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252A -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252A
KR20050037252A KR1020030072706A KR20030072706A KR20050037252A KR 20050037252 A KR20050037252 A KR 20050037252A KR 1020030072706 A KR1020030072706 A KR 1020030072706A KR 20030072706 A KR20030072706 A KR 20030072706A KR 20050037252 A KR20050037252 A KR 20050037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broadcast
wireless terminal
channel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0746B1 (ko
Inventor
전성준
윤면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7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랜을 통해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는 무선 단말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박스간 상호 교환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정의하여, 상기 무선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무선 단말과 셋톱박스간 교환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간략화한 메시지로 정의하여, 무선 랜의 사용 대역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무선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의 채널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공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offer broadcasting service using Wireless LAN}
본 발명은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무선 단말이 셋톱박스와 무선 랜으로 연결되어, 무선 단말이 방송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 제어 메시지를 각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로 정의하여, 무선 랜 자원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셋톱박스(Set-Top_box : STB)는 주문형 비디오(VOD), 영상 홈 쇼핑, 네트워크 게임 등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이른바 대화형 TV)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는 쌍방향 TV나 전화 회사의 영상 전송 서비스(예 :미국 지역 전화 회사가 제공하는 비디오 다이얼 톤) 등의 망과 접속되며, 가정 내에서는 TV 모니터 등에 연결되어 이용된다. 이러한 셋톱박스는 전화 회사나 종합 유선 방송(CATV)국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서버 등과 통신하는 기능 외에, 기본 기능으로서 영상 신호의 수신·변환 기능을 구비한다.
디지털 방송을 위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로 압축되어서 전송 스트림(TS)형태로 다중화되어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FTTH(fiber-to-the home) 및 이더넷(Ethernet) 상에서 전달된다. 여기서, xDSL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HDSL(High bit-rate DSL), VDSL(Very high data rate DSL)등 여러 종류가 있다.
VOD(Video on Command)의 종류에는 인터넷상의 VOD 컨텐츠를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indow Media Player) 또는 리얼 플레이어(Real Player) 등으로 볼 수 있는 인터넷 VOD가 있고, 또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VOD가 있다.
이러한 셋톱박스는 DSM-CC(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and Control) 표준을 따르며, 이러한 DSM-CC는 MPEG 1/2의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위한 특별한 동작과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토콜이다.
DSM-CC 표준을 잠시 살펴보면, 비디오 서버(video server)가 클라이언트 (client)에 의해 제어가 필요한 VOD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세션 제어 프로토콜 스택과 채널 변경 프로토콜 스택은 각각 다른 프로토콜 스택 위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세션 제어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 채널 변경 제어는 AAL(ATM Adaption Layer) 5/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을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DSM-CC 표준은 클라이언트와, Network(SRM : Session Resource Manager)와, 서버를 3가지 서비스 객체로 가정하고 메시지들을 정의하고 있고, 대부분의 제어 메시지는 컨펌(Confirm) 기법을 사용한다.
컨펌 기법은, 요청(Request) 메시지는 클라이언트나, 서버가 메시지를 시작할 때 사용하고, SRM은 이러한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컨펌 메시지로 응답한다.
그리고, SRM이 클라이언트나 서버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인디케이션(Indication) 메시지를 사용하고, 클라이언트나 서버는 이러한 Indication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Response) 메시지로 응답한다.
한편, 오늘날 802.11 b/g/a 와 같은 11Mbps 급 또는 54Mbps 급의 무선 랜을 기반으로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무선 단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을 통해 셋톱박스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한 관심 또한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DSM-CC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메시지들은 네트워크를 통한 VOD 응용들을 위해 유저 대 네트워크(User-to-Network : U-N)와, 유저 대 유저( User-to-User : U-U)사이의 시그널링을 표시하여, 네트워크 상에서의 모든 경우를 고려한 기본 표준(Base Standard)이므로, 이러한 DSM-CC 표준을 적용하여, 무선 단말과, 세톱박스, 그리고 방송 서버간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DSM-CC 표준은 VOD를 위한 표준이므로, 이를 세톱박스에 도입하면 세톱박스가 클라이언트가 된다. 그러므로, 무선 단말을 무선 랜을 통해 세톱박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무선 단말이 세톱박스의 클라이언트가 되어야 함으로, 이 둘의 객체사이에 통신할 수 있는 새로운 메시지를 정의되어야만 한다.
