 의해 조정되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흡입 헤드(152)에 의해 행해진다.
시료의 흡출이 완료되면, 흡입 헤드(152)가 상승된다. 흡입 헤드의 내측 부분(158)은 (도시되지 않은) 공압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동시에 연장된다. 흡입 헤드(152)가 상승되면서, 흡입 헤드의 외측 부분(157)은 교반기(40)로부터 분리되지만 (도13 참조), 필터 조립체(F)는 흡입 라인(159)을 통해 O-링(154, 155)들 사이의 환형 공간으로 진공을 인가함으로써 흡입 헤드의 내측 부분(158) 상에 보유된다. 따라서, 흡입 헤드(152)는 교반기로부터 필터 조립체(F)를 제거하고, 필터 상의 세포 재료의 원하는 정도의 수분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흡입 라인(156)을 거쳐 필터를 통해 약간의 흡입을 계속 인가할 수 있다. 흡입 헤드(152)는 그 다음 슬라이드 제공 스테이션(160)에서 슬라이드 카세트로부터 송출된 현미경 슬라이드(S) 위로 필터 조립체(F)를 위치시키기 위해 축(161)에 대해 피벗된다 (도14 참조). 흡입 헤드는 그 다음 하방으로 이동하여 필터를 슬라이드(S)에 대해 가압하여 세포의 단일층을 슬라이드로 전달한다. 도13의 점선은 흡입 헤드(152)의 위치 변화 및 필터의 슬라이드(S)와의 접촉을 도시한다. 그 다음 액체 정착제 몇 방울이 슬라이드 상의 시료에 인가되고, 슬라이드는 다시 슬라이드 카세트 내의 그의 원래 위치로 이동된다.
시료가 획득된 후에, 용기는 새로운 캡, 예를 들어 열 밀봉된 호일이 용기를 밀봉하도록 인가되는 재캡핑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도6은 필터 조립체(F)의 몇몇 세부와, 교반기 매니폴드(46) 및 흡입 헤드(152)의 내측 부분(158)과의 기능적 협동을 도시한다. 필터 조립체(F)는 필터(202)를 수용하는 필터 홀더(200)를 포함한다. 필터(202)는 다공성 프릿(203; frit)과, 프릿(203)의 하부 표면 위에 놓여서 예를 들어 음파 용접에 의해 홀더(200)의 주연부에 밀봉되는 필터 막(205)을 포함한다. 필터 홀더(200)의 상부 내에 하나의 중심 개구(204)가 있다. 필터(202) (및 전체 필터 조립체(F)는) 그의 주연부에서 반경방향 유동 통로(49)들 사이에 한정하는 리브(48a)들의 어레이에 의해 교반기 기부(41) 상에 지지된다. 내측 흡입 헤드 부분(158)의 O-링(154, 155)은 필터 홀더(202)의 상부에 대해 밀봉한다. 포트(156)를 통해 인가되는 흡입은 중심 개구(204) 둘레에 그리고 필터 홀더(200) 내에 진공을 생성하고, 이는 액체를 분리 챔버(매니폴드)(46) 내로 그리고 필터(202)를 통해 흡인한다. 유동은 반경방향 유동 통로(49)에 의해 필터를 통해 그리고 필터 막면을 가로질러 수직이다. 입자 물질(세포)을 원으로 도시하고 유동을 화살표에 의해 표시하는 도7 참조. 이러한 이중 유동 구성은 필터 상에 세포의 단일층의 형성을 촉진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이중 유동 개념을 전반적으로 설명하는 전술한 미국 특허 제5,471,994호 참조. 매니폴드(46)의 경사진 바닥 벽(41)은 세포의 단일층의 형성을 더욱 촉진한다. 필터 조립체 및 경사진 바닥의 매니폴드(46)와의 협동의 구조적인 세부는 전술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372,080호 및 발명의 명칭이 "복수의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 및 방법"인 전술한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에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체 시료 및 입자 물질 함유 액체의 다른 시료를 수집, 취급, 및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저렴하고 간편하고 안전한 바이알에 기초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시료에 따른 요구에 맞춰진 일관되게 신뢰할 수 있는 처리를 제공하는 자동화된 장비 내에서 사용하기에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교반기가 현장 검사 장소에서 커버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면, 내과의사 또는 수련의는 단순히 교반기를 시료 내로 하강하도록 바이알 내로 헐겁게 위치시킨 다음 평소와 같이 커버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는 바이알 내의 리브가 교반기의 일방향으로만의 삽입을 허용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다. 바이알이 내부에 시료를 가지고 폐쇄되면, 교반기는 처리 중에 바이알 내에 보유되며 바이알이 재캡핑되면 그 안에서 밀봉된다.
