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683A - 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 - Google Patents

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683A
KR20050031683A KR1020030067917A KR20030067917A KR20050031683A KR 20050031683 A KR20050031683 A KR 20050031683A KR 1020030067917 A KR1020030067917 A KR 1020030067917A KR 20030067917 A KR20030067917 A KR 20030067917A KR 20050031683 A KR20050031683 A KR 20050031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pare area
size
spare
recor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희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1683A/en
Priority to CNA2004800285142A priority patent/CN1860548A/en
Priority to JP2006532077A priority patent/JP2007507827A/en
Priority to RU2006110204/28A priority patent/RU2313140C1/en
Priority to CA2540142A priority patent/CA2540142C/en
Priority to US10/573,997 priority patent/US20070274175A1/en
Priority to BRPI0414917-3A priority patent/BRPI0414917A/en
Priority to EP04774729A priority patent/EP1668642A4/en
Priority to PCT/KR2004/002479 priority patent/WO2005031741A1/en
Publication of KR2005003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68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A write-once disk and a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k are provided to use efficiently data areas of the write-once disk by expanding or reducing a spare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 to the size of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A method of using a write-once disk comprises a step(11) of allocating and a step(13) of dividing wherein the write-once disk includes a single writing layer in which user data is written in a direction from an inner circumference to an outer circumference. In the step of allocating, a data area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o an end position in the writing layer is allocated to a spare area. In the step of dividing, the spare area is divided into a sub-spare area and a temporal disk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ce. A size of the temporal disk management are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1/N(N is real number) of a size of the spare area.

Description

한번 기록 디스크 및 그 디스크의 사용 방법{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

본 발명은 한번 기록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 기록 디스크 및 그 디스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e once disc,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te once disc and a method of using the disc.

한번 기록 디스크(Write-Once Disc)는 데이터 기록 영역에 1회만 기록 가능한 특성을 가진 정보저장매체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정보를 일단 기록한 후에는 그 기록된 정보를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없다.Since a write-once disc is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capable of recording only once in the data recording area, the user cannot delete or change the recorded information once recording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disc once.

1회 기록 가능한 한번 기록 디스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함관리에 관련한 정보 또는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한번 기록 디스크에는 스페어 영역(spare area) 및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TDM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이 별도로 마련된다. In order to record file system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defect management or various information on data recorded on the disk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disk, which can be written once, a spare area may be written on the recording disk. A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TDMA) are separately provided.

결함 관리란 정보저장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한 사용자 데이터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결함이 발생된 부분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다시 스페어 영역에 기록하여 결함 발생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방지해주는 것을 가리킨다.Defect management refers to preventing data loss due to a defect by recording user data recorded in a defective area again in a spare area when a defect occurs in user data recorded in a user data area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결함 관리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드라이브는 기록 후 검증 (verify after write) 방식에 따라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한 다음,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함으로써 결함이 발생한 한번 기록 디스크 상의 위치를 찾아낸다. 드라이브는 결함이 발생한 위치에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스페어 영역에 기록하고, 결함이 발생한 위치와 새로이 대체된 스페어 영역의 위치를 알려주는 임시 결함 정보(TDFL: Temporary DeFect List) 및 그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를 생성한다. Once the defect management method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recording disk, the drive writes data to the recording disk once in a predetermined unit according to the verify after write method, and then, once the defect has occurred by verifying the recorded data. Find the location on the recording disc. The drive writes the data recorded at the fault location back to the spare area, and records temporary fault information (TDFL) and its temporary fa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fault and the location of the newly replaced spare area. Create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드라이브는 생성된 임시 결함 정보 또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해두었다가 소정 분량 모아서,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이하, TDMA 영역이라 함)에 기록한다.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를 계속 기록함에 따라 TDMA에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또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업데이트 된다. The drive stores the generat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or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a memory, collects a predetermined amount, and writes them in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DMA area) provided on the recording disk once. As data is continuously recorded on the recording disk once,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or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DMA is updated.