둘째, 종래에는 네트워크 기반의 세톱박스를 이용할 때 반드시 디지털 TV를 통해서만 방송을 시청할 수 있음으로, TV가 없는 장소에서 무선 단말을 통해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종래에는 TV 튜너(tuner)가 내장된 무선 단말을 이용해 TV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나, 네트워크 기반에서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시청을 할 수 없다. 즉, 별도의 TV 튜너가 없는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시청을 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넷째, DSM-CC 표준은 네트워크 상에서 범용적인 경우를 모두 고려한 많은 메시지들이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시청을 하기 위한 메시지만을 정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기존의 DSM-CC 표준에서 정의된 메시지들의 용량(바이트 수)이 많기 때문에 무선 단말과 연결되는 무선 랜 구간에 그대로 적용하면, 무선 채널 자원에 많은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무선 랜으로 셋톱박스와 무선 단말을 연결하여, 무선 단말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단말이 셋톱박스의 클라이언트가 되어 사용하는 메시지를 새로이 정의하고, 그 정의된 메시지의 용량(바이트 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 랜의 채널 대역 사용 효율을 최대화하여, 사용자가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와, 그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서치하고, 그 서치된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 서버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에 따라 방송 세션을 설정하는 무선 단말과,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와, 그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고, 무선 단말로부터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되는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종류를 서치하여, 해당 채널 제어 메시지를 방송 서버로 제공하고,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서치하여, 그 서치된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방송 서버와 무선 단말간 방송 세션을 설정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모듈과,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와, 그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 모듈과, 입력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저장 모듈에서 서치하여, 그 서치된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어 메시지를 셋톱박스를 통해 방송 서버로 전송하여, 방송 세션을 설정하고, 셋톱박스로부터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된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서치하고, 서치된 채널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과, 메시지 처리 모듈에서 생성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각 메시지를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셋톱박스로 전송하고, 셋톱박스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 모듈과, 무선 랜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영상/음성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은, 입력 모듈로부터 리모콘 전환 키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단말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리모콘 모드를 해제하고, 무선 단말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리모콘 모드로 설정하여, 입력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키 신호를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리모콘 모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는,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와, 그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와,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방송 서버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무선 단말과 방송 서버간 방송 세션을 설정하는 메시지 전송부와, 메시지 전송부에서 무선 단말과 방송 서버가 방송 세션을 설정하면,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무선 단말과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교환하고,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는,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디코딩부에서 디코딩된 방송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무선 단말이 요청한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방송 데이터가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이면,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션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제공하고, 세션 제어 메시지에 따라 방송 서버와 설정되는 방송 세션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단말과,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제공되는 세션 제어 메시지를 상기 방송 서버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방송 세션을 설정하고, 방송 세션을 통해 방송 서버가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랜을 통해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과 셋톱박스에 채널 제어 메시지와,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설정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면, 그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셋톱박스가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파악하여,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방송 서버로부터 채널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방송 서버와, 셋톱박스간 방송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셋톱박스가 방송 서버와, 무선 단말과의 방송 세션이 설정되어,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 방송 데이터가 무선 단말이 요청한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가 해당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이면, 방송 데이터를 무선 랜을 통해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리모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무선 단말이 현재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리모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리모콘 모드를 해제하고, 리모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리모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셋톱박스가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가 채널 선택 메시지이면, 무선 단말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할 채널의 여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a) 판단 결과, 채널의 여유가 있으면, 무선 단말과 연결된 무선 랜의 채널 사용 자원을 증가시키고, 채널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b) 판단 결과, 채널의 여유가 없으면, 무선 단말로 채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또는 방송 서버로부터 세션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채널 사용 자원을 감소시키고, 방송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여, 방송 서버와, 무선 단말간 설정된 방송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OLT(10)(Optical Line Terminator), 방송 서버(20), 셋톱박스(30)(Set-Top-box : STB), 무선 단말(40), 유선 단말 및 TV(60)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40)은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OLT(10)는 아날로그 방송망, 자체 디지털 방송망, 디지털 방송망 및 VOD/인터넷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광 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방송 서버(20)는 OLT(10)와 광 케이블로 연결되고, OLT(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xDSL 또는 FTTH 및 Ethernet으로 전송할 수 있는 MPEG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단말(40), 유선 단말 등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고, 이러한 방송 서버(20)는 ONU(Optical network Unit)이 해당된다.
이때,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와 xDSL 또는 FTTH 및 Ethernet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 단말은 셋톱박스(30)와 이더넷(ethernet)으로 연결되고, 셋톱박스(30)로 방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더넷을 통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TV(60)는 셋톱박스(30)와 YPbPi 라인 또는 RGB 라인으로 연결되어, 셋톱박스(3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무선 단말(40)은 셋톱박스(30)와 무선 랜(802.11x)을 통해 연결되고, 셋톱박스(30)로 방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셋톱박스(30)는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 제어부(32), 메모리(33), 이더넷 인터페이스부(34), 무선 인터페이스부(35) 및 유선 인터페이스부(36)를 포함한다.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는 xDSL 또는 FTTH 및 Ethernet으로 연결되어 있는 방송 서버(2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서버(20)와 셋톱박스(30)간 채널 제어 메시지가 교환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한다.
그리고, 이너넷 인터페이스부는 이더넷으로 연결되는 유선 단말로부터 채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방송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유선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와 유선 단말간 채널 제어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35)는 무선 랜(802.11x)으로 연결되어 있는 무선 단말(40)로 방송 서버(20)가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 단말(40)과 셋톱박스(30)간 채널 제어 메시지가 교환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힌다.
그리고, 유선 인터페이스부(36)는 YPbPi 라인 또는 RGB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TV(60)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메모리(33)의 메시지 테이블(33a)은 기존의 DSM-CC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메시지와, 그에 따른 메시지 아이디(ID)를 저장한다.
