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610A - 방송 서비스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 서비스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610A
KR20050032610A KR1020057002954A KR20057002954A KR20050032610A KR 20050032610 A KR20050032610 A KR 20050032610A KR 1020057002954 A KR1020057002954 A KR 1020057002954A KR 20057002954 A KR20057002954 A KR 20057002954A KR 20050032610 A KR20050032610 A KR 20050032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rame
cell
coding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763B1 (ko
Inventor
프란체스코 그릴리
두르가 피 말라디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226,058 external-priority patent/US7020109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226,059 external-priority patent/US7016327B2/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3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5Seria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아우터 디코더 및 인너 디코더는, 리던던시를 추가하여 보호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송신되는 일 블록의 정보를 인코딩한다. 그 리던던시는, 완전하게 인코딩된 블록의 정보 보다 작은 정보의 디코딩을 가능케 한다. 2 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동일한 콘텐츠에 대한 2 개의 송신물의 시간 재-정렬은 복제 프레임의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 가입자국의 사용자는, 방송 콘텐츠의 버퍼를 수신하면서 신규한 셀로 핸드오버할 경우에도, 콘텐츠의 반복없이도 끊김없는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서비스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CONTENT ON A BROADCAST SERVICES COMMUNICATION SYSTEM}
배경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송통신 (또는 점대 다중점 통신으로도 공지되어 있음) 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 본 발명은 그러한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아우터 디코더 (outer decoder) 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통신 시스템은 발신국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별개의 수신국으로의 정보 신호들의 송신을 가능케 하도록 개발되었다. 발신국으로부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송신할 시, 먼저, 정보 신호는 통신 채널을 통한 효율적인 송신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된다. 정보 신호의 변환 또는 변조는, 생성되는 변조 캐리어의 스펙트럼이 통신 채널 대역폭 내에서 국한되도록 정보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국에서는,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변조 반송파로부터 원래의 정보 신호가 복제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복제는 발신국에 의해 채용되는 변조 프로세스의 반전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변조는 공통 통신 채널을 통한 수개의 신호들의 다중접속 (즉, 동시에 발생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을 용이하게 한다.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은 종종 공통 통신 채널로의 연속적인 접속 대신에 비교적 짧은 지속기간의 간헐적인 서비스를 요구하는 복수의 가입자 유닛을 포함한다. 시분할 다중접속 (TDMA),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FDMA), 및 진폭변조 다중접속 (AM) 과 같이, 수개의 다중접속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또 다른 타입의 다중접속 기술은, 이하 IS-95 표준이라고 지칭하는 "듀얼-모드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셀룰러 시스템용 TIA/EIA/IS-95 이동국-기지국 호환 표준 (TIA/EIA/IS-95 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 에 부합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CDMA)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이다. CDMA 기술의 이용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위성 또는 지상 중계기를 이용하는 확산 스펙트럼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 (SPREAD SPECTRUM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TELLITE OR TERRESTRIAL REPEATERS)" 인 미국특허 제 4,901,307 호, 및 발명의 명칭이 "CDMA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서 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인 미국특허 제 5,103,459 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은 무선 또는 유선일 수도 있으며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반송할 수도 있다. 음성과 데이터를 모두 반송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 예는, 통신 채널을 통한 음성 및 데이터의 송신을 특징으로 하는 IS-95 표준을 따르는 시스템이다. 고정된 사이즈의 코드 채널 프레임 내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송신용 데이터의 포맷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ORMATTING OF DATA FOR TRANSMISSION)" 인 미국특허 제 5,504,773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IS-95 표준에 의하면, 데이터 또는 음성은, 14.4 Kbps 의 데이터 레이트 및 20 밀리초의 폭을 갖는 코드 채널 프레임으로 분할된다. 음성 및 데이터를 반송하는 통신 시스템의 추가적인 예는 문서번호 3G TS 25.211, 3G TS 25.212, 3G TS 25.213 및 3G TS 25.214 를 포함하는 문서 세트 (W-CDMA 표준), 또는 "cdma2000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용 TR-45.5 물리층 표준 (TR-45.5 Physical Layer Standard for cdma2000 Spread Spectrum Systems)"(IS-2000 표준) 에 구현되는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에 부합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데이터 전용 통신 시스템의 일 예는, 이하 IS-856 표준으로서 지칭되는 TIA/EIA/IS-856 산업 표준에 부합하는 고속 데이터 레이트 (HDR) 통신 시스템이다. 이 HDR 시스템은, 1997년 11월 3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TRANSMISSION)" 로 공동 계류 중인 미국특허 가출원 제 08/963,386 호에 개시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기초한다. HDR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 (AP) 가 가입자국 (액세스 터미널, AT) 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는 38.4 kbps 내지 2.4 Mbps 범위의 데이터 레이트의 세트를 정의한다. AP 가 기지국과 유사하기 때문에, 셀 및 섹터에 관한 용어는 음성 시스템에 관한 것과 동일하다.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사이에서의 통신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통하여 수행된다. 일 가입자국 상의 제 1 사용자는, 데이터를 역방향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함으로써 제 2 가입자국 상의 제 2 사용자와 통신한다. 기지국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다른 기지국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그 데이터는 동일한 기지국 또는 다른 기지국의 순방향 링크를 통하여 제 2 가입자국으로 송신된다.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국으로의 송신을 지칭하며, 역방향 링크는 가입자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지칭한다. 이와 유사하게, 일 가입자국 상의 제 1 사용자와 지상통신선국 상의 제 2 사용자 사이에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역방향 링크를 통하여 수신하며, 그 데이터를 공중 스위치 전화 네트워크 (PSTN) 를 통하여 제 2 사용자에게 라우팅한다. 예를 들어, IS-95, W-CDMA, IS-2000 과 같은 다수의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는 별도의 주파수를 할당받는다.
