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536A -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 Google Patents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536A
KR20050035536A KR1020050023773A KR20050023773A KR20050035536A KR 20050035536 A KR20050035536 A KR 20050035536A KR 1020050023773 A KR1020050023773 A KR 1020050023773A KR 20050023773 A KR20050023773 A KR 20050023773A KR 20050035536 A KR20050035536 A KR 20050035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rigger
plate
taka
push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461B1 (ko
Inventor
김재성
조보섭
황인성
김명균
Original Assignee
제일타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타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타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4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536A/ko
Priority to US11/255,837 priority patent/US763507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25C1/041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with fixed main cylinder
    • B25C1/043Trigger valve and trigger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타 모드시 격발을 위해 격발 대상면에 타카장치 전단부를 밀착시키고 가압하여 커넥터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방아쇠를 작동시킬 때, 격발 반발력에 의해 커넥터가 재차 푸싱 플레이트를 밀어내지 않도록 푸싱 플레이트의 전단에 연타방지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단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몸통의 전단에 가이드가 구비되고, 그 후단에 압축공기를 조절하는 부재가 내설된 커버가 구비되며, 그 몸통의 하단에 손잡이와 방아쇠가 장착되어져 있고, 가이드의 하단에는 타카침이 충전된 메가진으로 이루어지며, 방아쇠의 내부에는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 로드를 가압하기 위한 푸싱 플레이트가 장착된 통상의 타카장치에 있어서, 타카장치의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고, 그 후단 소정부에는 단타 모드시 연타방지 플레이트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푸싱 플레이트와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그 푸싱 플레이트와 결합핀에 의해 동일 축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의 반발력에 의한 커넥터의 후진을 구속하는 연타방지 플레이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단타 모드시 커넥터의 반발력에 의한 재차 격발을 연타방지 플레이트가 구속함으로써 커넥터의 이동을 억제하여 반발력에 의한 임의 격발을 방지하게 되어 정확한 단타 격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TACKER APPARATUS WITH A ANTI-DOUBLE FIRE MEANS AT SINGLE FIRE MODE}
본 발명은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단타 모드시 격발을 위해 격발 대상면에 타카장치 전단부를 밀착시키고 가압하여 커넥터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방아쇠를 작동시킬 때, 격발 반발력에 의해 커넥터가 재차 푸싱 플레이트를 밀어내지 않도록 푸싱 플레이트의 전단에 연타방지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단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건축 및 인테리어 작업에 사용되는 타카(Tacker)-네일러(Nailer), 스테플러(Stapler), 핀너(Pinner)-는 목재와 목재, 목재와 플라스틱, 목재와 강재, 목재와 콘크리트 접목에 사용하는 공압 기계로써, 내·외장 인테리어, 알루미늄 샷시 작업 등 다양한 작업에 쓰인다.
일반적인 장치의 외형은 도 1에서와 같이 내부에 피스톤과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는 몸통(1) 부위와 피스톤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뚜껑(2), 못이나 스테플, 핀 등이 장전되어 있는 메가진(3), 못이 발사되는 가이드(4), 작업시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5), 못 장전을 위한 걸쇠(6)장치, 메가진(3)과 손잡이(8)를 연결하여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하는 브라켓(7), 타카가 작동되도록 하는 방아쇠 뭉치(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타카류는 방아쇠 뭉치(9)를 작동시켜 몸통내부에 있는 피스톤을 움직 여 메가진(3)에 장착되어 있는 못이나 스테플러 등을 가이드(4)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에 관통시킨다.
