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009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009A
KR20050031009A KR1020030067171A KR20030067171A KR20050031009A KR 20050031009 A KR20050031009 A KR 20050031009A KR 1020030067171 A KR1020030067171 A KR 1020030067171A KR 20030067171 A KR20030067171 A KR 20030067171A KR 20050031009 A KR20050031009 A KR 2005003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all
simulta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910B1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910B1/ko
Priority to EP04021158A priority patent/EP1519609B1/en
Priority to DE602004020720T priority patent/DE602004020720D1/de
Priority to AT04021158T priority patent/ATE429791T1/de
Priority to US10/935,594 priority patent/US20050070249A1/en
Priority to CNA2004100119958A priority patent/CN1602101A/zh
Publication of KR2005003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6Anti-theft arrangements, e.g. protection against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l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동일 기지국 내에서 동시 통화하고자 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어느 한 기지국 내에서 착신 호 처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를 검출함으로써, 동일 기지국 내에서의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어느 한 기지국 내에서 발/착신 호 처리되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관리하고 있는 고정적인 특성 정보나 단말기 운용에 따른 변동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를 검출함으로써, 동일 기지국 내에서의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Interception Method For Simultaneous Communication Of Illegality Reproduction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동일 기지국 내에서 동시 통화하고자 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통신 서비스와 관련하여 각 단말기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발/착신 호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연결 대상이 되는 단말기를 선택하기 위해 장치일련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와 단말식별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부여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은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ESN 및 MIN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함으로써, 발/착신 호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연결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 및 MIN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호 설정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ESN 및 MIN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불법 복제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착신 호가 발생하게 되면, 합법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ESN 및 MIN 정보를 가지고 있는 불법 복제 단말기에도 발/착신 호가 설정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 및 MIN 정보가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지역 즉, 서로 다른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Coverage) 내에 존재하는 경우 발/착신시 호 설정 시간이 동일하더라도 먼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만 호 설정이 이루어지므로 동시 통화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또한, 앞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호 설정 시간이 상이한 경우 즉,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착신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 설정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에서 이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시에 통화하지는 못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일한 기지국에 존재하면서 동시에 발/착신이 시도되는 경우에는 이를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기지국에 수신되므로, 기지국에서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호 설정을 수행하게 되고, 이와 같이 한 기지국 내에서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트래픽 채널을 공유하면서 동시 통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제 정상적인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다른 불법 복제된 단말기 사용자가 도청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단말기 고유의 A_KEY 값을 이용하여 차단하는 방법이 규격상 정의되어 있으나, 이는 실제 구현 및 운용상의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어느 한 기지국 내에서 착신 호 처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동일 기지국 내에서의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어느 한 기지국 내에서 발/착신 호 처리되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관리하고 있는 고정적인 특성 정보나 단말기 운용에 따른 변동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동일 기지국 내에서의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착신 호출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 호를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호 처리 블록에서 단말기의 착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되는 단말기의 착신 응답을 동시 통화 검출 블록으로 통보해 주는 과정과; 상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상기 단말기와 동일한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단말기로부터 또 다른 착신 응답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단말기로부터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호 처리 블록으로 하여금 착신 호를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블록에 의해 기지국에서 발/착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중에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상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 및 MIN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관리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반복 수신되는 단말기 관리 정보들을 분석하여 서로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반복 수신된 단말기 관리 정보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호 처리 블록으로 하여금 발/착신 호를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의 요청 및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단말기 관리 정보의 전송 동작은, 무선 구간에서의 손실을 고려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이거나,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환경에 따른 운용 변동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들을 분석하여 서로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로서 고정적인 특성 정보를 반복 요청하는 경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고정 특성 정보로서 내부 메모리에서 인출한 단말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반복 전송해 주는 단계와; 상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반복 수신되는 고정 특성 정보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들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특성 정보를 반복 전송해 주는 단계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상태 요청 메시지의 레코드 타입 필드에 단말기 정보를 요청하는 값을 셋팅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고정 특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태 응답 메시지의 타입 명세 필드에 내부 메모리에서 인출한 고정 특성 정보인 단말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셋팅하여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경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기등록된 단말기 고정 특성 정보와 상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고정 특성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들을 분석하여 서로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로서 단말기 운용에 따른 변동 정보를 반복 요청하는 경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운용 변동 정보로서 내부 메모리에 있는 오버헤드 메시지 수신횟수 정보를 반복 전송해 주는 단계와; 상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반복 수신되는 운용 변동 정보인 오버헤드 메시지 수신횟수 정보들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운용 변동 정보를 반복 전송해 주는 단계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파라미터 검색 메시지에 단말기 운용 변동 정보와 관련된 파라미터 ID 값을 셋팅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운용 변동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라미터 응답 메시지의 파라미터 ID 및 파라미터 정보 필드에 내부 메모리에서 인출한 운용 변동 정보인 페이징 및 액세스 채널 정보와 시스템 시간 정보를 셋팅하여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정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 한 대와 불법 복제 단말기 한대)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가 동일한 기지국에 존재하면서 동시에 발/착신을 시도하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 측에서 상술한 동시 발/착신 시도를 검출하여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자체를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호 처리 블록과 연동하는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이 탑재되어야 하며, 그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동시 통화 시도를 검출하거나,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정보 즉, 단말기 자체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나 단말기 운용에 따른 변동 정보를 이용하여 동시 통화 시도를 검출한다.
