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024A -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024A
KR20050036024A KR1020030071479A KR20030071479A KR20050036024A KR 20050036024 A KR20050036024 A KR 20050036024A KR 1020030071479 A KR1020030071479 A KR 1020030071479A KR 20030071479 A KR20030071479 A KR 20030071479A KR 20050036024 A KR20050036024 A KR 20050036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main body
conditioner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찬
길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6024A/ko
Publication of KR2005003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02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설치하여 양 장치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구획판에 공기량 조절도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함으로써 고속운전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조화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부와 상기 공기조화부를 상기 공기청정부로부터 구획하고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조화부와 상기 공기청정부에 나누어 공급하기 위한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일부를 형성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기량 조절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dding air cleaning capacity}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에 공기량 조절도어를 설치하여 운전상태에 따라 개폐함으로써 공기조화부 또는 공기청정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는 여름철과 같은 더운 날씨에는 냉방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냉방을 요하지 않는 시기에는 공기청정기능을 주로 수행하여 장치의 효율을 높이면서 편리함을 추구한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통상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전면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냉각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화공기가 토출되도록 모터의 동력에 의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의 송풍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를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 냉풍으로 변환시키는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 및 냄새를 흡착 및 탈취시켜 정화된 공기를 생성시키는 공기청정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송풍팬이 회전하여 실내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다.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및 냄새는 흡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공기청정부를 통과하면서 흡착 및 탈취된다.
공기청정부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의 송풍에 의해서 열교환기를 통화하게 되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 냉풍으로 변환된 후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쪽에 공기정화부가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조화동작과 공기청정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기조화기능이나 공기청정기능만을 별도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설치하여 양 장치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구획판에 공기량 조절도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함으로써 고속운전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조화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부와 상기 공기조화부를 상기 공기청정부로부터 구획하고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조화부와 상기 공기청정부에 나누어 공급하기 위한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일부를 형성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기량 조절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는 도어의 일단부에 형성된 도어축에 고정연결된 구동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는 도어의 일단부에 형성된 도어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의 범위내에서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는 동일한 흡입구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판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조화용 송풍장치를 상기 본체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용 필터와 상기 공기청정용 필터에서 정화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청정용 송풍장치로부터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판은 상기 공기조화용 송풍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청정용 송풍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공기청정용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청정용 필터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동일한 흡입구에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청정용 필터에 모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조화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공기청정과정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부와, 상기 공기조화부를 공기청정부로부터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공기 이동홀을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상기 공기조화부와 상기 공기청정부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도어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모드에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줄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상기 공기 이동홀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는 상기 공기조화부 또는 상기 공기청정부 중 일측이 고속운전모드이고 타측이 정지모드인 경우에 열어줄 필요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속운전모드에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고속운전 중인 상기 공기조화부 또는 공기청정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패널(11)과 후면패널(12)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며 실내공간의 내부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는 실내공기의 조화를 위한 열교환기(14) 및 공기조화용 송풍장치(20)가 설치되는 상부공간(15)과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청정용 필터(30) 및 공기청정용 송풍장치(40)가 설치되는 하부공간(16)을 나누어 주기 위한 구획판(13)을 구비한다.
본체(10)의 양쪽 측면 중앙에는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7)가 형성되고, 본체(10)의 상부 양측에는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조화용 토출구(18)가 형성된다. 또 본체(10)의 하부 양측에는 공기청정용 송풍장치(4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청정용 토출구(19)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 양측의 공기조화용 토출구(18)는 전면패널(11) 상부의 양쪽 측면부에 형성되고, 중앙의 흡입구(17)는 전면패널(11)의 중앙부분 및 후면패널(12)의 양쪽 측면부에 형성된다. 또 양측의 흡입구(17)는 실내공기가 본체(10)의 상부공간(15) 및 하부공간(16)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공간(15) 및 하부공간(16)의 내부와 각각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의 공기청정용 토출구(19)는 전면패널(11) 하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양측 흡입구(17)에는 흡입그릴(17a)이 각각 설치되고, 공기조화용 토출구(18)와 공기청정용 토출구(19)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안내를 위한 토출안내날개(18a,19a)가 각각 설치된다.
