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961A -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961A
KR20050033961A KR1020030069677A KR20030069677A KR20050033961A KR 20050033961 A KR20050033961 A KR 20050033961A KR 1020030069677 A KR1020030069677 A KR 1020030069677A KR 20030069677 A KR20030069677 A KR 20030069677A KR 20050033961 A KR20050033961 A KR 2005003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imag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 source
source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930B1 (ko
Inventor
임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6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930B1/ko
Priority to US10/960,313 priority patent/US7511859B2/en
Publication of KR2005003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8Processing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81Encryption; Ciph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자일련번호나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이후에 촬영 영상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수단; 획득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수단;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영상신호 부호화수단;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수단에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되어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되,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하도록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insert source information of a image data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자일련번호나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개인정보)를 삽입하여, 이후에 촬영 영상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최대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더 많은 부가 기능을 수행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최근에 카메라폰이 출시되었고, 사용자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폰의 오·남용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카메라폰은 휴대폰에 카메라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휴대폰으로 목욕탕이나 수영장 등에서 몰래카메라로 사용되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부는 카메라폰의 불법적인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카메라폰으로 사진 촬영시, 빛을 발산하거나 신호음을 내도록 하여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현재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적극 유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의 정책 취지에 발맞추어 보다 효율적으로 카메라의 불법 촬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자일련번호나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개인정보)를 삽입하여, 이후에 촬영 영상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수단; 획득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수단;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영상신호 부호화수단;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수단에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되어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되,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하도록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제 1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신호를 부호화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하는 제 2 단계; 및 특정인이 상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된 영상신호로부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추출하여 영상데이터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된 영상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는, 기지국을 통하여 타 무선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1),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마이크)(12), 각종 기능키와 숫자키들을 구비하고 있어 무선통신 단말기에 정보(전화번호, 신상정보 등)를 입력하고, 특히 카메라 조작에 필요한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는 키 입력부(13),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전자일련번호 또는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출처확인정보 저장부(14),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획득함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전기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부(15), 영상신호 입력부(15)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전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부호화하기 위한 영상신호 부호화부(16), 영상신호 부호화부(16)에서 부호화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디지털 데이터(부호화된 비트열)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신호 압축부(17), 상기 영상신호 압축부(17)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부호화된 비트열)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부(18), 영상신호 압축부(17)에서 압축되었던 디지털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부호화되기 전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복호화부(19), 복호화부(19)에서 복호화된 디지털 데이터 또는 그 외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영상신호 입력부(15)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전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부호화할 때, 상기 출처확인정보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도록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부(1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15)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15)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이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압축부(17)에서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방법으로는, 웨이브렛(wavelet),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프렉탈(fractal) 변환 방식 등이 이용된다. 이처럼, 디지털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것은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데이터량을 감소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데이터 저장부(18)의 저장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부가요소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1)에 의해 아날로그 전기 영상신호가 부호화될 때 삽입되는 출처확인정보는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아날로그 전기 영상신호를 촬영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소유주를 확인할 시,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출처확인정보(개인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처확인정보는 암호화되어 부호화됨으로 코딩 암호를 알지 못하면 출처확인정보를 알아내지 못한다. 따라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몰래 카메라로 이용될 시, 코딩 암호를 알고 있는 특정 업체(일예로 사이버 수사대, 프로그래밍 업체 및 정통부 등) 관계자는 불법으로 촬영된 영상이나 동영상의 출처를 알아낼 수 있어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현재, 통신 기능을 갖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한해 소유자 등록과정을 거치지만, 앞으로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또는 그외 영상 촬영이 가능한 기기를 소유하는데 있어서 등록과정을 거친다면 상기 각 기기들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촬영 영상이 인터넷이나 그외 통신망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유포되어도 영상에 삽입되어 있는 출처확인정보(개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영상이 누구에 의해 촬영된 것인지를 분명히 밝힐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예를 들어, 사람이나 동물 혹은 풍경 등)를 촬영한다(201). 이 때, 피사체의 영상(사진 또는 동영상)신호 즉, 광신호가 영상신호 입력부(15)로 입력된다. 그러면, 영상신호 입력부(15)는 입력받은 광신호를 아날로그 전기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 부호화부(16)로 전달한다(202).
그러면, 영상신호 부호화부(16)는 상기 아날로그 전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영상데이터)로 부호화하는데, 이 때 출처확인정보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전자일련번호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등)를 삽입한다(203). 즉,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헤더부분에 암호화되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부호화된 출처확인정보(개인정보)는 이후,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촬영된 영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렇게, 부호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코딩 암호를 알고 있는 사이버 수사대 또는 지정된 프로그래밍 업체 및 정통부 관계자에 의해 출처가 확인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 압축부(17)에 의해 압축되어 디지털 데이터 저장부(18)에 저장된다(204).
이로써,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촬영자의 개인정보와 같은 출처확인정보의 삽입이 완료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에서 출처확인정보 추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코딩(부호화) 암호를 알고 있는 사이버 수사대 또는 지정된 프로그래밍 업체 및 정통부 관계자는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불법적인 영상데이터(디지털 영상신호)를 복호화한다(301).
이후, 상기 복호화된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출처확인정보(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촬영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전자일련번호 또는/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등)를 추출한다(302).
이후, 상기 추출된 출처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이버 수사대 또는 지정된 프로그래밍 업체 및 정통부 관계자가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303).
일반적으로 코딩(부호화) 암호를 알면 큰 어려움없이 디코딩(복호화)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촬영된 영상에 촬영자의 개인정보와 같은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촬영된 영상이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한 영상일 경우, 촬영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자로 하여금 자신이 촬영한 영상에 자신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는 점을 인지시켜, 간접적으로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영상을 촬영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에서 출처확인정보 추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무선 송수신부 12 : 음성 입력부
13 : 키 입력부 14 : 출처확인정보 저장부
15 : 영상신호 입력부 16 : 영상신호 부호화부
17 : 영상신호 압축부 18 : 디지털 데이터 저장부
19 : 복호화부 20 : 디스플레이부
21 : 제어부

