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923A -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923A
KR20050034923A KR1020030070697A KR20030070697A KR20050034923A KR 20050034923 A KR20050034923 A KR 20050034923A KR 1020030070697 A KR1020030070697 A KR 1020030070697A KR 20030070697 A KR20030070697 A KR 20030070697A KR 20050034923 A KR20050034923 A KR 20050034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signal
distortion
amplified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지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4923A/ko
Publication of KR2005003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용 기지국에서 선형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지 않고 RF 송신 신호 전력을 선형화하도록 한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널 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입력된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피드백받아 해당 채널 신호와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RF 변환한 복합 채널 신호와 원래의 채널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원래의 채널 신호를 선형화하는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와; 상기 선형화된 원래의 채널 신호를 증폭하거나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력 증폭기를 구비하는 상기 전력 증폭부와;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피드백하는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Linear Power Amplification}
본 발명은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용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에서 선형 전력 증폭기(LPA : Linear Power Amplifier)를 사용하지 않고 RF(Radio Frequency) 송신 신호 전력을 선형화하도록 한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디지털 이동통신에서 이동단말기(MS : Mobile Station)와 통신할 수 있게 일정한 지역마다 설치된 송수신 장치로서 보통 BTS라 부른다. 기지국은 셀 내에 있는 이동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가입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채널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여 이동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보다 품질 좋은 무선 호를 보다 경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송수신 신호 세기 조절, 상향 링크 품질 측정, 공간 다이버시티 기능, 무선 자원 관리 및 자체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은 보통 옥내에 설치되며, 설치지역에 따라 옴니(Omni)기지국, 2섹터(Sector) 기지국, 3섹터 기지국으로 나누어지며, 각 섹터별로 동일한 FA(Frequency Allocation)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도심에서는 2~3섹터 기지국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도심을 벗어난 외곽지역이나 산간지역에서는 2섹터 기지국이나 옴니 기지국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기지국은 이동단말기로 송신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방사하는데, 이때 송신 신호를 고전력으로 증폭할 필요가 있고, 또한 전력 증폭이 선형화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지국에서 종래의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은 기지국(100)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지국 제어부(10), 채널 앨리먼트 뱅크부(20), 채널 제어부(30), 송수신부(Transceiver)(40), 분배기(50), 선형 전력 증폭부(60), 결합기(70) 및 전단부(Front End)(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수신부(40)는 다수의 송수신기(41-1.41-2,…,41-n)를 구비하여 기저대역 신호와 RF 신호를 상향/하향 변환하여 상기 채널 제어부(30) 또는 분배기(5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RF 전력을 측정하여 보정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상기 송수신기(41)는 송신할 채널 데이터를 1.25MHz 대역의 CDMA 신호로 확산(Spreading)하며 송신 RF 주파수로 변조하며, 수신된 CDMA 신호를 복조하고 역확산하여 데이터 신호를 만든다.
