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776A -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776A
KR20050032776A KR1020030068732A KR20030068732A KR20050032776A KR 20050032776 A KR20050032776 A KR 20050032776A KR 1020030068732 A KR1020030068732 A KR 1020030068732A KR 20030068732 A KR20030068732 A KR 20030068732A KR 20050032776 A KR20050032776 A KR 20050032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unit
primary
sid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연
김동섭
이준배
인형식
Original Assignee
휴먼엘텍 주식회사
김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엘텍 주식회사, 김천연 filed Critical 휴먼엘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2776A/ko
Publication of KR2005003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7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급전원을 부하 측에 전달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을 포함한 전원설비에 있어서, 전원설비의 1차측 전원라인에 전원 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1차측전원검출부, 전원설비의 2차측 전원라인에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2차측전원검출부, 각 1, 2차측 전원검출부로부터 출력된 각 신호의 순서에 따라 접속결함을 판단하여 트리거신호를 발생하여 전원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Apparatus for Miswiring detection of Circuit Break}
본 발명은 차단기(Circuit Break) 또는 리셉터클(Receptacle)과 같은 전원설비에 있어서, 상기 전원설비의 입력측의 소스(Source)측과 부하(Load)측의 접속이 바뀌었을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접속결함(miswiring)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빌딩 등에는 전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배선용 차단기를 사용한다. 배선용 차단기는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 등이 정격이상으로 초과하여 위험이 발생할 경우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동작한다.
즉, 부하를 사용하는 중에 전류가 정격 이상으로 초과되면, 차단기 내부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전류보다 높게 되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하여 내부의 바이메탈이 만곡되어 회로가 차단되며, 더 이상 전자제품 등의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부하 측에서 전동공구나 다른 금속 물건에 의하여 상간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회로가 차단된다. 이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고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이메탈이 열을 받아 전자제품 등의 부하가 동작하기 전에 내부의 자석을 동작시키고, 따라서 전자제품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고전류는 많은 자기장으로 발생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전자제품 내부의 자석이 동작되는 것이다. 누전 차단기는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중에 감전되었을 때, 이를 회로적으로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에는 이처럼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와 같은 전원설비는 만약 사용자가 그 입력인 소스단과 부하측의 출력단을 바꾸어 접속설치할 경우에는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의 전원설비에서 입력측과 부하측의 전원접속이 바뀌었을 경우 이를 검지하여 결함이 발생할 경우 트리거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는 공급전원을 부하 측에 전달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을 포함한 전원설비에 있어서, 상기 전원설비의 1차측 전원라인에 전원 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1차측전원검출부와, 상기 전원설비의 2차측 전원라인에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2차측 전원검출부와, 상기 각 1, 2차측 전원검출부로부터 출력된 각 신호의 순서에 따라 접속결함을 판단하여 트리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는 공급전원을 부하 측에 전달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을 포함한 전원설비에 있어서, 상기 전원설비의 1차측 전원라인에 전원 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1차측전원검출부와, 상기 전원설비의 2차측 전원라인에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2차측전원검출부와,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가 상기 2차측전원검출부 보다 전원인가신호가 먼저 출력됨 따라 2차측전원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를 클리어시키고,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 보다 2차측전원검출부에서 먼저 전원검출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2차측전원 검출신호가 마이콤에 입력되도록 하는 리세트부와, 상기 1차측전원의 접지결함 또는 아크결함을 검출하는 결함검출기와, 상기 결함검출기 또는 상기 2차측전원검출부로부터 결함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전원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설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1차측 공급전원을 2차측 부하에 전달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 등의 전원설비(101)와, 상기 전원설비(101)의 1차측 전원라인에 전원 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1차측전원검출부(110)와, 상기 전원설비(101)의 2차측 전원라인에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2차측 전원검출부(130)와, 상기 각 1, 2차측 전원검출부(110)(130)로부터 출력된 각 신호의 순서에 따라 접속결함을 판단하여 트리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1차측 전원검출부(110)는 1차측 전원라인의 전원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제 1 브리지다이오드(D1), 상기 제 1 브리지다이오드(D1)에서 정류된 전원신호를 설정된 RC(R1, C2) 시정수에 따라 적분하여 전원유무신호를 상기 마이콤(120)으로 출력하는 제 1 적분부(111)로 구성된다.
