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257A -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257A
KR20050095257A KR1020040020516A KR20040020516A KR20050095257A KR 20050095257 A KR20050095257 A KR 20050095257A KR 1020040020516 A KR1020040020516 A KR 1020040020516A KR 20040020516 A KR20040020516 A KR 20040020516A KR 20050095257 A KR20050095257 A KR 20050095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terminal
hybrid
phon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257A/ko
Publication of KR2005009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25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로부터의 데이타 통신 요청시 해당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하고, 음성 통신 중일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복제 등의 비정상적인 단말기의 데이타 서비스 접속을 금지하여 비정상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에 따른 비정상 요금발생, 비정상 행위에 따른 사용자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limitating access of the invalid mobile phone}
본 발명은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상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해 음성 통신중에 복제된 단말기로부터 데이타 통신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복제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도록 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HDR(High Data Rate)은 IMT-2000에서 메가급 데이타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 퀄컴에서 제안한 패킷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타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기존의 IS-95/A/B/C 서비스와 병존하면서 CDMA 셀 사이트(Cell Site)내에서 최대 2.547 Mbps 의 데이타 전송 속도를 가지도록 구현된 기술이다.
상기 HDR(High Data Rate)은 기존 CDMA 셀 사이트(Cell Site)와 안테나를 공유하면서 HD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설치하거나, 기지국(BTS)내에 HD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기능을 내장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IS-95/HDR 듀얼 모드 단말기(이하, 하이브리드 단말기라 칭한다)를 가진 사용자에게 음성 서비스 외 고속의 무선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란 기존의 IS-95/1x 기술을 통한 음성 및 데이타 통신에 병존하여 고속 데이타 통신을 지원하는 HDR(High Data Rate) 기술을 접목시켜 IS-95/1x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음성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HDR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고속 데이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칭한다.
최근 퀄컴에서는 CDMA2000 1x와 CDMA2000 1xEvDO를 동시에 지원하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SM : Mobile Switching Modem) 칩을 상용화하여 제 3 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진보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상기 CDMA2000 1x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음성이, 상기 CDMA2000 1xEvDO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데이타가 송수신 된다.
상기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 1 에 도시하였다.
도 1 은 고속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속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음성 통신을 처리하는 IS-95/1x 네트워크 모듈(110)과, 고속 데이타 통신을 처리하는 HDR 네트워크 모듈(120)를 포함한다.
상기 IS-95/1x 네트워크 모듈(110)은 IS-95/1x BTS(111)와, BTC(112), MSC(113), HLR(114), AUC(115), IWF(116)를 포함한다.
상기 IS-95/1x BTS(111)는 IS-95/1x 방식으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와 직접 무선 경로를 구성하는 기지국(Base Station)으로, 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에 적합하도록 신호 포맷(Format)을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BTC(112)는 기지국 운용에 관한 정보 수집, 기지국 운용의 감시 등 기지국 운용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다.
상기 MSC(113)는 이동통신망과 일반전화망(PSTN) 및 동일 또는 타 이동통신망간의 사용자 트래픽(Traffic)을 위한 접속점(Access Point)을 구성하는 이동전화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으로, 고정망(PSTN, INTERNET)과 연동되어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HLR(114)은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이동성(위치) 정보 및 각종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로, 가입자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 호 처리 루팅 정보(위치 정보), 가입자 권한 등의 기본 정보와 발신번호 표시, 착신전환 등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한 HLR(114)을 통한 단말기 위치 등록에 관련해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AUC(115)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HLR(114)로부터의 가입자 인증 요청시 포함되는 가입자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에 해당하는 가입자가 등록되었는지 상기 가입자 인증정보를 참조하여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따라 가입자 인증을 처리한다.
상기한 AUC(115)를 통한 가입자 인증에 관련해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IWF(116)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간을 연결하기 위한 망 연동 장치(Inter-Working Fuction)로,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에서 데이타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HDR 네트워크 모듈(120)은 HDR 액세스 포인트(121), BTC(122), PCF(123), PSDN(124), HA(125), AAA(126)를 포함한다.