즉, 1바이트(byte) 용량의 메시지 ID와, 그에 따라 정의되는 DSM-CC 표준 메시지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 테이블(33a)은 각 메시지 ID에 따른 DSM-CC 표준 메시지 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즉, DSM-CC 표준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세션 설정을 요청하는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는, 메시지 아이디 '0x01'로 정의하고,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는, 메시지 아이디 '0x81'로 정의한다.
그리고, 제어부(32)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또한, 방송 서버(20)로부터 인디케이션(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인디케이션 메시지를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40)로 전송하고,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32)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채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 설정된 채널의 번호 정보를 메모리(33)에 저장하고, 방송 서버(20)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방송 데이터가 설정된 채널의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된 채널의 방송 데이터가 아니면, 방송 서버(20)로 방송 데이터 재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제어부(32)는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프로그램 아이디(program ID)를 확인하고, 그 수신된 방송 데이터가 설정된 채널의 방송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제어부(32)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아이디를 파악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에 따른 DSM-CC 표준의 메시지를 파악하여,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해당 DSM-CC 표준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40)은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41), 중앙 처리부(42), 저장부(44), 영상/음성 출력부(45) 및 키패드(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부(42)는 메시지 처리 모듈은 포함하고, 저장부(44)는 메시지 테이블(33a)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41)은 무선 랜(802.11x)을 통해 셋톱박스(3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셋톱박스(30)와 무선 단말(40)간 메시지 아이디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한다.
키패드(43)는 사용자의 선택하는 키에 따라 키 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키패드(43)는 리모콘 전환 버튼, 방송 수신 버튼, 채널 선택 버튼 및 세션 종료 버튼을 포함하고, 해당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그에 따른 키 신호를 제공한다.
영상/음성 출력부(45)는 셋톱박스(30)를 통해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에 따라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무선 단말(40)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중앙 처리부(42)는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41)을 통해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트에 따라 영상/음성 출력부(45)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메시지 테이블(33a)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시지 아이디와, 그에 따른 DSM-CC 표준의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때,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테이블(33a)과, 셋톱박스(30)의 메시지 테이블(33a)에 저장된 메시지 아이디와, 그에 따른 DSM-CC 표준의 메시지는 동일하게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키 패드로부터 수신되는 키 신호에 따라 셋톱박스(30)로 방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방송 요청 신호에 따른 DSM-CC 표준의 메시지의 종류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search)한다.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서치된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된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채널 제어 메시지를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41)을 통해 셋톱박스(30)로 전송하여, 방송 서버(20)와 세션이 설정되도록 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셋톱박스(30)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41)을 통해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DSM-CC 표준의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한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응답 메시지에 따른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 서치하여 파악하고, 그 파악된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된 채널 제어 메시지를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41)을 통해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제어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40)로부터 세톱박스로 전송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는 'Client2STB'로 정의하고, 셋톱박스(30)로부터 무선 단말(40)로 전송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는 'STB2Client'로 정의한다.
이때, 'sessionId'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 요청 메시지 또는 응답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해 쓰이는 필드이며, '0'부터 '255'까지 차례대로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messageId'는 무선 단말(40)과 셋톱박스(30)간의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한 것이며, 무선 대역폭을 줄이기 위해 1바이트로 정의하고, 또한 개발자가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기존 DSM-CC 표준의 메시지와 대응되게 할 수 있다.
'requestProgramId'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채널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이고, 'clientId' 및 'serverId'는 각각 무선 단말(40)과 세톱박스의 MAC 주소이며, 이는 각 무선 단말(40)을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도 6은 일반적인 DSM-CC 표준에 따른 채널 제어 메시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셋톱박스(30)(Set-Top-box : STB)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SRM)로 전송한다(S 1).
그리고, SRM은 셋톱박스(30)로부터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방송 서버(20)로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인 'ServerSessionSetup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S 2).
방송 서버(20)는 SRM으로부터 'ServerSessionSetup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셋톱박스(30)에 할당할 세션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할당할 세션이 있으면, 응답 메시지인 'ServerSessionSetupResponse' 메시지를 SRM으로 전송한다(S 3).
SRM은 방송 서버(20)로부터 'ServerSessionSetupResponse' 메시지가 수신되면, 셋톱박스(30)로 세션 설정 확인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를 전송한다(S 4).
그리고, 셋톱박스(30)와 방송 서버(20)간의 세션이 설정되어, 셋톱박스(30)가 방송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채널 프로그램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셋톱박스(30)는 채널 선택 메시지인 'ProgramSelectRequest'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5).
방송 서버(20)는 셋텁박스로부터 수신되는 'ProgramSelectRequest' 메시지를 파악하여, 해당 채널 프로그램의 채널 선택 확인 메시지인 'ProgramSelectConfirm'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6).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된 채널 선택 메시지에 따라 해당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정보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반면, 방송 서버(20)가 셋톱박스(30)로 제공하는 채널 프로그램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 서버(20)는 채널 선택 메시지인 'ProgramSelectIndication'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7).