상술한 무선 통신 서비스는 점대점 통신 서비스의 일 예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방송 서비스는 점대 다중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방송 시스템의 기본 모델은, 일정한 콘텐츠 (예를 들어, 뉴스, 영화, 스포츠 이벤트 등) 를 갖는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사용자들의 방송 네트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방송 네트 사용자의 가입자국은 공통 방송 순방향 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중앙국은 콘텐츠를 확고하게 결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되전달하지 않는다. 방송 서비스 통신 시스템의 공통 사용에 대한 예는 TV 방송, 라디오 방송 등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매우 전문화된 목적으로 구축된 통신 시스템이다. 무선 셀룰러 전화 시스템의 최근의 진보로 인하여, 방송 서비스에 대한, 주로 점대점 셀룰러 전화 시스템의 종래의 인프라 구조를 이용하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셀룰러 주파수와 PCS 주파수 모두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함.)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는 종종 복수의 패킷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설명을 위하여, 패킷은, 데이터 (페이로드) 및 제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특정 포맷으로 배열되는 일군의 바이트이다. 제어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프리앰블 및 품질 메트릭을 포함한다. 품질 메트릭은, 예를 들어,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패리티 비트(들),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타입의 메트릭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패킷들은 통신 채널 구조에 따른 메시지로 포맷된다. 적절하게 변조되어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서 이동하는 메시지는 통신 채널의 특성 (예를 들어, 신호대 잡음비, 페이딩, 시간 분산, 및 기타 다른 특성) 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특성은 상이한 통신 채널에서 변조 신호에게 상이하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변조 신호의 송신은, 와이어형 통신 채널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또는 광학 케이블) 을 통한 변조 신호의 송신과는 다른 고려사항을 요구한다. 특정한 통신 채널에 적절한 변조를 선택하는 것에 더하여, 정보 신호를 보호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인코딩, 심볼 반복, 인터리빙,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방법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일 기술은 메시지 전달의 신뢰도와 오버헤드의 양 사이에서 생성되어야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정보 보호를 갖더라도,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 중 일부를 수신국이 디코딩 (이레이징 (erase)) 할 수도 있는 지점까지 통신 채널의 조건이 열화될 수 있다. 데이터 전용 통신 시스템에서, 해결방법은 수신국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재송신 요청 (ARQ) 을 이용하여 비-디코딩 패킷들을 수신국으로 재-송신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는 기지국으로 되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가입자가 ARQ 를 전달하도록 허용되더라도, 이러한 통신은 그 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정보 보호의 다른 수단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아우터 디코더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요약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은 아우터 디코더를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요구를 해결한다. 또한, 아우터 디코더의 이용은, 정확하게 수신되어야 하는 프레임의 갯수를 결정하고, 프레임의 결정된 갯수가 정확하게 수신되었을 때에 프레임의 수신을 종료함으로써 가입자국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아우터 디코더의 이용은, 제 1 섹터로부터 공통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프레임들을 가입자국에서 수신하고, 핸드오프에 대한 요구를 가입자국에서 결정하고, 제 1 섹터를 포함하는 소프트 핸드오프 그룹과는 상이한 소프트 핸드오프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가입자국에서 식별하고, 정확하게 수신되어야 하는 현재의 버퍼로부터의 프레임 갯수를 결정하고, 프레임의 결정된 갯수가 정확하게 수신되었을 때에 프레임의 수신을 종료하고,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섹터로부터의 프레임의 수신을 시작함으로써 공통 방송 채널을 통한 하드 핸드오프를 위한 개선된 방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아우터 디코더의 이용은, 발신 시스템에서 섹터로부터의 채널을 통한 서비스를 가입자국에서 수신하고, 핸드오프에 대한 요구를 가입자국에서 결정하고, 수신 시스템을 가입자국에서 식별하고, 정확하게 수신되어야 하는 현재의 버퍼로부터의 프레임의 갯수를 결정하고, 프레임의 결정된 갯수가 정확하게 수신되었을 때에 프레임의 수신을 종료하고, 수신 시스템의 주파수로 튜닝하고, 수신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섹터가 수신국에서 획득되면 적어도 하나의 섹터로부터의 채널을 통한 서비스를 수신함으로써 주파수간 (inter-frequency) 하드 핸드오프를 위한 개선된 방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아우터 디코더의 이용은, 송신 버퍼의 패리티부의 콘텐츠의 일부를 시그널링 정보와 대체하고, 결정된 시간에서의 송신 버퍼의 콘텐츠를 공통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함으로써 시그널링용 공통 방송 채널의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고속 방송 서비스 (HSBS) 통신 시스템의 개념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HSBS 에 대한 물리 채널과 논리 채널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종래의 인코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리층 프로세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송신 버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핸드오프 그룹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하드 핸드오프에 대한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은 가입자국이 2 개의 셀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경우에 핸드오프에 대한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는 가입자국의 수신 버퍼를 도시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정의
여기에서, "예시적인" 이라는 단어는 "예시, 예증 또는 실례로서 제공되는" 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하여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반드시 해석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점대점 통신이라는 용어는 전용 통신 채널을 통한 2 개의 가입자국들 간의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방송 통신 또는 점대 다중점 통신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가입자국이 일 소스로부터 통신을 수신하고 있는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패킷이라는 용어는 특정 포맷으로 배열되는 일군의 비트 (데이터 (페이로드) 및 제어 엘리먼트를 포함) 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제어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프리앰블, 품질 메트릭 등을 포함한다. 품질 메트릭은,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CRC, 패리티 비트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액세스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기지국 (BS) 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제어기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다중의 가입자국들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는, 회사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이, 액세스 네트워크 외부의 추가적인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액세스 단말기 및 그러한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가입자국들이 통신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셀은, 그 용어가 사용되는 콘텍스트에 의존하여 지리적인 커버리지 영역 또는 하드웨어를 지칭한다. 섹터는 셀의 분할체이다. 섹터는 셀의 속성을 갖기 때문에, 셀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사상은 섹터로 용이하게 확장된다.
여기에서, 가입자국이라는 용어는 액세스 네트워크가 통신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가입자국은 이동하거나 정지할 수도 있다. 가입자국은, 예를 들어, 광 섬유 또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유선 채널을 통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하여 통신하는 임의의 데이터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또한, 가입자국은 PC 카드, 콤팩트 플래시, 외부 또는 내부 모뎀, 또는 무선 또는 유선 전화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기지국과의 액티브 트래픽 채널 접속을 확립하는 프로세스에 있는 가입자국은 접속 셋업 상태에 있다고 한다. 기지국과의 액티브 트래픽 접속을 확립하였던 가입자국은 액티브 가입자국이라고 지칭되고 트래픽 상태에 있다고 한다.
여기에서, 물리 채널이라는 용어는 변조 특성 및 코딩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신호가 전파되는 통신 루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논리 채널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또는 가입자국의 프로토콜층 내의 통신 루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통신 채널/링크라는 용어는 콘텍스트에 따라 물리 채널 또는 논리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역방향 채널/링크라는 용어는 가입자국이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통신 채널/링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순방향 채널/링크는 기지국이 신호를 가입자국으로 송신하는 통신 채널/링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소프트 핸드오프라는 용어는, 각각이 상이한 셀에 속해 있는 2 개 이상의 섹터와 가입자국 사이의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역방향 링크 통신물은 2 개 모두의 섹터에 의해 수신되고, 순방향 링크 통신물은 2 개 이상의 섹터의 순방향 링크를 통하여 동시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소프터 핸드오프는, 각각이 동일한 셀에 속해 있는 2 개 이상의 섹터와 가입자국 사이의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역방향 링크 통신물은 2 개 모두의 섹터에 의해 수신되고, 순방향 링크 통신물은 2 개 이상의 섹터의 순방향 링크를 통하여 동시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이레이져 (erasure) 라는 용어는 메시지의 인식을 실패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전용 채널이라는 용어는 개별 가입자국에 특정된 정보에 의해 변조되는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공통 채널이라는 용어는 모든 가입자국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정보에 의해 변조되는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설명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 시스템의 기본 모델은, 예를 들어, 뉴스, 영화, 스포츠 이벤트 등과 같은 일정한 콘텐츠를 갖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사용자들의 방송 네트를 포함한다. 각 방송 네트 사용자의 가입자국은 공통 방송 순방향 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고속 방송 서비스 (HSBS) 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100) 의 개념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방송 콘텐츠는 콘텐츠 서버 (CS; 102) 에서 발신된다. 콘텐츠 서버는 캐리어 네트워크 (미도시) 내 또는 인터넷 (IP; 104)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 콘텐츠는 패킷의 형태로 방송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BPDSN; 106) 에 전달된다. 비록 BPDSN 이 통상의 PDSN (미도시) 과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되거나 동일할 수도 있지만 BPDSN 은 통상의 PDSN 과 논리적으로 상이할 수도 있기 때문에, BPDSN 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BPDSN (106) 은 패킷의 수신지에 따른 패킷들을 패킷 제어 기능 (PCF; 108) 로 전달한다. 기지국 제어기가 통상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용일 때에, PCF 는 HSBS 용 기지국 (110) 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엔터티이다. HSBS 의 하이 레벨 개념의 물리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은 기지국 제어기 (BSC) 와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하거나 동일하더라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PCF 를 도시한 것이다. 당업자는 이것이 오직 강학상의 목적임을 알 수 있다. BSC/PCF (108) 는 패킷들을 기지국 (110) 에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 (100) 은 다수의 가입자국 (114) 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고속 데이터 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는 순방향 방송 공유 채널 (F-BSCH; 112) 을 도입함으로써 고속 방송 서비스 (HSBS) 를 가능케 한다. 여기에서, 순방향 방송 공유 채널이라는 용어는 방송 트래픽을 반송하는 단일의 순방향 링크 물리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단일의 F-BSCH 는 그 단일의 F-BSCH 내에서 TDM 방식으로 멀티플렉싱되는 하나 이상의 HSBS 채널을 반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HSBS 채널이라는 용어는 단일의 논리 HSBS 방송 세션이 그 세션의 방송 콘텐츠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세션은, 예를 들어, 아침7시-뉴스, 아침8시-날씨, 아침9시-영화 등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는 방송 콘텐츠에 의해 정의된다. 도 2 는 HSBS 에 대한 물리 채널 및 논리 채널의 설명되는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HSBS 는 각각이 별도의 주파수 (fx, fy) 를 통하여 송신되는 2 개의 F-BSCH (202)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술한 cdma2000 통신 시스템에서, 그러한 물리 채널은, 예를 들어, 순방향 보조 채널 (F-SCH), 순방향 방송 제어 채널 (F-BCCH), 순방향 공통 제어 채널 (F-CCCH), 기타 공통 채널과 전용 채널, 및 그 채널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방송용 공통 채널과 전용 채널의 이용은, 2001년 3월 28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용 및 공통 채널을 이용한 그룹 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 CALLS USING DEDICATED AND COMMON CHANNELS IN WIRELESS NETWORKS)" 인 미국특허 가출원 제 60/279,970 호에 개시되어 있다. 당업자는 다른 통신 시스템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채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 사상이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F-BSCH (202) 는, 하나 이상의 방송 세션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방송 트래픽을 반송한다. F-BSCH (202b) 는 하나의 HSBS 채널 (204c) 을 반송하고, 2 개의 HSBS 채널 (204a, 204b) 은 F-BSCH (202a) 상에서 멀티플렉싱된다. HSBS 채널의 콘텐츠는, 페이로드 (206) 및 헤더 (208) 를 포함하는 패킷 내에 포맷된다.