이때,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호 처리 블록에 추가되거나, 별도의 기능 블록으로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라 함은 단말기 고유의 하드웨어(즉, 단말기 종류)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등을 의미하며, 단말기 운용에 따른 변동 정보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Power On) 된 이후에 기지국을 검색(Searching)하고 대기모드로 전환되기까지 기지국으로부터 호 설정을 위해 전송받게 되는 시스템 정보가 실린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즉, 구성 파라미터(configuration parameter) 및 액세스 파라미터(access parameter) 메시지)의 수신횟수 정보 등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를 차단하는 동작을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하는 경우와, 각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단말기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은 착신 호에 대해 한정되는 동작으로, 일반적으로 어느 한 기지국 내에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불법 복제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착신 호가 발생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 응답(Connect Order)하기 전까지의 동작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 처리 동작은 시간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착신 응답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불법 복제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
즉,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호 처리 블록에서 기지국(BS)을 통해 착신 호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paging)하고, 일련의 착신 호 처리 동작(Paging Response, Channel Assignment, BS ACK ORDER, MS ACK ORDER, Service Connect, Service Connect Cmplt)을 수행하기까지 시간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착신 호 처리 절차에 따라 호 처리 블록에서 착신 호출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착신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를 전달하게 되면, 착신측 가입자는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통해 착신 응답하게 되고, 이때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측으로 착신 응답(Connect Order)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렇게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시스템 측의 호 처리 블록은 특정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응답을 동시 통화 검출 블록으로 통보해 주게 되고, 이때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동시 통화 검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즉,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특정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응답하게 되면(스텝 S11), 일정시간 이내에 착신 응답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착신 응답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12).
이때,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착신 응답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호 처리 블록으로 정상적인 착신 호 응답임을 통보함으로써, 호 처리 블록으로 하여금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를 위한 착신 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스텝 S13).
하지만, 스텝 S12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호 처리 블록으로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가 있음을 통보함으로써, 호 처리 블록으로 하여금 해당되는 착신 호를 종료시키도록 한다(스텝 S14).
정리해 보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착신 응답은 착신 가입자가 '통화' 버튼을 누르는 시점(또는 플립을 여는 시점)에 해당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되므로,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서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착신 응답이 동일시점에 전송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는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이를 불법 복제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지하여 해당 착신 호를 종료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관리 정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단말기 관리 정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은 발/착신 호에 대해 모두 적용되는 동작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블록에서 발/착신 호 발생에 따른 일련의 호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스텝 S31)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는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 및 MIN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단말기 관리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스텝 S32).
그러면, 소정의 단말기 관리 정보를 요청받은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단말기 관리 정보를 인출하여 기지국 측으로 전송해 주게 되는데(스텝 S33), 이때 무선 구간에서의 손실을 고려하여 단말기 관리 정보의 요청 및 단말기 관리 정보의 전송(응답) 동작은 적어도 한번 이상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관리 정보들을 분석하여 서로 동일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즉, 수신된 단말기 관리 정보들이 서로 동일한지를 비교함으로써,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불법 복제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34).
이때, 수신된 단말기 관리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경우 즉,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불법 복제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호 처리 블록으로 불법 복제 단말기에 대한 발/착신 호가 아님을 통보함으로써 정상적인 발/착신 호 처리를 수행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할 수 있도록 처리하게 된다(스텝 S35).