상기 2차측 전원검출부(130)는 2차측 전원라인의 전원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제 2 브리지다이오드(D2)와, 상기 제 2 브리지다이오드(D2)에서 정류된 전원신호를 설정된 RC 시정수(R2, C1)에 따라 적분하여 전원유무신호를 상기 마이콤(120)에 출력하는 제 2 적분부(131)와 상기 제 2 적분부(131)에서 출력된 전원유무신호를 광신호로 1, 2차측전원을 분리시키는 2단신호출력부(1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결함 검출장치는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 등의 전원설비의 입력전원은 소스단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만약 사용자가 부하측에 연결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차단기로서의 기능을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마이콤을 이용하여 누전감지 및 접속결함을 검출하도록 하며, 1차측과 2차측은 내압을 고려하여 포토커플러(U1)와 같은 2단소자의 특성을 가진 반도체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또한, 접지방식을 2중 접지방식으로 하여 1차측전원과 2차측전원회로를 분리하였다. 물론 공통접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이콤(120)은 1차측이 먼저 신호가 인입되었는지 아니면 2차측이 먼저 신호가 이입되었는지를 비교하여 접속결함을 판단하여 전원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트리거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1차측에 전원이 인가되면, 1차측 전원검출부(110)에서 전원공급여부를 검출한다. 즉, 브리지다이오드(D1)에서 인가된 전원을 정류시키고, 제 2 커패시터(C2), 제 3 저항(R1) 및 제 3 제너다이오드(D3)로 구성된 적분부(111)에 인가되어 RC시정수에 따라 적분된 신호를 마이콤(120)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RC시정수는 1차측 전원 검출신호가 정상궤도에 오르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 밀리초(ms) 이내로 동작하도록 구성을 한다.
한편, 2차측의 전원상태는 2차측 전원검출부(130)에서 검출하게 되는데, 제 2 브리지다이오드(D2)에서 검출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시키며, 이때, 브리지다이오드 이외에 반파정류기도 사용할 수 있다.
제 2 브리지다이오드(D2)에서 출력된 정류신호는 제 2 적분부(131)에서 RC(R2,C1)시정수에 의하여 적분출력 한다.
상기 제 2 적분부(131)에서 출력된 적분신호는 상기 2단신호출력부(140)를 통해 마이콤(12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1차측과 2차측에서 검출된 전원검출 신호는 마이콤(120)에 입력되어 1차측에서 먼저 전원이 입력되었는지 아니면 2차측에서 전원이 먼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1차측에서 전원이 먼저 인입되었다면 전원설비(101)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게되나, 2차측에서 먼저 전원이 인입되었다면, 전원설비의 전원공급단인 1차측전원과 부하측인 2차측의 접속이 바뀐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설비(101)를 제어하여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트리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전원설비(101) 동작제어 트리거신호는 결함표시부(160)를 구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접속결함을 경보하여 이를 조치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콤을 이용한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회로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방식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전원 인가시의 공급되는 공급전원(Vcc)에 의하여 마이콤(120)에 입력되는 2차측 전원검출신호(접속결함신호)를 입력 또는 접지단으로 패스시키는 리세트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이콤방식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는 상기 2단신호출력부(140)에서 출력된 2차측 전원검출신호는 리세트부(150)에 의하여 접지단으로 패스시키거나, 마이콤(120)으로 입력시켜 접속결함 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1차측전원이 2차측보다 먼저 인가됨에 따라 1차측 전원에 의하여 공급전원(Vcc)은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상기 2단신호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2차측 전원검출신호를 접지시킴으로, 상기 마이콤(120)은 2차측 전원검출신호 입력단에 로우레벨(Low)로 입력되어 전원설비가 정상적인 접속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2차측 전원이 먼저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리세트부(150)의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된 상태이므로, 상기 2단신호출력부(140)를 통해 마이콤(120)에 입력하여 접속결함으로 판단하여 결함표시부(160)를 통해 접속결함을 표시함과 아울러 전원설비(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3)는 실리콘정류제어기(SCR) 또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소자로 대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콤을 이용한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에서 2단신호출력부(140)를 제거한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도로서, 상기 2차측 전원검출부(130)의 제 2 적분부(131)로부터 출력된 2차측 전원검출신호를 마이콤(120)에 직접 입력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 