당업자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HSBS 방송 서비스 배치가 오직 강학상의 목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섹터에서, HSBS 방송 서비스는, 특정 통신 시스템의 구현에 의해 지원되는 특성에 따라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성의 구현은, 예를 들어, 지원되는 HSBS 세션의 수, 주파수 할당의 수, 지원되는 방송 물리 채널의 수,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타 구현 특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3 개 이상의 주파수 및 F-BSCH 가 일 섹터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3 개 이상의 HSBS 채널들이 하나의 F-BSCH 상에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또한, 단일의 HSBS 채널이 섹터 내의 2 개 이상의 방송 채널 상에 상이한 주파수를 통하여 멀티플렉싱되어, 그들 주파수에 상주하는 가입자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종종, 통신 시스템은, 통신 채널에 영향을 주는 악영향에 대하여 인코딩함으로써 보호되는 프레임 또는 블록 내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는 cdma2000, WCDMA, UMTS 를 포함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층에서 발신되어 송신될 정보의 비트 스트림 (302) 은 물리층을 통하여 (인너 (inner)) 인코더 (304) 에 제공된다. 그 인코더는 길이가 S 인 비트의 블록을 수용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S 비트의 블록은 어떠한 오버헤드, 예를 들어, 인너 인코더용의 테일 비트, 수신측에서의 인너 디코더가 그 인너 디코더를 도와 디코딩의 성공 또는 실패를 확인하는 것을 돕기 위한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오버헤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그 인코더는, P = S + R (여기서, R 은 리던던트 비트의 갯수임) 인 길이의 인코딩 블록을 산출하는 선택된 코드로 S 비트를 인코딩한다. 당업자는, 비록 실시형태들이 계층 모델의 관점에서 설명되지만 이것은 강학상의 목적이며 물리층과 접속되어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너 인코더 (304) 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도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도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그 프로세서는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계산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의 구성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될 정보의 비트 스트림 (402) 은 먼저 아우터 인코더 (406) 에 의해 인코딩된 후, 인코딩 스트림은 물리층 (408) 상에 상주하는 인너 인코더 (미도시) 에 제공된다. 상위층에서 발신되는 송신될 정보의 비트 스트림 (402) 은 송신 버퍼 (404) 에 제공된다. 송신 버퍼는 도 5 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그 비트들은 송신 버퍼 (도 4 의 404) 의 시스터매틱 (systematic) 부분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로우 단위로 채운다. 시스터매틱 부분 (504) 은 길이 L 의 k 개의 로우 (508) 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의 길이 L 은 오버헤드 (예를 들어, 인너 디코더를 원조하기 위한 CRC 및 인너 인코더를 위한 테일 비트) 없이 무선 프레임의 길이와 일치한다. 도 4 를 다시 참조하면, 일단 시스터매틱 부분 (도 5 의 504) 이 충만되면, 아우터 블록 인코더 (406) 는 시스터매틱 부분 (도 5 의 504) 내의 비트들의 컬럼 단위의 인코딩을 수행하도록 활성화되어, 패리티 비트의 (n-k) 개의 추가적인 로우 (510) 을 생성한다. 이러한 컬럼 단위의 동작은 이진 아우터 코드 (즉, m = 1) 에 대하여 컬럼 단위로 수행된다. 비-이진 코드의 경우 (즉, m > 1), 로우에서 인접한 모든 m 개의 컬럼은 m-비트 심볼로서 처리된다. 최상위 k 개의 로우를 따라 m-비트 심볼은 아우터 인코더에 의해 판독되어, 이들 컬럼의 대응하는 하위 (n-k) 개의 로우를 충만하는 (n-k)m-비트 심볼을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버퍼의 길이 L 은, 인너 코딩 프레임이 반송되는 비트의 수를 아우터 인코더 코드의 디멘젼인 m 으로 나눈 것과 같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체 버퍼가 송신될 때까지, TX 버퍼로부터 제 1 의 m 로우는 제 1 인너 코딩 프레임에 송신되고, 비트의 제 2 의 m 로우는 제 2 인너 코딩 프레임에 송신된다. 도 4 를 다시 참조하면, 일단 시스터매틱 부분 (도 5 의 504) 이 충만되면, 아우터 블록 인코더 (406) 는 시스터매틱 부분 (도 5 의 504) 내의 비트들의 컬럼 단위의 인코딩을 수행하도록 활성화되어, 패리티 비트의 m(n-k) 개의 추가적인 로우 (510) 을 생성한다. 이러한 컬럼 단위의 동작은 이진 아우터 코드 (즉, m = 1) 에 대하여 컬럼 단위로 수행된다. 비-이진 코드의 경우 (즉, m > 1), 컬럼의 모든 m-로우는 m-비트 심볼을 형성한다. 컬럼에서의 최상위 k m 로우로부터의 k 개의 심볼은 아우터 인코더에 의해 판독되어, 이 컬럼의 대응하는 하위 m(n-k) 개의 로우를 충만하는 (n-k)m-비트 심볼을 생성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우터 인코더는 시스터매틱 리드-솔로몬 (R-S) 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 버퍼 (404) 의 콘텐츠는 물리층 (408) 에 제공된다. 물리층 (408) 상에서, 개별 프레임들은, 인코딩된 프레임을 산출하는 인너 인코더 (미도시) 에 의해 인코딩된다. 인너 디코더의 구조는, 예를 들어, 도 3 의 구조일 수도 있다. 버퍼의 시스터매틱 로우와 패리티 로우는 송신 중에 뒤섞여서, 인너 코드 이레이져의 총 갯수가 아우터 코드의 정정 능력을 초과할 때에 이레이징되는 큰 갯수의 시스터매틱 로우의 변경을 감소시킨다. 또한, 프레임들은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프로세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그 프로세싱은 IS-2000 표준에 따라 수행된다. 그 후, 프로세싱된 프레임은 통신 채널 (410) 을 통하여 송신된다.
송신된 프레임들은 수신국에서 수신되고 물리층 (412) 에 제공된다. 물리층 (412) 상에서, 개별 프레임들은 복조되어 인너 디코더 (미도시) 에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인너 디코더는 각각의 프레임을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이 성공하면, 정확하게 디코딩된 프레임을 출력하며, 만약 디코딩이 실패하면, 이레이져를 선언한다. 디코딩의 성공 또는 실패는 높은 정확도로 결정되어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아우터 인코딩 이후 및 인너 인코딩 전에 프레임 내에 긴 CRC (예를 들어, 16 비트) 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프레임 품질 표시를 위한 다른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획득되는 그 포함 CRC 는 그 디코딩된 프레임의 비트로부터 계산된 CRC 와 비교되며, 만약 2 개의 CRC 가 동일하면, 디코딩은 성공으로 선언된다. 물리층에서의 추가적인 프로세싱은 인너 디코더 판정의 결과에 따라 수행된다.
정확하게 디코딩된 프레임은 수신 버퍼 (414) 의 적절한 로우에 제공된다. 만약 모든 시스터매틱 k 프레임이 인너 디코더에 의해 정확하게 디코딩되면, 수신 버퍼 (414) 의 시스터매틱 부분 (414(1)) 으로부터의 시스터매틱 프레임은 아우터 디코딩 없이 더 프로세싱되기 위하여 상위층 (미도시) 으로 전달된다.