또한, 스페어 영역에는 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이를 반영한 갱신된 파일 시스템 정보가 전술한 결함 관리 및 논리기록갱신(Logical Over Write)기능을 이용하여 기록되기도 한다. 논리기록갱신 기능이란, 디스크의 논리적인 기록 위치 즉 논리 주소(Logical address)를 변경하지 않고 그 논리 주소에 대응하는 디스크 상의 물리적 주소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논리 주소에 기록되어진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말한다. In addition, as data is recorded in the spare area, updated file system information reflecting the data may be record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defect management and logical overwrite functions. The logical write update function is a function of updating information recorded at the same logical address by changing the physical address on the disk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address without changing the logical recording position of the disk, that is, the logical address. Say.

보다 상세하게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 정보의 갱신 과정을 설명하면, 호스트의 파일 시스템 갱신 명령에 의해 드라이브는 파일 시스템 정보의 논리 주소에 대응되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물리 주소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으로 확인되면 그 물리 주소 영역을 결함으로 간주하고 스페어 영역에 갱신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대체하여 기록한다.  In more detail, once the updating process of the file system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disk is described, whether or not data is recorded in the physical address of the recording disk once corresponds to the logical address of the file system information by the host's file system update command. Check. If the data is identified as an area where data is already recorded, the physical address area is regarded as a defect and the updated file system information is replaced in the spare area and recorded.

전술한 스페어 영역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초기화 시, 데이터 영역 내에 할당된다. TDMA 영역은 데이터 영역 외의 영역 즉,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나, 한번 기록 디스크의 초기화 시, 스페어 영역의 일부를 다시 TDMA 영역으로 할당 할 수도 있다. The spare area described above is allocated in the data area at the time of initializing the recording disk. At least one TDMA area is provided in an area other than the data area, that is, the lead-in area or the lead-out area. However, at the time of initializing the recording disk, a part of the spare area may be allocated back to the TDMA area.

또한 스페어 영역은 스페어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가 애초 예상보다 많은 경우, 확장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어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와 TDMA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 간에는 일정한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 즉, 스페어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가 많으면 TDMA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도 많은 비례관계가 있으므로 TDMA 영역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스페어 영역만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것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효율적 사용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spare area can be expanded when there is more data to be recorded in the spare area than originally expected. However, there is a certain correl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pare area and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DMA area. In other words, if there is a lot of data to be recorded in the spare area, there i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data to be recorded in the TDMA area. Therefore, expanding or reducing only the spare area irrespective of the size of the TDMA area has a problem in terms of efficient use of a recording disk onc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효율적으로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을 사용할 수 있는 한번 기록 디스크 및 그 디스크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write once disc and a method of using the disc, which can more efficiently use the data area of the disc.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using a write-once disc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에 포함된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을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상기 스페어 영역을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using a single recording layer recording medium in which user data is recorded from an inner circumference to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method comprising: allocating an area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o a last position of a data area included in the recording layer as a spare area; And dividing the spare area into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from an inner circumference to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s equal to or larger than 1 / N (N is a real number) of the spare area. It features.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se method of the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기록층 및 제2 기록층을 포함하고, 제1 기록층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OTP(Opposite Track Path)방식에 따라 기록되는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층에 포함된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을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상기 스페어 영역을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using a dual recording lay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first recording lay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wherein user data is recorded from the first recording layer according to an OTP (Opposite Track Path) method. Allocating an area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last position of the included data area as a spare area; And dividing the spare area into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from an outer circumference to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s equal to or larger than 1 / N of the size of the spare area (N is a real number). It features.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한번 기록 디스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cording disc on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에는 데이터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은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되고, 상기 스페어 영역은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ingle recording layer in which user data is recor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recording layer is provided with a data area, and an area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last position of the data area is allocated as a spare area, and the spare area Includes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s equal to or larger than 1 / N of the size of the spare area (N is a real number).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한번 기록 디스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기록층 및 제2 기록층을 포함하고, 제1 기록층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OTP(Opposite Track Path)방식에 따라 기록되는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층에는 데이터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은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되고, 상기 스페어 영역은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A dual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comprising a first recording lay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wherein user data is recorded from the first recording layer according to an OTP (Opposite Track Path) method, wherein the second recording layer includes a data area. And an area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o a last position of the data area is allocated as a spare area, wherein the spare area includes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from an outer circumference to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1 / N (N is a real number) of the size of the spare area.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초기화 시에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을 할당하고, 다시 그 스페어 영역을 서브 스페어 영역 및 TDMA 영역으로 분할한 경우, 상기 TDMA 영역의 크기와 관련하여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을 소정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함으로써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 또는 스페어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are area is allocated to a data area at the time of initializing a recording disk, and the spare area is further divided into a sub spare area and a TDMA area, the sub spare area is defined in a predetermined range in relation to the size of the TDMA area. By expanding or contracting within the data, the data area or spare area of the recording disk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이고, 도 1의 (b)는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 (a) shows a single record layer once record disc and FIG. 1 (b) shows a double record layer write once disc. .

