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355B1 -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355B1
KR101394355B1 KR1020130005622A KR20130005622A KR101394355B1 KR 101394355 B1 KR101394355 B1 KR 101394355B1 KR 1020130005622 A KR1020130005622 A KR 1020130005622A KR 20130005622 A KR20130005622 A KR 20130005622A KR 101394355 B1 KR101394355 B1 KR 10139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data signal
base station
signal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명
김성권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울텍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식으로 장거리 신호전송이 가능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분기,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유선분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렉터와 원거리에 위치한 방송 스텝에게도 깨끗한 음질과 안정적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INTERCOM SYSTEM USING WIRE/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식으로 장거리 신호전송이 가능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허가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900MHz/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 및 5GHz의 UNII(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대역을 이용하는 양방향 동시 통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이 전세계적으로 많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IEEE 802.11n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을 이은 차세대 초고속 무선랜 규격으로서 다중사용자 동시접속 및 Gbps급 이상의 속도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장치를 위한 전력절약 사양을 강화한 IEEE 802.11 ac 및 IEEE 802.11 ad의 표준화 작업도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의하여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시분할 방식 등에 의하여 동시 사용 가능한 오디오 채널을 다수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 가치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은 초단파 및 극초단파 대역을 사용하는 아날로그 무선 인터컴 시스템보다 무선통신 거리가 짧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ISM 및 UNII 대역은,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무선랜, 블루투스(Bluetooth), FSK(frequency shift keying) 등의 무선기술을 이용하는 다양한 제품에 의하여 용도의 제한 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섭이 적은 주파수 대역이 사용 장소 및 사용 시간에 따라서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ISM 및 UNII 대역을 이용하는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서는 사용 장소 및 시간에 따라서 항상 간섭이 적은 최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의 무선통신 거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여러 곳에 설치하여 무선통신 거리를 확장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안테나를 포함하는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10)은, 기지국(base station : 20), 안테나 분배기(antenna splitter : 30), 제1 및 제2능동안테나(active antenna : 40, 42), 다수의 제1이동단말(belt pack : 50), 다수의 제2이동단말(52), 다수의 제3이동단말(54)을 포함한다.
이 경우, 기지국(20)에는 안테나 분배기(30)가 유선으로 연결되고, 안테나 분배기(30)에는 제1및 제2능동안테나(40, 42)가 유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수의 제1이동단말(50)는 기지국(20)의 무선통신 거리인 제1전송반경(R1) 내에 위치하고, 다수의 제2이동단말(52)은 제1능동안테나(40)의 무선통신 거리인 제2전송반경(R2) 내에 위치하고, 다수의 제3이동단말(54)은 제2능동안테나(42)의 무선통신 거리인 제3전송반경(R3) 내에 위치한다.
즉, 다수의 제1이동단말(50)은 기지국(20)의 제1신호반경(R1) 내에 위치하여 기지국(20)과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반면, 다수의 제2이동단말(52) 및 다수의 제3이동단말(54)은 기지국(20)의 제1신호반경(R1) 외부에 위치하여 기지국(20)과 직접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지는 못한다.
이 경우, 다수의 제2이동단말(52) 및 다수의 제3이동단말(54)은 기지국(20)의 음영지역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는데, 안테나 분배기(30)를 통하여 기지국(20)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능동안테나(40, 42)를 이용하여 기지국(20)의 무선통신거리를 확장함으로써, 다수의 제2이동단말(52) 및 다수의 제3이동단말(54)과 기지국(20)은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10)에서는, 제1 및 제2능동안테나(40, 42)를 이용하여 기지국(20)의 음영지역을 제거함으로써, 무선통신 거리의 한계를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10)에서는, 기지국(20)과 안테나 분배기(30) 사이의 연결배선과, 안테나 분배기(30)와 제1 및 제2능동안테나(40, 42) 사이의 연결배선으로 비차폐연선(unshielded twisted pair: UTP)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연결배선의 길이에 따라 무선통신의 품질이 심각한 영향을 받아서 지연에 의한 음 끊김과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상이한 프로토콜 등의 원인으로 빌딩 등의 건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이더넷(Ethernet) 및 인프라 망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10)은 별도의 전용 안테나 분배기(30)와 별도의 전용 제1 및 제2능동안테나(40, 42)를 사용하여야 하고, 안테나 분배기(30)와 제1 및 제2능동안테나(40, 42) 사이를 별도의 전용 비차폐연선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10)은 통신거리를 확장하기 위하여 전용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활용성 및 범용성에 제한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10)을 인터넷과 연결할 경우에도 별도의 신호변환 장치가 요구되는 등의 범용성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은 고속 데이터 전송에 의한 고음질 확보 및 시분할 방식 등에 의한 다수의 오디오 채널 확보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짧은 통신거리 및 주파수 간섭 현상 등의 단점에 의하여, 고가의 방송 시스템 등에 국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레스토랑 등 범용 적용에는 심각한 장애가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848호(2012.06.1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8642호(2001.10.1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상용망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방송 스텝에도 우수한 통신음질을 제공할 수 있고, 외부 장비와 호환성이 뛰어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분기,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유선분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터컴 