셋톱박스(30)는 방송 서버(20)로부터 'ProgramSelect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대한 채널 선택 응답 메시지인 'ProgramSelectResponse'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8).
그리고, 셋탑박스는 방송 서버(20)로부터 변경된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셋톱박스(30)는 주기적으로 방송 서버(2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인 'ClientStatusRequest' 메시지를 SRM으로 전송하고(S 9), SRM은 셋톱박스(30)로부터 'ClientStatus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인 'ClientStatusIndication'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10).
방송 서버(20)는 SRM으로부터 'ClientStatus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가 실린 응답 메시지인 'ClientStatus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하여, SRM으로 전송하고(S 11), SRM은 방송 서버(20)로부터 'ClientStatusResponse' 메시지가 수신되면,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가 실린 'ClientStatusConfirm'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12).
그리고, 셋톱박스(30)는 수신되는 'ClientStatusConfirm' 메시지에 실린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방송 서버(20)의 상태를 검사한다.
반면, 방송 서버(20)는 주기적으로 셋톱박스(3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인 'ServerStatus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여, SRM으로 전송하고(S 13), SRM은 방송 서버(20)로부터 'ServerStatus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인 'ServerStatusIndication'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14).
셋톱박스(30)는 SRM으로부터 'ServerStatus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가 실린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하여, SRM으로 전송하고(S 15), SRM은 셋톱박스(30)로부터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가 수신되면, 셋톱박스(30)의 상태 정보가 실린 응답 메시지인 'ServerStatusConfirm'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16).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수신되는 'ServerStatusConfirm' 메시지에 실린 셋톱박스(30)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셋톱박스(30)의 상태를 검사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가 방송 서버(20)와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인 'ClientReleaseRequset' 메시지를 생성하여, SRM으로 전송하고(S 17), SRM은 셋톱박스(30)로부터 'ClientReleaseRequset' 메시지가 수신되면, 방송 서버(20)로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인 'ClientRelease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S 18).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SRM으로부터 'ClientRelease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인 'ClientReleaseResponse' 메시지를 SRM으로 전송하고(S 19), SRM은 방송 서버(20)로부터 'ClientReleaseResponse'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인 'ClientReleaseConfirm'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하여(S 20), 셋톱박스(30)와 방송 서버(20)간 설정된 세션이 종료된다.
반면, 방송 서버(20)가 셋톱박스(30)와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인 'ServerReleaseRequset' 메시지를 생성하여, SRM으로 전송하고(S 21), SRM은 방송 서버(20)로부터 'ServerReleaseRequset' 메시지가 수신되면, 셋톱박스(30)로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인 'ServerRelease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S 22).
그리고, 셋톱박스(30)는 SRM으로부터 'ServerRelease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인 'ServerReleaseResponse' 메시지를 SRM으로 전송하고(S 23), SRM은 셋톱박스(30)로부터 'ServerReleaseResponse'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 종료 확인 메시지인 'ServerReleaseConfirm'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하여(S 24), 방송 서버(20)와 셋톱박스(30)간 설정된 세션이 종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무선 단말간 교환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40)은 방송 서버(2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하기 위하여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한다.
그리고,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MessageID)인 '0x01'가 포함된 채널 제어 메시지를 셋톱박스(30)(STB)로 전송한다(S 30).
그리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1'에 해당하는 메시지의 종류를 메시지 테이블(33a)을 서치하고, 그 서치된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31).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32).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로부터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수신되는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그 검색 결과에 따른 메시지 아이디인 '0x81'이 포함된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33).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40)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가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이므로, 셋톱박스(30)를 통해 방송 서버(20)와 세션을 설정한다.
한편, 무선 단말(40)과 방송 서버(20)간 세션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무선 단말(40)의 키패드(43)를 통해 채널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키패드(43)로부터 수신되는 키 신호에 따른 채널 선택 정보가 실린 채널 선택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2'가 포함된 채널 제어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34).
이때, 채널 선택 정보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requestProgramIP' 영역에 포함되고, 메시지 종류 정보는 'messageID'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아이디인 '0x02'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인 'ProgramSelectRequest' 메시지를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35).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ProgramSelect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ProgramSelectConfim'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36).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ProgramSelectConfi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2'가 포함된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37).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채널 선택 메시지에 따라 변경되는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제공한다.
반면, 방송 서버(20)가 채널 프로그램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 서버(20)는 채널 선택 메시지인 'ProgramSelectIndic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38).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수신되는 'ProgramSelectIndication'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3'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39).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83'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3'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40).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3'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서치된 메시지인 'ProgramSelectResponse' 메시지를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41).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채널 선택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인 'ProgramSelectResponse' 메시지가 수신되면, 변경되는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40)은 주기적으로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생성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4'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42).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4'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인 'ClientStatusRequest' 메시지를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43).
방송 서버(20)는 'ClientStatus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신의 상태 정보가 실린 응답 메시지인 'ClientStatusConfirm'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하고(S 44),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수신되는 'ClientStatus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4'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status' 영역에 상태 정보를 실어,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45).
그리고, 무선 단말(40)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서버(20)의 상태를 확인한다.