만약 인너 디코더가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없으면, 디코더는 이레이져를 선언하고, 프레임이 미싱 (missing) 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아우터 블록 디코더 (416) 에 제공한다. 그 프로세스는, 이레이징된 시스터매틱 프레임이 존재하는 만큼 다수의 패리티 프레임이 정확하게 수신되고 수신 버퍼 (414) 의 패리티 부분 (414(2)) 으로 전달될 때까지 계속된다. 수신기는 임의의 잔여 프레임의 수신을 중지하고 아우터 디코더 (미도시) 는 이레이징된 시스터매틱 프레임을 복원하기 위해 활성화된다. 복원된 시스터매틱 프레임은 상위층으로 전달된다.
만약 수신 버퍼 (414) 에서 정확하게 수신된 프레임의 총 갯수가 k 보다 작으면, 일 실시형태에 따라, 아우터 디코더는, 디코딩이 성공적임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않는다. 미싱 비트의 표시와 함께 정확하게 수신된 시스터매틱 프레임은 상위층으로 전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신기는 인너 디코더로부터의 디코딩된 비트 (실패한 CRC 체크에 의해 표시된 것 만큼 신뢰할 수 없음) 를 이용하여, 시스터매틱 비트에 대한 비트를 복원한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신기는 인너 디코더로부터의 신뢰할 수 없는 비트들을 디코딩하고 가장 가능성있는 코드워드를 찾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신기는 버퍼 내에서 이레이징된 프레임의 신호 품질의 측정치를 이용하여, k 개의 로우를 갖는 서브-버퍼를 형성하기 위해 가장 높은 신호대 잡음비를 갖는, 매우 잘못된 수신 프레임을 선택한다. 그 후, 수신기는 비트 플리핑 (bit flipping; 한번에 일 컬럼에서 비트값 0 은 1 로 1 은 0 으로 변경하는 것) 을 수행하고 그 비트 플리핑이 코드워드를 생성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비트 플리핑은 먼저 가장 낮은 신뢰도의 비트에 대하여 수행하고 비트의 신뢰도가 증가하는 순서로 계속한다. 비트의 신뢰도는 인너 디코딩 메트릭 (예를 들어, 야마모토 메트릭과 같이 프레임 중의 신호대 잡음 및 간섭비, 재-인코딩 심볼 에러 레이트, 재-인코딩 에너지 메트릭,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메트릭, 또는 그 메트릭들의 조합) 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코드워드가 발견되지 않았으면, 비트 플리핑은 신뢰성있는 모든 로우에 대한 모든 잔여 컬럼 전반에 대하여 계속된다. 만약 코드워드가 발견되지 않았으면, 비트 플리핑은, 코드워드가 발견될 때까지 또는 모든 조합이 소진될 때까지, 플리핑된 비트의 증가되는 갯수 (즉, 비트의 최대갯수 까지, 한번에 2 비트를 변경한 후, 3 비트를 변경함) 로 계속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신뢰할 수 없는 로우로부터의 CRC 는 이 상황에서 디코딩의 전체 성공을 체크하는데 사용된다. 프레임들은 오직 모든 로우로부터의 CRC 가 일치할 경우에만 상위층으로 전달되며, 그렇지 않으면, 신뢰성있는 로우로부터의 비트만이 상위층으로 전달된다.
디코딩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복조 및 인너 디코딩이 버퍼 내의 k 개 보다 많은 정확하게 수신된 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조 및 인너 디코딩은 버퍼 내의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된다. 그 둘 모두의 실시형태에서, 아우터 디코딩은 최고의 품질을 갖는 k 개 (또는 km 개) 의 로우에 대하여 수행된다. 그 품질은 인너 디코딩 메트릭 (예를 들어, 야마모토 메트릭과 같이 프레임 중의 신호대 잡음 및 간섭비, 재-인코딩 심볼 에러 레이트, 재-인코딩 에너지 메트릭,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메트릭, 또는 그 메트릭들의 조합) 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품질 추정을 위한 품질 메트릭의 이용은, 발명의 명칭이 "가변 레이트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데이터의 레이트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ATE OF RECEIVED DATA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S SYSTEM)" 인 미국특허 제 5,751,725 호, 및 발명의 명칭이 "통신 수신기에서 송신 가변 레이트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ATA RATE OF TRANSMITTED VARIABLE RATE DATA IN A COMMUNICATIONS RECEIVER)" 인 미국특허 제 5,774,496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있다.
배터리 전력 절약
가입자국에 대한 중요한 요건은 낮은 배터리 전력 소비이다. 상술한 인코딩 방법은, n 개 미만의 정확하게 수신된 프레임이 하나의 송신 버퍼 당 시스터매틱 정보를 디코딩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가입자국이 송신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하여 n 개의 모든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만약 가입자국이, 예를 들어, 프레임의 인코딩 레이트로부터 리던던시의 양을 결정하면, 그 가입자국은 정확하게 수신되어야 하는 프레임의 갯수를 결정할 수도 있는데, 즉, 아우터 디코더가 정확하게 디코딩하기 위하여 인너 디코더에 의해 정확하게 디코딩되었다고 선언될 수도 있다. 가입자국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수개의 방법에 의해 인코딩 레이트를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오직 하나의 고정된 인코딩 레이트만이 존재할 수 있다. 만약 2 개 이상의 레이트가 사용되면, 가입자국은 블라인드 (blind) 레이트 결정을 사용하거나,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가 수신국에 의해 가입자국으로 제공된다. 또한, 리던던시의 양에 대한 정보가 가입자국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단 가입자국이 인너 디코더에 의해 정확하게 디코딩된 프레임의 결정된 갯수를 수신 버퍼 (414) 에서 (시스터매틱 부분 (414(1)) 및 패리티 부분 (414(2)) 모두를) 누산하면, 가입자국은 추가적인 프레임의 수신 및 인너 디코딩을 종료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 전력 절약이 달성된다. 가입자국은 송신 버퍼 (404) 내의 다수의 프레임과 수신된 프레임의 수를 알고 있으면, 가입자국은, 그 가입자국이 새로운 시스터매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수신 및 인너 디코딩을 시작해야 하는 때를 결정할 수도 있다.
HSBS 가 종래의 통신 시스템 서비스 (예를 들어, 음성, 단문 시스템, 데이터,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서비스) 에 더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가입자국은 HSBS 에 참가하면서 이러한 종래의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가입자국은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방송 서비스에서의 시그널링은, 2001년 8월 20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으로 공동 계류 중인 출원번호 제 09/933,978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시그널링 활성도는,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수신,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시스템 구성 수신물을 포함하는 오버헤드 메시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주파수 상의 인근 시스템의 탐색,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국은 버퍼 내의 충분한 프레임들을 누산한 후에 수신 활성도를 중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시그널링 정보를 미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방송 채널을 수신하는 가입자국이 수행해야 하는 시그널링 활성도는, 가입자국이 방송 채널을 수신하고 있을 가장 가능성있는 시간 동안에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가입자국이 방송 채널을 수신할 가장 가능성있는 시간은 시스터매틱 로우인 버퍼의 일부가 공중을 통하여 송신될 때이다. 다른 방법으로, 가입자국은 소정 시간에 방송 채널을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가입자국은, 가입자국이 방송 채널을 수신해야 하는 시간 전에 프레임의 수신을 가입자국이 종료하지 않음을 확인해야 한다.
공통 방송 순방향 링크를 통한 하드 핸드오프
공통 방송 순방향 링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프트 핸드오프 및 소프터 핸드오프가 상이한 섹터의 오버랩된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 핸드오프 프로세스 동안 2 개 이상의 기지국을 통하여 가입자국과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2001년 8월 20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 HANDOFF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으로 공동 계류 중인 출원번호 제 09/933,607 호에 개시되어 있다.
