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537A -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 Google Patents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537A
KR20050031537A KR1020030067709A KR20030067709A KR20050031537A KR 20050031537 A KR20050031537 A KR 20050031537A KR 1020030067709 A KR1020030067709 A KR 1020030067709A KR 20030067709 A KR20030067709 A KR 20030067709A KR 20050031537 A KR20050031537 A KR 20050031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ale
chain conveyor
plate
f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211B1 (ko
Inventor
서형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브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브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브맥
Priority to KR10-2003-006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2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12Discharg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05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for disintegrating and cutting up bales of hay, straw or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2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having rotating knives with their cutting edg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ir rotational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료 원형베일의 절단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구에 관련된다. 적어도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며 베일을 적재하도록 설치되고, 적재된 베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재판(20); 상기 적재판(20)의 하류에서 베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러그(35)가 외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체인컨베이어(30); 상기 체인컨베이어(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풀린 조사료층의 유동단면적을 점감하는 유도판(40);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30)와 유도판(40)의 하류단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조사료층을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이송하는 절삭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축산용조사료원형베일의 해체 및 절단공급이 연속적인 자동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Device for loosening and cutting a bale}
본 발명은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산분야의 낙농이나 육우의 사육시 필요한 축산기계 중 조사료베일뭉치를 해체하여 커팅하는 베일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예를 보면 (a)국내에는 베일뭉치를 벨트컨베이어에 올려두고 컨베이어의 이송에 따라 베일이 풀리면 커팅기로 이송되어 이송방향의 수직으로 회전하는 대형작두칼날이 단속적으로 자르는 방식의 베일커터가 시판되고 있고 (b)해외에는 트랙터의 부착기로서 활용되면서 체인톱을 이용해서 연속적으로 베일을 절단하는 베일커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a)의 경우 연속작업과 자동작업이 난이하고 (a)와 (b)는 모두 운전동력이 크게 소요되고 먼지, 소음, 진동이 과다하게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베일이 풀린 조사료층이 불균일한 두께로 유입되고 커팅이 단속적으로 수행되는 구조적인 약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조적인 약점에 따른 불안정한 작동으로 항시 숙련된 작업자가 조정 및 조작을 행해야 하므로 미숙련자가 많은 국내 농촌 현실을 감안할 때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일뭉치에서 일정한 두께로 해체이송하여 설정된 양만큼 커팅부에 공급하고 절단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일정부하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자동연속운전이 가능하고 안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사료 원형베일의 절단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구에 있어서: 적어도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며 베일을 적재하도록 설치되고, 적재된 베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재판(20); 상기 적재판(20)의 하류에서 베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러그(35)가 외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체인컨베이어(30); 상기 체인컨베이어(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풀린 조사료층의 유동단면적을 점감하는 유도판(40);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30)와 유도판(40)의 하류단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조사료층을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이송하는 절삭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도판(40)은 체인컨베이어(30)와의 간격 조절 가능한 상태로 탄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절삭배출부는 절삭축(51) 상에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원형의 커터(52)와, 상기 절삭축(51)에 평행하게 대향하는 피동축(31) 상에 설치되는 배출러그판(55)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삭배출부에는 절단되는 조사료층에 수분을 공급하는 분무기(60)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일정 높이의 러그(35)가 부착된 체인컨베이어(30)를 사용하여 이 체인컨베이어(30)의 체인열이 베일뭉치가 탑재된 적재상의 하부틈새에서 나와서 이동될 때 상부에 부착된 러그(35)가 베일뭉치를 일정두께로 끌고 나가서 일정압력으로 눌려지는 유도판(40)을 통과하여 원형회전 커터(52)에 의해 등간격으로 연속적인 절단이 행해진 후 배출러그판(55)에 의해 이송된 후 본체(10)의 좌우로 배출되는 연속동작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에 원형베일을 탑재한 개략적인 도식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축산용 조사료 원형베일의 절단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구에 관련된다. 볏짚, 목초 등의 조사료를 수집하고 결속하는 베일러는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 결속하는 각형베일러와 롤(roll) 형태로 감아 압축 결속하는 원통형 베일러로 대별된다. 전자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결속하여 건초 창고에 저장하는 형태인 반면 후자는 매우 크게 결속하여 그대로 야외에 적재하는 형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원형의 베일을 로딩하는 순간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의 본체(10)가 사용된다. 본체(10)는 트랙터에 견인되는 트레일러와 같이 단순한 프레임만 지니는 형태로 하여도 되고, 프레임의 측면과 상면을 폐쇄하는 판재를 부가하여 상자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체(10)의 전면은 베일이 유입되는 방향(상류)에 해당하고 후면은 이와 반대로 절단된 베일의 조사료층이 배출되는 방향(하류)에 해당된다. 따라서 베일이 본체(10)의 전면에서 로딩되고 절단후 후면으로 배출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며 베일을 적재하도록 설치되는 적재판(20)이 적재된 베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지닌다. 적재판(20)은 베일(B)의 곡률반경과 일치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일지점의 힌지를 개재하여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적재판(20)의 내면에는 다수의 롤러(22)가 설치되어 베일(B)을 접촉상태로 지지한다. 적재판(20)의 회동을 위해 유압실린더(28)가 본체(10)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적재판(20)은 부호 20'의 지면위치에서 유압실린더(28)의 작동으로 회동하면서 베일(B)을 본체(10)에 적재한다. 본체(10)의 내부에 또 다른 롤러(25)가 설치되어 베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러그(35)가 외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체인컨베이어(30)가 상기 적재판(20)의 하류에서 베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체인컨베어(3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되는 경사 상태로 설치되는데, 각각 구동축과 피동축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스프라켓에 복렬로 거치된다. 체인컨베어(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러그(35)가 수직 방향으로 균일하게 설치된다. 러그(35)는 원형 베일의 외층을 침투하도록 날카로운 핀 형태로 성형된다.
