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362A - 핸즈프리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362A
KR20050032362A KR1020030068406A KR20030068406A KR20050032362A KR 20050032362 A KR20050032362 A KR 20050032362A KR 1020030068406 A KR1020030068406 A KR 1020030068406A KR 20030068406 A KR20030068406 A KR 20030068406A KR 20050032362 A KR20050032362 A KR 2005003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oll
coupled
mov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길수
Original Assignee
(주)쓰리디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디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쓰리디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3006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2362A/ko
Publication of KR2005003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3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핸즈프리에 휴대폰이 연결되고, 외부의 전화와 통화중인 경우에 상대방의 목소리가 입력될 때만 움직이는 동작을 하는 인형을 구비한 핸즈프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핸즈프리는 인형의 머리를 상, 하, 좌, 우 등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상, 하 이동수단 및 좌, 우 이동수단이 인형의 몸 속에 내장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핸즈프리는 통화 중에 상대방의 음성 신호에 따라 상, 하 이동수단 및 좌, 우 이동수단이 구동하여 인형의 머리가 좌, 우 및 상, 하 그리고 입술의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인형의 동작을 실현하여 통화자의 흥미 유발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핸즈프리{Handsfree-kit}
본 발명은 움직이는 인형을 구비한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즈프리에 휴대폰이 연결되고, 외부의 전화와 통화중인 경우에 상대방의 목소리가 입력될 때만 움직이는 동작을 하는 인형을 구비한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즈프리는 차량을 운전할 때 또는 가정, 사무실 등에서 외부로 부터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손을 대지 않고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핸즈프리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에 캐릭터를 부착하여 통화 중에 그 캐릭터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30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통화 중에 상대방이 말을 하는 경우 구동부를 통하여 캐릭터의 입 모양이 변화하도록 함으로서 통화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캐릭터의 형상이 움직일 수 있는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흥미를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중에 상대방의 음성 신호에 따라 핸즈프리에 일체로 결합된 인형이 움직이는 것은 물론 고개를 흔들거나 머리를 상하로 움직임과 아울러 입 모양이 변화도록 하여 다양한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화자의 흥미 유발을 증대시키는 핸즈프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형이 결합되어 통화자의 음성 신호에 따라 상기 인형이 움직이는 핸즈프리에 있어서, 통화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그리고 휴대폰과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잭과 연결되는 제어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인형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원; 상기 제2 케이스의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형의 머리가 상, 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입 모양이 가변하는 머리 상, 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핸즈프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휴대폰이 휴대폰 잭에 연결된 상태에서 통화 중인 경우에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제어장치에서 인식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구동원이 작동된다. 상기 구동원이 작동되면, 상, 하 이동수단에 의하여 인형의 머리가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 하 이동수단에 의하여 인형의 입 모양이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좌, 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인형의 머리가 좌, 우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 의하여 구동원이 작동하여 인형의 다양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인형(1)의 내부에 핸즈프리 어셈블리(3)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인형(1)은 통상의 사람형상 또는 동물형상을 가지는 봉제 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즈프리 어셈블리(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인형(1)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1 케이스(5), 상기 제1 케이스(5)에 좌, 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5)는 내부에 제어장치(9,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됨)가 배치된다. 상기 제어장치(9)는 스피커(11), 마이크(13), 그리고 휴대폰(도시생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잭(15)과 연결되어 있다. 휴대폰에 잭(1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화중일 때 상대방의 음성이 제1 케이스(5)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11)를 통하여 나올 수 있고, 또한 인형에 결합되는 마이크(13)에 의하여 상대방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9)는 통화중일 때 음성신호 받아 후술하는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케이스(5)는 두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되는 부분의 내부에 축 부재(5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5)의 상부에는 개구부(5b)가 제공된다.