가입자국이 송신 정보 내에서 불연속을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 비록 설명되는 소프트 및 소프터 핸드오프 방법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이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항상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입자국은 오직 동기화 송신물들만을 소프트 컴바이닝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입자국은 오직 동일한 소프트 핸드오프 (SHO) 그룹에 속하는 기지국들 사이에서 소프트 및 소프터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SHO 그룹은 공통 방송 순방향 링크를 동시에 그리고 동기적으로 송신하는 일군의 모든 기지국을 의미한다. 도 6 은, 하나는 BS1, BS2, 및 BS3 을 포함하고 다른 것은 BS4, BS5, BS6 및 BS7 을 포함하는 2 개의 SHO 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만약 가입자국이 SHO 그룹 1 (602) 의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SHO 그룹 2 (604) 의 커버리지 영역까지의 경계를 가로지르면, 하드 핸드오프가 요구된다.
상술한 인코딩 방법의 이용은, 가입자국이 송신 정보 내의 불연속을 경험하지 않거나 불연속이 발생할 경우에 그러한 불연속을 최소화시키는 확률을 증가시킨다.
도 7 은 SHO 그룹 1 (602) 과 SHO 그룹 2 (604) 사이의 비동기적인 송신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SHO 그룹 2 (604) 의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은 SHO 그룹 1 (602) 의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에 비하여 지연된다. 가입자국 (미도시) 은 SHO 그룹 1 (602) 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을 모니터링한다. 시간 t0 에서, 가입자국은 상이한 SHO 그룹으로의 하드 핸드오프가 표시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수신 송신의 품질 메트릭이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 핸드오프가 표시된다. 그 후, 가입자국은 소프트 핸드오프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입자국은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HSBS 인근 구성 표시자 (NGHBR_CONFIG_HSBS) 의 값에 따라 인근 섹터의 구성을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은, 2001년 8월 20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 HANDOFF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으로 공동 계류 중인 상기 출원번호 09/933,607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가입자국이 디코딩을 위하여 버퍼 1 (702(1)) 내의 충분히 우수한 프레임들을 누산하는 시간 t1 까지, 가입자국은 버퍼 1 (702(1)) 의 프레임들을 계속 누산한다. 이것은 패킷 P0 (704(2))), P1 (이것은 버퍼 0 (702(0)) 의 일부인 P1-1 (704(4)), 및 버퍼 1 (702(1)) 의 일부인 P1-2 (706(2)) 를 송신받음), 및 P2 (706(4)) 를 포함한다. 심볼 P 는 버퍼의 시스터매틱 부분을 나타내며, 심볼 R 은 리던던트 부분을 나타낸다. 시간 t2 에서, 가입자국은 하드 핸드오프를 개시하고, SHO 그룹 2 (604) 의 기지국의 송신물을 획득한다. 간격 △t = t2 - t1 은 가입자국이 수행하는 핸드오프의 타입 (예를 들어,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 동일 주파수 핸드오프, 가입자국과 기지국의 설계,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기준) 에 의존한다.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상이한 방법들은, 2001년 8월 20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 HANDOFF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으로 공동 계류 중인 상기 출원번호 09/933,60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시간 t2 에서, 가입자국은 SHO 그룹 2 (604) 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프레임 (712) 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코딩의 정정 능력 때문에, 수신 프레임들은 버퍼 1 (716(4)) 의 패킷 P2 (716(2)), P3 (716(4)) 를 정확하게 디코딩하기에 충분할 수도 있다. 가입자국은 임의의 중복 패킷들을 폐기한다. 당업자는, SHO 그룹 1 (602) 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이 SHO 그룹 2 (604) 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에 비하여 선행하는 시나리오에 상술한 원리들이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
만약 가입자국이 현재 통신하고 있는 통신 시스템의 경계 외부에서 이동하면, 존재할 경우, 인근 시스템으로 콜을 전달함으로써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근 시스템은, 예를 들어, CDMA, NAMPS, AMPS, TDMA 또는 FDMA 등의 임의의 무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인근 시스템이 현재의 시스템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통한 CDMA 를 사용하면, 시스템간 (inter-system) 소프트 핸드오프가 수행될 수 있다. 시스템간 소프트 핸드오프가 사용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현재의 접속이 신규한 접속이 이루어지기 전에 단절되는 하드 핸드오프를 통하여 통신 링크가 전달된다. 통상적인 하드 핸드오프 상황의 예는 (1) 가입자국이 CDMA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상황, 및 (2)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2 개의 CDMA 시스템 사이에서 콜이 전달되는 상황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 을 포함한다.
또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는 동일한 CDMA 시스템의 기지국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심 지역과 같이 높은 수요의 영역은 교외 지역 보다 서비스 수요에 대하여 더 많은 수의 주파수를 요구할 수도 있다. 그 시스템 전반에 걸쳐서 모든 가용 주파수들을 이용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 높은 폭주 영역에서만 사용되는 주파수 상에서 발신하는 콜은, 사용자가 덜 폭주된 영역으로 이동할 때에 핸드오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는, 시스템 경계 내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다른 서비스 또는 초고주파이다.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로부터의 간섭이 존재하는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그들의 콜은 상이한 주파수로 핸드오프되어야 할 수도 있다.
더 많은 성공 확률을 가지고 하드 핸드오프의 시도를 수행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통신 시스템들 간의 이동국 지원 하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OBILE ASSISTED HARD HANDOFF BETWEEN COMMUNICATION SYSTEMS)" 인 미국특허 제 5,999,816 호에 개시되어 있다. 5,999,816 특허에서, 가입자국들은 하드 핸드오프 수신 시스템의 주파수에 일시적으로 튜닝하고, 액티브 세트에서의 관련 기지국의 포함을 위하여 그 주파수 상의 가용 파일럿 신호들을 탐색한다. 만약 탐색이 성공적이고 관련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가 액티브 세트에 포함될 기준을 만족하면, 가입자국은 그 기지국을 획득한다. 하드 핸드오프 시도가 실패하면, 가입자국은, 원래의 시스템이 추후의 핸드오프 시도의 수행을 원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갖는 원래의 시스템으로 복귀한다. 다른 방법으로, 핸드오프 시도가 없으면, 가입자국은 수신 시스템을 탐색한다. 탐색 태스크를 완료한 후, 가입자국은 원래의 주파수에 재-튜닝되어 현재의 통신을 재개한다. 다른 주파수에 튜닝되는 동안, 가입자국에 의해 생성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임의의 프레임들이 손상된다. 통상적으로, 기지국은 탐색을 위하여 가입자국에 대하여 가능한 오프셋들의 서브세트만을 제공한다. 그렇더라도, 핸드오프 시도 또는 탐색의 지속기간이 너무 길어서 데이터의 다수의 프레임들을 잠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성공 확률을 가지고 하드 핸드오프 시도를 수행하는 개선된 방법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오프라인 탐색을 이용하여 이동국 지원 하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OBILE STATION ASSISTED HARD HANDOFF USING OFF LINE SEARCHING)" 인 미국특허 제 6,134,440 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6,134,440 호에서는, 또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파일럿 신호를 탐색하도록 유도된 후, 가입자국은 그 또 다른 주파수에 튜닝하고, 입력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그 샘플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가입자국이 그 또 다른 주파수에 튜닝되는 시간 동안, 순방향 링크를 통하여 가입자국으로 송신되는 모든 데이터는 손실된다. 이와 유사하게, 가입자국에 의해 송신되는 임의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는 그 또 다른 주파수를 통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그러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는 발신 기지국에서 수신되지 않는다. 