상기 선형 전력 증폭부(60)는 다수의 선형 전력 증폭기(61-1,61-2.…,61-n)를 구비하여 상기 송수신부(40)에서 상향 변환된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대전력 증폭하여 상기 결합기(70)를 통해 상기 전단부(8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채널 앨리먼트 뱅크부(20)는 송신 신호인 트래픽(Traffic) 신호를 CDMA디지털 기저대역 처리를 하여 상기 채널 제어부(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 제어부(30)는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40)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송수신부(40)에서 송수신기(41)는 상기 송신 신호를 상향 변환하여 상기 분배기(50)를 통해 상기 선형 전력 증폭부(60)의 각 선형 전력 증폭기(61)로 전송한다. 상기 송수신기(41)를 지나야만 비로소 송신될 RF 송신 신호가 만들어지는데, 해당 송수신기(41)는 하나의 FA, 하나의 섹터에 하나씩 실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형 전력 증폭부(60)에서 각 선형 저력 증폭기(61)는 상기 상향 변환된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대전력 증폭하여 상기 결합기(70)를 통해 상기 전단부(8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부(40)의 송수신기(41)와 선형 전력 증폭부(60)의 선형 전력 증폭기(61)는 각각 1:1로 매칭되어 있어 원하는 섹터의 전단부(80)로 송신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61)로 보통 고출력 전력 증폭기(HPA : High Power Amplifier)와 선형 전력 증폭시(LPA : Linear Power Amplifier)를 많이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전단부(80)는 상기 선형 전력 증폭부(60)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마지막으로 안테나로 송신한다. 해당 전단부(80)는 섹터별로 한 유닛(Unit)으로 구성된다. 도심에서는 2~3섹터 기지국이 가장 많이 사용됨으로 상기 전단부(80)도 2~3유닛으로 구성되고 도심을 벗어난 외곽지역이나 산간지역에서는 2섹터 기지국이나 옴니 기지국이 많이 사용됨으로 2유닛이나 1유닛으로도 구성된다. 안테나에서 방사된 송신 신호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수신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61)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 선형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61)는 제 1 지연기(1'Delay Line)(62), 제 2 결합기(2'Combiner)(63), 고출력 종단 증폭기(64),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65), 제 1 결합기(1'Combiner)(66), 이득/위상 조절기(Gain/Phase Controller)(67), 제 3 결합기(3'Combiner)(68) 및 제 2 지연기(2'Delay Line)(6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지연기(62)는 입력 신호를 지연시켜 제 1 지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고출력 종단 증폭기(64)는 상기 제 1 지연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증폭 신호와 제 1 혼변조 왜곡신호로 구성된 제 2 증폭 신호를 출력하거나 하기 제 2 결합 신호를 증폭하여 해당 제 2 증폭 신호에 포함된 해당 제 1 혼변조 왜곡 신호가 해당 제 2 결합 신호에 포함된 하기 제 3 혼변조 왜곡 신호에 의해 상쇄된 제 3 증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위상 천이기(65)는 상기 입력 신호의 위상을 천이하여 해당 입력 신호와 반대의 위상을 갖는 위상 천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지연기(69)는 상기 제 2 증폭 신호를 지연시켜 제 2 지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3 결합기(68)는 상기 제 2 증폭 신호와 제 2 지연 신호를 결합하여 제 3 결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결합기(66)는 상기 위상 천이 신호와 제 3 결합 신호를 결합하여 제 2 혼변조 왜곡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득/위상 조절기(67)는 상기 제 2 혼변조 왜곡 신호의 이득과 위상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혼변조 왜곡 신호와 크기는 같고 위상이 반대인 제 3 혼변조 왜곡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 2 결합기(63)는 상기 제 2 지연 신호와 상기 제 3 혼변조 왜곡 신호를 결합하여 제 2 결합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선형 전력 증폭기(61)이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전력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고출력 종단 증폭기(64)는 상기 입력 신호(도 5a)가 상기 제 1 지연기(62)를 통해 출력된 제 1 지연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증폭 신호(도 5b)를 출력되는데, 해당 제 2 증폭 신호는 상기 제 1 지연 신호에 대한 제 1 증폭 신호와 함께 제 1 혼변조 왜곡 신호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위상 천이기(65)는 상기 입력 신호를 반대 위상으로 천이하여 위상 천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고출력 종단 증폭기(64)가 최초 동작한 경우, 상기 제 1 결합기(66)가 상기 위상 천이 신호와 제 3 결합 신호를 결합하면, 상기 위상 천이 신호가 상기 제 2 증폭 신호 중 제 1 증폭 신호를 제거 하게되므로, 결국 해당 제 1 결합기(66)는 제 2 혼변조 왜곡 신호(도 5c)만을 출력한다.