상기 HDR 액세스 포인트(121)는 고속 데이타 통신을 위해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와 직접 무선 경로를 구성하는 접속점(Access Point)으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와의 데이타 송·수신을 제어한다.
이 HDR 액세스 포인트(121)는 상기한 IS-95/1x 네트워크 모듈(110)의 IS-95/1x BTS(111)와 별도로 설치되거나, 상기 IS-95/1x BTS(111)에 내장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BTC(122)는 상기 IS-95/1x 네트워크 모듈(110)의 BTC(112)와 공유되는 구성으로, 상기 HDR 액세스 포인트(121)의 운용에 관한 정보 수집, 상기 HDR 액세스 포인트(121) 운용의 감시 등 HDR 액세스 포인트(121)의 운용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다.
상기 PCF(123)는 상기 HDR 액세스 포인트(121)와 PDSN(124) 사이의 신호(Signal) 및 트래픽(Traffic)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하는 패킷 제어 장치(Packet Control Function)이다.
상기 PSDN(124)은 상기 PCF(123)를 통해 BTC(122)와 연동되어 고속의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로,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고속 데이타 통신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HA(125)는 상기 PSDN(124)에 연동되어 패킷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IP 인증을 수행하는 홈 에이전트(Home Agent)이다.
상기 HA(125)를 통한 모바일 IP 인증 기술에 관련해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AAA(126)는 상기 PSDN(124)에 연동되어 모바일 IP 서비스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권한(Authorization), 과금(Accounting)을 수행한다.
상기 AAA(126)를 통한 모바일 IP 서비스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권한(Authorization), 과금(Accounting) 기술에 관련해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이브리드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시에는 기지국인 IS-95/1x BTS(111)와 기지국 제어기인 BTC(112)와 이동전화 교환국인 MSC(113)를 통해서 음성 통신 경로가 형성된다. 이 때, 이동통신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MSC(113)에 연동된 HLR(114) 및 AUC(115)를 통한 인증과정을 거쳐 정상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단말기로부터 데이타 통신 요청시에는 HDR 액세스 포인트(121)와 기지국 제어기인 BTC(112)와 패킷 제어 장치인 PCF(123)와,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인 PSDN(124)을 통해서 데이타 통신 경로가 형성된다. 이 때, 이동통신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PSDN(124)과 연동된 HA(125)와 AAA(126)를 통한 인증과정을 거쳐 정상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한 인증과정에서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가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인증과정을 거쳐 정상 등록된 단말기가 음성 통화 연결중에 복제된 단말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단말기가 데이타 서비스 요청시 아무런 문제없이 데이타 통신을 진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하이브리드 단말기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음성 통신 경로와 데이타 통신 경로가 분리되어 있으며, 기지국 단에서는 서로 다른 모뎀(Modem) 카드를 사용하여 호(Call)를 처리하는 관계로, 음성 통신(IS-95/1x) 네트워크와 데이타 통신(HDR) 네트워크 각각의 호(Call)에 대한 연관성을 알 수 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음성 통신 경로와 데이타 통신 경로 각각은 기지국 제어기 BTC(112)만은 서로 공유하고 있으며, 이 기지국 제어기 BTC(112)는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를 각각 포함하는 음성 통신 접속정보와 데이타 통신 접속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를 각각 포함하는 음성 통신 접속정보와 데이타 통신 접속 정보를 공유하고, 이 공유된 정보를 참조해 기지국 제어기(BTC)를 통해 데이타 통신 요청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단말기에 대해서 해당 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진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중인지를 검출하여 음성 통신중 일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복제 등의 비정상 단말기로 간주하여 접속을 차단하도록 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정상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해 음성 통신중에 복제된 단말기로부터 데이타 통신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복제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도록 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은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로부터의 데이타 통신 요청시 해당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하고, 음성 통신 중일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복제 등의 비정상적인 단말기의 데이타 서비스 접속을 금지하여 비정상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에 따른 비정상 요금발생, 비정상 행위에 따른 사용자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정상 등록된 사용자의 금전적, 정신적 피해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이 데이타 통신 접속이 차단된 하이브리드 단말기로 차단 명령(Lock Order)을 전송하여 복제된 단말기를 통한 UI(User Interface) 조작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비정상 등록된 단말기라 판단될 경우,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 조작을 차단하도록 하여 추후 이를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 접속을 원천 봉쇄하여 정상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피해 발생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은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기지국 제어기(BTC)(112)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여,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200)로부터의 데이타 통신 요청시 해당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하고, 음성 통신 중일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복제 등에 의한 비정상적인 단말기의 데이타 서비스 접속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 를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은 인증처리부(310)와, 음성통신 처리부(320)와, 데이타 통신 처리부(330)와,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처리부(310)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200)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가입자 인증을 처리한다.