반면, 방송 서버(20)는 주기적으로 무선 단말(4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인 'ServerStatusIndic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하고(S 46),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수신되는 'ServerStatusIndication'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5'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47).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85'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정보가 실린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한다.
그리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5'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48).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5'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인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49).
이때,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는 무선 단말(4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40)의 상태를 확인한다.
한편, 무선 단말(40)이 방송 서버(20)와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키패드(43)의 세션 종료 버튼을 선택하여, 방송 서버(20)와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6'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50).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6'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인 'ClientReleaseRequest'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51).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수신되는 'ClientRelease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ClientReleaseConfirm'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하고(S 52), 셋톱박스(30)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ClientRelease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6'이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53).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86'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인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여, 셋톱박스(30)를 통해 방송 서버(20)와 설정된 세션을 종료한다.
반면, 방송 서버(20)가 무선 단말(40)과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 서버(20)는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인 'ServerReleaseIndic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54).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ServerReleaseIndication'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7'이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55).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수신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87'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인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고, 그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40)은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된 메시지 아이디인 '0x07'이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S 56).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7'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인 'ServerReleaseResponse'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57).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수신되는 'ServerReleaseResponse' 메시지를 확인하여, 셋톱박스(30)를 통해 무선 단말(40)과 설정된 세션을 종료한다.
이때, 무선 단말(40)과 셋톱박스(30)간 교환되는 메시지 아이디는 UDP 형식이고, 셋톱박스(30)와 방송 서버(20)간 교환되는 메시지는 TCP 형식이 될 수 있다.
도 8a,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이다.
도 8a, 8b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40)의 중앙 처리부(42)는 키패드(43)로부터 리모콘 전환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60).
즉, 중앙 처리부(42)는 사용자가 키패드(43)의 리모콘 전환 버튼을 선택하여, 키패드(43)로부터 리모콘 전환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 키패드(43)로부터 리모콘 전환 키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무선 단말(40)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한다(S 61). 즉, 무선 단말(40)이 무선 전화기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타 전화기와 호를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중앙 처리부(42)는 키패드(43)로부터 리모콘 전환 키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무선 단말(40)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62). 즉, 이미 사용자가 키패드(43)의 리모콘 전화 버튼을 선택하여, 현재 무선 단말(40)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무선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이미 무선 단말(40)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무선 단말(40)의 리모콘 모드를 해제하고(S 63), 반면, 현재 무선 단말(40)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지 않아 정상적인 무선 단말(40)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면, 무선 단말(40)을 리모콘 모드로 설정한다(S 64).
그리고, 중앙 처리부(42)는 사용자가 키패드(43)의 방송 수신 버튼을 선택하여, 키패드(43)로부터 방송 수신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65).
그 판단 결과, 중앙 처리부(42)는 키패드(43)로부터 방송 수신 키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리모콘 모드를 수행한다(S 66). 즉, 키패드(43)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하는 채널 선택 버튼에 따른 채널 선택 키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키 신호에 따른 채널 선택 신호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반면, 키패드(43)로부터 방송 수신 키 신호가 수신되면, 중앙 처리부(42)는 무선 단말(40)을 방송 수신 모드로 설정한다(S 67).
그리고, 중앙 처리부(42)는 방송 서버(2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모드를 설정한다(S 68). 이때, 중앙 처리부(4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 서버(2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을 xDSL 모드 또는 FTTH(fiber-to-the home) 모드로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다.
무선 단말(40)은 방송 수신 모드와 입력 모드가 설정되면, 셋톱박스(30)를 통해 방송 서버(20)와 세션을 설정한다(S 69).
즉, 무선 단말(40)은 방송 서버(2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은 생성되는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검색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1'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 '0x01'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을 검색하여, 해당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검색한다.
그 검색 결과에 따른 메시지 아이디인 '0x81'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40)과 방송 서버(20)간 세션이 셋톱박스(30)를 통해 설정된다.
무선 단말(40)은 방송 서버(20)와 세션이 설정되면, 기본 채널 또는 이전 채널 요청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하고(S 70),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기본 채널 또는 이전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영상/음성 출력부(45)를 통해 출력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기본 채널이란, 방송 서버(20)가 초기 접속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를 위하여 제공하는 채널 프로그램을 의미하고, 이전 채널이란, 무선 단말(40)을 사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이전 세션이 종료되기 전까지 시청하던 채널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40)의 중앙 처리부(42)는 키패드(43)로부터 채널 선택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다(S 71).
그 판단 결과, 사용자가 키패드(43)의 채널 선택 버튼을 선택하여, 키패드(43)로부터 채널 선택 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중앙 처리부(42)는 채널 변경 모드를 수행한다(S 72).
즉, 사용자가 채널 프로그램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키패드(43)의 채널 선택 버튼을 선택하고,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은 키패드(43)로부터 수신되는 키 신호에 따른 채널 선택 정보가 실린 채널 선택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2'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2'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인 'ProgramSelectRequest' 메시지를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ProgramSelect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ProgramSelectConfim'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하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ProgramSelectConfi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2'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무선 단말(40)이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0x82'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확인하면, 방송 서버(2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제공받는 채널 프로그램을 변경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메시지에 따른 채널 변경을 수행하고, 그 변경된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셋톱박스(30)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하고, 무선 단말(40)은 방송 서버(20)로부터 셋톱박스(30)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다(S 73).