충분한 갯수의 샘플들이 저장될 때, 가입자국은 발신 주파수에 재-튜닝한다. 이 때, 순방향 링크 데이터는 가입자국에 의해 다시 수신되며, 역방향 링크 데이터는 발신 기지국으로 성공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발신 주파수로 재-튜닝한 후, 그 또 다른 주파수로부터 수집되는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는 파일럿 신호 오프셋을 탐색하기 위하여 가입자국 내의 탐색기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또 다른 주파수 상의 정보를 샘플링 및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의 비교적 짧은 주기로 인하여, 액티브 통신 링크가 차단되지 않는다. 또한, 액티브 통신 링크는 후속적인 오프-라인 탐색에 의해 영향받지도 않는다. 그 또 다른 주파수 상의 데이터를 샘플링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실시간으로 파일럿 신호들을 능동적으로 탐색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보다 더 적고 가입자국이 그 또 다른 주파수로 튜닝되는 동안에만 통신 링크가 하드 핸드오프 프로세스에 의해 손상되기 때문에, 발신 시스템 상의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실제로, 현대 통신 시스템에서 채용되는 에러 정정 코딩은, 샘플링 시간이 충분히 작으면, 그 또 다른 주파수를 샘플링함으로써 도입되는 모든 에러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상술한 인코딩 방법을 이용하여, 상술한 공동 출원 모두에서 개시되어 있는 탐색 방법을 개선시킨다. 가입자국은 모든 시스터매틱 정보를 복원하기 위하여 송신 버퍼 (404) 로부터 모두 n 개의 프레임들을 누산할 것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가입자국이 인너 디코더에 의해 정확하게 디코딩되는 프레임들의 결정된 갯수를 수신 버퍼 (도 4 의 414) 에서 (시스터매틱 부분 (414(1)) 및 패리티 부분 (414(2)) 모두를) 누산하면, 가입자국은 추가적인 프레임의 수신을 종료할 수도 있다. 가입자국이 송신 버퍼 (404) 내의 다수의 프레임 및 수신되는 프레임의 수를 알고 있으면, 가입자국은, 새로운 시스터매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들의 인너 디코딩 및 수신을 시작해야 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 가입자국은, 추가적인 프레임의 수신을 종료하고 프레임들의 인너 디코딩 및 수신을 다시 시작하는 시간 사이의 시간을 이용하여 미국특허 제 5,999,816 호 및 제 6,134,440 호에 개시되어 있는 개념에 따라 핸드오프/탐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입자국이 인너 디코더에 의해 정확하게 디코딩되는 프레임들의 결정된 갯수를 누산하면, 가입자국이 인너 디코딩 및 수신을 시작해야 하는 시간에, 가입자국은 추가적인 프레임의 수신을 종료한다. 그 후, 가입자국은 수신 시스템의 주파수로 튜닝한다. 수신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발신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만약 가입자국이 수신 시스템으로 튜닝되어 핸드오프를 수행하면, 가입자국은 수신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획득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수신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섹터의 최소 파일럿 신호 세기에 의해 측정될 때에 그 수신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섹터가 획득되면, 핸드오프는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가입자국은 수신 시스템 상에 잔존하고, 획득된 섹터로부터 채널 상의 서비스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입자국은 수신 시스템의 주파수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저장하기 시작한다. 가입자국은, 요구되는 시간 동안 또는 가입자국이 발신 시스템 내의 섹터로 다시 튜닝되어야 하는 시간 까지, 저장을 수행한다. 그 후, 가입자국은 프레임을 수신함과 동시에 저장 신호들을 분석하여, 핸드오프하기 위하여 수신 시스템 내의 섹터(들)를 식별한다. 그 후, 가입자국은 상술한 방법을 반복할 수도 있고, 또는 분석에 의해 식별된 섹터(들)로 핸드오프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인코딩-디코딩이 특정 채널에 의해 이용되는 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공통 방송 채널을 통한 하드 핸드오프 및 트래픽 채널을 통한 핸드오프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페이징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O 그룹 내의 모든 가입자들은, 다른 가입자들과의 통신에 참가할 경우에 공통 방송 순방향 링크를 모니터링하거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가입자국이 모니터링하고 있는 페이징 채널은 통신 시스템에 공지된다. 페이징 채널은 그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가입자국들에 할당되고, 예를 들어, IS-2000, WCDMA, UMTS 와 같은 현재의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다른 가입자국들과의 통신에 참여한다. 추가적이고 다른 방법으로는, 가입자국들에 대한 페이징 채널은, 2001년 8월 20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모두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으로 공동 계류 중인 출원번호 제 09/933,607 호 및 제 09/933,978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할당된다. 따라서, 임의의 가입자를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통 방송 채널은 공통 방송 순방향 링크를 모니터링하는 가입자국을 호출하는데 이용된다.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패킷 내에 구성되는 HSBS 채널들은 F-BSCH 상에서 멀티플렉싱된다. 따라서, HSBS 채널을 수신하는 가입자국은 시그널링 메시지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를 반송하는 패킷들을 HSBS 채널 콘텐츠를 반송하는 패킷들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000' 과 같은 일정한 값의 BSR_ID 는 패킷 또는 패킷들의 콘텐츠가 시그널링 (페이징) 정보를 반송함을 표시하기 위하여 예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패킷 또는 패킷들의 콘텐츠가 SHO 그룹에서 동기화되기 때문에, SHO 그룹 내의 모든 가입자국들은 의미의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페이징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이다. 패킷 당 페이로드가 유한하기 때문에, 페이징 정보를 반송하는 수개의 패킷들을 취하여 SHO 그룹 내의 모든 가입자들을 호출할 수도 있다. 이것은 HSBS 채널 콘텐츠의 지연을 야기하며, 이는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SHO 그룹 내의 섹션들에 의해 송신되는 HSBS 채널의 패킷 또는 패킷들의 콘텐츠는 소정의 주기적인 간격에서 비동기적이다. 이에 따라, 그 패킷 또는 패킷들의 콘텐츠는 각각의 섹터에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퍼 섹터 (per sector) 기반으로 가입자국들의 호출을 가능케 한다. 주기적인 간격은 미리 정의되기 때문에, 가입자국들은 그 간격에서 송신되는 패킷 또는 패킷들이 시그널링 정보를 반송함을 인지한다.
도 5 를 다시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송신 버퍼 (502) 의 패리티 부분 (506) 에서의 수개의 소정 로우들은 페이징 정보로 대체된다. 가입자국이 페이징 정보를 반송하는 패킷을 가입자국이 조우할 경우, 가입자국은 소정 로우를 시그널링 정보로서 해석한다. 패리티 부분 (506) 내의 수개의 소정 로우들이 대체되었기 때문에, 정보 비트는 보호되지 않고 이레이징될 수도 있다. 그러나, 페이징 정보는 몇몇 패킷에서 반송되기 때문에, 시그널링 정보 및 HSBS 콘텐츠 모두를 반송하는 패킷들이 인코딩으로 인한 보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송신되는 동안에 기지국은 전력을 증가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아우터 인코더는 HSBS 콘텐츠 정보를 반송하는 패킷용 리던던시 보다 HSBS 콘텐츠와 페이징 정보 모두를 반송하는 패킷용의 더 낮은 리던던시를 갖는 정보 로우들을 인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버퍼 (502) 의 패리티 부분 (506) 의 (n-k) 개 미만의 로우는 패리티 정보로 충만된다. 패리티 비트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로우들은 페이징 정보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HSBS 콘텐츠와 페이징 정보 모두를 반송하는 패킷의 보호가 HSBS 콘텐츠 정보를 반송하는 패킷의 보호 보다 더 작지만, 인코딩 레이트는 정상적인 채널 조건에서 만족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시그널링 정보 및 HSBS 콘텐츠 모두를 반송하는 패킷들이 더 적은 인코딩으로 인한 보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송신되는 동안에 기지국은 전력을 증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페이징 정보의 송신용으로 주기적인 간격을 미리 정의할 필요는 없다. HSBS 콘텐츠 정보를 반송하는 패킷은 하나의 인코딩 레이트로 인코딩되며, 페이징 정보를 반송하는 패킷은 다른 레이트로 인코딩된다. 가입자국은 제 1 레이트 가설 (hypothesis) 에 따라 수신 패킷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만약 디코딩이 성공적이면, 그 패킷은 레이트 가설과 패킷 콘텐츠 사이의 관계에 따라 프로세싱된다. 만약 디코딩이 실패하면, 가입자국은 제 2 레이트 가설에 따라 수신 패킷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만약 디코딩이 성공적이면, 그 패킷은 레이트 가설과 패킷 콘텐츠 사이의 관계에 따라 프로세싱된다. 그렇지 않으면, 이레이져가 선언된다.