그러면, 일종의 가변 감쇠기인 이득 조절기와 위상 천이기로 구성된 이득/위상 조절기(67)는 상기 제 2 혼변조 왜곡 신호의 이득과 위상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혼변조 왜곡 신호와 크기는 같고 위상이 반대인 제 3 혼변조 왜곡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 1 지연기(62)는 상기 위상 천이기(65), 제 1 결합기(66) 및 이득/위상 조절기(67)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제 1 지연 신호가 상기 제 3 혼변조 왜곡 신호와 동일한 시간에 상기 제 2 결합기(63)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기(63)는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 1 지연기(62)를 통해 출력된 상기 제 1 지연 신호와 상기 제 3 혼변조 왜곡 신호를 결합하여 제 2 결합 신호를 상기 고출력 종단 증폭기(64)로 출력하고, 해당 고출력 종단 증폭기(64)는 상기 제 1 지연 신호와 제 3 혼변조 왜곡 신호로 구성된 제 2 결합 신호를 증폭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지연 신호를 증폭하면서 발생된 제 1 혼변조 왜곡 신호는 크기는 같고 위상이 반대인 제 3 혼변조 왜곡 신호에 의해 상쇄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고출력 종단 증폭기(64)는 상기 제 3 증폭 신호(도 5d)를 출력한다. 결국, 선형 전력 증폭기(61)의 출력은 혼변조 왜곡 신호가 상쇄되어 제거된 증폭 신호이다.
종래의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FA별, 섹터별로 송수신부의 송수신기와 선형 전력 증폭부의 선형 전력 증폭기가 1:1로 할당되거나 1~2FA에 하나의 선형 전력 증폭기가 할당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해당 FA별, 섹터별로 선형 전력 증폭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해당 선형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에 의해 나타나는 혼변조 왜곡 성분(IMD : 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선형 전력 증폭기의 많은 부분을 전력 증폭 선형화하는데 할당해야 하며 그에 따른 비용 또한 선형 전력 증폭기의 수 많큼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에서 종래의 송수신부를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부로 교체하고 종래의 선형 전력 증폭기로 이루어진 선형 전력 증폭부를 일반 전력 증폭기로 이루어진 전력 증폭부로 교체하여 RF 송신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를 종래 처럼 선형 전력 증폭부에서 하지 않고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부에서 함으로써, 전력 증폭의 신뢰성을 높이고 고가의 선형 전력 증폭기 사용으로 인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은 채널 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입력된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피드백받아 해당 채널 신호와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RF 변환한 복합 채널 신호와 원래의 채널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원래의 채널 신호를 선형화하는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와; 상기 선형화된 원래의 채널 신호를 증폭하거나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력 증폭기를 구비하는 상기 전력 증폭부와;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피드백하는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은 기지국(200)내에 구비되고 해당 기지국(200)에서 이동단말기로 보낼 CDMA 신호를 선형화하여 고전력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방사하는 것으로, 기지국 제어부(110), 채널 앨리먼트 뱅크부(120), 채널 제어부(130),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 분배기(150), 전력 증폭부(160), 결합기(170), 전단부(180) 및 커플러(Coupler)(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 제어부(110)는 기지국(200)의 각 유닛 전체를 제어하며 각종 알람(Alarm) 등을 수집하여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것으로, 여러 기지국과 연결되며 각각의 기지국에서 올라온 셀간 핸드오프(Hand-off) 처리, 호제어, 기지국의 운영과 유지보수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채널 앨리먼트 뱅크부(120)는 상기 기지국(100)내에서 CDMA채널을 처리하는 블록으로서 각 채널의 호처리 및 RF 블록과의 정합을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블록인데, 보통 여러 유닛의 채널카드들이 하나의 뱅크를 이루어 동작한다. 해당 채널 앨리먼트 뱅크부(120)는 채널 신호인 트래픽(Traffic) 신호에 대해 CDMA 디지털 기저대역 처리를 하여 상기 채널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상기 채널 제어부(130)는 상기 채널 신호를 상기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로 출력하는 것으로, 송신 신호의 기저대역 디지털 결합 및 수신 신호의 패리티 검사(Parity Check)를 수행한다.