본체(10) 내부의 열교환기(14)는 상단이 후면패널(12) 내면에 근접하고 하단이  전면패널(11) 내면에 근접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그 양측 단부가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흡입구(17)와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전면패널(11)의 내면 양측에는 흡입구(17)를 통해 본체(10)의 상부공간(15)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기(14)를 통과하여 상측 공기조화용 송풍장치(20)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실내공기를 열교환기(14)의 후면 쪽으로 안내하는 흡입공기 안내부재(50)가 마련된다. 이 흡입공기 안내부재(50)는 흡입구(17)와 소정간격(t) 이격된 위치의 전면패널(11) 내면으로부터 열교환기(14)의 양쪽 단부까지 연장되어 흡입구(17) 쪽과 열교환기(14) 전방의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14)의 후면 쪽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열교환기(14)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송풍장치(20)는 다익형 원심팬으로 된 송풍팬(21), 이 송풍팬(21)을 구동하도록 본체(10)의 후면패널(12) 내면에 장착된 구동모터(미도시), 송풍팬(21)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전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양측에 출구가 형성된 팬케이싱(22)을 구비한다. 또한 공기조화용 송풍장치(20)는 송풍팬(21)의 동작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공기조화용 토출구(18) 쪽으로 안내하도록 팬케이싱(22)으로부터 본체(10) 양측의 공기조화용 토출구(18) 쪽으로 연장되어 그 출구가 공기조화용 토출구(18)에 연결되는 토출공기 안내부(2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송풍팬(21)이 회전할 때 열교환기(14)를 거친 공기가 팬케이싱(23)의 입구로 흡입되어 본체(10) 양측의 공기조화용 토출구(18) 쪽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체(10)의 하부공간(16)에 설치되는 공기청정용 필터(30)는 적층된 복수의 필터(31,32)로 구성되고, 흡입구(17)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복수의 필터(31,3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흡입구(17)의 하부위치에 설치된다. 또 하부공간(16)의 공기청정용 송풍장치(40)는 공기청정용 필터(30)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구성이 상술한 공기조화용 송풍장치(2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공기청정용 송풍장치(40)는 상술한 공기조화용 송풍장치(20)와 마찬가지로 원심형 송풍팬(41), 구동모터(미도시), 팬케이싱(42), 팬케이싱(42)과 일체로 된 토출공기 안내부(43)를 구비한다. 이는 공기청정용 송풍장치(40)가 동작할 때 흡입구(17)의 하측부분을 통해 하부공간(16)으로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공기청정용 필터(30)를 통해 정화된 후 송풍장치(40)를 거쳐 청정공기 토출구(19)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a와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구획판과 공기량 조절도어를 설명한다.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14)와 공기청정용 필터(30)의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상부에 있는 공기조화부와 본체의 하부에 있는 공기청정부를 구획하는 구획판(13)에는 본체(10)의 상부와 본체(10)의 하부간에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이동홀(6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공기조화부는 구획판(13)의 위쪽에 있는 열교환기(14), 공기조화용 송풍장치(20)등으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과정을 수행하고 공기청정부는 구획판(13)의 아래쪽에 있는 공기청정용 필터(30), 공기청정용 송풍장치(40)등으로 구성되어 공기청정과정을 수행한다.
공기 이동홀(61)의 아래쪽에는 도어축(64)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여 공기 이동홀(61)을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 사이에 흐르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도어(60)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량 조절도어(60)는 공기 이동홀(61) 보다 넓은 판으로 형성된다. 공기량 조절도어(60)에 형성된 도어축(64)의 일단부는 구획판(13)에 결합된 축 고정부재(62)에 끼워지며 타단부는 도어 구동모터(63)의 축과 연결된다.
도 3a는 공기량 조절도어(6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공기량 조절도어(60)가 닫힌 상태에서는 공기 이동홀(61)이 폐쇄되어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3b는 공기량 조절도어(60)가 도어축(64)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공기량 조절도어(60)가 회전하는 각도는 도어 구동모터(63)의 구동시간에 따라 결정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설정된 각도만큼 공기량 조절도어(60)가 회전하도록 도어 구동모터(63)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공기량 조절도어(60)의 회전각도 및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도어 구동모터(63)의 구동시간은 미리 설정하여 제어부에 저장해 둔다. 공기량 조절도어(60)가 개방되면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 사이에는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양자 중에서 많은 공기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부가 고속운전상태이고 공기청정부가 정지상태라면 공기량 조절도어(60)를 개방하여 공기청정부쪽으로 공급된 공기를 공기조화부쪽으로 공급함으로써 공기량 조절도어가 닫힌 경우보다 같은 시간내에 상대적으로 많은 공기를 냉각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속운전시 공기조화용 송풍팬이나 공기청정용 송풍팬의 분당회전수를 높이지 않고도 공기조화기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공기조화기의 능력은 향상되면서도 분당회전수의 증가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미도시)는 공기조화부가 운전모드인지 확인한다(70). 여기에서 운전모드는 공기조화부에서 공기조화과정이 수행되고 있는 모드이다. 상대적으로 정지모드는 공기조화부에서 공기조화과정이 수행되지 않고 공기조화부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이다. 공기조화부가 운전모드라면 다시 공기조화부가 고속운전모드인지 판단한다(72). 여기에서 고속운전모드는 공기조화부에서 공기조화능력을 최대공기조화능력에 가깝도록(예를 들면 최대공기조화능력의 90%이상) 운전하는 상태이다. 공기조화부가 고속운전모드라면 공기청정부가 운전모드인지 판단한다(74). 여기에서 운전모드는 공기청정부에서 공기청정과정이 수행되고 있는 모드이다. 공기청정부도 운전상태라면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 양쪽에 공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공기량 조절도어를 닫아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를 상호 독립되게 하고 공기조화용 송풍팬의 분당회전수를 증가시킨다(76).