하지만, 스텝 S34에서 수신된 단말기 관리 정보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즉,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불법 복제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호 처리 블록으로 불법 복제 단말기에 대한 발/착신 호임을 통보함으로써 해당되는 발/착신 호를 종료시키게 된다(스텝 S36).
한편, 상술한 단말기 관리 정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와, 서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환경에 따른 운용 변동 정보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 발명에서 단말기 관리 정보로서 단말기 자체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를 차단하는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ESN 및 MIN 정보의 불법적인 복제로 인해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더라도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동시 통화 차단 방법이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블록에 의해 일련의 발/착신 호 처리가 수행중인 경우(도 4에서는 착신 호 처리중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 및 MIN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 특성 정보를 여러번 반복 요청하게 되는데, 이때 IS-2000에 정의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 요청(Status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고정 특성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태 요청 메시지의 레코드 타입(RECORD TYPE) 필드에 단말기 정보(Terminal Information)를 요청하는 값을 셋팅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고정 특성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 특성 정보를 요청받은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고정 특성 정보를 인출하여 기지국 측으로 여러번 반복 전송해 주게 되는데, 이때 IS-2000에 정의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 응답(Status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고정 특성 정보를 전송해 주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위 계층(Upper Layer ; L3)의 시그널링 트래픽으로 구성되는 상태 응답 메시지의 타입 명세 필드(Type-Specific Fields)에 내부 메모리에서 인출한 고정 특성 정보인 단말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즉, 각 단말기의 종류마다 고유한 제품 코드(Manufacture code ; MOB_MFG_CODE)와 모델 넘버(Model number ; MOB_MODEL), 펌웨어 리비전 넘버(Firmware revision number ; MOB_FIRM_REV) 정보를 셋팅하여 전송해 주게 된다.
그리고,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는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여러번 반복 수신되는 상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고정 특성 정보인 단말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인 것으로 검출하여 해당되는 발/착신 호를 종료시키게 된다.
또한, 상술한 단말기 고정 특성 정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에 있어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 특성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기등록된 단말기 고정 특성 정보와 수신된 단말기 고정 특성 정보가 동일한지 비교함으로써 동시 통화뿐 아니라 불법 복제 단말기의 단일 통화 자체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둘째로, 본 발명에서 단말기 관리 정보로서 단말기 운용 환경에 따른 운용 변동 정보를 이용하여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를 차단하는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단말기 고정 특성 정보 즉,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까지도 동일한 경우의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지국을 이동하거나 어느 한 기지국 내에서라도 각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전원 온 시점이 다르다면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한 횟수가 각 단말기마다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이용한 동시 통화 차단 방법이다.
즉,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라 하더라도 전원 온된 이후에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까지, 그리고 대기 모드에서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기지국간 이동 등에 따라 오버헤드 메시지의 수신횟수는 상이할 수 밖에 없는데,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오버헤드 메시지 수신횟수를 종류별로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블록에 의해 일련의 발/착신 호 처리가 수행중인 경우(도 7에서는 착신 호 처리중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 동시 통화 검출 블록은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 및 MIN 정보를 이용하여 운용 변동 정보를 여러번 반복 요청하게 되는데,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IS-2000에 정의된 "파라미터 검색(Retrieve Parameter)"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운용 변동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위 계층(Upper Layer ; L3)의 시그널링 트래픽으로 구성되는 파라미터 검색 메시지에 단말기의 운용 변동 정보와 관련된 호출(Paging) 및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 등에 대한 파라미터 ID 값을 셋팅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운용 변동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운용 변동 정보를 요청받은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운용 변동 정보인 호출 및 액세스 채널 관련 파라미터 정보를 인출하여 기지국 측으로 여러번 반복 전송해 주게 되는데, 이때 IS-2000에 정의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라미터 응답(Parameter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운용 변동 정보를 전송해 주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파라미터 응답 메시지의 파라미터 ID 및 파라미터 정보 필드에 내부 메모리에서 인출한 운용 변동 정보인 페이징 및 액세스 채널 정보(PAG_#, ACC_# ; #=1,2,...,N)와 시스템 시간 정보(OTHER_SYS_TIME)를 셋팅하여 전송해 주게 된다.