상기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는 상기 채널 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입력된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이 왜곡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피드백받아 해당 채널 신호와 해당 증폭 왜곡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왜곡이 보상된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RF 변환하여 해당 변환된 채널 신호와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로 구성된 복합 채널 신호 상기 분배기(150)로 출력하여 상기 원래의 채널 신호를 선형화한다.
상기 분배기(150)은 상기 복합 채널 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부(160)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상기 전력 증폭부(160)는 다수의 전력 증폭기(161-1,161-2,…,161-n)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선형화된 원래의 채널 신호를 고출력 증폭하거나 상기 원래의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상기 결합기(17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증폭기(161)로 보통 고출력 전력 증폭기(HPA : High Power Amplifier)가 많이 사용한다.
상기 결합기(170)는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 또는 왜곡 없는 증폭 채널 신호를 상기 전단부(180)로 출력한다.
상기 커플러(190)는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상기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로 피드백한다.
상기 전단부(180)는 RF 송수신 기능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증폭 신호를 필터링하여 안테나로 전달하는데, 송수신 신호의 필터링, 수신 신호의 저잡음 증폭 및 수신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능을 담당한다. 안테나에서 방사된 송신 신호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증폭부(160)의 각 전력 증폭기(161)가 상기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로부터 입력된 RF 입력 신호인 채널 신호(도 5a)를 증폭하면, 해당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신호와 해당 전력 증폭기(161)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한 혼변조 왜곡 신호로 구성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도 5b)를 출력한다. 이러한 전력 증폭부(160)의 증폭 왜곡 채널 신호는 상기 결합기(170)를 통해 상기 커플러(190)를 통해 상기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로 피드백되어 전달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있어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는 디지털 전치 왜곡기(Pre-Distorter)(14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142), 다중 FA 송수신기(143), 선형화 알고리즘/DSP(Digital Signal Processor) 제어부(144),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145) 및 RF 하향 변환기(RF Down Converter)(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RF 하향 변환기(146)는 상기 커플러(190)로부터 피드백되어 전달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하향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5)는 상기 하향 변환된 증폭 왜곡 채널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한다.
상기 선형화 알고리즘/DSP 제어부(144)는 상기 채널 제어부(130)에서 입력된 원래의 채널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5)에서 디지털 변환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비교하고 선형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를 수행해 해당 전력 증폭기(161)의 왜곡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디지털 왜곡 특성 보상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 전치 왜곡기(141)는 상기 원래의 채널 신호와 상기 디지털 왜곡 특성 보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왜곡을 보상한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42)는 상기 입력된 원래의 채널 신호와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에 대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한다.
상기 다중 FA 송수신기(143)는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원래의 채널 신호와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RF 변환을 하여 해당 아날로그 변환된 채널 신호와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로 구성된 복합 채널 신호를 상기 분배기(150)를 통해 상기 전력 증폭부(160)의 각 전력 증폭기(161)로 출력한다. 종래의 송수신기(41)는 한 유닛이 한 FA 신호만을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중 FA 송수신기(143)는 상기 채널 제어부(13)에서 입력되는 채널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2FA 이상의 CDMA RF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전력 증폭기(161)는 내부에 선형화 수단이 없는 단순한 전력 증폭기이지만 상기 입력된 복합 채널 신호가 이미 해당 전력 증폭기(161)의 비선형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성분, 즉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가지고 있는 때문에 마치 종래의 선형 전력 증폭기(61)의 출력과 동일하게 원래의 채널 신호의 증폭으로 인한 혼변조 왜곡 신호가 해당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에 의해 상쇄되어 제거된 증폭 신호를 출력한다(도 5d).
