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144A -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144A
KR20050029144A KR1020050008439A KR20050008439A KR20050029144A KR 20050029144 A KR20050029144 A KR 20050029144A KR 1020050008439 A KR1020050008439 A KR 1020050008439A KR 20050008439 A KR20050008439 A KR 20050008439A KR 20050029144 A KR20050029144 A KR 2005002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ard
motor
driving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숙
Original Assignee
태정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정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정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144A/ko
Publication of KR2005002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2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disc-like, i.e. diameter substantially greater than wid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18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54Special bea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 보드제품의 생산시 포장하기 편하도록 보드제품을 다층으로 적재하는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시스템이다.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을 생산할시 인력으로 적재하다보니 분진이 인체에 묻으면 피부에 박히고, 단순반복 작업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적재시스템을 적용하게 되었다. 이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시스템은 보드제품(800)이 앞공정의 콘베이어를 타고 순차적으로 공급되어오면 이를 고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피딩 롤러장치(100)와 가이드 역할 및 제품을 받아 적재장치(500)로 이동시켜주는 적재게이트장치(200), 길이방향의 정렬을 위한 길이정렬장치(300), 폭방향의 정렬을 위한 폭정렬장치(400 ), 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장치(500), 적재된 제품을 받아 배출시키는 배출콘베이어(600), 이들을 지지하고 고정시켜주는 베이스프레임(7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생산라인의 무인화로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 균일한 적재로 인하여 자동 포장이 가능하여, 고객으로부터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 시스템 {Auto Stacking System of GLASS WOOL and MINERAL WOOL}
본 발명은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 보드 제품을 생산하여, 제품을 출하하기 위해서는 보드제품의 두께 및 중량에 따라 포장 크기가 다양하게 되는데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 보드제품을 여러단 쌓아 적재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글라스울이나 미네랄울 보드제품을 생산하여 포장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길이로 절단되어 콘베이어를 타고 연속적으로 흘러오는 보드제품을 제품하나에 두명이 붙어서 손으로 들어내어 포장용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포장크기에 맞추어 몇단을 쌓아 놓으면 포장한 후 이동시킨다. 이때 단순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다보니, 글라스울이나 미네랄울에서 발생하는 유리섬유 분진이 작업자의 옷이나, 피부에 접촉되어 피부속으로 파고 들어가 염증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작업을 수작업으로 함으로써 연속적인 단순반복 작업에 의한 피로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시스템으로써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적재작업을 기계 자동화를 통하여 자동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적재가 되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 포장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작동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1의 정면도, 도2의 우측면도, 도3의 평면도와 같이 인피딩롤러장치(100) 및 적재게이트장치(200), 길이정렬장치(300), 폭정렬장치(400), 적재장치(500), 배출콘베이어(600), 베이스프레임(70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치들의 구성 및 고유기능을 살펴보면 먼저, 인피딩롤러장치(100)는 앞 공정의 콘베이어에 의해 글라스울 또는 미네랄울 보드제품(800)이 흘러오면 구동전동기(1)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 하 두개의 롤러(2,3)에 의해 보드제품(800)이 고속으로 적재게이트(10)의 상면을 타고 미끄러져 길이정렬장치(300)에 부딪혀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인피딩롤러장치(100)에는 보드 제품(800)의 두께에 따라 상, 하 두개의 롤러(2,3) 간격을 맞추어야 하는데,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의 롤러(2) 양끝단의 축에 슬라이딩 장치(4)를 구성하고 이를 상, 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장치(4)에 두개의 스크류잭(5)을 설치하고, 두개의 스크류잭(5)을 연결하는 축(6)을 구성하고 한쪽 스크류잭(5) 끝단에 구동 전동기(7)를 설치하여 원활한 상, 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 하 운동시 원활한 운동이 가능토록 수개의 안내바(16)로 구성되어 있다. 