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475A -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475A
KR20050027475A KR1020030063761A KR20030063761A KR20050027475A KR 20050027475 A KR20050027475 A KR 20050027475A KR 1020030063761 A KR1020030063761 A KR 1020030063761A KR 20030063761 A KR20030063761 A KR 20030063761A KR 20050027475 A KR20050027475 A KR 2005002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hutter
type lens
protective film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진
김홍주
박희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7475A/ko
Publication of KR2005002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여 렌즈의 보호막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방지 해주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카메라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닫혀있는 상태로 있다가 카메라 기능이 작동하면 순간적으로 카메라작동과 동시에 작동하여 자동으로 열렸다가 닫히는 기능을 갖는 셔터형 렌즈 보호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렌즈의 보호막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방지 해줌으로써 피사체 촬영시 선명한 그래픽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the Method for protecting the camera lens of mobile phone with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여 렌즈의 보호막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방지 해주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개되고 있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시대에는 무선으로 음성뿐만 아니라 정지영상 및 동영상, 그래픽과 같은 많은 양의 영상데이터를 고속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현재의 음성 단말기로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으므로 음성, 영상 및 그래픽을 고속으로 처리하여 음성과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용 화상 단말기가 요구됨에 따라 이에 따른 영상, 음성 그리고 데이터 등을 통합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재 가공할 수 있는지가 멀티-미디어 시대의 핵심 기술이 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발맞추어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 또는 탈착식으로 외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이런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음성통신 뿐만 아니라 영상 통신까지도 가능하고, 또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퍼스널 컴퓨터로 옮기거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포착된 피사체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는 그 접속단자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소자(LCD)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입출력 커넥터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하여 저장, 편집 및 인쇄 등 각종 조작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렌즈는 항상 열려있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 전면에 구비된 투명 보호막이 항상 이물질로 더럽혀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전면에 구비된 투명 보호막이 항상 이물질로 더럽혀지면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시 이물질이 사진 인화지에 그대로 찍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중요한 그래픽 사진을 치명적으로 망치게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여 렌즈의 보호막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방지 해주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렌즈를 보호해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카메라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닫혀있는 상태로 있다가 카메라 기능이 작동하면 순간적으로 카메라작동과 동시에 작동하여 자동으로 열렸다가 닫히는 기능을 갖는 셔터형 렌즈 보호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은 카메라작동과 동시에 작동하여 자동으로 열렸다가 닫히는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보호해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시 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 구동부와 동시에 구동되어 카메라 모듈의 렌즈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셔터형 렌즈 보호막을 구동시켜주는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는 셔터형 렌즈 보호막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의 열림과 닫힘을 구동시켜준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보호해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상동작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의 기능이 선택되면 셔터가 온 됨에 따라 셔터형 렌즈 보호막이 열리고 카메라 셔터가 열리는 제1단계와,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카메라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 소정의 피사체 촬영이 완료되면 카메라 셔터가 닫히고 셔터형 렌즈 보호막이 닫히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계에서 셔터형 렌즈 보호막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의 열림구동이 카메라의 셔터의 열림구동보다는 최소한 같거나 빨라야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셔터형 렌즈 보호막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의 닫힘구동이 카메라의 셔터의 닫힘구동보다는 최소한 같거나 느려야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00)는 상부폴더(101)와 하부폴더(102) 및 카메라(140)와 안테나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도 1 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용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만을 나타내었지만 이 외에도 슬라이드형이나 플립형 단말기등 LCD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키 입력장치(103) 및 카메라(140)가 구비된 단말기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상부폴더(101)에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스피커로 구성된 수화부(121)가 구비되고, 단말기 본체(100)의 하부폴더(102)에는 각종 키 입력장치(103)와 마이크로 구성된 송화부(104)가 구비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상부폴더(101)와 하부폴더(102) 사이에는 개폐 힌지장치(130)와, 회전 이동이 가능한 카메라(140)와 스위벨 힌지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이동이 가능한 카메라(140)는 수동이나 또는 자동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 힌지장치(130)에 의해 상부폴더(101)와 하부폴더(102)의 개폐각도가 결정되고, 스위벨 힌지장치(150)에 의해 상부폴더(101)의 회전각도가 결정되며, 안테나부(110)에 의해 수신감도가 결정된다.