도 1의 (a)를 참고하면,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Inner area 0, Data area 0 및 Outer area 0가 배치되어 있다. Data area 0는 Spare area 1, User data area 1 및 Spare area 2를 포함한다. 도 1의 (b)를 참고하면,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는 기록층 L0 및 L1을 포함하고, 기록층 L0의 구조는 도 1의 (a)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다. 기록층 L1의 구조 또한 기록층 L0의 구조와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1A, the inner area 0, the data area 0, and the outer area 0 ar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Data area 0 includes spare area 1, user data area 1, and spare area 2. Referring to Fig. 1B, the double recording layer recording disc once includes recording layers L0 and L1, and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layer L0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1A.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layer L1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recording layer L0.

도 2는 단일 기록층 한번기록디스크의 기록층 L0 또는 이중 기록층 한번기록디스크의 첫 번째 기록층(L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nner area 0은 DMA1, 기록조건테스트 영역(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TDMA1 및 DMA1을 포함한다. Data area 0는 Spare area 1, User data area 1 및 Spare area 2를 포함한다. Spare area 2는 다시 Sub spare area 2 및 TDMA 2로 분할된다. Spare area 1 및 2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초기화 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드라이브의 명령에 따라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에 할당된다. Spare area 2는 다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드라이브의 명령에 따라 Sub spare area 2 및 TDMA 2로 분할된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cording layer L0 of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or a first recording layer L0 of a double write layer write once disc. Referring to Fig. 2, inner area 0 includes DMA1, a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TDMA1, and DMA1. Data area 0 includes spare area 1, user data area 1, and spare area 2. Spare area 2 is further divided into sub spare area 2 and TDMA 2. Spare areas 1 and 2 are allocated to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data area according to user selection or drive command at the time of initializing the recording disc. Spare area 2 is further subdivided into sub spare area 2 and TDMA 2 according to user selection or drive command.

TDMA 영역은 결함 관리에 관한 정보 및 임시 디스크 관리를 위한 정보 등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결함 관리에 관한 정보란 전술한 임시 결함 정보(TDFL)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를 포함하고, 임시 디스크 관리를 위한 정보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서로 다른 비트 값을 이용하여 나타낸 스페이스 비트 맵(SBM: Space Bit Map) 또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기록 주소(LRA: Last Recorded Address) 등을 포함한다.The TDMA area is an area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temporary disk management,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on defect management includes the above-mention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DFL)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and the information for temporary disk management is a space in which the data recording state of a recording disk is written using different bit values once. A space bit map (SBM) or a last recorded address (LRA) of the user data area is included.

DMA(Disc Management Area) 영역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최종화 시 TDMA 영역에 기록된 최종적인 디스크의 결함 정보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The disc management area (DMA) area is an area for recording defect information and temporary disc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last disc recorded in the TDMA area at the time of finalizing the recording disc.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 및 TDMA 영역이 할당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초기화 시,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 1 및 2가 할당된 경우를 나타낸다. 데이터 영역 중의 스페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사용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에서 외주방향이다. 스페어 영역 1의 사용방향도 마찬가지로 내주에서 외주방향이지만 스페어 영역 2의 사용방향은 반대로 외주에서 내주방향이다. 스페어 영역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확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스페어 영역 2를 사용한다.3 is a diagram showing a sing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in which a spare area and a TDMA area are allocated to a data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 shows a case where spare areas 1 and 2 are allocated to a data area when the recording disk is initialized once. The use direction of the remaining area except the spare area in the data area, that is, the user data area is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ce as shown. The use direction of the spare area 1 is similarly circumferential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but the use direction of the spare area 2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If the spare area needs to be expanded, spare area 2 is u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acilitate the expansion.