기존의 기계류에는 연타, 단타 스위치와 잠금장치가 별도로 장착되어 있거나, 하나만 있거나, 없는 형태가 대부분이었으며 안전장치(5)가 있거나 없는 형태였다. 단타 작업의 필요성은 정확한 작업성을 얻고자하는 것이며, 연타작업은 작업자의 편의성,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잠금장치는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2a, 2b, 2c, 2d를 참조하여 종래의 네일러 등의 타카장치를 이용한 단타 및 연타방식을 설명하면, 먼저 타카장치의 전단에는 안전장치(5)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안전장치(5)는 도 2a에 도시된 커넥터(100)와 연결되어져 있고, 그 커넥터(100)는 상기 가이드(4)의 내부에 내설되어져 있다. 이때, 연타나 단타작업시 상기 커넥터(100)가 후단으로 후퇴하지 않으면 발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상, 종래의 타카장치를 이용한 단타작업 시에는 타카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상태를 갖는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타카장치의 커넥터(100)를 발사 대상위치에 밀착시키고, 타카장치를 그 발사 대상 위치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커넥터(1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10)측(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커넥터(100)의 후단이 상기 방아쇠(92)의 내측 하단에 결합핀(96)을 매개로 결합된 푸싱플레이트(94)를 일정길이만큼 작동부재(10)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푸싱플레이트(94)의 후퇴로 인해 상기 푸싱플레이트(94)의 후면은 상기 작동부재(10)에 돌출된 밸브 로드(12: Valve rod)를 작동부재(1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삽입시키게 된다.
그 상태에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방아쇠(92)를 잡아당기게 되면, 그 방아쇠(92)는 그 상단에 체결된 회동핀(97)을 중심으로 그 하단이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서, 상기 방아쇠(92)에 핀결합된 푸싱 플레이트(94)의 후단 접촉면(94b)이 상기 밸브 로드(12)를 완전히 상기 작동부재(10)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밸브 로드(12)가 완전히 상기 작동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4)에 장전된 타카침이나 못 등이 전방으로 발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싱 플레이트(94)는 상기 방아쇠(92)의 하단에 핀결합되었지만, 상기 커넥터(100)가 상기 작동부재(10)측으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로드(12)를 완전히 작동부재(10)의 내부로 가압하지 못하게 되므로 타카침이나 못 등은 발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푸싱 플레이트(94)는 그 상단 전면(94c)에 밀착된 커넥터(100)와의 밀착점이 지지점이 된 상태에서 방아쇠(92)를 당기게 되면 푸싱 플레이트(94)의 상단은 상기 커넥터(100)의 밀착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면서 그 하단이 방아쇠(92)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밸브 로드(12)를 가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타카장치를 이용한 연타 발사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발로 타카침을 발사시킬 목적이 아니라 단시간에 넓은 목적대상면에 여러발의 타카침을 발사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방아쇠(92)를 A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발사 대상면에 타카장치의 전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넥터(100)가 작동부재(10)측(B방향)으로 후퇴하면서 발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본적인 원리는 단타와 동일하나, 연타의 경우에는 먼저 상기 커넥터(100)를 대상물에 밀착시키는 것이 아니고, 상기 방아쇠(92)를 먼저 당긴 상태에서 그 당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커넥터(100)를 발사 대상면에 대해 가압하게 되면 발사가 이루어진다.
만약, 발사해야할 대상면이 3곳이고 그 위치가 이웃한 경우라면 사용자는 연타 모드에서 상기 방아쇠(92)를 잡아당기고, 상기 커넥터(100)를 대상물에 밀착하여 가압하게 되면 1회 발사가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계속해서 방아쇠(92)를 당긴 상태에서 타카장치를 이동시켜 다른 발사 대상 위치에 상기 커넥터(100)를 밀착시키고 타카장치를 가압하면 2회, 3회의 발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타카장치는 단타 작업시, 상기 커넥터(100)를 발사 대상면에 밀착시키고, 방아쇠(92)를 잡아당기게 되면 발사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커넥터(100)의 반발력에 의한 반동으로 상기 밸브 로드(12)가 연타모드 시와 동일하게 재차 가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밸브 로드(12)가 가압되면 1회 발사만 이루어져야 할 타카장치가 2회 격발(Double fire)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정확한 단타작업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타 모드시 격발을 위해 격발 대상면에 타카장치 전단부를 밀착시키고 가압하여 커넥터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방아쇠를 작동시킬 때, 격발 반발력에 의해 커넥터가 재차 푸싱 플레이트를 밀어내지 않도록 푸싱 플레이트의 전단에 연타방지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단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몸통의 전단에 가이드가 구비되고, 그 후단에 압축공기를 조절하는 부재가 내설된 커버가 구비되며, 그 몸통의 하단에 손잡이와 방아쇠가 장착되어져 있고, 가이드의 하단에는 타카침이 충전된 메가진으로 이루어지며, 방아쇠의 내부에는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 로드를 가압하기 위한 푸싱 플레이트가 장착된 통상의 타카장치에 있어서, 타카장치의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고, 그 후단 소정부에는 단타 모드시 연타방지 플레이트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푸싱 플레이트와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그 푸싱 플레이트와 결합핀에 의해 동일 축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의 반발력에 의한 커넥터의 후진을 구속하는 연타방지 플레이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는 그 결합핀에 체결된 고정 스프링이 그 일측에 고정되어 상시 연타방지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작동부재측으로 위치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는 그 전면이 반발력에 의한 커넥터의 후진을 구속하기 위해 편평한 걸림면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후면은 커넥터가 그 전단으로의 이동 가능하도록 라운드면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의 요부상세도이며, 도 3b, 3c,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이용한 단타 모드시 연타방지수단의 구성 및 그 동작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는 단타 모드시 격발을 위해 격발 대상면에 타카장치 전단부를 밀착시키고 가압하여 커넥터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방아쇠를 작동시킬 때, 격발 반발력에 의해 커넥터가 재차 푸싱 플레이트를 밀어내지 않도록 푸싱 플레이트의 전단에 연타방지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단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타카장치이다.