다양한 변형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이알 시스템 및 방법은 액체계 세포 시료를 수집, 취급 및 처리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정확하고 정밀하고 재현 가능하고 저렴하고 효율적이며 빠르고 간편한 시스템 및 방법의 일체형 부분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1년 10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330,092호 및 2002년 4월 15일자로 출원된 제60/372,080호를 기초로 하고, 이들은 모두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되었다. 본 출원은 또한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된 2002년 4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122,151호의 연속 출원이다. 또한, 본 출원은 발명자가 노만 제이. 프레스맨(Norman J. Pressman) 및 윌리엄 제이. 메이어(William J. Mayer)이고 발명의 명칭이 "복수의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 및 방법"인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과 관련되고, 이 또한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되었다.

Claims (55)

  1. 상단부에 개구를 갖는 용기와,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와, 커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이알 내에서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며,
    커버가 용기 상에 있는 동안 커버로부터 처리 조립체를 분리하는 단계와,
    용기 내의 분리된 처리 조립체를 노출시키도록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와,
    용기 내에서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처리하기 위해 처리 조립체를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는 폐쇄된 바이알에 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는 커버를 내측으로 변형시키도록 커버의 중심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는 분산 요소를 포함하고, 조작 단계는 액체 내에서 입자 물질을 분산시키기 위해 적어도 분산 요소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분산 요소를 움직이는 단계는 분산 요소가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교반하도록 처리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분산 요소를 움직이는 단계는 먼저 처리 조립체와 용기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도록 처리 조립체를 약간 상승시킨 다음, 분산 요소가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교반하도록 처리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는 필터 조립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처리 조립체의 상부에 있는 입자 물질 분리 챔버와, 분리 챔버와 연통하며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조작 단계는 필터 조립체를 분리 챔버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분리 챔버를 밀봉하는 단계와, 필터 조립체의 표면 상에 입자 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교반된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튜브를 통해 상방으로 그리고 필터 조립체와 접촉하게 흡인하도록 분리 챔버에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분리 챔버로부터 필터 조립체를 제거하는 단계와, 필터 조립체 상에 수집된 입자 물질을 슬라이드와 접촉시켜 수집된 입자 물질을 슬라이드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보유하고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이며,
    상단부에서 개구를 갖는 용기와,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와,
    커버가 여전히 결합되어 있는 용기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그리고 이후에 커버가 제거되었을 때 용기 내에 남아있게 커버가 용기 상에 있는 동안에 커버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커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조립체
    를 포함하는 바이알.
  10. 제9항에 있어서, 커버와 처리 조립체 사이의 해제 가능한 결합은 커버의 내부 및 처리 조립체의 상부에 의해 각각 보유되는 정합 커플러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보유력에 의해 서로 유지되고 보유력을 극복하는 바이알에 대한 외력의 인가 시에 분리되는 바이알.
  11. 제10항에 있어서, 용기는 개구를 통한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을 갖고, 커플러들은 축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정합되고 분리되는 바이알.
  12. 제11항에 있어서, 보유력은 마찰식인 바이알.
  13. 제12항에 있어서, 커플러들은 서로 억지 끼워 맞춤되는 바이알.