일반적으로 결함 발생 시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전체 용량의 약 5%를 할당한다. 그러나 Logical Over-Write(이하, LOW라 함) 및 결함 관리를 이용하여 스페어 영역에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보다 클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기화 시점에 미리 스페어 영역을 할당한 후 사용 중 필요에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스페어 영역을 확장한다. In general, the spare area for replacement in the event of a defect allocates approximately 5% of the total capacity of the recording disc once. However, when recording updated file system information in the spare area using Logical Over-Wri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W) and defect management, the size of the spare area needs to be larg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re area is allocated in advance at the time of initialization, and then the spare area is expand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s necessary during use.

도 3의 (b)는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 1 및 2가 할당한 후 다시 스페어 영역 2를 서브 스페어 영역 2(Sub spare area 2) 및 TDMA 2로 분할한 경우를 나타낸다.3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spare areas 1 and 2 are allocated to the data area, and then spare area 2 is further divided into sub spare area 2 and TDMA 2.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기록층(L0)의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 및 TDMA 영역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2의 크기 및 스페어 영역 2의 내부에 다시 할당된 TDMA 2의 크기의 비율이 4:1인 경우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스페어 영역 2의 크기 및 TDMA 2의 크기의 비율은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llocating a spare area and a TDMA area to a data area of a recording layer L0 of a sing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s a case where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first allocated spare area 2 and the size of the TDMA 2 reassigned inside the spare area 2 is 4: 1.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spare area 2 to the size of the TDMA 2 may be variously changed.

도 4의 (a)를 참조하면, 한번 기록 디스크의 초기화 시에 크기가 4N인 스페어 영역 2가 데이터 영역의 후미에 할당된다. 영역의 크기라 함은 그 영역에 기록되는 ECC(Error Correction Code) 블록의 개수 또는 그 영역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의 용량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특정 영역의 크기라 함은 그 영역에 기록되는 ECC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4L은 스페어 영역 2를 위해 할당 가능한 최대 크기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4A, spare area 2 having a size of 4N is allocated at the rear of the data area at the time of initializing the recording disk. The size of an area indicates the number of ECC (Error Correction Code) blocks recorded in the area or the capacity of data that can be recorded in the area. 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a specific area is assumed to indicate the number of ECC blocks recorded in that area. 4L represents the maximum size allocable for spare area 2.

도 4의 (b)는 스페어 영역 2가 다시 서브 스페어 영역 2(Sub spare area 2) 및 TDMA 2로 분할된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 0의 사용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에서 외주방향이고, 서브 스페어 영역 2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브 스페어 영역 2의 사용방향은 외주에서 내주 방향이다.4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spare area 2 is divided into sub spare area 2 and TDMA 2 again. The use direction of the user data area 0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inner circumference as shown, and the use direction of the sub spare area 2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outer circumference to facilitate the expansion of the sub spare area 2.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페어 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양과 TDMA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의 양자간에는 비례관계가 있으므로 스페어 영역의 크기와 TDMA 영역의 크기는 서로 연관되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TDMA 2의 크기는 K로서 N이상 L이하의 크기를 가진다. 즉, 스페어 영역 2의 크기의 1/4 이상이고 스페어 영역 2를 위해 할당 가능한 최대 크기의 1/4이하의 크기이다. TDMA 2의 크기가 K이므로 서브 스페어 영역 2의 크기는 당연히 4N-K 가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data recorded in the spare area and the data to be recorded in the TDMA area, the size of the spare area and the size of the TDMA area are preferably determin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B, the size of TDMA 2 is K and has a size of N or more and L or less. That is, it is at least 1/4 of the size of spare area 2 and at most 1/4 of the maximum size that can be allocated for spare area 2. Since the size of TDMA 2 is K, the size of sub spare area 2 is naturally 4N-K.