도 2에서, 체인컨베이어(30)의 상측으로 베일을 지지하도록 바닥판(15)이 설치된다. 바닥판(15)은 체인컨베이어(30)의 하류단에서 러그(35)가 은폐되도록 굴곡진 형태로 형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인컨베이어(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유도판(40)이 풀린 조사료층의 유동단면적을 점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도판(40)은 단순한 판재로 성형되며, 체인컨베어(30)와 동일한 폭이면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체인컨베어(30)가 하류로 갈수록 상승되는 경사 상태이고 유도판(40)이 수평 상태이므로 그 사이의 공간은 유동단면적이 점감된다. 이에 따라 도 2의 B'처럼 풀어진 조사료층이 다시 가압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유도판(40)은 체인컨베이어(30)와의 간격 조절 가능한 상태로 탄지된다. 유도판(4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상방향에서 스프링(42)으로 지지하여 수직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체인컨베어(30)에 의해 베일이 풀리는 두께가 약간씩 변동하더라도 하류단에서 압착되는 두께를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되는 베일을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이송하는 절삭배출부가 상기 체인컨베이어(30)와 유도판(40)의 하류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삭배출부는 압착유입된 조사료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주도록 회전하는 원형커터(52)와, 절단된 건초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배출러그판(55)을 구비하는 바, 후술하는 도 3 과 도 4를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된다.
이때, 상기 절삭배출부에는 절단되는 조사료층에 수분을 공급하는 분무기(60)가 더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체인컨베이어(30)에 의해서 이송되어 유도판(40)에 의해 압축유입된 조사료층을 절단함에 있어서 커터(52)의 회전절단시 마찰과 열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무기(60)가 설치된다. 분무기(60)는 본체(10)에 물탱크를 탑재하고 자중으로 급수되도록 배관하여도 되고 별도의 펌프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일측에서 절삭배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에서 절삭배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절삭배출부는 절삭축(51) 상에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원형의 커터(52)와, 상기 절삭축(51)에 평행하게 대향하는 피동축(31) 상에 설치되는 배출러그판(55)을 구비한다. 체인컨베이어(30)의 타단을 구성하는 피동축(31)의 상측으로 절삭축(51)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절삭축(51) 상에는 원형의 커터(52)가 등간격으로 고정된다. 회전하는 커터(52)에 의해 잘려진 조사료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체인컨베이어(30)가 감긴 피동축(31)에 일정간격으로 배출러그판(55)이 장착된다. 도시처럼 러그(35)를 지닌 4열의 체인컨베이어(3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적절한 수로 배출러그판(55)이 혼재된다. 배출러그판(55)은 확대도처럼 톱니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형태이며, 러그(35)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커터(52) 사이의 공간에 약간 침투하는 위치에 조립된다.
작동에 있어서, 본체(10)의 적재판(20)을 내려 베일이 올라오면 유압실린더(28)의 작동으로 적재판(20)을 상승회동하여 본체(10) 상에 베일의 로딩을 완료한다. 이어서 체인컨베이어(30)가 가동되면서 러그(35)가 베일의 외층에 일정두께로 삽입되어 베일이 풀어지고, 풀어진 베일의 조사료층은 유도판(40)에 의해 다시 압착된 상태로 커터(52)와 배출러그판(55)을 통과한다. 유도판(40)에 의해 조사료층이 압축되어 밀려들어 감으로써 단단해지고 반력이 작동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커터(52)의 절단효율이 증가하여 원활한 절단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유도판(40)의 스프링(42)은 조사료 베일뭉치에서 해체분리 된 건초를 단단하게 하여 절단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건초의 과도유입시 유입통로의 간격이 적절히 대응하여 조절된다. 러그(35)는 절단된 조사료를 끌고나가서 배출하지 못하므로 그 주변으로 배출러그판(55)이 같이 회전하면서 잘려진 조사료를 배출한다.