종래 타카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는 첫째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단타 모드시 격발 후, 커넥터(100')의 반발력에 의해 연타 격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단타가 진행되는 동작에서 후술하는 연타방지 플레이트(102)가 커넥터(1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아야만 된다. 연타방지 플레이트(102)는 단타가 진행된 후에 발생되는 커넥터(100')의 반발력이 푸싱 플레이트(94)측으로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먼저, 전반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는 그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4)의 내부에 커넥터(1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커넥터(100')의 후단 소정부에는 단타 모드시 후술하는 연타방지 플레이트(102)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00a')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몸통(1)의 하단에는 방아쇠(92)의 상단부가 회동핀(9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져 있으며, 그 방아쇠(92)의 내부 하단에는 상기 푸싱 플레이트(94)가 결합핀(96)에 의해 체결되어져 있다.
상기 방아쇠(92)의 후단에는 그 방아쇠(92)의 동작에 따라 내부에 내설된 피스톤(미도시)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부재(1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작동부재(10)의 전단에는 인입 가능하도록 밸브 로드(12)가 돌출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푸싱 플레이트(94)의 일측에는 그 푸싱 플레이트(94)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결합핀(96)에 의해 동일 축결합되고, 상기 커넥터(100')의 반발력에 의한 커넥터(100')의 후진을 구속하는 연타방지 플레이트(102)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102)를 일정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스프링(99)이 상기 결합핀(96)에 고정되어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102)의 상단이 상시 후단부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타 방지 플레이트(102)의 상단부의 전면 걸림면(102a)은 상기 커넥터(100')의 반발력을 구속하여 그 커넥터(100')가 후진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며, 그 상단부의 후면은 라운드면(102b)이 형성되어 커넥터(100')의 삽입홈(100a')이 연타방지 플레이트(102)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의 단타모드시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단타 모드시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상태를 갖는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타카장치의 커넥터(100')를 발사 대상위치에 밀착시키고, 타카장치의 전단부를 그 발사 대상 위치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커넥터(10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10)측(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커넥터(100')의 후단이 상기 방아쇠(92)의 내측 하단에 결합핀(96)을 매개로 결합된 푸싱플레이트(94)를 일정길이만큼 작동부재(10)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푸싱플레이트(94)의 후퇴로 인해 상기 푸싱플레이트(94)의 후면은 상기 작동부재(10)에 돌출된 밸브 로드(12: Valve rod)를 작동부재(1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삽입시키게 된다.