하이브리드 단말기(200)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시에는 기지국인 IS-95/1x BTS(111)와 기지국 제어기인 BTC(112)와 이동전화 교환국인 MSC(113)를 통해서 음성 통신 경로가 형성되고, 데이타 통신 요청시에는 HDR 액세스 포인트(121)와 기지국 제어기인 BTC(112)와 패킷 제어 장치인 PCF(123)와,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인 PSDN(124)을 통해서 데이타 통신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인 BTC(112)내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은 상기 인증처리부(310)를 통해 하이브리드 단말기(200)로부터의 음성 통화 또는 데이타 통신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각각 음성 통신 경로상의 MSC(113) 또는 데이타 통신 경로상의 PSDN(124)에 요청하고, 사용자 인증결과에 따라 접속정보를 접속정보 DB에 저장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인증에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가 이용되고, 음성 통화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은 상기 MSC(113) 및 이와 연동된 HLR(114) 및 AUC(115)를 통해 이루어지며, 데이타 통신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은 상기 PSDN(124) 및 이와 연동된 HA(125)와 AAA(126)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사용자 인증과정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음성통신 처리부(320)는 상기 인증처리부(310)를 통해 인증 확인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200)에 대해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부(330)는 상기 인증처리부(310)를 통해 인증 확인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에 대해 고속 데이타 통신(HDR : High Data Rate)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인증처리부(310)를 통해 인증 확인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은 하이브리드 단말기(200)로부터의 음성 통화 요청에 대해서는 상기 음성통신 처리부(320)를 통해 음성 통신 과정을 수행하고, 데이타 통신 요청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부(330)를 통해 고속 데이타 통신(HDR : High Data Rate) 과정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200)로부터의 데이타 통신 요청시 해당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하고, 음성 통신 중일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은 정상 등록된 단말기가 음성 통화 연결중에 복제된 단말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단말기가 데이타 서비스 요청시 아무런 문제없이 데이타 통신을 진행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타 통신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를 통해 해당 데이타 통신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한다.
이 때, 상기 인증처리부(310)를 통해 수행되는 인증과정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확인된 경우 발생하여 접속정보 DB에 저장되는 접속정보내에 포함된 음성 통신 인증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참조하여 해당 데이타 통신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하게 된다.
상기 접속정보 DB에 저장되는 접속정보는 상이한 음성 통신 경로와 데이타 통신 경로가 서로 공유하는 기지국 제어기 BTC(112)에 의해 관리되는 음성 통신 및 데이타 통신에 대한 접속 정보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 등이 포함된다.
만일, 데이타 통신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은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를 통해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고, 음성 통화 중이 아닐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포함하는 데이타 통신 과정 전반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은 데이타 통신 요청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단말기에 대해서 해당 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진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중인지를 검출하여 음성 통신중 일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복제 등의 비정상 단말기로 간주하여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복제 등에 의한 비정상적인 단말기의 데이타 서비스 접속을 금지하여 비정상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에 따른 비정상 요금발생, 비정상 행위에 따른 사용자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이 차단 명령 송신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명령 송신부(350)는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에 의해 데이타 통신 접속이 차단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로 차단 명령(Lock Order)을 전송하여 복제된 단말기를 통한 UI(User Interface) 조작을 차단하도록 한다.