시스템을 사용하면, 디렉터와 원거리에 위치한 방송 스텝에게도 깨끗한 음질과 안정적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통신(SMG) 방식이 아닌 기존 상용 통신망(CDMA, LTE, ADSL, VDSL, HDSL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의 수용 능력을 확대시키고, 음성 중계뿐만 아니라 비디오 라이브 중계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채널의 단말기 사용이 가능하므로 스튜디오 촬영이나 야외 촬영시 무선 단말기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져 방송 촬영의 진행에 원만함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방송용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산업현장에서도 관리자의 지시를 원거리에 위치한 스텝에게 깨끗한 음질로 제공해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1채널로 운영되는 무전기와 달리 다채널로 운영될 수 있으므로,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음성신호를 입력하여도 모두 출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터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이하, '인터컴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컴 시스템은 디렉터와 방송 스텝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디렉터와 방송 스텝에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부조정실(또는 중계차) 등에 설치되는 베이스 스테이션(10)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0)에 연결되어 베이스 스테이션(10)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유선분기(20),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00)에 연결되어 상기 유선분기(20)에 의해 송출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출력하는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컴 시스템은 베이스 스테이션(1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0)은 입력된 제어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유선분기(20)로 송신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마이크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가 구비되며, 유선분기(20)에 연결된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10)은 유선분기(20)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10)은 스피커 등의 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가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10)은 입력된 제어신호를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기(30)에 직접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안테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인터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10)은 아날로그신호 입력부(11), 제 1 코덱부(12), 제 1 유선커넥터부(13), 제 2 코덱부(14), 아날로그신호 출력부(15), 제어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신호 입력부(11)는 마이크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코덱부(12)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코덱부(12)는 아날로그신호 입력부(11)로부터 전달받은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유선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유선커넥터부(13)는 제 1 코덱부(12)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유선분기(20)에 연결된 케이블로 전달하며, 유선분기(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베이스 스테이션(10) 내에서의 신호처리에 적합한 형태로 변조한 후 변조된 신호를 제 2 코덱부(14)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코덱부(14)는 제 1 유선커넥터부(13)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신호 출력부(15)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아날로그신호 출력부(15)는 제 2 코덱부(14)로부터 전달받은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스피커 등의 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6)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아날로그신호 입력부(11), 아날로그신호 출력부(15), 제 1 코덱부(12), 제 2 코덱부(14), 제 1 유선커넥터부(13)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0)은 메인 컨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방송용 카메라로부터 방송관련 콘텐츠 정보를 받아 이를 표시하고, 중계차나 부조종실을 관장하는 디렉터의 선택에 따라 콘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방송용 카메라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 스테이션(10)은 복수개의 복합 케이블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방송용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와 음향신호 및 캐릭터신호를 메인 컨트롤러에 전달하며, 각 방송용 카메라의 카메라맨이 녹화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녹화된 화면의 리턴신호를 각 방송용 카메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용 카메라의 제어신호를 해당 방송용 카메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리턴신호란 카메라맨이 녹화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베이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각 방송용 카메라로 전송되는 녹화된 화면의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10)은 메인 컨트롤러와의 사이를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HDMI를 통해 녹화된 방송을 전송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10)은 영상 및 음향에 대한 신호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싱크(sync)신호를 싱크제너레이터(sync-generator)로부터 전달받아 연결된 복수개의 방송용 카메라에 동시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싱크신호는 복수 개 카메라의 시작점을 일치화시킬 수 있도록 기준값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0)은 자체 저장기능을 부여하는 디지털 레코더(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레코더는 각 방송용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와 음향신호 및 캐릭터신호를 베이스 스테이션(10)에 저장하는 것으로, 영상신호와 음향신호 및 캐릭터신호를 그대로 한꺼번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각 신호 예를 들면, 영상신호, 음향신호, 캐릭터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디지털 레코더는 HDD(Hard Disk Drive)나 SSD(Solid State Drive)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유선분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유선분기(20)는 베이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단말기(30)에 송신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10) 유선으로 연결되는 한편 유무선 네트워크(200)에도 연결된다.