  14. 제13항에 있어서, 커플러들은 밀착 끼워 맞춤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이알.
  15. 제14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환형인 바이알.
  16. 제15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의 상부는 축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바닥 벽을 포함하고, 처리 조립체 상의 환형 돌출부는 바닥 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컵형 리세스를 한정하는 바이알.
  17. 제16항에 있어서, 바닥 벽은 중심 구멍을 갖고, 튜브는 구멍과 연통하며 바닥 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이알.
  18. 제17항에 있어서, 튜브는 액체 내에서 입자 물질을 분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산 요소를 갖는 바이알.
  19.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커버는 처리 조립체가 커버에 결합될 때 컵형 리세스 내로 연장되는 중심 보스를 갖고, 중심 보스의 말단부는 바닥 벽에 접촉하거나 가까이 놓이는 바이알.
  20. 제19항에 있어서, 중심 보스를 바닥 벽에 대해 가압하고 바닥 벽과 그 위의 환형 돌출부를 커버로부터 멀리 밀어내도록 커버를 내측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외력이 커버의 중심부에 인가되는 바이알.
  21. 제20항에 있어서, 바닥 벽 상의 환형 돌출부는 커버 상의 환형 돌출부 내로 끼워지고, 외력은 커버 상의 환형 돌출부를 바닥 벽 상의 환형 돌출부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바이알.
  22. 제9항에 있어서, 커버와 처리 조립체 사이의 해제 가능한 결합은 마찰 결합을 포함하는 바이알.
  23. 제22항에 있어서, 마찰 결합은 커버의 내부와 처리 조립체의 상부에 의해 각각 보유되는 정합 커플러들의 억지 끼워 맞춤을 포함하는 바이알.
  24. 제9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는 필터 조립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처리 조립체의 상부에 있는 입자 물질 분리 챔버와, 분리 챔버와 연통하며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25. 제24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는 액체 내에서 입자 물질을 분산시키기 위해 튜브에 의해 보유되는 분산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바이알.
  26. 제25항에 있어서, 분리 챔버는 바닥 벽과 직립 환형 돌출부에 의해 한정되는 개방 상부 리세스를 포함하고, 환형 돌출부는 커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알.
  27. 제24항,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를 둘러싸는 용기 벽은 처리 조립체가 커버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처리 조립체를 지지하는 바이알.
  28. 제27항에 있어서, 용기 벽에 의해 제공된 지지부는 처리 조립체가 용기의 바닥 상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알.
  29. 제28항에 있어서, 용기 벽은 처리 조립체가 커버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놓이는 적어도 세 개의 이격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는 바이알.
  30. 제29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31. 제30항에 있어서, 네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32. 제26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를 둘러싸는 용기 벽은 처리 조립체가 커버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분리 챔버의 바닥 벽을 지지하는 바이알.
  33. 제32항에 있어서, 용기 벽은 분리 챔버의 바닥 벽이 놓이는 적어도 세 개의 이격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는 바이알.
  34. 제33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35. 제34항에 있어서, 네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36. 제9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를 둘러싸는 용기 벽은 처리 조립체가 커버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처리 조립체가 용기의 바닥 상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처리 조립체를 지지하는 바이알.
  37. 제36항에 있어서, 용기 벽은 처리 조립체가 커버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놓이는 적어도 세 개의 이격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는 바이알.
  38. 제37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39. 제38항에 있어서, 네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40. 제10항에 있어서, 커버의 내부에 의해 유지되는 커플러는 커버 내에 보유되는 라이너 상에 있는 바이알.
  41. 제10항에 있어서, 라이너는 처리 조립체를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는 중심 보스를 갖고, 중심 보스를 처리 조립체에 대해 가압하고 처리 조립체를 커버로부터 멀리 밀어내도록 커버와 라이너를 내측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외력이 커버의 중심부에 인가되는 바이알.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라이너는 커버와 용기 사이의 시일로서 역할하는 바이알.