스페어 영역 2가 서브 스페어 영역 2 및 TDMA 2로 분할된 후, TDMA 2의 크기는 변경이 불가하다. 그러나 서브 스페어 영역 2는 필요 시 내주 방향으로 확장 또는 외주 방향으로 축소가 가능하다. 서브 스페어 영역 2의 확장은 서브 스페어 영역 2와 접한 사용자 데이터 영역 0의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 가능함은 물론이다. After spare area 2 is divided into sub spare area 2 and TDMA 2, the size of TDMA 2 cannot be changed. However, the sub spare area 2 can be expand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reduc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f necessary. The sub spare area 2 can be expanded in the case where no data is recorded in the area of the user data area 0 in contact with the sub spare area 2.

본 실시예에 의하면, TDMA 2의 크기를 고려하여 서브 스페어 영역 2를 확장한다. 즉, 서브 스페어 영역 2는 확장된 서브 스페어 영역 2의 크기와 TDMA 2의 크기를 더한 크기가 TDMA 2의 크기의 4배 이하의 범위 내에서 확장된다. 만약, TDMA 2의 크기가 스페어 영역 2의 크기의 1/4인 N이라면 서브 스페어 영역 2는 확장될 수 없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ub spare area 2 is expand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DMA 2. That is, the sub spare area 2 is expanded in a range in which the size of the extended sub spare area 2 plus the size of the TDMA 2 is not more than four times the size of the TDMA 2. If the size of TDMA 2 is N that is 1/4 of the size of spare area 2, sub spare area 2 cannot be expanded.

스페어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 양은 적으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서브 스페어 영역 2의 축소는 물론 가능하다. 서브 스페어 영역 2의 크기는 "0"까지 축소 가능하다.  If the amount of data to be recorded in the spare area is small, but the user data area needs to be expanded, the sub spare area 2 may be reduced. The size of the sub spare area 2 can be reduced to "0".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두 번째 기록층(L1)의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 및 TDMA 영역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인 경우, 스페어 영역은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기록층 L0에 스페어 영역 1 및 2를 할당하고, 두 번째 기록층 L1에 스페어 영역 3 및 4를 할당할 수 있다. 이 중 스페어 영역 4를 서브 스페어 영역과 TDMA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중에 모든 스페어 영역의 확장 또는 감소는 가능하다. 그러나, 스페어 영역 4가 영역의 확장이 가장 용이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어 영역 4를 서브 스페어 영역 4 및 TDMA 2로 분할한다. 본 실시예도 도 4에 도시한 단일 기록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4의 크기 및 스페어 영역 4의 내부에 다시 할당된 TDMA 2의 크기의 비율이 4: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llocating a spare area and a TDMA area to a data area of a second recording layer L1 of a doub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double recording layer recording disc, the spare area allocates spare areas 1 and 2 to the first recording layer L0 and spare areas 3 and 4 to the second recording layer L1, as shown in Fig. 1B. Can be assigned. Of these, the spare area 4 is preferably divided into a sub spare area and a TDMA area. It is possible to expand or reduce all spare areas during the use of the recording disc once. However, since spare area 4 has the easiest area expansion, the spare area 4 is divided into sub spare area 4 and TDMA 2 in this embodiment. Like the single recording layer shown in FIG. 4,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in which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first allocated spare area 4 and the size of TDMA 2 reassigned inside the spare area 4 is 4: 1. .