여기서, 유무선 네트워크(200)로는 장거리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HDSL(High-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광LAN(optic LAN) 등의 상용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유선분기(20)는 상용 통신망과의 연결을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미도시)가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로는 ADSL, VDSL, HDSL 등의 유선망에 연결되기 위해 LAN 어댑터(Local Area Network adapter)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유선분기(20)와 유무선 네트워크(200) 사이의 통신 주파수는 2 내지 6GHz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주파수는 기본적으로 2.4GHz를 사용하며, 데이터 신호가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5.8GHz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선분기(20)와 유무선 네트워크(2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멀티케리어 CDMA-TDD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CDMA-TDD 방식은 2.4GHz를 사용하고 있는 기지국과 단말간의 대역폭을 시분할 방법을 통해서, 타임 슬롯(time slot)에 따라 단말기(30)와 기지국이 쓰는 것을 나누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타임 슬롯을 나누어 사용하게 되면 좀 더 유연하게 자원(파워 + 타임 슬롯)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 유선분기(20)는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1 내지 4대의 단말기(30)가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선분기(20)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선로 또는 채널을 가진 통신 방식인 다이버시티 방식(diversity system)을 채용한다.
이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10)에 4대의 유선분기(20)가 연결되면 단말기(30)가 16대까지 접속될 수 있어 최대 1(디렉터):16(방송 스텝)의 동시통화가 가능하다.
이때, 유선분기(20)와 단말기(30)의 접속은 캐스케이드 접속(cascade connection)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캐스케이드 접속이란 4단자망의 출력 단자를 다음 4단자망의 입력 단자에 접속하는 식으로 차례로 접속해 가는 방법을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 각 유선분기(20)는 설계를 변경하여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6대의 단말기(30)가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디렉터와 방송 스텝 사이의 음성 통신과 신호 통신이 가능하며, 방송 스텝과 방송 스텝 사이의 음성 통신과 신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선분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선커넥터부(21), 무선수신부(22), 무선송신부(23), 제 2 제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선커넥터부(21)는 무선수신부(22)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베이스 스테이션(10)에 연결된 케이블로 전달하며, 베이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유선분기(20) 내에서의 신호처리에 적합한 형태로 변조하여 무선송신부(23)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수신부(22)는 유선분기(20)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말기(30)로부터 수신받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제 2 유선커넥터부(21)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송신부(23)는 제 2 유선커넥터부(21)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신호를 유선분기(20)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말기(30)로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제어부(24)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 2 유선커넥터부(21)와 무선수신부(22) 및 무선송신부(23)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제어부(24)는 베이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그룹 등의 특정 대상에 포함된 단말기(30)를 분석한 후 데이터 신호를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유선분기(20)와 베이스 스테이션(10) 사이에 구비된 유선 케이블로는 마이크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케이블은 유선분기(20)와 베이스 스테이션(10)을 연결시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베이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디렉터의 커뮤니케이션 신호)를 유선분기(20)로 전송하고, 유선분기(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방송 스텝의 커뮤니케이션 신호)를 베이스 스테이션(10)으로 전송하는 쌍 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마이크 케이블은 베이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유선분기(20)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유선분기(20)는 별도의 전원을 마련하지 않고 마이크 케이블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컴 시스템은 복수개의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30)는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유선분기(20)에 연결되며, 상기 유선분기(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방송 스텝이 착용하거나 방송용 카메라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30)는 상용 통신망인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용 통신망의 기지국이 설치된 공간이라면 어디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개의 단말기(30)는 소정 개수, 예를 들면 4대 별로 그룹을 구성하여 1대의 유선분기(20)에 연결된다. 또한, 각 단말기(30)는 유선분기(20)의 비어있는 채널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기 지정된 자기 그룹의 유선분기(20)의 비어있는 채널로 접속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30)로 송신기능이 제거된 단방향전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30)는 표준으로 15대까지 1대의 유선분기(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15대의 단말기(30)는 그룹을 분리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30)에는 발광모듈, 음향모듈, 진동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분기(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가 적색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신호이면, 단말기(30)는 발광모듈 중 적색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여 방송 촬영에 대한 디렉터의 지시를 방송 스텝에 전달한다. 또한, 유선분기(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가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여러 가지 색 중 어느 한 가지 색상의 광원을 발광시키는 신호이면, 단말기(30)는 특정 색상의 발광모듈을 발광시켜 방송 촬영에 대한 디렉터의 지시를 방송 스텝에 전달한다. 필요에 따라 발광모듈은 점멸을 통해 디렉터의 지시를 방송 스텝에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선분기(20)로부터 송신된 RF 신호가 디렉터의 음성 신호이면, 단말기(3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스피커 등의 음향모듈을 통해 출력하여 방송 촬영에 대한 디렉터의 지시를 방송 스텝에 전달한다. 이때, 디렉터의 음성 신호는 단말기(30)에 연결된 헤드셋을 통해 방송 스텝에게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셋은 단말기(30)에 캐논 커넥터(cannon connector)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선분기(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가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이면, 단말기(30)는 진동모듈을 온-오프를 조절하여 방송 촬영에 대한 디렉터의 지시를 방송 스텝에 전달한다. 이러한 진동모듈은 방송 환경 상 음성 또는 광원의 출력이 제한될 경우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단말기(30)에는 마이크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3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수집하여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유선분기(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30)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음향신호는 카메라맨 등의 방송 스텝과 디렉터의 상호 의사교환을 위해 방송 스텝의 음성을 수집한 신호이며, 디렉터의 선택에 의해 상기 음향신호의 수집 여부가 결정된다.