결국. 종래의 선형 전력 증폭기(61) 각각의 내부에서 담당하고 있는 선형화 수단이 본 발명의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140)의 내부로 옮겨져 디지털 전치 왜곡기(141)와 선형화 알고리즘/DSP 제어부(144)의 동작에 의해 전력 증폭부(160) 각각의 전력 증폭기(161)가 마치 종래의 선형 전력 증폭기(61)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용 기지국에서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를 위해 선형화 수단을 종래 선형 전력 증폭기에 실장하지 않고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에 실장하여 선형 전력 증폭기 내부의 복잡한 선형화 회로를 없앰으로써, 고가의 선형 전력 증폭기 사용으로 인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장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선형 전력 증폭기의 신뢰성 및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을 높여 사업자에게는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인접된 주파수 채널간의 간섭을 제거하고 단말기 수신 복조성능을 향상시켜 서비스 질의 보장을 통해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 선형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전력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기지국 제어부 120 : 채널 앨리먼트 뱅크부
130 : 채널 제어부 140 :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
141 : 디지털 전치 왜곡기 142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143 : 다중 FA 송수신기 144 : 선형화 알고리즘/DSP 제어부
145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46 : RF 하향 변환기
150 : 분배기 160 : 전력 증폭부
161 : 전력 증폭기 170 : 결합기
180 : 전단부 190 : 커플러
200 : 기지국

Claims (4)

  1. 채널 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입력된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피드백받아 해당 채널 신호와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RF 변환한 복합 채널 신호와 원래의 채널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원래의 채널 신호를 선형화하는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와;
    상기 선형화된 원래의 채널 신호를 증폭하거나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력 증폭기를 구비하는 상기 전력 증폭부와;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피드백하는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FA 디지털 송수신기는,
    상기 원래의 채널 신호와 하향 변환되어 디지털 변환된 증폭 왜곡 채널 신호를 비교하고 선형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해 디지털 왜곡 특성 보상 정보를 출력하는 선형화 알고리즘/DSP 제어부와;
    상기 원래의 채널 신호와 상기 디지털 왜곡 특성 보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전치 왜곡기와;
    아날로그 변환된 상기 원래의 채널 신호와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RF 변환을 하여 상기 복합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 FA 송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왜곡 보상 채널 신호는,
    상기 증폭 왜곡 채널 신호에 대한 증폭 왜곡이 보상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왜곡 특성 보상 정보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왜곡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KR1020030070697A 2003-10-10 2003-10-10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KR20050034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697A KR20050034923A (ko) 2003-10-10 2003-10-10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697A KR20050034923A (ko) 2003-10-10 2003-10-10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923A true KR20050034923A (ko) 2005-04-15

Family

ID=3723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697A KR20050034923A (ko) 2003-10-10 2003-10-10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49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885B2 (en) Digitally convertible radio
US7962174B2 (en) Transceiver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base-stations
US7142615B2 (en) Distortion compensator
US8730786B2 (en) Remote radio head unit system with wideband power amplifier and method
CN102948081B (zh) 具有宽带功率放大器的远程射频头单元及方法
US6751447B1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circuit using output reference signal and method of operation
JP4299845B2 (ja) 送信機のピーク電力必要量を直交符号ノイズシェーピングによって低減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70015472A1 (en) Multimode transmitter, module, communication device and chip set
EP1111812A1 (en) Omni transmit and sectored receive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1534133A (zh) 一种无线收发信机
CN110740465A (zh) 多个无线通信装置共存的方法和系统
KR20130103732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다중대역 라디오 장치 및 방법
JP3618055B2 (ja) 携帯移動端末および送信装置
JP7279391B2 (ja) 電力増幅回路及びアンテナ装置
CN101272155B (zh) 时分双工模式数字预失真功放装置
JP3253085B2 (ja) 送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方法
EP2737631B1 (en) Wireless long term evolution radio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US20020155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distortion in a transmitter
Ferling et al. Power efficient transceivers to enable energy‐efficient mobile radio systems
EP1124324A1 (en) Method for linearizing, over a wide frequency band, a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power amplifier
US200302288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output power of a wireless signal
KR101235141B1 (ko) 이동 통신 무선 중계 장치 및 무선 중계 신호 처리 방법
KR20050052556A (ko) 하이브리드 결합기를 이용한 다중 경로 전력 증폭기
KR20050034923A (ko) 전력 증폭 선형화 제어 시스템
US200501368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call access r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