Claims (6)

  1.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수단;
    획득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수단;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영상신호 부호화수단;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수단에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되어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되,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부호화할 때,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하도록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수단에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되어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제 2 저장수단에 저장하기 위한 영상신호 압축수단
    을 더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는,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전자일련번호 또는 촬영 기기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4.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제 1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신호를 부호화시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하는 제 2 단계; 및
    특정인이 상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된 영상신호로부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를 추출하여 영상데이터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된 영상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가 삽입된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출처확인정보는,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전자일련번호 또는 촬영 기기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출처확인 방법.
KR1020030069677A 2003-10-07 2003-10-07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KR10054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77A KR100549930B1 (ko) 2003-10-07 2003-10-07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US10/960,313 US7511859B2 (en) 2003-10-07 2004-10-06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for inserting watermark data into image data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77A KR100549930B1 (ko) 2003-10-07 2003-10-07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61A true KR20050033961A (ko) 2005-04-14
KR100549930B1 KR100549930B1 (ko) 2006-02-06

Family

ID=3438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77A KR100549930B1 (ko) 2003-10-07 2003-10-07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11859B2 (ko)
KR (1) KR100549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81B1 (ko) * 2006-12-26 2008-09-05 엔에이치엔(주)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51B1 (ko) * 2004-12-27 201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서비스 방법
US8280098B2 (en) * 2005-05-19 2012-10-02 Uti Limited Partnership Digital watermarking CMOS sensor
US7688994B2 (en) * 2005-05-19 2010-03-30 Uti Limited Partnership Digital watermarking CMOS sensor
US9224145B1 (en) 2006-08-30 2015-12-29 Qurio Holdings, Inc. Venue based digital rights using capture device with digital watermarking capability
US9280773B1 (en) 2006-08-30 2016-03-08 Qurio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irst party rights to content captured by third parties
US7774023B2 (en) * 2007-03-26 2010-08-10 Kyoce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device information with digital images
US20090034862A1 (en) * 2007-07-31 2009-02-05 Brown Patrick M System and Method for Image Profiling
US10033779B2 (en) 2009-07-08 2018-07-24 Dejero Labs Inc. Multipath data streaming over multiple wireless networks
US10117055B2 (en) 2009-07-08 2018-10-30 Dejero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s on vehicles
US8942215B2 (en) 2010-07-15 2015-01-27 Dejero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from a wireless mobile device over a multipath wireless router
US9756468B2 (en) 2009-07-08 2017-09-05 Dejero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s on vehicles
US10165286B2 (en) 2009-07-08 2018-12-25 Dejero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encoder adjustment based on transport data
CN103377234A (zh) * 2012-04-26 2013-10-3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中添加水印的方法及系统
CN104980278B (zh) 2014-04-14 2018-11-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验证生物特征图像的可用性的方法和装置
US20160048697A1 (en) * 2014-08-18 2016-02-18 Spatial Digital Systems, Inc. Enveloping and de-enveloping for Digital Photos via Wavefront Muxing
US11683415B2 (en) * 2021-04-13 2023-06-20 First Orion Corp. Providing enhanced call content to a mobile device
US11570295B2 (en) 2021-04-13 2023-01-31 First Orion Corp. Providing enhanced call content based on call number association
US11792240B2 (en) 2021-04-13 2023-10-17 First Orion Corp. Enhanced call content delivery with message code
US11622039B2 (en) 2021-04-13 2023-04-04 First Orion Corp. Providing enhanced call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2178A1 (en) * 2000-01-13 2001-07-19 Digimarc Corporation Authenticating metadata and embedding metadata in watermarks of media signals
JP3907439B2 (ja) 2001-10-26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81B1 (ko) * 2006-12-26 2008-09-05 엔에이치엔(주)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11859B2 (en) 2009-03-31
US20050073725A1 (en) 2005-04-07
KR100549930B1 (ko) 2006-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930B1 (ko) 영상데이터의 출처확인정보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US7657056B2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hotographer of an image
JP4646734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WO2005112438A1 (ja) 画像処理装置
KR100835372B1 (ko) 네트워크 카메라 촬영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10067992A (ko) 배경화상 추출 및 삽입이 가능한 동화상 제공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경화상 분리 방법
CN100401736C (zh) 识别图像的拍摄者的设备
CN1997185A (zh) 可接收水印信息的移动通信终端及其系统与水印嵌入方法
US7129969B2 (en) Telephone unit having telephone directory with picture data and method for generating telephone directory with picture data
JP2007047931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5759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섬네일 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JP2000278658A (ja) 携帯テレビ電話端末
JP4841687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の認証情報登録方法
JP2010161785A (ja) 認証方法及び認証処理装置
JP2000184050A (ja) 携帯テレビ電話端末
JP2005182629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49304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575756B1 (ko) 통신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동작 제한 장치 및 방법
KR100895075B1 (ko) 불법 촬영 방지를 위한 카메라폰의 워터마크 은닉 및 검출방법
JP3792242B2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画像撮影方法
KR100539793B1 (ko) 휴대폰의 폰북영상 처리 방법
JP2006325166A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装置、情報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14125A (ko) 카메라폰의 촬영 영상에 사용자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및방법
JP2004032228A (ja) 映像配信システム
Park et al. Hypermedia Applications with Transcoding Robust Data Embed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