스페어 영역 내에 할당된 TDMA 영역의 크기의 범위, 서브 스페어 영역의 확장 또는 감소의 범위는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어 영역 4를 서브 스페어 영역 4 및 TDMA 2로 분할하고, 사용자 데이터 영역 1의 사용방향은 외주에서 내주 방향이고 서브 스페어 영역 4의 사용방향은 그 반대인 내주에서 외주 방향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range of the size of the TDMA area allocated within the spare area and the range of expansion or reduction of the sub spare area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However, as shown in (b) of FIG. 5, the spare area 4 is divided into sub spare areas 4 and TDMA 2, and the use direction of the user data area 1 i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use direction of the sub spare area 4 i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방법의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6 shows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method of using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기록층에 포함된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을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한다(제11 단계). 스페어 영역의 할당은 디스크의 초기화 시점에 수행된다. As shown in Fig. 3A, a single recording layer is allocated as a spare area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last position of the data area included in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disk once (step 11). The allocation of the spare area is performed at the time of initializing the disk.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상기 스페어 영역을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으로 분할한다(제13 단계). 사용자 데이터가 데이터 영역에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기록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외주측 경계와 서브 스페어 영역이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서브 스페어 영역의 확장 또는 감소가 용이하기 때문에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상기 스페어 영역을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으로 분할한다. 제13 단계에서 TDMA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DMA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을 위해 할당 가능한 최대 크기의 1/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N은 4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pare area is divided into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TDMA)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tep 13). When the user data is recorded in the data area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easy to expand or decrease the sub spare area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boundary of the user data area is in contact with the spare area, so that the spare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easy. The area is divided into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TDMA). In the thirteenth step, the size of the TDMA region is preferably equal to or larger than 1 / N (N is a real number) of the spare region. In addition, the size of the TDMA region is preferably 1 / N or less of the maximum size allocable for the spare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 is preferably 4.