상, 하 롤러(2,3)는 보드제품(800)을 밀어줄 수 있는 방향으로 똑같은 속도로 회전하여야 하는데, 이를 이룩하기 위해 상, 하 롤러(2,3) 한쪽 끝단에 베벨기어(8)를 설치하고 이를 연결하면서 상, 하 운동이 가능한 스플라인 축(9)을 구성하였다. 적재게이트장치(200))가 인피딩롤러장치(100)에 의해 수개의 적재게이트(10)의 상면을 타고 흘러온 보드제품(800)을 수개의 적재게이트(10) 끝단의 축에 설치되어 있는 서보감속기 전동기(11) 즉 구동 전동기에 의해 수개의 적재게이트(1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보드제품(800)을 안전하게 적재장치(500)에 내려준다. 보드제품(800)의 길이에 따라 길이 정렬장치(300)의 스토퍼프레임(12)을 앞, 뒤 방향으로 이송시켜 길이를 맞추기 위해 인피딩롤러장치(100)의 하부에 서보감속기전동기(13) 즉 구동 전동기를 설치하고, 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스크류(18)로 서보감속기 전동기(13)와 스토퍼프레임(12)을 연결하여 앞, 뒤로 이송시킨다. 이때 두개의 안내 레일(14)은 길이정렬장치(300)를 지지하는 프레임(21) 상부에 설치하고 이 안내 레일(14)과 조립되어 움직일 수 있는 레일블록(15)을 스토퍼프레임(12) 하부에 수개를 설치하여 앞, 뒤로 이송될 때, 안전하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폭정렬장치(400)는 폭방향 양끝에 두개의 서보감속기 전동기(17)를 즉 구동전동기 설치하고, 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스크류(19)로 서보감속기 전동기(17)와 적재장치 프레임(20)을 연결하여, 폭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두개의 안내 레일(22)은 적재장치 프레임(20)을 지지하는 프레임(23) 상부에 설치하고, 이 안내 레일(22)과 조립되어 움직일 수 있는 레일블록(24)을 적재장치 프레임(20) 하부에 수개를 설치하여, 폭 방향으로 이송될 때, 안전하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적재장치(500)는 적재 게이트장치(200)에서 내려주는 보드제품(800)을 받아 적재하게 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적재장치(500)는 두장치가 한조가 되어 보드제품(800)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보드제품(800)의 두께에 따라 전기적 제어를 통하여, 보드제품(800) 두께만큼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반복하면서 포장하기 좋은 높이가 되면, 배출콘베이어(600) 상부에 내려준다. 적재장치(500)의 구성 및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적재장치프레임(20) 한쪽 끝에 서보감속기 전동기(25) 즉 구동 전동기를 설치하고 서보감속기 전동기(25)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축(26)을 설치하고, 그 축(26)상에 체인스프로킷(27)을 조립하여 체인(28)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 체인(28)에 패드(29)를 매달아 패드(29)가 보드제품을 받고 난 후, 보드제품(800) 두께에 따라, 서보감속기 전동기(25)에 내장되어 있는 엔코더에 의해 서보감속기 전동기(25)를 구동하고 축(26)상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27)을 회전시켜 체인(28)이 움직이게 되면, 패드(29)가 보드제품(800) 두께만큼 하강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한조가 되는 두장치의 패드(29)는 같은 높이에서 출발하여 동시에 하강하여야만 한다. 이렇게 보드제품(800)을 수단 쌓고 난 뒤 패드(29)를 회전시켜 배출콘베이어(600) 상부에 내려놓는다. 배출콘베이어(600)는 이 보드제품(800)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폭방향정렬을 위해 적재프레임(20) 상부에 수개의 안내 플레이트(36)를 부착하여 보드제품(800) 이 적재장치(500)로 내려올 때 일정하게 패드(29)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구성하였다. 배출콘베이어(600)에는 구동전동기(30)가 베이스프레임(700)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전동기(30) 축단에 체인스프로킷(31)이 조립되어 있다. 구동전동기(3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롤러(34)의 끝단 축에 조립되어 있는 체인스프로킷(33)과 구동전동기(30) 축단에 조립되어 있는 체인스프로킷(31)을 연결하는 체인(32)이 조립되어 구동롤러(34)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구동롤러(34)는 벨트(35)를 돌리게 되어 보드제품(800)이 다음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 적재시스템은 떨어뜨려서 깨지지 않는 판 형태의 제품에는 두루 적용될 수 있는 시 스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시스템은 수작업을 통하여 적재하던 것을 자동으로 적재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에 의한 능률저하를 해소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룩할 수 있고, 자동적재를 함으로써 보드제품의 좌, 우 정렬이 되면서 적재가 되어 자동 포장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생산라인의 무인화로 원가절감이 되어,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켜 고객으로부터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영역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른 제품에 변형실시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있어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시스템의 우측면도