방송 시스템의 콘텐츠를 송신하는 동안의 핸드오프
핸드오프는 콘텐츠의 버퍼를 송신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도 8 은 기지국 A 및 기지국 B 로부터 방송되는 콘텐츠의 버퍼를 수신하는 동안에 기지국 A (801) 로부터 기지국 B (803) 로의 가입자 유닛의 핸드오프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이 예에서, 콘텐츠는 도입부 및 샌디에고와 시카고에 대한 기상 예보이다. 동일한 메시지가 송신 버퍼 (806 및 808) 의 프레임 (F1 내지 F4, 802(1) 내지 802(4), 및 804(1) 내지 804(4)) 내에 포함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송신 버퍼의 패리티 비트 또는 리던던트 부분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기지국 A 및 기지국 B 에 의해 송신되는 콘텐츠가 시간적으로 오프셋되어 있을 경우, 가입자 유닛의 사용자는 중복된 콘텐츠 및 콘텐츠의 클리핑 (clipping) 을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에 도시되어 있는 방송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전달하는 시스템에서, 제 1 기지국 (801) 은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802(1) 내지 802(4)) 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송신 버퍼 (806) 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F1 (802(1)) 의 제 1 세트는, 예를 들어, "눈이여, 오라!" 라는 제 1 부분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제 1 기지국 (801) 은 복수의 제 1 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기지국 (803) 은 동일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804(1) 내지 804(4)) 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송신 버퍼 (808) 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804(1) 및 804(2)) 의 제 2 세트는, 예를 들어, "눈이여, 오라!" 및 "샌디에고에 대한 기상 예보는" 이라는 제 2 부분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제 2 기지국 (803) 은 복수의 제 2 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버퍼 (806, 808) 내의 프레임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인너 인코딩되고 아우터 인코딩된다. 그러나, 송신 버퍼 (808) 내의 콘텐츠는 송신 버퍼 (806) 내의 콘텐츠에 대하여 지연을 가지고 송신된다.
가입자국은, 콘텐츠가 기지국들 (801 및 803) 모두에 의하여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동안에 제 1 기지국 (801) 으로부터 제 2 기지국 (803) 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가입자국은 제 1 기지국 A 로부터 송신되는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F1 (802(1)) 의 제 1 세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핸드오프 이후에, 제 2 기지국 B 로부터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F1 (804(1)) 및 F2 (804(2)) 의 제 2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국은 기지국 A 로 다시 핸드오프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기지국 A 로 다시 핸드오프한 후, 가입자국은 기지국 A 로부터 프레임 F4 (802(4)) 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 는 가입자국의 수신 버퍼를 도시한 것이다. 가입자국은 수신 버퍼 (910) 내의 수신 프레임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9 의 좌측은, 그 프레임들이 가입자국에 의해 수신되기 위한 수신 버퍼의 콘텐츠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의 우측은, 중복된 프레임들이 수신 버퍼로부터 제거되고, 클리핑된 프레임이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된 이후에 수신 버퍼의 콘텐츠를 나타낸 것이다. 핸드오프의 결과로서의 콘텐츠의 순차적인 프레임의 비-수신, 및 셀들 사이의 동일한 방송 콘텐츠의 송신물들의 시간-불일치를 "클리핑" 프레임이라고 지칭한다.
수신 버퍼의 좌측의 콘텐츠에 따라, 가입자국은 기지국 B (803) 로의 제 1 핸드오프의 결과로서 중복 프레임 F1 (907(1) 및 907(2)) 을 수신하였고, 기지국 A(801) 로의 제 2 핸드오프의 결과로서 클리핑 프레임 F3 을 수신하지 않았다.
동일한 콘텐츠의 2 개의 송신물들의 시간 재-정렬 및 아우터 코딩은 중복 프레임 및 클리핑 프레임의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방송 콘텐츠의 버퍼를 수신하는 동안에 새로운 셀로 핸드오버할 때에도, 가입자국의 사용자는 콘텐츠의 손실없이 끊김없는 (seamless)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가입자국은 복수의 제 1 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F1 (802(1) 내지 802(4)) 및 복수의 제 2 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F1 (804(1)) 내지 F4 (804(2)) 의 송신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정렬의 표시로부터, 가입자국은 콘텐츠의 클리핑 프레임 및 콘텐츠의 중복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시간-정렬의 표시는 기지국 B (803) 로부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프레임들 중 제 1 프레임 F1 (804(1)) 의 송신 시작의 표시일 수 있다. WCDMA 시스템에서, 그 표시는, 예를 들어, 기지국 B 로부터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일 수 있다. CDMA2000 시스템에서, 그 표시는, 예를 들어, 기지국 B 로부터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2 기지국 B 의 시스템 시간일 수 있다.
송신물들의 시간-정렬에 대한 정보에 의해, 가입자국은 도 9 의 좌측 수신 버퍼 (910) 에 도시되어 있는 F1 (907(1)) 및 F1(907(2)) 과 같이 중복된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가입자국은, 중복된 프레임 F1 (907(1), 907(2))중 임의의 하나가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중복된 프레임 중 임의의 하나가 정확하게 인너-디코딩되었을 경우, 가입자국은 정확하게 인너-디코딩된 중복 프레임 F1 (907(1)) 또는 F1 (907(2)) 중 하나를 아우터 디코딩을 위하여 선택할 수 있다. 중복된 프레임들 중 어떠한 것도 정확하게 인너-디코딩되지 않았을 경우, 가입자국은 중복 프레임들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이레이져 프레임은 아우터 디코딩을 이용하여 정정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우측 수신 버퍼는, 프레임 F1 (907(1), 907(2)) 중 적어도 하나가 정확하게 디코딩되었고 프레임 중 하나 F1 (907(1)) 가 아우터 디코딩을 위하여 선택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제 2 프레임 F1 의 부재로 인해, 수신 버퍼의 우측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 F2 (907(3)) 은 이제 프레임 F2 (907(2)) 로서 수신 버퍼 (910)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다.
송신물들의 시간-정렬 정보에 의해, 가입자국 또한 클리핑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가입자국은 클리핑 프레임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 버퍼의 우측 표현은, 수신 버퍼 (910) 내의 정확한 위치에서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되는 클리핑 프레임 F3 (907(3)) 을 도시한 것이다. 클리핑 프레임 F3 (907(3)) 을 정정하기 위하여, 가입자국은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F2 (907(1)) 의 수신된 제 1 세트 및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F2 (907(2)) 및 F4 (907(4)) 의 수신된 제 2 세트를 아우터 디코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신 버퍼의 패리티 비트 또는 리던던트 부분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당업자는, 이해를 위하여 흐름도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 구현에서 일정한 단계들은 병렬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만약 다른 방법으로 표시하지 않으면, 방법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교체될 수 있다.
당업자는 다양한 서로 다른 기술 및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 및 신호를 표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commands),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계 또는 광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는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을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하였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도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도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그 프로세서는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계산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의 구성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기타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그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사용자 단말기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의 별도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당업자는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을 명백히 알 수 있으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특허 문서의 개시의 일부는 저작권 보호에 좌우되는 자료를 포함한다. 저작권의 소유자는, 특허 상표청의 특허 파일 또는 레코드에서 발견될 경우에는 특허 문서 또는 특허 개시물의 어떤 사람에 의한 팩시밀리 복제도 반대하지 않지만, 그렇지 않으면, 어떠한 경우에도 모든 저작권의 권리를 보유한다.

Claims (35)

  1. 가입자국에 의해 방송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셀로부터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1 송신 버퍼의 제 1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제 1 셀로부터 제 2 셀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2 송신 버퍼의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복제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셀의 시스템 시간을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인너 디코딩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을 경우,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된 복제 프레임들 중 하나를 아우터 디코딩용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어떠한 프레임도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복제 프레임들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아우터 디코딩하여 상기 이레이져 프레임을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6. 제 1 셀 및 제 2 셀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하는 가입자국으로서,
    제 1 셀로부터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1 송신 버퍼의 제 1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셀로부터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송신받은 제 2 송신 버퍼의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무선 유닛;
    상기 제 1 셀로부터 제 2 셀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핸드오프 유닛; 및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복제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구비하는, 가입자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를 포함하는, 가입자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셀의 시스템 시간을 포함하는, 가입자국.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인너 디코딩하며, 결정된 상기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을 경우,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된 복제 프레임들 중 하나를 아우터 디코딩용으로 선택하며,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어떠한 프레임도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복제 프레임들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며, 그리고,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아우터 디코딩하여 상기 이레이져 프레임을 정정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1. 제 1 셀 및 제 2 셀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제 1 셀로부터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1 송신 버퍼의 제 1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수신 수단;
    상기 제 1 셀로부터 제 2 셀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2 송신 버퍼의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수신 수단;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복제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은,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셀의 시스템 시간을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인너 디코딩하는 수단;
    결정된 상기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을 경우,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된 복제 프레임들 중 하나를 아우터 디코딩용으로 선택하는 수단;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어떠한 프레임도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복제 프레임들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아우터 디코딩하여 상기 이레이져 프레임을 정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16. 방송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송신 버퍼를 포함하는 제 1 기지국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중 제 1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1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1 기지국;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송신 버퍼를 포함하는 제 2 기지국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중 제 2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의 송신의 시간-정렬의 표시, 및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한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2 기지국; 및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의 송신의 시간-정렬의 표시, 및 상기 제 2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의 송신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수신된 제 1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 수신된 제 2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의 복제 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을 구비하는, 시스템.