한번 기록 디스크의 초기화 시, 상기 제11 및 13 단계가 수행된다. 디스크의 초기화 후, 사용자 데이터가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됨에 따라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TDMA 영역에 각각 데이터가 기록된다.In the initialization of the recording disc once, the eleventh and thirteenth steps are performed. After the initialization of the disk, as user data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disk once, data is recorded in at least one spare area and at least one TDMA area provided in the recording disk once.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중, 미리 할당된 스페어 영역이 거의 소진되어 스페어 영역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제13 단계에서 할당된 서브 스페어 영역을 상기 TDMA 영역의 크기의 N배 이하의 크기까지 내주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이 소진되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확장이 필요하다면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을 감소한다(제15 단계).If the pre-allocated spare area is almost exhausted during the use of the recording disc once, and the spare area needs to be expanded, the sub spare area allocated in step 13 may be exte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 size not larger than N times the size of the TDMA area; If the user data area is exhausted and needs to be expanded, the sub spare area is reduced (step 15).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인 경우에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번째 기록층인 L1에 마련된 스페어 영역 4를 TDMA 영역 2 및 서브 스페어 영역 4로 분할한 후 소정 범위 내에서 서브 스페어 영역 4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even in the case of a double recording layer recording disc, the spare area 4 provided in the second recording layer L1 is divided into the TDMA area 2 and the sub spare area 4 as shown in FIG. Sub spare area 4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withi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TDMA)이 할당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의 크기와 연관하여 스페어 영역을 소정 범위에서 확장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write-once disk to which a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TDMA) are allocated, the spare area is expanded or reduced in a predetermined range more efficiently once in association with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The data area of the recording disc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단일 기록층 한번기록디스크의 기록층 또는 이중 기록층 한번기록디스크의 첫 번째 기록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cording layer of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or a first recording layer of a doub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 및 TDMA 영역이 할당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 sing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in which a spare area and a TDMA area are allocated to a data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 및 TDMA 영역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llocating a spare area and a TDMA area to a data area of a recording layer of a sing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두 번째 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에 스페어 영역 및 TDMA 영역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llocating a spare area and a TDMA area to a data area of a second recording layer of a doub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방법의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6 shows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method of using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using a sing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in which user data is recor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기록층에 포함된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을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Allocating an area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o a last position of a data area included in the recording layer as a spare area; And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상기 스페어 영역을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ividing the spare area into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from an inner circumference to an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s equal to or larger than 1 / N of the size of the spare area (where N is a real numbe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을 위해 할당 가능한 최대 크기의 1/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has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1 / N of the maximum size allocable for the spare area.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을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의 N배 이하의 크기까지 내주방향으로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extending the sub spare area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N times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을 외주 방향으로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ducing the sub spare are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 기록층 및 제2 기록층을 포함하고, 제1 기록층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OTP(Opposite Track Path)방식에 따라 기록되는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1. A method of using a dual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comprising a first recording lay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wherein user data is recorded from the first recording layer according to an OTP (Opposite Track Path) method. 상기 제2 기록층에 포함된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을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Allocating an area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o a last position of a data area included in the second recording layer as a spare area; And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상기 스페어 영역을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ividing the spare area into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from an outer circumference to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s equal to or larger than 1 / N of the size of the spare area (where N is a real number). 제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을 위해 할당 가능한 최대 크기의 1/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has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1 / N of the maximum size allocable for the spare area. 제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을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의 N배 이하의 크기까지 외주방향으로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extending the sub spare area in an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N times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제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을 내주 방향으로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ducing the sub spare area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스페어 영역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에 결함 발생 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다시 기록하거나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pare area is an area for rewriting the user data or recording updated file system information when a defect occurs in the user data recorded in the user data area.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은 적어도 임시 결함 관리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s an area for recording at least information on temporary defect management.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N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N is 4.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In a sing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in which user data is recor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기록층에는 데이터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은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되고, 상기 스페어 영역은 내주에서 외주방향으로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A data area is provided in the recording layer, an area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last position of the data area is allocated as a spare area, the spare area includes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from an inner circumference to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has a size equal to or greater than 1 / N (N is a real number) of the spare area. 제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을 위해 할당 가능한 최대 크기의 1/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has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1 / N of the maximum size allocable for the spare area. 제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은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의 N배 이하의 크기까지 내주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sub spare area is an area that can exten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N times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제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은 외주 방향으로 축소 가능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sub spare area is an area that can be redu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 기록층 및 제2 기록층을 포함하고, 제1 기록층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OTP(Opposite Track Path)방식에 따라 기록되는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In a dual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comprising a first recording lay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wherein user data is recorded from the first recording layer according to an OTP (Opposite Track Path) method. 상기 제2 기록층에는 데이터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소정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영역은 스페어 영역으로 할당되고, 상기 스페어 영역은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서브 스페어 영역 및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A data area is provided in the second recording layer, and an area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last position of the data area is allocated as a spare area, and the spare area includes a sub spare area and a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from an outer circumference to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의 1/N(N은 실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has a size equal to or greater than 1 / N (N is a real number) of the spare area. 제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페어 영역을 위해 할당 가능한 최대 크기의 1/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has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1 / N of the maximum size allocable for the spare area. 제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은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의 크기의 N배 이하의 크기까지 외주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sub spare area is an area that can exten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N times the size of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제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서브 스페어 영역은 내주 방향으로 축소 가능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sub spare area is an area that can be redu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2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6, 상기 스페어 영역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에 결함 발생 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다시 기록하거나 업데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spare area is an area for rewriting the user data or recording updated file system information when a defect occurs in the user data recorded in the user data area. 제12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6, 상기 임시 디스크관리 영역은 적어도 임시 결함 관리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s an area for recording at least information on temporary defect management. 제12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6, 상기 N은 4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N is four.
KR1020030067917A 2003-09-30 2003-09-30 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 KR20050031683A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917A KR20050031683A (en) 2003-09-30 2003-09-30 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
CNA2004800285142A CN1860548A (en) 2003-09-30 2004-09-24 Write-once disc, method of using write-once disc, an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006532077A JP2007507827A (en) 2003-09-30 2004-09-24 Method of using write-once disc, data recording and / or playback device, and write-once disc
RU2006110204/28A RU2313140C1 (en) 2003-09-30 2004-09-24 One-time recording disk, method for using a one-time recording disk and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CA2540142A CA2540142C (en) 2003-09-30 2004-09-24 Write-once disc, method of using write-once disc, an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10/573,997 US20070274175A1 (en) 2003-09-30 2004-09-24 Write-Once Disc, Method Of Using Write-Once Disc, An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BRPI0414917-3A BRPI0414917A (en) 2003-09-30 2004-09-24 A method of using a write-once disc comprising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data recording and / or playback apparatus, write-once disc ) write-layer where user data is written from the inside out, write-once disc write-once disc
EP04774729A EP1668642A4 (en) 2003-09-30 2004-09-24 Write-once disc, method of using write-once disc, an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PCT/KR2004/002479 WO2005031741A1 (en) 2003-09-30 2004-09-24 Write-once disc, method of using write-once disc, an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917A KR20050031683A (en) 2003-09-30 2003-09-30 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683A true KR20050031683A (en) 2005-04-06