그 상태에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방아쇠(92)를 잡아당기게 되면, 그 방아쇠(92)는 그 상단에 체결된 회동핀(97)을 중심으로 그 하단이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서, 상기 방아쇠(92)에 핀결합된 푸싱 플레이트(94)의 후단 접촉면(94b)이 상기 밸브 로드(12)를 완전히 상기 작동부재(10)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밸브 로드(12)가 완전히 상기 작동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4)에 장전된 타카침이나 못 등이 전방으로 발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102)는 상기 방아쇠(92)의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회동핀(97)을 중심으로 그 상단이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터(100')에 형성된 삽입홈(100a')으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단타 모드시 상기 커넥터(100')의 이동을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102)가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 상태에서, 격발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커넥터(100')가 전방으로 일정길이 튀어나가게 된다. 상기 커넥터(100')가 튀어나가면 상기 커넥터(100')의 삽입홈(100a')에 결합된 연타방지 플레이트(102)의 상단 후면인 라운드면(102b)과 그 연타방지 플레이트(102)에 결합된 고정 스프링(99)에 의해 연타방지 플레이트(102)는 일정길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라운드면(102b)이 삽입홈(100a')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100')가 격발 반발력에 의해 다시 그 후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커넥터(100')의 후단은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102)의 상단 걸림면(102a)에 의해 더 이상 후단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0')의 반발력은 상기 푸싱 플레이트(94)에 미치지 못하게 되므로 밸브 로드(12)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커넥터(100')의 반발력에 의한 2차 격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다시 상기 방아쇠(92)를 A방향으로 조작하여도 상기 밸브 로드(12)가 가압되지 않으므로 격발되지 않으며, 격발을 위해서는 다시 상기 커넥터(100')를 격발 대상위치에 밀착시키고 타카장치를 그 대상위치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재차 방아쇠(92)를 A방향으로 잡아당겨야만 격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a, 4b, 4c,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이용한 연타 모드시 연타방지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이용한 연타 모드시에는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102)가 커넥터(100')의 이동을 구속하지 않아야만 된다. 즉, 커넥터(100')의 이동시 연타방지 플레이트(102)가 커넥터(1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아야만 된다.
따라서, 연타 모드시에 사용자는 도 4a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방아쇠(92)를 A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4b와 같이 상기 푸싱 플레이트(94)가 상기 밸브 로드(12)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이때 발사 대상면에 타카장치의 전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넥터(100)가 작동부재(10)측(B방향)으로 후퇴하면서 도 4c와 같이 밸브 로드(12)가 가압되어 발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102)는 연타 모드로의 전환시 상기 푸싱 플레이트(94)의 측면에 중첩되게 되므로 상기 커넥터(100')의 이동을 구속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발사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방아쇠(92)는 A방향으로 당겨져 있으며, 상기 타카장치를 발사 대상위치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커넥터(100')는 도 4d와 같이 그 전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발사해야할 대상면이 3곳이고 그 위치가 이웃한 경우라면 사용자는 연타 모드에서 상기 방아쇠(92)를 잡아당기고, 상기 커넥터(100')를 대상물에 밀착하여 가압하게 되면 1회 발사가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계속해서 방아쇠(92)를 당긴 상태에서 타카장치를 이동시켜 다른 발사 대상 위치에 상기 커넥터(100')를 밀착시키고 타카장치를 가압하면 2회, 3회의 발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102)는 상기 푸싱 플레이트(94)의 측면에 중첩된 상태로 위치되어져 있으므로 커넥터(100')의 이동을 전혀 구속하지 않게 되므로 정확한 연타 격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는 단타 모드시 커넥터의 반발력에 의한 재차 격발을 연타방지 플레이트가 구속함으로써 커넥터의 이동을 억제하여 반발력에 의한 임의 격발을 방지하게 되어 정확한 단타 격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2a, 2b, 2c, 2d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단타, 연타모드시 구비된 타카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의 요부 상세도,
도 3b, 3c,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이용한 단타 모드시 연타방지수단의 구성 및 그 동작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4a, 4b, 4c,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이용한 연타 모드시 연타방지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작동부재, 12:밸브로드,
9:방아쇠뭉치, 92:방아쇠,
94:푸싱 플레이트, 96:결합핀,
97:회동핀, 99:고정스프링,
100, 100':커넥터, 100a':삽입홈,
102:연타방지플레이트, 102a:걸림면,
102b:라운드면.