  17. 가입자국에 의해 방송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셀로부터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1 송신 버퍼의 제 1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제 1 셀로부터 제 2 셀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2 송신 버퍼의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클리핑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셀의 시스템 시간을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인너 디코딩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클리핑 프레임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아우터 디코딩하여 상기 이레이져 프레임을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복제 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을 경우,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된 복제 프레임들 중 하나를 아우터 디코딩용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어떠한 프레임도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복제 프레임들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23. 제 1 셀 및 제 2 셀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하는 가입자국으로서,
    제 1 셀로부터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1 송신 버퍼의 제 1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셀로부터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송신받은 제 2 송신 버퍼의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무선 유닛;
    상기 제 1 셀로부터 제 2 셀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핸드오프 유닛; 및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클리핑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구비하는, 가입자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를 포함하는, 가입자국.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국.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셀의 시스템 시간을 포함하는, 가입자국.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인너 디코딩하며, 결정된 상기 클리핑 프레임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며,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아우터 디코딩하여 상기 이레이져 프레임을 정정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은, 또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복제 프레임들을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을 경우,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된 복제 프레임들 중 하나를 아우터 디코딩용으로 선택하며,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어떠한 프레임도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복제 프레임들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9. 제 1 셀 및 제 2 셀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제 1 셀로부터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1 송신 버퍼의 제 1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수신 수단;
    상기 제 1 셀로부터 제 2 셀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 2 송신 버퍼의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은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너 코딩 및 아우터 코딩되어 있는, 상기 수신 수단;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클리핑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은,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의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송신 버퍼의 제 1 프레임의 송신 시작의 표시는, 상기 제 2 셀로부터의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2 셀의 시스템 시간을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인너 디코딩하는 수단;
    결정된 상기 클리핑 프레임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을 아우터 디코딩하여 상기 이레이져 프레임을 정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프레임과 상기 제 2 세트의 프레임과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의 프레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세트의 프레임의 복제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수단;
    결정된 상기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이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었을 경우,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된 복제 프레임들 중 하나를 아우터 디코딩용으로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된 복제 프레임들 중 어떠한 프레임도 정확하게 인너 디코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복제 프레임들을 이레이져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35. 방송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송신 버퍼를 포함하는 제 1 기지국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중 제 1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1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1 기지국;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송신 버퍼를 포함하는 제 2 기지국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 중 제 2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의 송신의 시간-정렬의 표시, 및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한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2 기지국; 및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의 송신의 시간-정렬의 표시, 및 상기 제 2 세트의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을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2 인너-코딩 및 아우터-코딩 프레임과의 송신의 시간-정렬의 표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클리핑 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을 구비하는, 시스템.
KR1020057002954A 2002-08-21 2003-08-15 방송 서비스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KR100972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26,058 US7020109B2 (en) 2002-08-21 2002-08-21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content on a broadcast services communication system
US10/226,058 2002-08-21
US10/226,059 2002-08-21
US10/226,059 US7016327B2 (en) 2002-08-21 2002-08-21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content on a broadcast service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610A true KR20050032610A (ko) 2005-04-07
KR100972763B1 KR100972763B1 (ko) 2010-07-28

Family

ID=3194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954A KR100972763B1 (ko) 2002-08-21 2003-08-15 방송 서비스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2) EP2442592A3 (ko)
JP (1) JP4331108B2 (ko)
KR (1) KR100972763B1 (ko)
AU (1) AU2003262724C1 (ko)
BR (1) BR0313596A (ko)
CA (1) CA2495667A1 (ko)
HK (1) HK1083969A1 (ko)
IL (1) IL166501A (ko)
MX (1) MXPA05002026A (ko)
RU (2) RU2482608C2 (ko)
TW (2) TWI435646B (ko)
UA (1) UA83347C2 (ko)
WO (1) WO20040196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60B1 (ko) * 2007-12-14 201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림을 처리하는 송신 시스템 및 수신 시스템과 그 처리 방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22797A (zh) * 2004-03-18 2007-02-28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使用外编码发射和接收广播数据的方法和装置
EP2040492A1 (en) * 2007-09-18 2009-03-25 Thomson Licensing Access network handover for a mobile television system
CN110868753B (zh) * 2018-08-27 2022-08-12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307A (en) 1986-10-17 1990-02-13 Qualcomm, Inc.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tellite or terrestrial repeaters
US5511073A (en) 1990-06-25 1996-04-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ormatting of data for transmission
US5103459B1 (en) 1990-06-25 1999-07-0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5287374A (en) * 1992-04-30 1994-02-15 Hughes Aircraft Company Identification of encoder type through observation of data received
US5483664A (en) * 1993-07-26 1996-01-09 Motorola, Inc. Cellular communications with scheduled handoffs
US5774496A (en) 1994-04-26 1998-06-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ata rate of transmitted variable rate data in a communications receiver
US5751725A (en) 1996-10-18 1998-05-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ate of received data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US5883888A (en) * 1996-12-03 1999-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eamless soft handoff in a CDM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999816A (en) 1997-02-18 1999-12-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obile assisted hard handoff between communication systems
DE19746366A1 (de) * 1997-10-21 1999-05-06 Temmen Gmbh Pflanzenstärkungsmittel auf der Basis von Zellstreckungshormonen Zur Bekämpfung von biotrophen Schadorganismen
US6134440A (en) 1998-01-26 2000-10-17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obile station assisted hard handoff using off line searching
KR100595147B1 (ko) * 1998-12-09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랜스포트 채널 멀티플렉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수신 장치
KR100365613B1 (ko) 2000-02-17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공통패킷채널의 채널 할당방법 및 장치
US6337983B1 (en) 2000-06-21 2002-01-08 Motorola, Inc. Method for autonomous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60B1 (ko) * 2007-12-14 201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림을 처리하는 송신 시스템 및 수신 시스템과 그 처리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35646B (zh) 2014-04-21
IL166501A (en) 2011-08-31
AU2003262724A1 (en) 2004-03-11
IL166501A0 (en) 2006-01-15
RU2005107720A (ru) 2005-08-27
EP2442592A3 (en) 2014-01-22
MXPA05002026A (es) 2005-06-03
EP1540975A2 (en) 2005-06-15
TW200420155A (en) 2004-10-01
BR0313596A (pt) 2005-10-18
RU2330385C2 (ru) 2008-07-27
AU2003262724B2 (en) 2009-03-19
KR100972763B1 (ko) 2010-07-28
AU2003262724C1 (en) 2009-09-17
UA83347C2 (uk) 2008-07-10
JP4331108B2 (ja) 2009-09-16
RU2008109261A (ru) 2009-10-10
WO2004019635A3 (en) 2004-07-15
JP2005536949A (ja) 2005-12-02
TW201029510A (en) 2010-08-01
WO2004019635A2 (en) 2004-03-04
EP1540975B1 (en) 2016-02-03
RU2482608C2 (ru) 2013-05-20
HK1083969A1 (en) 2006-07-14
CA2495667A1 (en) 2004-03-04
TWI348328B (en) 2011-09-01
EP2442592A2 (en)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3769B2 (ja) 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外部デコーダの利用を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0163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content on a broadcast services communication system
US76434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content on a broadcast services communication system
US87309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tion of decoding complex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72763B1 (ko) 방송 서비스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