이때, 음향신호에 대한 수집은 허용된 상태로 단말기(30)가 세팅될 수도 있지만, 카메라맨 등 방송 스텝의 발성이 방송 촬영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음향신호의 수집이 차단된 상태로 세팅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30)에는 탈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모듈이 포함되어 있어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제어신호를 오디오나 비디오 또는 진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사의 유무선 상용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과 단말기(30)에 서로의 데이터 신호를 안정적이고 깨끗한 음질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스 스테이션(10)과 단말기(30)가 동영상이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어 인터컴 시스템에 화상 통화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베이스 스테이션 20 : 유선분기
30 : 단말기 200 : 유무선 네트워크

Claims (8)

  1. 외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분기;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유선분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출력하고, 다채널 자동검색에 의해 지정된 그룹의 유선분기에 접속되며, 발광모듈, 음향모듈, 진동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모듈이 구비된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신호 입력부와, 상기 아날로그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코덱부와, 상기 제 1 코덱부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받아 유선분기에 연결된 케이블로 전달하는 제 1 유선커넥터부와, 상기 제 1 유선커넥터부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코덱부와, 상기 제 2 코덱부로부터 전달받은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아날로그신호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집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분기로 송신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유선분기는 마이크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는
    2 내지 6 GHz 대역의 범위를 갖는 무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와 단말기의 통신은
    멀티케리어 CDMA-TDD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방송용 카메라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8. 삭제
KR1020130005622A 2013-01-18 2013-01-18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KR10139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622A KR101394355B1 (ko) 2013-01-18 2013-01-18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622A KR101394355B1 (ko) 2013-01-18 2013-01-18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355B1 true KR101394355B1 (ko) 2014-05-15

Family

ID=5089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622A KR101394355B1 (ko) 2013-01-18 2013-01-18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3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252A (ko) * 2003-10-17 2005-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252A (ko) * 2003-10-17 2005-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584B1 (ko) 중계기 확장 시스템
US8315266B1 (en) Extending a local area network
JPH06510894A (ja) デジタル電話、ケーブルテレビシステム及びローカル交換バイパスネットワーク
CN102098558B (zh) 三网融合数字电视机顶盒及其实现方法
KR20080035989A (ko) 통신 장치들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시스템
EP281686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distribution of cellular and broadcast television signals
KR100684208B1 (ko) 유선망에 대한 멀티 채널 제공 시스템
KR101394355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용 인터컴 시스템
CN104539993A (zh) 一种基于usb视频传输的广播高清电视接入装置及方法
CN1173544C (zh) 同轴长距离以太网接入方法及其设备
CN111586704A (zh) 基于同轴电缆进行5g室内深度覆盖的系统
US11895569B2 (en) Low overhead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audio systems
CN101478723B (zh) 无线通信系统、无线接入方法以及基站
US9838126B2 (en)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190128019A (ko)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신호 결합 장치
KR19990086132A (ko) 집단 가입자용 양방향 유무선 복합 다기능 단말장치
CN103166710B (zh) 下行信号传输方法、接入设备及中继设备
CN111083803A (zh) 一种实现公网对讲机与dmr对讲机通信的方法及系统
CN114143726B (zh) 一种实现pdt直通转发组网的方法
US11812106B1 (en) Automatic feedback for proper placement of Wi-Fi connected set top box
CN103780282B (zh) 一种数据传输方法
JP4278655B2 (ja) 有線セルラネットワークの能力最適化
CN107124667A (zh) 一种以太网内多通道融合信号传输系统及方法
CN105187590B (zh) 广播电话机
CN102883186A (zh) Iptv系统及iptv实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