Family

ID=3628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917A KR20050031683A (en) 2003-09-30 2003-09-30 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274175A1 (en)
EP (1) EP1668642A4 (en)
JP (1) JP2007507827A (en)
KR (1) KR20050031683A (en)
CN (1) CN1860548A (en)
BR (1) BRPI0414917A (en)
CA (1) CA2540142C (en)
RU (1) RU2313140C1 (en)
WO (1) WO200503174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346A (en) * 2005-09-13 2007-03-29 Funai Electric Co Ltd Optical disk device
KR20110021382A (en) * 2009-08-26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417A (en) * 1988-07-13 199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09167446A (en) * 1995-12-14 1997-06-24 Sony Corp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3707222B2 (en) * 1997-12-18 2005-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Optical disc, optical disc process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processing method
DE19964391B4 (en) * 1998-11-11 2010-10-14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allocating a spare area i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0222931A (en) * 1999-01-29 2000-08-11 Hokuetsu Kogyo Co Ltd Floodlight
JP3971117B2 (en) * 2001-03-22 2007-09-05 株式会社東芝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US7233550B2 (en) * 2002-09-30 2007-06-19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US20040160799A1 (en) * 2003-02-17 2004-08-19 Park Yong Cheol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pare area on write-once optical disc
US7499383B2 (en) * 2003-02-21 2009-03-03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for managing spare area thereof
TWI335587B (en) * 2003-02-21 2011-01-01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TWI328805B (en) * 2003-03-13 2010-08-11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recording medium and defective are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e-once recording medium
EP1647986A4 (en) * 2003-07-23 2007-08-22 Pioneer Corp Write once recording medium, recorder and recording method for write once recording medium, reproducer and reproducing method for write once recording medium,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and data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8642A4 (en) 2011-08-10
EP1668642A1 (en) 2006-06-14
CN1860548A (en) 2006-11-08
CA2540142C (en) 2012-04-10
BRPI0414917A (en) 2006-12-26
CA2540142A1 (en) 2005-04-07
RU2313140C1 (en) 2007-12-20
WO2005031741A1 (en) 2005-04-07
JP2007507827A (en) 2007-03-29
US20070274175A1 (en)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816B1 (en)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US6526522B1 (en)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optical recording medium
US7787338B2 (en) Write once disc allowing management of data area, method of managing the data are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 once disc
US20070094550A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US20050270965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20070286046A1 (en) Pseudo-Overwriting Data On Write-Once Discs
EP1606805A1 (en) Method of overwriting data in write-once medium an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US7821896B2 (en) Data recording/reproduction for write-once discs
RU2286610C2 (en) Optical data carrier,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KR20050031683A (en) Write-once disc and method of using the write-once disc
KR100459118B1 (en) method for assigning spare area of optical recording meduim
KR100677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including Drive ? DIsc Information and disc thereof
KR200400343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updatable DMA, and disc thereof
US20050147002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recording data on/from optical recording medium, method of recording/recording data on/from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enabling the method is recorded
RU2467408C2 (en)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to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US20050149483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on/from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data on/from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459117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it's spare area assigning method
KR100463555B1 (en) Optical record medium and it's data recording method
KR100463556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it's spare area allocating method
KR20050022810A (en) Write once information storage medium, method of updating data recording status information stored in the write onc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the drive therefor
RU2302669C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erving one-time record carrier data record condition and one-time record carrier for use with method and system
KR200500720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d write-once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erefor
KR20050079864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defect management apparatus/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for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050072037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for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0500720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d write-once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26

Effective date: 2011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