2 적분부(131)에서 출력된 2차측 전원검출신호는 마이콤(120)에 입력되어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110)의 제 1 적분부(111)로부터 입력된 1차측 전원검출신호와 비교하여 접속결함 또는 정상접속을 판단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콤방식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에서 마이콤 대신 사용한 D플립플롭(121) 표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플립플롭(121)은 1차측전원검출부(110)에서 출력된 신호를 클럭(Clock)단에 입력시키고, 2차측전원검출부(130)에서 출력된 신호는 입력단(D)에 입력시켜 그 출력단(Q)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결함표시부(160) 및 전원설비(101)를 제어하도록 트리거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D플립플롭(121)뿐만 아니라, 다른 플립플롭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에서 리세트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를 추가한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110)에서 출력된 전압이 정전압부(112)를 통해 리플이 제거되어 일정전압으로 출력됨에 따라 이를 리세트부(150)에 공급하여 리세트부(150)의 동작을 구동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방식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전원을 부하 측에 전달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 등의 전원설비(101)와, 상기 전원설비(101)의 1차측 전원라인에 전원 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1차측전원검출부(110)와, 상기 전원설비(101)의 2차측 전원라인에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2차측전원검출부(130)와,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110)가 상기 2차측전원검출부(130) 보다 전원인가신호가 먼저 출력됨 따라 2차측전원검출부(130)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를 클리어시키고,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110) 보다 2차측전원검출부(130)에서 먼저 전원검출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이를 접속결함신호로 출력시키는 리세트부(151)와, 상기 1차측전원의 접지결함 또는 아크결함을 검출하는 결함검출기(120)와, 상기 결함검출기(120) 또는 상기 2차측전원검출부(130)로부터 결함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전원설비(10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설비제어부(1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는 1차측전원이 먼저 인입된 경우에는 정상적인 접속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110)의 제 1 적분부(111)에서 출력된 1차측 전원검출신호는 리세트부(151)를 구동시켜 2차측전원검출부(130)로부터 출력된 2차측 전원신호를 접지측으로 패스시킨다.
여기서, 리세트부(151)의 구동은 1차측전원검출부(110)로부터의 1차측전원 신호가 트랜지스터(Q11)를 턴온시킴에 따라 공급전원(Vcc)에 의해 트랜지스터(Q12)를 턴온시켜 상기 2차측전원검출부(130)로부터의 전원검출신호를 바이패스시킨다.
따라서, 전원설비제어부(122)는 정상적인 접속결함으로 판단하여 트리거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만약 결함신호검출기(102)에서 접지 또는 아크결함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전원설비제어부(122)를 통해 전원설비(101)의 동작을 제어하함과 아울러 결함표시부(160)를 통하여 결함을 표시하게 된다.
만약, 2차측에 먼저 전원이 인입된 경우에는 2차측전원검출부(130)에서 이를 검출하게 되며 이때 리세트부(151)의 트랜지스터(Q12)는 턴오프되어 2차측 전원검출신호는 전원설비제어부(122)의 다이오드(D7)를 통해 트리거신호를 발생하여 전원설비(101)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결함표시부(160)를 통하여 결함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결함표시부(160)는 결함신호검출기(102)의 출력신호와 2차측전원검출부(130)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한 논리합(OR)게이트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7은 상기 도 6에서 리세트부의 트랜지스터(Q12)를 SCR로 교체한 경우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도이다. 그 외에 FET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저항(R11)의 저항값이 너무 클 경우 트랜지스터(Q11)의 오프셋에 의한 SCR이 동작할 수 있으므로 저항(R11)의 저항값은 작은 것으로 한다.
도 8은 상기 도 7에서 2차측전원검출부(130)의 출력단에 2단신호출력부(140)를 부가한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신호출력부(140)는 2차측 전원신호가 먼저 인가된 경우 포토커플러(U1)가 도통상태가 되고, 리세트부(152)의 SCR이 턴오프되어 있으므로, 포토커플러(U1)를 통해 출력된 2차측 전원검출신호가 전원설비제어부(122)에 인가되어 접속결함 트리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결함 트리거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전원설비제어부(101)의 동작을 제어하고, 결함표시부(160)를 통해 접속결함을 경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원설비의 입출력단자를 바꾸어 접속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방식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측전원검출부(130)를 직류(DC)전압검출부로 구성한 것이다.