그리고,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는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여러번 반복 수신되는 파라미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운용 변동 정보 중에서 각 종류별 오버헤드 메시지의 총 수신횟수를 나타내는 페이징 및 액세스 채널 정보(PAG_N, ACC_N) 및 시스템 시간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인 것으로 검출하여 해당되는 발/착신 호를 종료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한 동시 통화 검출 및 차단 방법과, 각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정보를 이용한 동시 통화 차단 방법을 개별적으로 구현하거나, 각각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각각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들은 시스템 운용자나 개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활성/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어느 한 기지국 내에서 착신 호 처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를 검출함으로써, 동일 기지국 내에서의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어느 한 기지국 내에서 발/착신 호 처리되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관리하고 있는 고정적인 특성 정보나 단말기 운용에 따른 변동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두 대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 시도를 검출함으로써, 동일 기지국 내에서의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동시 통화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응답시간 차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및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관리 정보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3에 있어, 단말기 관리 정보로서 고정적인 특성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
도 5는 도 4에 있어, 단말기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 요청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있어, 단말기의 고정적인 특정 정보를 전송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 응답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에 있어, 단말기 관리 정보로서 단말기 운용 환경에 따른 운용 변동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의 동시 통화 차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
도 8은 도 7에 있어, 단말기의 운용 변동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 검색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에 있어, 단말기의 운용 변동 정보를 전송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 응답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Claims (9)

  1.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착신 호출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 호를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호 처리 블록에서 단말기의 착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되는 단말기의 착신 응답을 동시 통화 검출 블록으로 통보해 주는 과정과;
    상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상기 단말기와 동일한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단말기로부터 또 다른 착신 응답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동일 ESN 및 MIN 정보를 갖는 단말기로부터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호 처리 블록으로 하여금 착신 호를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2.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블록에 의해 기지국에서 발/착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중에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상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 및 MIN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관리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반복 수신되는 단말기 관리 정보들을 분석하여 서로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반복 수신된 단말기 관리 정보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호 처리 블록으로 하여금 발/착신 호를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의 요청 및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단말기 관리 정보의 전송 동작은, 무선 구간에서의 손실을 고려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이거나,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환경에 따른 운용 변동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들을 분석하여 서로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로서 고정적인 특성 정보를 반복 요청하는 경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고정 특성 정보로서 내부 메모리에서 인출한 단말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반복 전송해 주는 단계와;
    상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반복 수신되는 고정 특성 정보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들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특성 정보를 반복 전송해 주는 단계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상태 요청 메시지의 레코드 타입 필드에 단말기 정보를 요청하는 값을 셋팅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고정 특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태 응답 메시지의 타입 명세 필드에 내부 메모리에서 인출한 고정 특성 정보인 단말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셋팅하여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적인 특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경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기등록된 단말기 고정 특성 정보와 상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고정 특성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들을 분석하여 서로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 관리 정보로서 단말기 운용에 따른 변동 정보를 반복 요청하는 경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운용 변동 정보로서 내부 메모리에 있는 오버헤드 메시지 수신횟수 정보를 반복 전송해 주는 단계와;
    상기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반복 수신되는 운용 변동 정보인 오버헤드 메시지 수신횟수 정보들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변동 정보를 반복 전송해 주는 단계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시 통화 검출 블록에서 파라미터 검색 메시지에 단말기 운용 변동 정보와 관련된 파라미터 ID 값을 셋팅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운용 변동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발/착신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라미터 응답 메시지의 파라미터 ID 및 파라미터 정보 필드에 내부 메모리에서 인출한 운용 변동 정보인 페이징 및 액세스 채널 정보와 시스템 시간 정보를 셋팅하여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 방법.