즉, 이 경우는 복제 등에 의한 비정상 단말기라 간주되어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에 의해 데이타 통신 접속이 차단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에 대해서 이 후 이동통신 시스템 접속을 차단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이 상기 차단 명령 송신부(350)를 통해 해당 하이브리드 단말기(200)로 사용자의 UI(User Interface) 조작을 차단하는 차단 명령(Lock Order)을 전송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상기 차단 명령(Lock Order)을 수신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가 상기 차단 명령(Lock Order)에 따라 UI(User Interface) 조작을 차단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비정상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접속을 원천 봉쇄하여 정상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피해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한 차단 명령(Lock Order)에 따라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의 UI(User Interface) 조작을 소프트웨어적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가 연동된 타 기지국 제어기(BTC)(112)로 데이타 통신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와 동일한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 요청하고, 타 기지국 제어기(BTC)로부터 현재 음성 통신 중이라고 응답된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즉, 이 경우는 현재 음성 통화 중인 정상 등록된 단말기와 데이타 통신을 시도하는 복제 등에 의한 비정상 단말기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커 이 두 단말기가 각각 상이한 기지국 제어기(BTC)에 의해 제어될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이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를 통해 타 기지국 제어기(BTC)들로 데이타 통신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와 동일한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와 동일한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가 음성 통신 중이라고 응답된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단말기의 데이타 서비스 접속을 금지하여 비정상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에 따른 비정상 요금발생, 비정상 행위에 따른 사용자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의 동작을 도 3 을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데이타 통신 요청 수신단계(S110)에서 기지국 제어기(BTC)에서 실행가능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이 하이브리드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타 통신 요청을 수신한다.
그러면, 음성통신 여부 검출단계(S120)에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이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와 동일한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진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가 동일 또는 타 기지국 제어기(BTC)를 통해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출한다.
이 때, 상기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의 인증처리부(310)에 인증되어 음성통신 처리부(320) 또는 데이타 통신 처리부(330)에 의해 음성 통신 또는 데이타 통신 접속되는 하이브리드 단말기들의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접속정보 DB로부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200)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와 동일한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진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가 음성 통신 중인지 검출한다.
만일, 상기 음성통신 여부 검출단계(S120)에 의해 현재 음성 통신 중이라 검출된 경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단계(S130)에서 상기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300)이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340)를 통해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복제된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 접근을 차단하는 동작을 한다.
한편,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단계(S130)가 데이타 통신 접속 차단된 하이브리드 단말기에 대한 이 후의 이동통신 시스템 접속 봉쇄를 위해 해당 데이타 통신 접속이 차단된 하이브리드 단말기로 차단 명령(Lock Order)을 전송하여 복제된 단말기를 통한 UI(User Interface) 조작을 차단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비정상 등록된 단말기를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 접속을 원천 봉쇄하여 정상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피해 발생을 방지하도록 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위와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은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로부터의 데이타 통신 요청시 해당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하고, 음성 통신 중일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복제 등의 비정상적인 단말기의 데이타 서비스 접속을 금지하여 비정상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에 따른 비정상 요금발생, 비정상 행위에 따른 사용자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 은 고속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시스템 110 : IS-95/1x 네트워크 모듈
111 : IS-95/1x BTS 112 : BTC
113 : MSC 114 : HLR
115 : AUC 116 : IWF
120 : HDR 네트워크 모듈 121 : HDR 액세스 포인트
122 : BTC 123 : PCF
124 : PSDN 125 : HA
126 : AAA 200 : 하이브리드 단말기
300 :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310 : 인증처리부
320 : 음성통신 처리부 330 : 데이타통신 처리부
340 : 데이타통신 접속제한부 350 : 차단명령 송신부

Claims (5)

  1.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가입자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부와;
    상기 인증처리부를 통해 인증 확인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에 대해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통신 처리부와;