그리고, 무선 단말(40)은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41)을 통해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영상/음성 출력부(45)를 통해 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S 74).
반면, 무선 단말(40)의 중앙 처리부(42)는 키패드(43)로부터 채널 선택 키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키패드(43)를 통해 세션 종료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75). 즉, 중앙 처리부(42)는 키패드(43)로부터 세션 종료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 중앙 처리부(42)는 세션 종료 키 신호가 수신되면, 셋톱박스(30)를 통해 방송 서버(20)와 설정된 세션을 종료한다(S 76).
즉, 무선 단말(40)의 사용자가 방송 서버(20)와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6'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6'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인 'ClientReleaseRequest'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20)는 수신되는 'ClientRelease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ClientReleaseConfirm'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하고, 셋톱박스(30)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ClientRelease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6'이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86'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를 확인하고, 셋톱박스(30)를 통해 방송 서버(20)와 설정된 세션을 종료한다.
반면, 무선 단말(40)의 중앙 처리부(42)는 키패드(43)로부터 세션 종료 키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주기적으로 방송 서버(20)로부터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77).
그 판단 결과, 중앙 처리부(42)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가 실린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78).
즉, 방송 서버(20)는 주기적으로 무선 단말(4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ServerStatusIndic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하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수신되는 'ServerStatusIndication'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5'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42a)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85'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가 실린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한다.
그리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5'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하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5'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인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에 실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40)의 상태를 확인한다.
반면, 무선 단말(40)의 중앙 처리부(42)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주기적으로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인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 서버(20)로 전송하고(S 79), 그에 따라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방송 서버(20)의 상태를 확인한다(S 79).
즉, 무선 단말(40)은 주기적으로 방송 서버(20)의 상태를 요청하는 메시지인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4'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4'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인 'ClientStatusRequest' 메시지를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방송 서버(20)로 전송하고, 방송 서버(20)는 수신되는 'ClientStatus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ClientStatusConfirm' 메시지를 상태 정보를 실어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수신되는 'ClientStatus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4'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40)은 셋톱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를 이용하여,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도 9a, 9b, 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가 무선 단말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이다.
도 9a, 9b, 9c를 참조하면, 셋톱박스(30)(STB)의 제어부(32)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80).
즉, 무선 단말(40)로부터 방송 서버(20)와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셋톱박스(30)는 YPbPi 라인 또는 RGB 라인으로 연결된 TV(60)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S 81).
이때, 무선 단말(40)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32)는 무선 단말(40)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 선택 신호에 따라 TV(60)에 전송하는 방송 데이터의 채널 프로그램을 변경한다.
한편, 무선 단말(40)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무선 단말(40) 및 방송 서버(20)와 세션을 설정한다(S 82).
즉 무선 단말(40)이 방송 서버(20)와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인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1'를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아이디 '0x01'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을 검색하여, 해당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방송 서버(20)는 셋톱박스(30)로부터 'ClientSessionSetup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를 생성하여, xDSL 또는 FTTH 및 Ethernet을 통해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ClientSessionSetup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검색한다.
그 검색 결과에 따른 메시지 아이디인 '0x81'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40)과 방송 서버(20)간 세션이 셋톱박스(30)를 통해 설정된다.
그리고, 셋톱박스(30)는 채널 선택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83).
그 판단 결과, 채널 선택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이 설정된 무선 단말(40)에 할당할 채널의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 84), 할당할 채널의 자원이 없는 경우, 무선 단말(40)로 채널 자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S 85).
한편, 무선 단말(40)로 할당할 채널의 자원이 있으면, 채널 선택 메시지가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지 또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86).
먼저 셋톱박스(30)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채널 선택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무선 단말(40)로 채널 선택 메시지를 전송한다(S 87).
즉, 방송 서버(20)로부터 채널 선택 메시지인 'ProgramSelect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수신되는 'ProgramSelectIndication'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3'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반면, 무선 단말(40)로부터 채널 선택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방송 서버(20)로 채널 선택 메시지를 전송한다(S 88).
즉,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42a)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키패드(43)로부터 수신되는 키 신호에 따른 채널 선택 정보가 실린 채널 선택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2'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2'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인 'ProgramSelectRequest' 메시지를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는 방송 서버(20) 또는 무선 단말(40)로 채널 선택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89).
즉, 셋톱박스(30)는 방송 서버(20)로 전송한 'ProgramSelect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ProgramSelectConfirm' 메시지 또는 무선 단말(40)로 전송한 채널 선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 채널 선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방송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 90), 그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한다(S 91).
즉, MPEG 방식으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무선 랜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디코딩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아이디를 파악하여,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가 변경된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 92).
이때, 제어부(32)는 무선 단말(40) 또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메시지에 따라 변경되는 채널 프로그램의 정보를 저장하고,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프로그램 아이디를 파악하고,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확인 결과,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가 변경되는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이면, 관리하고 있는 무선 랜의 사용 대역 자원을 증가시킨다(S 93).
