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714A -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714A
KR20050033714A KR1020030069560A KR20030069560A KR20050033714A KR 20050033714 A KR20050033714 A KR 20050033714A KR 1020030069560 A KR1020030069560 A KR 1020030069560A KR 20030069560 A KR20030069560 A KR 20030069560A KR 20050033714 A KR20050033714 A KR 20050033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spension
dive
hydraulic cylinde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3714A/ko
Publication of KR2005003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4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ccelerat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4Pitch; Nose d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2Braking, st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는, 차륜의 내측에는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 및 쇽 업소바가 각각 취부된 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바(6)의 상단에는 차량의 감속정도에 따라 차량의 뒤쪽 높이를 조절하도록 유압실린더(1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감속정도에 따라 차량의 뒤쪽 높이를 조절하므로써 승차감을 향상하면서 제동시 다이브현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anti-dive suspensio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후, 상하 및 좌우 축을 각각 X, Z 및 Y축이라고 하는데, 이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을 각각 롤(Roll), 요(Yaw) 및 피치(Pitch)라고 한다. 차량의 승차감과 조안성을 향상시키려면 각 회전운동량이 적고 그 가속도가 적게 발생해야 한다.
상기 롤, 요 및 피치 중에서 피치 운동은, 일반 주행시에는 플랫(Flat)성, 제동시에는 다이브(Dive)성, 가속시에는 리프트(Lift)성으로 나타낸다. 상기 플랫성과 다이브성 및 리프트성 중에서 운전자에게 가장 불쾌감을 주며 조안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이 제동시 발생하는 다이브(Dive)성이다.
즉, 제동시 종방향 하중 이동에 의해 차량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제동 다이브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제동 다이브 현상을 막기 위해 종래에는 유효 트레일링 아암의 피벗을 적절한 점에 위치시켜 제동 다이브 현상을 줄이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제동시 감속정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링크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나쁘며, 완전한 앤티 다이브 실현을 위한 피벗시 가속시에 앞쪽이 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속정도에 따라 차량의 높이를 조절하므로써 승차감을 향상하면서 제동시 다이브현상을 줄이는 차량의 앤티 다이브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는, 차륜의 내측에는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 및 쇽 업소바가 각각 취부된 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바의 상단에는 차량의 감속정도에 따라 차량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후륜 현가장치의 쇽 업소바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차량높이센서의 신호에 따라 ECU의 제어에 따라 제어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2)의 내측에는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4) 및 쇽 업소바(6)가 각각 취부되어 있고, 트레일링 아암(8) 등 다양한 현가 아암류가 구비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쇽 업소바(6)의 상단에는 유압실린더(12)가 취부되어 차체(1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12)에는 유압펌프(16)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이 솔레노이드 밸브(18)의 작동에 따라 공급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앤티 다이브 현가장치의 작용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22)에서 유압 실린더(12)로 흘러가는 단위시간 당의 유량을 센서로 측정하게 되는데, 마스터 실린더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ECU(24)로 보내면 ECU(24)는 솔레노이드 밸브(18)를 개방하여 유압 실린더(1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차량 높이 센서(26)가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여 ECU(24)에 피드 백하게 되는데, 상기 ECU(24)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센서에 의한 유량 감지 신호와 상기 차량 높이 센서(26)에 의한 차량 높이를 입력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8)을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2)를 작동시킨다..
즉, 제동시에는 상기 ECU의 제어에 따라 유압실린더(12)가 수축하게 되어 차량의 무게 중심이 낮아져 제동 다이브 현상을 줄이게 된다. 또한 제동시 차량이 수평을 유지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안전감을 느낄 수 있다.
차량의 현가장치에는 전륜측에 설치되는 전륜 현가장치와 후륜측에 설치되는 후륜 현가장치가 있는데, 전륜 및 후륜의 내측에는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 및 쇽 업소바가 각각 취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는 전륜 현가장치의 쇽 업소바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륜 현가장치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할 경우에는 앤티 다이브 현상을 줄이는데 는 효과적이지만 감속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로 전해져서 승차감이 나빠지게 되므로 유압실린더는 후륜 현가장치의 쇽 업소바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륜 현가장치의 쇽 업소바에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설치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감속에 의한 힘을 차체가 받지 않아도 되므로 승차감이 좋아진다. 즉, 실린더가 수축하기 때문에 제동시 종방향 하중 이동에 대해 저항력을 발생치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차량의 뒤쪽 높이가 조절되므로 제동시 전륜 현가장치에서의 관성에 대한 저항력을 줄이면서 앤티다이브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승차감이 증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에 의하면, 감속정도에 따라 차량의 높이를 조절하므로써 승차감을 향상하면서 제동시 다이브현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앤티 다이브 현가장치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앤티 다이브 현가장치의 작용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스프링 6 : 쇽 업소바
12 : 유압 실린더 16 : 유압 펌프
18 : 솔레노이드 밸브 22 : 마스터 실린더
24 : ECU 26 : 차량 높이 센서

Claims (3)

  1. 차륜의 내측에는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 및 쇽 업소바가 각각 취부된 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바의 상단에는 차량의 감속정도에 따라 차량의 뒤쪽 높이를 조절하도록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후륜 현가장치의 쇽 업소바의 상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차량높이센서의 신호에 따라 ECU의 제어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KR1020030069560A 2003-10-07 2003-10-07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KR20050033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560A KR20050033714A (ko) 2003-10-07 2003-10-07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560A KR20050033714A (ko) 2003-10-07 2003-10-07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714A true KR20050033714A (ko) 2005-04-13

Family

ID=3723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560A KR20050033714A (ko) 2003-10-07 2003-10-07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37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702A (en) Anti-pitch suspension
US20060091635A1 (en) Closed pneumatic synchronization system for independent suspensions
US4484767A (en) Anti-sway suspension
US20080051958A1 (en) Process For Controlling And Regulating An Active Chasis System
CN104553666A (zh) 悬架装置
JP2009143569A (ja) 自動車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CN104773045A (zh) 组合弹簧补偿悬挂装置
EP1562765B1 (en) Air spring stiffness controller
CN204196652U (zh) 一种防侧倾的车辆悬架结构
CN114228845A (zh) 一种悬置装置及其控制方法、车辆和工程机械
CN204726180U (zh) 车辆及其横向稳定杆系统
US11524541B2 (en)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off-road vehicles
CN206030992U (zh) 一种汽车的悬挂机构
CN204674327U (zh) 组合弹簧补偿悬挂装置
KR20050033714A (ko)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CN205326734U (zh) 一种汽车悬架平衡装置
JP2019026195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10217735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100514881B1 (ko) 차량의 앤티다이브 현가장치
JP3509045B2 (ja) キャブ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15097712A1 (en) Very low jerk and low cost vehicle suspension
CN218054780U (zh) 舒适性高的汽车前悬挂
KR10144879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CN113531032B (zh) 一种缓冲块高度动态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578158Y (zh) 空气悬挂式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