  43.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보유하고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이며,
    상단부의 개구와, 개구를 통해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과, 축 둘레의 벽을 갖는 용기와,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와,
    완전히 용기 내에 있으며, 커버가 제거된 후에 외부 조작기와 결합 가능한 처리 조립체를 포함하고,
    개구 아래의 용기 둘레 벽의 부분은 조작기와 결합되지 않았을 때 처리 조립체의 상부가 개구 근방에 배치되도록 처리 조립체를 지지하는 바이알.
  44. 제43항에 있어서, 용기 벽의 지지 부분은 처리 조립체가 놓이는 적어도 세 개의 이격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바이알.
  45. 제44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46. 제45항에 있어서, 네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47. 제43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는 필터 조립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처리 조립체의 상부에 있는 입자 물질 분리 챔버와, 분리 챔버와 연통하며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튜브와, 튜브에 의해 유지되는 분산 요소를 포함하고,
    처리 조립체의 상부는 둘레 벽에 가깝게 둘레 벽의 지지 부분 상에 놓이는 주연부를 갖는 바이알.
  48. 제47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는 분산 요소가 입자 물질 함유 액체를 교반하도록 중심 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처리 조립체는 회전 조작기에 의해 둘레 벽의 지지 부분으로부터 약간 상승되었을 때 둘레 벽과 접촉하지 않고서 용기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치수가 결정되는 바이알.
  49. 제48항에 있어서, 용기 벽의 지지 부분은 처리 조립체의 주연부가 놓이는 적어도 세 개의 이격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바이알.
  50. 제49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처리 조립체가 회전할 때 액체 내에서의 입자 물질의 분산을 돕는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51. 제50항에 있어서, 네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바이알.
  52. 제43항에 있어서, 처리 조립체는 액체가 용기를 빠져나오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개방된 튜브를 갖고, 용기의 바닥은 처리 조립체가 용기 벽에 의해 지지될 때 환형 액체 유출 계량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튜브의 개방 단부 내에 밀착 끼워 맞춤되는 상향 돌출부를 갖는 바이알.
  53. 유체 시료를 보유하고 처리하기 위한 용기이며,
    둘레 벽과, 둘레 벽 상단부의 개구와, 둘레 벽의 바닥 단부를 폐쇄하는 바닥 벽과, 둘레 벽의 일부에 의해 용기 내에서 지지되지만 용기에 부착되지는 않은 처리 조립체를 포함하고,
    처리 조립체는 용기로부터 처리 조립체를 통해 유체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외부 장치와 개구를 통해 결합 가능하고, 처리 조립체는 액체가 용기를 빠져나가는 단부가 개방되고 현수된 튜브를 갖고, 용기의 바닥은 환형 유체 유출 계량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튜브의 개방 단부 내에 밀착 끼워 맞춤되는 상향 돌출부를 갖는 용기.
  54. 제53항에 있어서, 둘레 벽은 개구를 통해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에 대해 대칭이고, 튜브와 돌출부는 중심 축과 정렬되는 용기.
  55. 제54항에 있어서, 둘레 벽은 처리 조립체의 상부가 개구 근방에 배치되도록 처리 조립체를 지지하는 용기.