KR1020030067171A 2003-09-27 2003-09-2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KR10057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71A KR100576910B1 (ko) 2003-09-27 2003-09-2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EP04021158A EP1519609B1 (en) 2003-09-27 2004-09-06 Method of preventing clone call of clone terminal
DE602004020720T DE602004020720D1 (de) 2003-09-27 2004-09-06 Verfahren zur Verhinderung eines geklonten Anrufs von einem geklonten Endgerät
AT04021158T ATE429791T1 (de) 2003-09-27 2004-09-06 Verfahren zur verhinderung eines geklonten anrufs von einem geklonten endgerät
US10/935,594 US20050070249A1 (en) 2003-09-27 2004-09-08 Method of preventing clone call of clone terminal
CNA2004100119958A CN1602101A (zh) 2003-09-27 2004-09-27 防止克隆终端的克隆呼叫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71A KR100576910B1 (ko) 2003-09-27 2003-09-2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09A true KR20050031009A (ko) 2005-04-01
KR100576910B1 KR100576910B1 (ko) 2006-05-03

Family

ID=3419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171A KR100576910B1 (ko) 2003-09-27 2003-09-2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70249A1 (ko)
EP (1) EP1519609B1 (ko)
KR (1) KR100576910B1 (ko)
CN (1) CN1602101A (ko)
AT (1) ATE429791T1 (ko)
DE (1) DE602004020720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57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797B2 (en) * 2004-09-23 2008-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mits a sharing of mobile identifiers
US7885658B2 (en) * 2004-12-16 2011-02-08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detecting reverse link collisions on an air interface
CN100433911C (zh) * 2005-05-17 2008-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通信的方法
CN102014388B (zh) * 2010-11-18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合法终端的判定方法及系统
CN103002446B (zh) * 2012-11-15 2016-02-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拦截电话的方法和装置
CN105491566B (zh) * 2014-09-18 2018-11-0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孖机检测方法、系统与pcrf设备
US9836311B2 (en) * 2015-07-28 2017-12-05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reboot parameters
CN106067919B (zh) * 2016-06-13 2019-03-0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拦截来电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0460A1 (de) * 1984-06-01 1985-12-05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erfahren zum erkennen der unerlaubten benutzung einer, einer beweglichen funkstation zugeordneten identifizierung in einem funkuebertragungssystem
US5448760A (en) * 1993-06-08 1995-09-05 Corsair Communications, Inc. Cellular telephone anti-fraud system
US5467382A (en) * 1994-05-31 1995-11-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one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734977A (en) * 1994-11-10 1998-03-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Fraud detection in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5633914A (en) * 1995-08-22 1997-05-27 Rosa; Stephen P. Method for foiling cellular telephone cloning
US5890075A (en) * 1996-10-21 1999-03-3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remotely updating data stored in a mobile terminal by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466780B1 (en) * 1997-09-03 2002-10-15 Interlok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digital communications
FI111320B (fi) * 1997-10-08 2003-06-30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laittoman päätelaitteen tunnistamiseksi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JPH11127468A (ja) * 1997-10-20 1999-05-11 Fujitsu Ltd 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7369851B2 (en) * 2002-04-19 2008-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munications network capable of determining SIM card changes in electronic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57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9609A3 (en) 2006-03-29
KR100576910B1 (ko) 2006-05-03
US20050070249A1 (en) 2005-03-31
EP1519609B1 (en) 2009-04-22
CN1602101A (zh) 2005-03-30
ATE429791T1 (de) 2009-05-15
DE602004020720D1 (de) 2009-06-04
EP1519609A2 (en)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805B1 (ko) 셀룰러 이동 무선전화 네트워크용 대화식 배회자 접촉시스템
US54673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ne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854977A (en) Call transfer and simplex call capability in a residential system using wireless residential extension handsets
KR100862880B1 (ko) 메시지 콘텐츠에 기초한 복제 통신 유닛들의 검출
KR19980702492A (ko) 가입자 장치의 액세스 권리 체크
KR100270339B1 (ko) 매크로-셀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와 정합하여 마이크로-셀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이동통신 방법 및 장치
JPH11127468A (ja) 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018444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クローン端末検出方法
US6615048B1 (en)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7691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KR2001006503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WO20050966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two networks during an ongoing communication
EP2291041A2 (en) Paging system
KR100561276B1 (ko)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KR101554548B1 (ko) 긴급 전화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5953654A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or identifying unauthorized mobile units
JP3406992B2 (ja) 移動端末の接続制御システム
US7477891B1 (en) Radioelectric protection method for a zone against the use of mobile telephones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970001859B1 (ko) 셀룰라 단말기 도용검출 방법
KR100645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시스템 및 방법
JP3068547B2 (ja) 携帯端末通信方法
JPS63155922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KR970008309B1 (ko) 무선 pbx 시스템에서의 로밍서비스 방법
KR100578344B1 (ko) 불법 복제 단말기에 의한 도청 방지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