상기 제2 케이스(7)는 상기 제1 케이스(5)의 개구부(5b)에 일부가 돌출되는 상태로 상기 제1 케이스(5)에 좌, 우(인형의 전면을 기준으로 설명함)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케이스(7)는 내부에 제어장치(9)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원으로 모터(17)가 배치된다. 상기 제2 케이스(7)에는 상, 하 이동수단 및 좌, 우 이동수단이 배치되는데, 우선 상, 하 이동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케이스(7)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1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할 수 있는 감속기어군(21, 도 5에 도시하고 있음)이 배치된다. 상기 감속기어군(21)은 모터(17)의 회전축에 배치되는 구동풀리(23), 상기 구동풀리(23)에 연결되는 벨트(25)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피동풀리(27), 상기 피동풀리(27)와 함께 회전하는 제1 기어(29), 상기 제1 기어(29)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기어(19)에 치합되는 제2 기어(31), 상기 제2 기어(31)와 동일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기어(31)와 함께 회전하는 제3 기어(33), 상기 제3 기어(33)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4 기어(35)를 포함한다. 상기 제4 기어(35)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4 기어(35)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원형의 돌출부(37)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37)는 제1 이동부재(41)를 상, 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이동부재(41)는 일측이 상기 돌출부(37)에 삽입될 수 있는 구멍(41a)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41a)이 돌출부(37)에 삽입되어 상기 제4 기어(35)의 회전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1 이동부재(41)에는 제2 이동부재(43)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 이동부재(43)는 인형의 머리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부재(43)에는 제3 이동부재(45)가 힌지 결합되고 동시에 인형(1)의 턱 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제3 이동부재(45)는 상기 제2 이동부재(43)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제2 케이스(7)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7a)에 접촉되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3 이동부재(43, 45)는 서로 탄성부재인 스프링(47)이 결합되어 상기 제2, 3 이동부재(43, 45)의 선단이 항상 모아지거나 떨어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2 케이스(7)에 배치되는 좌, 우 이동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좌, 우 이동수단은 구동력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기어(51, 53)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5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2 케이스(7) 자체를 제1 케이스(5)에 대하여 좌, 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부재(55)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51)는 상기 제4 기어(35)와 동일 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4기어(3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기어(51)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또 다른 동력전달기어(53)가 상기 제2 케이스(7)에 배치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53)는 상술한 제2, 3 기어(31, 33)와 동일 축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기어 (53)는 일면에 편심으로 배치되는 원형의 돌출부(53a)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5)는 상기 동력전달기어(53)의 일면에 제공되는 돌출부(53a)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구멍(55a)이 제공되고, 상기 구멍(55a)에 상기 돌출부(53a)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55)는 일측이 연장되고, 이 연장된 부분에 구멍(55b)이 제공되며, 이 구멍(55b)이 상기 제1 케이스(5)에 제공되는 축 부재(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재(55)는 상기 연장된 부분의 타단이 연장되어 상기 제4 기어(35)가 고정되는 축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잭(15)에 휴대폰(71, 도 6에 표시하고 있음)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중인 경우에 통화자의 음성신호가 들어오면, 제어장치(9)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신호 인식부(73, 도 7에서 도식화하여 표현하고 있음)에서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모터(17)를 구동시킨다. 먼저 상, 하 이동수단에 의하여 인형의 머리가 상, 하 움직이며, 인형의 입술이 움직일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모터(17)가 구동되면 모터(17) 축에 제공되는 구동풀리(23)가 회전하고 벨트(25)에 의하여 피동풀리(27)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피동풀리(27)의 회전력은 제1 기어(29), 제2 기어(31), 제3 기어(33), 그리고 제4 기어(35)에 회전력이 순차적으로 전달되면서 감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4 기어(35)가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37)가 편심 상태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이동부재(41)가 상, 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1 이동부재(41)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부재(4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2 이동부재(43)가 움직인다. 상기 제2 이동부재(43)는 인형의 머리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보면 인형의 머리가 상, 하로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상기 제2 이동부재(43)가 상, 하로 움직이면서 제3 이동부재(45)로 따라서 상, 하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제3 이동부재(45)는 일단이 상기 제2 케이스(7)에 제공된 돌출부(7a)에 접촉하면서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제3 이동부재(45)의 움직임에 대한 반력으로 스프링(47)의 탄성력이 작용한다. 