만약 공기청정부가 운전상태가 아니라면 공기청정부에는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량 조절도어(60)를 열어 공기청정부로 공급된 공기를 공기조화부에 공급해 줌으로써 공기조화용 송풍팬(21)의 분당회전수를 높이지 않고도 공기조화부의 고속운전이 가능해진다(88).
만약 72단계에서 공기조화부가 고속운전모드가 아니라면 공기청정부가 운전모드인지 판단한다(78). 공기청정부가 운전모드가 아니라면 공기조화부만 운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현재의 동작상태를 유지한다(82). 공기청정부가 운전상태라면 공기청정부가 고속운전모드인지 판단한다(80). 여기에서 고속운전모드는 공기청정부에서 공기청정능력을 최대공기청정능력에 가깝도록(예를 들면 최대공기청정능력의 90%이상) 운전하는 상태이다. 만약 공기청정부가 고속운전모드가 아니라면 현재의 동작상태를 유지하고(82) 공기청정부가 고속운전모드라면 공기청정부와 공기조화부에 모두 공기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공기량 조절도어(60)를 닫아 양자를 서로 폐쇄시키고 공기청정용 송풍팬(41)의 분당회전수를 증가시켜 공기청정부의 고속운전모드를 수행한다(76).
만약 70단계에서 공기조화부가 운전모드가 아니라면 공기청정부가 운전모드인지 판단한다(84). 공기청정부가 운전모드가 아니라면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가 모두 운전모드가 아니므로 사이클을 종료한다.
공기청정부가 운전모드라면 공기청정부가 고속운전모드인지 판단한다(86). 만약 공기청정부가 고속운전모드가 아니라면 현재의 동작상태를 유지하고(90) 공기청정부가 고속운전모드라면 정지모드인 공기조화부에는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량 조절도어(60)를 열어 공기조화부로 공급된 공기를 공기청정부에 공급해 줌으로써 공기청정용 송풍팬(41)의 분당회전수를 높이지 않고도 공기청정부의 고속운전이 가능해진다(88).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모두 종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에서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를 구획하여 양 장치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에 설치된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줌으로써 고속운전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을 부가한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을 부가한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공기량 조절도어부분을 아래쪽에서 도시한 것으로 공기량 조절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2의 공기량 조절도어부분을 아래쪽에서 도시한 것으로 공기량 조절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3:구획판
               14:열교환기                       20:공기조화용 송풍장치
               30:공기청정용 필터                40:공기청정용 송풍장치
               60:공기량 조절도어                61:공기 이동홀
               62:축 고정부재                    63:도어 구동모터     
                64:도어축

Claims (11)

  1. 흡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조화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부와,
    상기 공기조화부를 상기 공기청정부로부터 구획하고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조화부와 상기 공기청정부에 나누어 공급하기 위한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일부를 형성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기량 조절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는 도어의 일단부에 형성된 도어축에 고정연결된 구동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는 도어의 일단부에 형성된 도어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의 범위내에서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부와 공기청정부는 동일한 흡입구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조화용 송풍장치를 상기 본체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용 필터와 상기 공기청정용 필터에서 정화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청정용 송풍장치로부터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공기조화용 송풍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청정용 송풍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공기청정용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청정용 필터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동일한 흡입구에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청정용 필터에 모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9. 본체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조화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공기청정과정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부와, 상기 공기조화부를 공기청정부로부터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공기 이동홀을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상기 공기조화부와 상기 공기청정부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도어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모드에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줄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상기 공기 이동홀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는 상기 공기조화부 또는 상기 공기청정부 중 일측이 고속운전모드이고 타측이 정지모드인 경우에 열어줄 필요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운전모드에서 상기 공기량 조절도어를 열어 고속운전 중인 상기 공기조화부 또는 공기청정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30071479A 2003-10-14 2003-10-14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6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479A KR20050036024A (ko) 2003-10-14 2003-10-14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479A KR20050036024A (ko) 2003-10-14 2003-10-14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024A true KR20050036024A (ko) 2005-04-20

Family

ID=3723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479A KR20050036024A (ko) 2003-10-14 2003-10-14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6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359A (ko) * 2020-08-21 2022-03-02 오성택 냉방 겸용 이동형 공기 살균 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359A (ko) * 2020-08-21 2022-03-02 오성택 냉방 겸용 이동형 공기 살균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CN102472520B (zh) 空气调节装置的风向变更装置
KR20010021408A (ko) 공기조화기
KR100826688B1 (ko) 실내 공기순환 제어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JP2007101171A (ja) 風向調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器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644544B1 (ko) 공기조화기
KR10059625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14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845241B1 (ko) 공기조화기
KR100715337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송풍 구조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728349B1 (ko) 교차개폐되는 플랩이 형성된 토출구를 갖는 에어컨 및 이의제어방법
KR100977369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895074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36024A (ko)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01475A (ko) 공기조화기
KR100726948B1 (ko) 에어컨의 공기흡입구 개폐 구조
KR100512619B1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0700782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0591A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JP385539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70115036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송풍기
KR100584299B1 (ko) 공기조화기
KR100925585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