상기 회전 이동이 가능한 카메라(140)에는 카메라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 닫혀있는 상태로 카메라(140)의 렌즈를 보호해주는 셔터형 렌즈 보호막(141)이 구성된다.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141)은 카메라(140) 셔터의 작동원리와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렌즈 보호막(141)으로서, 카메라(140)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닫혀있는 상태로 있다가 카메라(140) 기능이 작동하면 순간적으로 카메라(140)작동과 동시에 작동하여 자동으로 열렸다가 닫히는 기능이다.
따라서 카메라(140)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언제나 닫혀있는 상태로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평면으로 나타낸 부분 상세도로서, 카메라(140)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200)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셔터형 렌즈 보호막(141)이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으로 구성된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측면으로 나타낸 부분 상세도로서, 카메라(140)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200)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셔터형 렌즈 보호막(141)이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은 카메라(140)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도 3a 와같이 닫혀있는 상태로 있다가 카메라(140) 기능이 작동하면 도 3b 와같이 순간적으로 카메라(140)작동과 동시에 작동하여 자동으로 열렸다가 닫히는 기능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동작에 따른 단말기 내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4 에서 RF(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함.) 송/수신부(410); 카메라(320); 키 입력부(440); 주 제어부(450); LCD(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 표시부(460); 오디오부(470); 메모리부(480); 카메라 구동부(430); 및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4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F 송/수신부(410)는 단말기의 송신단측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등이 포함된 RF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 받아 주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420)는 피사체를 촬상한 후 그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주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상기 키 입력부(440)는 숫자 버튼, 기호 버튼 및 기타 기능 버튼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선택한 카메라(420)의 촬영에 따른 선택신호를 주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상기 주 제어부(450)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RF 송/수신부(41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중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부(470)로 출력하며, 화상 데이터는 상기 LCD 표시부(460)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키 입력부(440)로부터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490)와 카메라 구동부(430)로 전달한다.
상기 LCD 표시부(460)는 주 제어부(45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단말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해준다.
상기 오디오부(470)는 주 제어부(45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부(480)는 주 제어부(450)로부터 카메라(420)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압축 데이터로 입력받아 저장하고, 재생시 저장된 압축 데이터를 주 제어부(450)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 구동부(430)는 주 제어부(450)로부터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카메라(420)로 출력하여 카메라(4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490)는 단말기 사용자가 키 입력부(440)를 통하여 카메라 촬영을 위해 셔터를 동작시키면 카메라 구동부(430)가 동작됨과 동시에 함께 동작된다.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490)가 동작되면 도 3a 와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렌즈(200)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셔터형 렌즈 보호막(141)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이 구동되어 카메라 작동과 함께 동시에 자동으로 열렸다가 닫힌다.
상기 주 제어부(450)의 플래시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카메라(42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동작이 시작되면 본 발명의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카메라(140)의 모듈에서 셔터가 닫혀(501)있다.
상기 카메라 셔터가 닫혀(501)있으면 동시에 본 발명의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도 닫혀(502)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440)를 통하여 카메라 촬영을 시작(503)하면 주 제어부(450)는 소정의 피사체 촬영을 위한 셔터가 온 되었는지를 판단(504)하여 아직 셔터가 온 되지 않았으면 상기 평상시 카메라(140)의 셔터가 닫혀(501)있는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판단(504)결과 셔터가 온 되었으면 우선 본 발명의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490)가 구동되어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이 먼저 열린다(505).
상기 본 발명의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이 먼저 열린(505)다음 카메라 구동부(430)가 구동되어 카메라(420)의 셔터가 열린다(506).