상기 제3 이동부재(45)는 인형의 입술 또는 턱을 이루는 부분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보면 인형의 입술 또는 턱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좌, 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인형의 머리부가 좌, 우로 움직이는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4 기어(35)가 회전함에 따라 동력전달기어(51, 53)가 순차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53)의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부재(55)는 구멍(55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재(55)의 구멍(55a)이 상기 동력전달기어(53)에 편심되어 제공된 돌출부(53a)에 결합되므로 일정한 거리를 반복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5)의 연장된 부분에 제공되는 또 다른 구멍(55b)이 상술한 제1 케이스(5)에 제공된 축 부재(5a)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2 케이스(7)는 상기 제1 케이스(5)에 대하여 좌, 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좌, 우 방향은 인형의 앞쪽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케이스(7)는 인형의 머리부에 결합되어 있어 외부에서 보면 인형의 머리부가 좌, 우로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통화자의 음성신호에 따라 인형의 머리부가 좌, 우 및 상, 하로 움직임과 동시에 인형의 입술 부분이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인형의 여러 동작을 통하여 통화자는 더욱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상대방의 음성 신호에 따라 상, 하 이동수단 및 좌, 우 이동수단의 작용에 의하여 인형의 머리가 좌, 우 및 상, 하 그리고 입술의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다양한 동작으로 인형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화자의 흥미 유발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Claims (4)

  1. 인형이 결합되어 통화자의 음성 신호에 따라 상기 인형이 움직이는 핸즈프리에 있어서,
    통화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그리고 휴대폰과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잭과 연결되는 제어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인형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원;
    상기 제2 케이스의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형의 머리가 상, 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입 모양이 가변하는 머리 상, 하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좌, 우 이동이 이루어져 인형의 머리가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2 케이스에 배치되는 좌, 우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핸즈프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어군;
    상기 감속기어군 중의 하나의 기어에 결합되어 인형의 머리를 상, 하로 움직이도록 제1 이동부재;
    상기 제1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함께 상, 하 이동되며, 인형의 머리부에 결합되는 이루는 제2 이동부재;
    상기 제2 이동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인형의 턱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케이스에 접촉하여 움직이는 제3 이동부재;
    상기 제2, 3 이동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2, 3 이동부재의 선단이 항상 모아지거나 떨어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한 핸즈프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동력전달기어;
    일정한 각도로 제2 케이스가 좌, 우로 이동되도록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결합되고,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
    를 구비한 핸즈프리.
KR1020030068406A 2003-10-01 2003-10-01 핸즈프리 KR20050032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06A KR20050032362A (ko) 2003-10-01 2003-10-01 핸즈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06A KR20050032362A (ko) 2003-10-01 2003-10-01 핸즈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362A true KR20050032362A (ko) 2005-04-07

Family

ID=3723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406A KR20050032362A (ko) 2003-10-01 2003-10-01 핸즈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236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714A (ko) * 1999-11-16 2001-06-25 소진수 전화착신을 원하는 음향과 인형의 동작으로 알려주는 방법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1345906A (ja) * 2000-05-31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電話対応型ロボット
KR20030041674A (ko) * 2001-11-21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립 싱크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714A (ko) * 1999-11-16 2001-06-25 소진수 전화착신을 원하는 음향과 인형의 동작으로 알려주는 방법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1345906A (ja) * 2000-05-31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電話対応型ロボット
KR20030041674A (ko) * 2001-11-21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립 싱크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6869A1 (en) Operable toy
KR20040064155A (ko) 무선 헤드셋 장치
KR20070048895A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100800712B1 (ko) 스윙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반자동 스윙 장치
KR20090103078A (ko) 휴대폰 합체 로봇 및 원격 제어 방법
EP1729538A1 (en) Acoustic apparatus using bone-conduction speaker
KR20050030074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이 무선단말기에서의 슬라이딩 제어 방법
KR20050032362A (ko) 핸즈프리
JP3074434U (ja) 携帯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装置を備えた玩具
JP2006186699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US6343970B1 (en) Driving apparatus for a doll
JP3139700U (ja) 携帯電話用人形
JP2002044200A (ja) モーター搭載電子機器
JP3085460U (ja) 人形を利用したハンズフリー装置
JP3074310U (ja) 人形の運動装置
KR100842528B1 (ko) 스윙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스윙 장치
WO2005014133A1 (en) A toy
KR100805196B1 (ko)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13602Y1 (ko) 인형구동장치
KR100733206B1 (ko) 이중 탄성부재를 이용한 힌지장치
KR100810219B1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
CN208850013U (zh) 移动式智能音响
JP3087134U (ja) 通信機器
JP6580732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の制御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製作キット
KR1009950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