즉, 2차측부하 전원라인에 인가된 교류전원을 반파정류시키는 다이오드(D9)와, 상기 다이오드(D9)에서 정류된 전류를 RC시정수에 의하여 전압분배하도록 직렬연결된 저항 및 커패시터(R16, C11)와, 상기 커패시터(C11)에 병렬연결되어 회로를 과전압으로 보호하는 제어다이오드(D14)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저항 및 커패시터(R16, C11)에 의해 분배된 전압은 상기 전원분리부(140)를 통하여 접속오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세트부(150)와 전원분리부(140)에 공급되는 전압은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정전압부(112)를 통해 공급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1, 2차측전원검출부와 마이콤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는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 등의 전원설비의 연결에 있어서, 입력전원이 소스측에 연결되지 않고 부하측에 연결되었을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전원설비를 접속결함에 따른 파괴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리세트부를 부가함에 따른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2단신호출력부가 제거된 경우에 따른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마이콤을 대체할 수 있는 플립플롭 표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리세트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를 추가한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리세트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2단신호출력부를 제거한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에서 2차측전원검출부, 리세트부 및 그 전원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전원설비 102 : 결함신호검출기
110, 130 : 1, 2차측전원검출부 111, 131 : 제 1, 제 2 적분부
112 : 정전압부 120 : 마이콤
121 : D플립플롭 122 : 전원설비제어부
130 : 2차측 전원검출부 139 : 직류전압검출부
140 : 2단신호출력부 150, 151, 152 : 리세트부
160 : 결함표시부

Claims (20)

  1. 공급전원을 부하 측에 전달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을 포함한 전원설비에 있어서,
    상기 전원설비의 1차측 전원라인에 전원 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1차측전원검출부;
    상기 전원설비의 2차측 전원라인에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2차측전원검출부; 및
    상기 각 1, 2차측 전원검출부로부터 출력된 각 신호의 순서에 따라 접속결함을 판단하여 트리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전원검출부는 1차측 전원라인의 전원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 및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에서 정류된 전원신호를 설정된 RC(R1, C2) 시정수에 따라 적분하여 전원유무신호를 상기 마이콤에 출력하는 제 1 적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전원검출부는 2차측 전원라인의 전원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 및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에서 정류된 전원신호를 설정된 RC 시정수(R2, C1)에 따라 적분하여 전원유무신호를 상기 마이콤에 출력하는 제 2 적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분부에 부가하여 상기 제 2 적분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1차측전원부와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마이콤에 접속결함신호를 출력하는 2단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단신호출력부는 상기 제 2 적분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광신호로 전달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단신호출력부에 부가하여 상기 1차측전원이 먼저 인입됨에 따라 2차측에서 인입되는 신호를 리세트시키고, 2차측에서 먼저 신호가 인입됨에 따라 1차측신호가 인입되기 전에 접속결함신호를 발생하도록 마이콤에 2차측 전원검출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리세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부는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에 의한 공급전원을 정전압시켜 상기 리세트부를 구동하는 정전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에 부가하여 접속결함이 발생할 경우 이를 경보하는 접속결함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입력단에 2차측 전원인입신호, 클럭단에 1차측전원 인입신호, 출력단에 접속결함 판단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0. 공급전원을 부하 측에 전달하기 위한 차단기 또는 리셉터클을 포함한 전원설비에 있어서,
    상기 전원설비의 1차측 전원라인에 전원 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1차측전원검출부;
    상기 전원설비의 2차측 전원라인에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2차측전원검출부;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가 상기 2차측전원검출부 보다 전원인가신호가 먼저 출력됨 따라 2차측전원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를 클리어시키고,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 보다 2차측전원검출부에서 먼저 전원검출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이를 접속결함신호로 출력시키는 리세트부;
    상기 1차측전원의 접지결함 또는 아크결함을 검출하는 결함검출기;