KR1020047005457A 2001-10-19 2002-10-21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8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009201P 2001-10-19 2001-10-19
US60/330,092 2001-10-19
US37208002P 2002-04-15 2002-04-15
US60/372,080 2002-04-15
US10/122,151 US7771662B2 (en) 2001-10-19 2002-04-15 Via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based specimens
US10/122,151 2002-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76A true KR20050038576A (ko) 2005-04-27

Family

ID=2738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457A KR20050038576A (ko) 2001-10-19 2002-10-21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36584A1 (ko)
JP (1) JP2005506532A (ko)
KR (1) KR20050038576A (ko)
CN (1) CN1605022A (ko)
CA (1) CA2463307C (ko)
IL (1) IL161062A0 (ko)
WO (1) WO20030340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354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예송 액상 세포 도말용 필터용기
KR20210127540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예송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6771B2 (en) 2005-12-12 2010-03-30 Cyty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liquot from liquid-based cytological sample
US20070140915A1 (en) * 2005-12-12 2007-06-21 Cyty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liquot from Liquid-Based Cytological Sample
CN103954783B (zh) * 2014-04-14 2015-07-22 珠海森龙生物科技有限公司 一次性大便反应杯
US10391498B2 (en) * 2015-12-11 2019-08-27 Spartan Bioscien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ucleic acid amplification
CN107179216B (zh) * 2017-06-13 2019-04-23 西南科技大学 一种矿物颗粒分离采样装置
KR101985008B1 (ko) * 2018-09-08 2019-05-31 (주)바이오다인 탈락세포 처리 장치
JP6943459B2 (ja) * 2019-04-26 2021-09-29 株式会社オプトニクス精密 フィルタ装置、及びスライドグラス標本作製方法
AT522077B1 (de) 2019-05-15 2020-08-15 Avl List Gmbh Längenverstellbare Pleuelstange mit Stützringmutter
CN112932549B (zh) * 2021-01-28 2022-07-05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 一种基于双注射器的实验鼠脑脊液抽取装置
CN114459871B (zh) * 2022-02-25 2022-09-13 武汉兰丁云医学检验实验室有限公司 密封式样本采集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86B2 (ja) * 1979-03-23 1984-04-20 テルモ株式会社 血液分離方法および装置
JPS6173054A (ja) * 1984-09-17 1986-04-15 メデイカル テクノロジ− コ−ポレ−シヨン 試料調整用小瓶
JPH0535316Y2 (ko) * 1985-09-04 1993-09-08
IT206959Z2 (it) * 1986-04-16 1987-10-26 Sta Te Srl Dispositivo usa e getta per la raccolta di campioni fisiologici, in particolare campioni corpologici.
US5301685A (en) * 1989-01-10 1994-04-12 Guirguis Raouf A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 cytology monolayer
JP2754948B2 (ja) * 1991-05-02 1998-05-20 日立電線株式会社 油循環構造
JPH0525358U (ja) * 1991-09-17 1993-04-02 東洋製罐株式会社 検体検査具
JP3219313B2 (ja) * 1991-10-30 2001-10-15 株式会社エスアールエル 試料採取器具
US5624554A (en) * 1993-11-22 1997-04-29 Biomedical Polymers, Inc. Collection and transfer device
ATE214479T1 (de) * 1997-11-04 2002-03-15 Monogen Inc Verfahren und apparat zur durchmischung und abscheidung von partikel-material aus einer flüssigen probe
JP2000152777A (ja) * 1998-11-18 2000-06-06 Yukitaka Furukawa 生物検体採取容器
JP4398033B2 (ja) * 1998-12-05 2010-01-13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流体サンプルの成分分離用アセンブ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354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예송 액상 세포 도말용 필터용기
KR20210127540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예송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5022A (zh) 2005-04-06
WO2003034035A1 (en) 2003-04-24
CA2463307C (en) 2009-10-20
IL161062A0 (en) 2004-08-31
CA2463307A1 (en) 2003-04-24
JP2005506532A (ja) 2005-03-03
EP1436584A1 (en)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7476B2 (en) Via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based specimens
AU20212018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reparation of biological specimens
JP4074058B2 (ja) 流体試料と粒子物質を混合および流体試料から粒子物質を分離を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3093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particulate matter from a fluid
KR20040047926A (ko) 세포학적 층을 얻기 위한 여과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87193A1 (en) Vial Assembly, Samp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Based Specimens
KR20050038576A (ko) 액체계 시료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알 시스템 및 방법
US6830935B1 (en) Method for mixing and processing specimen samples
AU758047B2 (en) Improved method for mixing and processing specimen samples
JP2002519692A5 (ko)
AU2002335858A1 (en) Via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based specimens
AU2006235893A1 (en) Via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based specimens
US202300775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reparation of biological specim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