즉, 셋톱박스(30)의 제어부(32)는 무선 단말(40)과 연결되는 무선 랜의 사용 대역 자원을 관리하고, 무선 단말(40)과 무선 랜을 통해 신규 무선 채널이 연결되면, 사용 대역 자원을 증가시켜, 무선 랜의 사용 대역을 관리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수신되어 디코딩된 방송 데이터를 무선 랜을 통해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94).
한편, 셋톱박스(30)는 무선 단말(40)과, 방송 서버(20)와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채널 선택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무선 단말(40) 또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95).
즉, 무선 단말(40)의 메시지 처리 모듈이 주기적으로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생성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고,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4'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셋톱박스(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4'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방송 서버(20)가 주기적으로 무선 단말(4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인 'ServerStatusIndic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셋톱박스(30)는 무선 단말(40) 또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방송 서버(20) 또는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S 96).
즉,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4'를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인 'ClientStatusRequest'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또한,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5'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 또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 97),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무선 단말(40) 또는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S 98).
즉,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가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인 'ClientStatus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상태 정보를 실은 'ClientStatusConfir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그 수신되는 'ClientStatus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6'이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이때, 채널 제어 메시지의 'status' 영역에 방송 서버(20)의 상태 정보가 실려있다.
무선 단말(40)이 메시지 아이디 '0x85'를 포함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태 정보를 실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05'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면,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아이디 '0x87'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인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ServerStatusResponse' 메시지에는 무선 단말(40)의 상태 정보가 실려있다.
한편, 셋톱박스(30)는 무선 단말(40) 또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99).
즉, 무선 단말(40)로부터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인 '0x06'이 수신되는지 여부 판단하고, 또한, 방송 서버(20)로부터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인 'ServerRelease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방송 서버(20)로부터 해당 무선 단말(40)로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고(S 100), 관리하고 있는 무선 랜의 사용 대역 자원을 감소시킨다(S 101).
그리고, 방송 서버(20) 또는 무선 단말(40)과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고(S 102), 방송 서버(20) 또는 무선 단말(40)로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 103).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인 'SeverReleaseIndic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SeverReleaseIndication'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7'이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0x06'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되면, 그 수신되는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메시지인 'ClientReleaseRequest'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 또는 방송 서버(20)로부터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3).
즉,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0x87'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되면, '0x07'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방송 서버(20)로부터 'ClientRelease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ClientReleaseConfirm'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 또는 무선 단말(40)로부터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 105).
즉,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방송 서버(20)로부터 'ClientReleaseConfirm'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ClientReleaseConfirm'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인 '0x86'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무선 단말(40)로 전송한다.
또한, 셋톱박스(30)의 메시지 처리부(32a)는 무선 단말(40)로부터 '0x07'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테이블(33a)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인 'ServerReleaseResponse' 메시지를 방송 서버(20)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랜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무선 단말과, 무선 랜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박스간에 교환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정의하여, 사용자가 무선 단말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채널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무선 단말과 셋톱박스간에 교환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용량을 최소화하여, 무선 랜의 사용 대역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블록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반적인 DSM-CC 표준에 따른 채널 제어 메시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무선 단말간 교환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
도 9a, 9b, 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가 무선 단말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OLT(Optical Line Terminator) 20 : 방송 서버
30 : 셋톱박스(Set_top-Box : STB)
31 : xDSL/FTTH/Ethernet 인터페이스부
32 : 제어부 32a : 메시지 처리부
33 : 메모리 33a : 메시지 테이블
34 : 이더넷 인터페이스부 35 : 무선 인터페이스부
36 : 유선 인터페이스부 40 : 무선 단말
41 ;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 42 : 중앙 처리부
42a : 메시지 처리 모듈 43 : 키패드
44 : 저장부 45 : 영상/음성 출력부
50 : 유선 단말 60 : TV(TeleVision)

Claims (16)

  1.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와, 그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서치하고, 그 서치된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에 따라 방송 세션을 설정하는 무선 단말;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와, 그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되는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의 종류를 서치하여, 해당 채널 제어 메시지를 방송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서치하여, 그 서치된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방송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간 방송 세션을 설정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어 메시지는,
    채널 선택 메시지,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 세션 종료 메시지, 채널 선택 응답 메시지, 세션 종료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어 메시지는,
    메시지 종류 구분 필드, 메시지 정보 필드, 채널 프로그램 정보 필드, 맥 주소 정보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모듈;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와, 그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 모듈;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상기 메시지 저장 모듈에서 서치하여, 그 서치된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상기 방송 서버로 전송하여, 방송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된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서치하고, 상기 서치된 채널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
    상기 메시지 처리 모듈에서 생성하는 상기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각 메시지를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고,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무선 랜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영상/음성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리모콘 전환 버튼, 방송 수신 버튼, 채널 선택 버튼, 세션 설정 버튼 및 세션 종료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리모콘 전환 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단말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리모콘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 단말이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리모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키 신호를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리모콘 모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메시지 아이디(message ID)와, 그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방송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해당 메시지 아이디가 포함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단말과 상기 방송 서버간 방송 세션을 설정하는 메시지 전송부;