    상기 인증처리부를 통해 인증 확인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에 대해 고속 데이타 통신(HDR : High Data Rate)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타 통신 처리부와;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로부터의 데이타 통신 요청시 해당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하고, 음성 통신 중일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는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제어기(BTC)에서 실행가능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BTC)에서 실행가능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이: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에 의해 데이타 통신 접속이 차단된 하이브리드 단말기로 차단 명령(Lock Order)을 전송하여 복제된 단말기를 통한 UI(User Interface) 조작을 차단하는 차단 명령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제어기(BTC)에서 실행가능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부가:
    연동된 타 기지국 제어기(BTC)로 데이타 통신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와 동일한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가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사 요청하고, 타 기지국 제어기(BTC)로부터 현재 음성 통신 중이라고 응답된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제어기(BTC)에서 실행가능한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4.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로부터 데이타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데이타 통신 요청 수신단계와;
    상기 데이타 통신 요청 수신단계에 의해 데이타 통신 요청 수신시,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와 동일한 가입자 전화번호(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SN)를 가진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가 동일 또는 타 기지국 제어기(BTC)를 통해 현재 음성 통신 중인지 검출하는 음성통신 여부 검출단계와;
    상기 음성통신 여부 검출단계에 의해 현재 음성 통신 중이라 검출된 경우 해당 데이타 통신을 요청한 하이브리드 단말기(Hybrid Phone)의 데이타 통신 접속을 차단하는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단계가:
    해당 데이타 통신 접속이 차단된 하이브리드 단말기로 차단 명령(Lock Order)을 전송하여 복제된 단말기를 통한 UI(User Interface) 조작을 차단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방법.
KR1020040020516A 2004-03-25 2004-03-25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5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516A KR20050095257A (ko) 2004-03-25 2004-03-25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516A KR20050095257A (ko) 2004-03-25 2004-03-25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257A true KR20050095257A (ko) 2005-09-29

Family

ID=3727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516A KR20050095257A (ko) 2004-03-25 2004-03-25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525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3997A (ko) * 1998-06-26 2001-05-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유효 확인 방법
US20020012433A1 (en) * 2000-03-31 2002-01-31 Nokia Corporation Authentication in a packet data network
KR20050031009A (ko) * 2003-09-27 2005-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3997A (ko) * 1998-06-26 2001-05-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유효 확인 방법
US20020012433A1 (en) * 2000-03-31 2002-01-31 Nokia Corporation Authentication in a packet data network
KR20050031009A (ko) * 2003-09-27 2005-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법 복제 단말기의 동시 통화 차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5521B2 (ja) 無効な加入者識別番号を有する無線装置に対する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緊急セッションの確立
JP460883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移動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AU2005236981B2 (en) Improved subscriber authentication for unlicensed mobile access signaling
JP564876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ゲートウェイ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通信方法
JP2005110112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の認証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及び基地局及び認証装置。
JP2002247654A (ja) 移動通信網における不正利用検出方法
EP2399405A1 (en) Non-validated emergency calls for all-ip 3gpp ims networks
JP2003524336A (ja) 送信データの量をチェックする方法
US20220272607A1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RU2451427C1 (ru)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20060088409A (ko) 근거리 무선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접근방법 및 그네트워크시스템
KR20050051639A (ko) 랜-범용 무선전화 시스템에서의 id 보호
WO2008106873A1 (fr)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de création de registre et de communication pour terminal téléphonique portable
US20020042820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ccess from a terminal to a server
US20070206632A1 (en)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conversion of communi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34750B1 (ko) 이동통신망에서 지리 정보를 이용한 무선랜 선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537738B1 (ko) Usim 카드 패스워드 관련 자동 안내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장치
KR20050095257A (ko) 복제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TW201503657A (zh) 阻擋來電方法與使用此方法的裝置
KR100605224B1 (ko)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0156892A (ja) 移動電話の盗聴に対する機密保護の改善
KR20090116401A (ko) 이동 단말 인증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코어망 장치
KR100732482B1 (ko) 인증을 통한 단말기 분실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860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0645218B1 (ko) 무선 데이터 서비스 접속 차단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인증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