한편, 커터(52) 및 배출러그판(55)의 하류단에 배출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절단된 조사료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배출컨베이어는 절단된 조사료를 본체(10)의 좌우측면으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상의 구성과 기능부의 작용에 따라 행하면 축산용조사료원형베일의 해체 및 절단공급이 연속적인 자동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존의 어떠한 베일커팅기에 비교해서도 균일하고 일정한 부하(조사료)의 유입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연속커팅에 의해 일정한 작업부하를 유지하도록 설계됨으로써 가동시 월등히 균일하고 적은동력이 소요되므로 동력효율이 우수하고 기계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먼지나 진동, 소음의 발생이 현저하게 경감되어 기계의 내구성이나 작업자의 작업환경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의 안정성향상에 의해 자동화나 무인운전이 가능하여 편이성이나 노동력 절감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에 원형베일을 탑재한 개략적인 도식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일측에서 절삭배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평면에서 절삭배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20: 적재판
22, 25: 롤러 28: 유압실린더
30: 체인컨베어 35: 러그
40: 유도판 52: 커터
55: 배출러그판 60: 분무기

Claims (4)

  1. 조사료 원형베일의 절단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구에 있어서:
    적어도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며 베일을 적재하도록 설치되고, 적재된 베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재판(20);
    상기 적재판(20)의 하류에서 베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러그(35)가 외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체인컨베이어(30);
    상기 체인컨베이어(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풀린 조사료층의 유동단면적을 점감하는 유도판(40);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30)와 유도판(40)의 하류단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조사료층을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이송하는 절삭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40)은 체인컨베이어(30)와의 간격 조절 가능한 상태로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배출부는 절삭축(51) 상에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원형의 커터(52)와, 상기 절삭축(51)에 평행하게 대향하는 피동축(31) 상에 설치되는 배출러그판(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배출부에는 절단되는 베일의 조사료층에 수분을 공급하는 분무기(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KR10-2003-0067709A 2003-09-30 2003-09-30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KR10050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709A KR100500211B1 (ko) 2003-09-30 2003-09-30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709A KR100500211B1 (ko) 2003-09-30 2003-09-30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537A true KR20050031537A (ko) 2005-04-06
KR100500211B1 KR100500211B1 (ko) 2005-07-11

Family

ID=3723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709A KR100500211B1 (ko) 2003-09-30 2003-09-30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93B1 (ko) * 2011-08-08 2012-06-14 오성이알에스테크 주식회사 조사료용 원형 베일러 네트의 풀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11B1 (ko) 2011-06-29 2012-01-04 한당수 트랙터용 다기능 볏짚 절단기
KR102107467B1 (ko) * 2018-04-19 2020-05-07 손진원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커팅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슬라이스 절단기
KR102041486B1 (ko) 2018-09-07 2019-11-06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축산 원형 베일 절단 및 자동 급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93B1 (ko) * 2011-08-08 2012-06-14 오성이알에스테크 주식회사 조사료용 원형 베일러 네트의 풀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211B1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8238A (en) Adjustable rotary drum bale cutter apparatus and method
US9549506B2 (en) Harvester with rear active bottom floor
US20100155513A1 (en) Bale breaker apparatus and method
EP2647282B1 (en) Baler and method for forming a bale
US20080282662A1 (en) Baling Press
KR102041486B1 (ko) 축산 원형 베일 절단 및 자동 급이 장치
JP5770613B2 (ja) 自走式ロールベーラ
KR100500211B1 (ko) 조사료 베일 해체절단기구
CA2036053C (en) Bale ripper and conveyor
NZ254680A (en) Round hay bale collecting and cutting machine: bale scooped up on curved conveyor and cut by rotary cutter
DK2727454T3 (en) Agriculture machine
JP4605938B2 (ja) 自走式ロールベーラ
KR101041322B1 (ko) 자립형 사료작물수확장치
US20060243143A1 (en) Cylindrical baling press
JP2013118835A (ja) 自走式ロールベーラ
US201702251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ipping Tree Branches and the Like and Baling Wood Chips Formed During Such Chipping Activities
KR101712257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스크래퍼를 구비한 회전이송장치 및 이를 부착한 원형베일러
JP3851159B2 (ja) コンバイン
CN111169756A (zh) 一种方草捆割绳机
US5934578A (en) Rotary drum bale cutter with reprocessing chamber
JP5882706B2 (ja) 自走式ロールベーラ
CN216722172U (zh) 一种可以连续接料并把物料打捆包膜后安全落地的装置
JP5852429B2 (ja) 自走式ロールベーラ
KR101515932B1 (ko) 건초용 절단 및 공급장치
CN212487397U (zh) 一种用于农业的杂草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