본 발명에서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의 열림구동과 카메라(420)의 셔터의 열림구동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의 열림구동이 카메라(420)의 셔터의 열림구동보다는 최소한 같거나 빨라야된다.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의 구동과 카메라(420)의 셔터가 구동된 상태에서 소정의 피사체 촬영(507)이 이루어지며, 소정의 피사체 촬영(507)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508)하여 아직 계속 촬영중이면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이 열려(505)있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카메라 촬영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 촬영을 위한 셔터의 노출을 조금 길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508)결과 촬영이 모두 완료되었으면 우선 카메라 구동부(430)가 구동되어 카메라(420)의 셔터가 먼저 닫힌다(509).
상기 카메라(420)의 셔터가 먼저 닫힌(509)다음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490)가 구동되어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이 닫히(510)고 동작이 종료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의 닫힘구동과 카메라(420)의 셔터의 닫힘구동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140)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210)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220)의 닫힘구동이 카메라(420)의 셔터의 닫힘구동보다는 최소한 같거나 느려야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셔터형 렌즈 보호막을 구비하여 렌즈의 보호막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방지 해줌으로써 피사체 촬영시 선명한 그래픽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평면으로 나타낸 부분 상세도.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측면으로 나타낸 부분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동작에 따른 단말기 내부의 블록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본체 101, 102 : 상/하부 폴더
103 : 키 입력장치 104,121 : 송/수화부
110 : 안테나 120 : LCD 표시부
130 : 힌지장치 140 : 카메라
141 : 셔터형 렌즈 보호막 150 : 스위벨 힌지장치
200 : 렌즈 210, 220 : 제1 및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

Claims (5)

  1.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카메라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닫혀있는상태로 있다가 카메라 기능이 작동하면 카메라작동과 동시에 작동하여 개폐되는 셔터형 렌즈 보호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은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3.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시 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의 렌즈 표면을 개폐시키는 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상기 카메라 구동부와 동시에 구동되면서 상기 셔터형 렌즈보호막을 구동시켜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이 상기 카메레의 렌즈표면을 개폐되도록 하는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4. 청구항 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은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에 의해 개페되는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 구동부는 상기 셔터형 렌즈 보호막의 제1셔터형 렌즈 보호막과 제2셔터형 렌즈 보호막의 개폐구동을 상기 카메라의 셔터의 개폐구동보다 적어도 같거나 빠르게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KR1020030063761A 2003-09-15 2003-09-15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27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61A KR20050027475A (ko) 2003-09-15 2003-09-15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61A KR20050027475A (ko) 2003-09-15 2003-09-15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475A true KR20050027475A (ko) 2005-03-21

Family

ID=3738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761A KR20050027475A (ko) 2003-09-15 2003-09-15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74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78B1 (ko) * 2012-12-14 2014-09-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렌즈 셔터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78B1 (ko) * 2012-12-14 2014-09-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렌즈 셔터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6784B2 (ja) 携帯端末
US744340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JP4178484B2 (ja) モニタ付きカメラ
KR100703904B1 (ko) 휴대 가능한 다기능 전자 기기
US7061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photographing angle of camera in portable terminal
JP4352465B2 (ja) 携帯端末
CN100496064C (zh) 摄像装置
US20050237413A1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000449B2 (ja) イメージセンサ、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JP3751197B2 (ja) 移動体電話機
JP3850113B2 (ja) デジタル電子カメラ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2004120290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画像表示方法
JP3359526B2 (ja) デジタル電子カメラ
KR20050027475A (ko)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그 방법
JP3847158B2 (ja) 携帯電話装置
JP2003249986A (ja) 撮像および通信装置
JP2006148346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460089B1 (ko) 영상 통신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6916B1 (ko)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 알림장치 및 그 방법
JP3850120B2 (ja) デジタル電子カメラ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040382A (ja)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
KR20050024029A (ko)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의 자동 연속촬영 장치
JP2004282773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