    상기 메시지 전송부에서 상기 무선 단말과 상기 방송 서버가 방송 세션을 설정하면,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단말과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서 디코딩된 방송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무선 단말이 요청한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가 상기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이면,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9.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션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세션 제어 메시지에 따라 방송 서버와 설정되는 방송 세션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단말;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제공되는 세션 제어 메시지를 상기 방송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방송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방송 세션을 통해 상기 방송 서버가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랜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0. 무선 단말과 셋톱박스에 채널 제어 메시지와, 상기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면, 그 생성되는 채널 제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를 파악하여,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방송 서버와, 상기 셋톱박스간 방송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방송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과의 방송 세션이 설정되어,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가 상기 무선 단말이 요청한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가 해당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이면, 상기 방송 데이터를 무선 랜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이 현재 리모콘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리모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설정된 리모콘 모드를 해제하고, 리모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리모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xDSL 선로를 통해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xDSL 모드, 광 선로를 통해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FTTH(fiber to the home) 모드 및 이더넷(Ethernet)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더넷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어 메시지는,
    채널 선택 메시지,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 세션 종료 메시지, 채널 선택 응답 메시지, 세션 종료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어 메시지는,
    메시지 종류 구분 필드, 메시지 정보 필드, 채널 프로그램 정보 필드, 맥 주소 정보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10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아이디에 해당하는 채널 제어 메시지가 채널 선택 메시지이면, 상기 무선 단말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전송할 채널의 여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 판단 결과, 채널의 여유가 있으면,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된 무선 랜의 채널 사용 자원을 증가시키고,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b) 판단 결과, 채널의 여유가 없으면, 상기 무선 단말로 채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 또는 방송 서버로부터 세션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사용 자원을 감소시키고, 상기 방송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여, 상기 방송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간 설정된 방송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의 판단은,
    상기 방송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아이디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프로그램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가 상기 채널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30072706A 2003-10-17 2003-10-17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KR10056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706A KR100560746B1 (ko) 2003-10-17 2003-10-17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706A KR100560746B1 (ko) 2003-10-17 2003-10-17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252A true KR20050037252A (ko) 2005-04-21
KR100560746B1 KR100560746B1 (ko) 2006-03-13

Family

ID=3724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706A KR100560746B1 (ko) 2003-10-17 2003-10-17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7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6711A1 (fr) * 2005-12-31 2007-07-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e d'interconnexion de reseau et procede de commande et de prise en charge separees
KR100781138B1 (ko) * 2006-01-02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쪽지 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862153B1 (ko) * 2007-08-16 2008-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8206B1 (ko) * 2006-08-09 2013-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문형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08628A (ko) * 2012-07-10 2014-01-22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394355B1 (ko) * 2013-01-18 2014-05-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09B1 (ko) * 2009-03-17 2011-06-16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079A (ja) * 1996-12-09 1998-06-26 Sony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と映像情報受信方法
US20020137496A1 (en) * 2000-07-18 2002-09-26 Tatsuji Nagaoka Program providing system
JP2002056241A (ja) * 2000-08-10 2002-02-20 Ntt Docomo Inc 放送利用方法、受信機、携帯端末、及びサービス提供装置
US7676193B2 (en) * 2003-04-10 2010-03-09 Nokia Corporation Selection and tuning of a broadcast channel based on interactive service inform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6711A1 (fr) * 2005-12-31 2007-07-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e d'interconnexion de reseau et procede de commande et de prise en charge separees
KR100781138B1 (ko) * 2006-01-02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쪽지 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238206B1 (ko) * 2006-08-09 2013-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문형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62153B1 (ko) * 2007-08-16 2008-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08628A (ko) * 2012-07-10 2014-01-22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394355B1 (ko) * 2013-01-18 2014-05-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746B1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9457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US9813759B2 (en) Smart phone as remote control device
US83929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home audio and video communication
US6219355B1 (en) Video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USRE41708E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server tele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performance capabilities of a controller
CN101917428A (zh) 家庭媒体视频播放的方法、系统及移动通信终端
US8532014B2 (en) Relay device and method causing a switching destination terminal to perform a smooth data output corresponding to a processing capacity of the switching destination terminal at the time of switching between terminals
US7360000B2 (en)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KR100526530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통합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그를 위한 통합 단말장치와 그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WO2003021914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video-enabled and non-video-enabled communication devices
KR19980080011A (ko) 통신수신기용 양방향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KR100560746B1 (ko)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KR100717841B1 (ko) 홈네트워크상의 데이터 방송용 부가데이터 제공 장치 및그 방법
KR10057599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vod데이터 처리방법
CA2775202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on demand over a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network
KR101146754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에서 서비스 신호 수신 장치
KR20040083692A (ko) 디지털 셋탑박스 식별자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KR20080073534A (ko) 셋톱박스.
US200901134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n-premises digital media distribution system
KR20090072705A (ko) 하나의 ip 회선을 이용하여 vod 서비스, 무선voip 전화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ip셋톱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