    상기 결함검출기 또는 상기 2차측전원검출부로부터 결함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전원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설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는 1차측 전원라인의 전원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 및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에서 정류된 전원신호를 설정된 RC(R1, C2) 시정수에 따라 적분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리세트부를 구동하는 제 1 적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부는 상기 1차측전원검출부에 의한 공급전원을 정전압시켜 상기 리세트부를 구동하는 정전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전원검출부는 2차측 전원라인의 전원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 및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에서 정류된 전원신호를 설정된 RC 시정수(R2, C1)에 따른 적분신호를 상기 리세트부에 의하여 상기 전원설비제어부로 출력하는 제 2 적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전원검출부는 2차측전원라인에 인가된 교류전원을 반파정류시키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에서 정류된 전류를 RC시정수에 의하여 전압분배하도록 직렬연결된 저항 및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에 병렬연결되어 회로를 과전압으로 보호하는 제어다이오드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분부에 부가하여 상기 제 2 적분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1차측전원부와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마이콤에 접속결함신호를 출력하는 2단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단신호출력부는 상기 제 2 적분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광신호로 전달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설비제어부는 상기 결함신호검출기 및 2차측전원검출부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논리합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에 부가하여 접속결함이 발생할 경우 이를 경보하는 접속결함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부는 상기 1차측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2차측전원 검출신호를 바이패스시키도록 턴온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부는 상기 1차측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2차측전원 검출신호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하는 실리콘제어정류기(SC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KR1020030068732A 2003-10-02 2003-10-02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KR20050032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32A KR20050032776A (ko) 2003-10-02 2003-10-02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32A KR20050032776A (ko) 2003-10-02 2003-10-02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776A true KR20050032776A (ko) 2005-04-08

Family

ID=3723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732A KR20050032776A (ko) 2003-10-02 2003-10-02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27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54B1 (ko) * 2010-05-19 2012-03-26 새턴정보통신(주) 차단기용 누설 전류 감지장치
KR101315072B1 (ko) * 2011-09-22 2013-10-08 동림지앤텍(주) 리프팅 마그네트 제어장치용 정전 및 결상 검출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54B1 (ko) * 2010-05-19 2012-03-26 새턴정보통신(주) 차단기용 누설 전류 감지장치
KR101315072B1 (ko) * 2011-09-22 2013-10-08 동림지앤텍(주) 리프팅 마그네트 제어장치용 정전 및 결상 검출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036B2 (en) Digital fault interrupter with self-testing capabilities
US7103486B2 (en) Device for monitoring a neutral and earth break and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US5065104A (en) Fault sensing with an artificial reference potential provided by an isolated capacitance effect
US7486492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trip circuit responding to failure of a first trip circuit to provide a repetitive signal
AU2004200271B2 (en) Earth leakage protection device and electrical switchgear unit comprising such a device
EP0513344A1 (en) Fail-resistant solid state interruption system
US5146386A (en) Electronic monitoring and redundant control circuit for a power switch
KR20110123965A (ko) 전기 선로 및 부하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전원 차단 장치
CA3004038C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isable a trip circuit during self test i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s
US5768077A (en) Earthing wire disconnection detection apparatus and leakage detection apparatus having an earthing wire disconnection detection function conductor
US10877105B1 (en) Testguard circuit
KR20050032776A (ko) 전원설비의 접속결함 검출장치
KR20040037767A (ko) 저압 1상용 과전압 누전차단기
US6556395B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for circuits operating with non-sinusoidal waveforms
US7265960B2 (en) Trip coil drive circuit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4271225A (ja) 漏電保護システムと漏電遮断器
JP3554675B2 (ja) 漏電警報機能付回路遮断器及び漏電遮断器
JP3157386B2 (ja) 地絡検出装置
JP2004015961A (ja) 三相欠相保護付漏電遮断器
JPH11299082A (ja) 過電圧保護機能付き漏電遮断装置
KR200203518Y1 (ko) 다기능 매립형 콘센트
EP1467460A2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il failure in an actuating solenoid of an electrical power switch
CN220139222U (zh) 安全故障保护装置、电连接设备和用电器
US20240097426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interruption devic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appliance
US5875641A (en) Contactor with solid state protection circuit for a vapor compressio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