도 3은 시스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피딩 장치 200 : 적재게이트 장치
300 : 길이 정렬 장치 400 : 폭 정렬 장치
500 : 적재 장치 600 : 배출콘베어

Claims (3)

  1. 앞 공정의 콘베이어를 타고 순차적으로 공급되어오는 보드제품을 고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피딩롤러장치와 가이드 역할 및 제품을 받아 적재장치로 이동시켜주는 적재게이트장치 그리고 길이방향의 정렬을 위한 길이 정렬장치가 있으며, 폭방향의 정렬을 위한 폭 정렬장치가 구성되어 있고, 보드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장치가 있으며, 적재장치에서 적재된 보드제품을 받아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배출콘베이어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보드제품을 적재할 수 있고 배출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오는 보드제품을 고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전동기와 구동롤러가 직결되어 있고, 상부 롤러를 구동하기 위하여 베벨기어 및 스플라인 축으로 구성된 동력 전달 장치 및 보드 제품의 두께에 따라 엔코더로 회전수를 읽어 전동기를 구동하면서 전동기에 연결된 스크류잭을 구동시켜 갭을 조정하는 장치로 구성된 인피딩롤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적재장치 프레임 한쪽 끝에 서보감속기 전동기를 설치하고 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축을 서보감속기 전동기와 직결하고, 그 축상에 체인스프로킷 네개를 상, 하에 조립하여 체인을 회전시킬수 있는 구조와 체인에 매달려 있는 패드로 구성되어진 장치 두개가 한조가 되어 보드제품을 적재하는 시스템으로서 보드제품을 적재할 시 보드제품 하나가 적재되면, 전기제어에 의해 서보감속기 전동기가 구동되고, 서보감속기 전동기 속에 내장되어 있는 엔코더에 의해 보드제품 두께 만큼만 구동된다. 이때 두개의 패드는 동시에 보드제품 두께 만큼 하강하게 된다. 위의 작업을 반복하면서 자동으로 보드제품을 적재하는 특징을 가진 적재장치
KR1020050008439A 2005-01-31 2005-01-31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 시스템 KR20050029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439A KR20050029144A (ko) 2005-01-31 2005-01-31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439A KR20050029144A (ko) 2005-01-31 2005-01-31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144A true KR20050029144A (ko) 2005-03-24

Family

ID=3738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439A KR20050029144A (ko) 2005-01-31 2005-01-31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1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4468A (zh) * 2017-11-10 2018-04-20 武汉华滋东江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冲压成型零部件自动码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4468A (zh) * 2017-11-10 2018-04-20 武汉华滋东江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冲压成型零部件自动码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13098U (zh) 动力翻转机
CN107600943B (zh) 一种面向多材质平面拼图的板料散件调度输送设备
CN206645486U (zh) 一种带有翻面输送机构的错位码垛机系统
CN102189436A (zh) 托盘输送方法和托盘输送装置
CN112551108B (zh) 一种全自动机器人码坯系统
CN101745504B (zh) 一种瓷砖自动分级机
CN212264672U (zh) 一种自动上下料剪板生产线
CN201390526Y (zh) 条烟垂直提升机
CN107487590A (zh) 链条回转式输送线
JP2012250809A (ja) 移載装置およびコンベア装置
CN210824475U (zh) 一种模块化高速机器人码垛装置
KR20050029144A (ko)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의 자동적재 시스템
WO2018235240A1 (ja) 昇降装置及び仕分け装置
CN110844606A (zh) 一种新型工业码垛机
KR20120123839A (ko) 2단 슬라이딩 수직 구동장치
CN206142387U (zh) 一种自动化摆放装置
CN209701623U (zh) 一种环保砖编组机的编组单元
CN207329506U (zh) 链条回转式输送线
CN210735295U (zh) 一种原纸输送装置
CN208802800U (zh) 一种包装工厂用多位置升降输送机
CN106946047A (zh) 一种高位翘翘板式自动码垛装置
CN206502356U (zh) 一种磁环整坯输送机构
CN113060524A (zh) 一种建筑装配吊装设备
CN211444199U (zh) 一种新型工业码垛机
CN213737350U (zh) 一种双层顶升移载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