Claims (3)

  1. 몸통의 전단에 가이드가 구비되고, 그 후단에 압축공기를 조절하는 부재가 내설된 커버가 구비되며, 그 몸통의 하단에 손잡이와 방아쇠가 장착되어져 있고, 가이드의 하단에는 타카침이 충전된 메가진으로 이루어지며, 방아쇠의 내부에는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 로드를 가압하기 위한 푸싱 플레이트가 장착된 통상의 타카장치에 있어서,
    타카장치의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고, 그 후단 소정부에는 단타 모드시 연타방지 플레이트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푸싱 플레이트와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그 푸싱 플레이트와 결합핀에 의해 동일 축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의 반발력에 의한 커넥터의 후진을 구속하는 연타방지 플레이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는 그 결합핀에 체결된 고정 스프링이 그 일측에 고정되어 상시 연타방지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작동부재측으로 위치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타방지 플레이트는 그 전면이 반발력에 의한 커넥터의 후진을 구속하기 위해 편평한 걸림면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후면은 커넥터가 그 전단으로의 이동 가능하도록 라운드면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KR1020050023773A 2005-03-22 2005-03-22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KR10059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773A KR100593461B1 (ko) 2005-03-22 2005-03-22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US11/255,837 US7635072B2 (en) 2005-03-22 2005-10-20 Tacker having anti-double firing devise for single fir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773A KR100593461B1 (ko) 2005-03-22 2005-03-22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923U Division KR200388335Y1 (ko) 2005-03-23 2005-03-23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536A true KR20050035536A (ko) 2005-04-18
KR100593461B1 KR100593461B1 (ko) 2006-06-30

Family

ID=3703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773A KR100593461B1 (ko) 2005-03-22 2005-03-22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35072B2 (ko)
KR (1) KR100593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5875A1 (en) * 2005-11-03 2007-05-03 Pneutools, Incorporated Single-blow pneumatic nailing tool
US7464843B2 (en) * 2007-02-06 2008-12-16 De Poan Pneumatic Corp. Trigger switch mechanism of nail gun
US20090108046A1 (en) * 2007-10-24 2009-04-30 Chi-Sheng Huang Trigger Switch Mechanism for Nail Gun
US7810688B2 (en) * 2007-12-21 2010-10-12 De Poan Pneumatic Corp. Nail gun switch mechanism
TW200948553A (en) * 2008-05-16 2009-12-01 Apach Ind Co Ltd Switching device for single discharge and continuous discharge of nail gun
US7975890B2 (en) * 2008-08-26 2011-07-12 Jhih-Siang Tang Switching mechanism for stapling modes of a stapl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501A (en) * 1997-06-23 1998-11-17 Basso Industry Corp. Safety trigger mechanism for stapler
US6675999B2 (en) * 1999-12-24 2004-01-13 Makita Corporation Fastener driving tools having improved drive mode change devices
US6213372B1 (en) * 2000-08-14 2001-04-10 Mu-Yu Chen Drive device for a nailing machine
US6659324B1 (en) * 2003-05-20 2003-12-09 Liu Chung-Ho Single-firing trigger mechanism for a nailing machine
JP4135574B2 (ja) * 2003-06-20 2008-08-20 日立工機株式会社 釘打機
US7073697B2 (en) * 2004-08-12 2006-07-11 Chien-Chuan Lin Trigger switch structure of nail d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35072B2 (en) 2009-12-22
KR100593461B1 (ko) 2006-06-30
US20060213947A1 (en)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461B1 (ko)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KR100778930B1 (ko) 개량형 안전수단이 구비된 타정장치
TWI413578B (zh) 釘槍
TWI659811B (zh) 釘入機
US20080054043A1 (en) Nailer Device
EP3456477B1 (en) Nail gun
JPH0635116B2 (ja) 鋲打機
JP2004330366A (ja) 釘打機における釘の打出し案内機構
US20140252060A1 (en) Actuation lockout for a fastener-driving tool
WO2009101891A1 (ja) 釘打機
KR200389873Y1 (ko) 타카장치의 네일 낙하방지부재
KR200388335Y1 (ko)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KR200392428Y1 (ko) 에어타카
US20220274236A1 (en) Slap hammer with cap dispenser
US3321122A (en) Stud driver
KR101717506B1 (ko) 직분사 방식 압축 공기총
KR100566946B1 (ko) 타카장치의 다기능 스위치
JPH0616669Y2 (ja) 釘打機における安全機構
JPH0546854Y2 (ko)
KR100661591B1 (ko) 코일 네일러의 도어 래치 구조
KR100866634B1 (ko) 타카핀의 휨 방지구조를 갖는 타카장치의 블레이드
CN111195881A (zh) 钉枪
IT201800010710A1 (it) Attrezzo a chiodatrice o simili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a singolo colpo
KR101426541B1 (ko) 이중 타카장치
KR100722208B1 (ko) 스테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