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533A -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액세스 포인트 - Google Patents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액세스 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533A
KR20050026533A KR1020057001576A KR20057001576A KR20050026533A KR 20050026533 A KR20050026533 A KR 20050026533A KR 1020057001576 A KR1020057001576 A KR 1020057001576A KR 20057001576 A KR20057001576 A KR 20057001576A KR 20050026533 A KR20050026533 A KR 2005002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device
access point
dbm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반스데이비드에이치
랜킨폴제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2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LAN)는 0dBm에서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포함한다. 이동 장치의 검출 임계값은 -65dBm이고, 그에 따라서 이동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10미터 내에 위치될 때에 검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액세스 포인트{SYSTEM FOR LOCATING A MOBILE UNIT}
본 발명은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LAN)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점을 지나가는 잠재적 소비자에 대한 대상 광고(targeting advertisements) 등과 같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셀룰러폰 핸드셋(cellular telephone handset) 또는 PDA(personal data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요구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히 대중적 시장(mass-market)용으로서의 GPS는 여러 단점을 갖고 있다. 첫 번째로, GPS 수신기를 내장하는 이동 장치를 제조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두 번째로, 최초로 전원이 켜질 때 이동 장치를 위치 확인하는 데에는 지연이 발생된다. 세 번째로, 이동 장치가 실내에 위치할 때에는 이동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AN)를 이용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장치(fixed unit)와 이동 장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데 시간 지연을 이용하는 소위 "TOA(time of arrival)"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 장치에 대한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TOA 방법은 단지 대략 100미터의 정확도를 갖는 개략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보다 정확한 방법은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법을 이용하는데, 여기에서 이동 장치는 서로 다른 시간에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나, TDOA 방법은 다수의 고정 장치를 필요로 한다. 다른 방법은 더 넓은 대역폭에 걸쳐 신호를 분산시키는 데 높은 치핑 레이트(chipping rates)를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다. 더 높은 치핑 레이트는 더 짧은 펄스 길이를 이용하고, 이는 향상된 해상도를 제공한다.
2001년 9월 9일에 영국 브리스톨에 위치한 휴렛 팩커드 연구실 소속의 Michael Spratt에 의한 "An Overview of Positioning by Diffusion"라는 명칭의 문헌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장 장치와 다른 이동 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이동 장치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액세스 포인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이동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실내에 배치된 도 1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동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의 전력과, 이동 장치 및 송신기 사이의 거리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송신된 전력을 시간에 대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검출 임계치를 시간에 대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송신된 전력을 시간에 대해 나타낸 다른 그래프이다.
도 9는 송신기 전력을 시간에 대해 나타낸 다른 그래프이다.
도 10은 이동 장치가 위치될 수 있는 구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구형에서 실내에 배치된 도 1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위치 확인 시스템은 비교적 높은 전력으로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과, 사전 결정된 비교적 낮은 전력으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에서 상기 제 1 신호의 제 1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수단과,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신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에서 상기 제 2 신호의 제 2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의 알려진 거리 내에서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신호 강도가 비교적 높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비교적 높은 전력은 적어도 0dBm, 6dBm, 13dBm 또는 20dBm일 수 있다. 비교적 낮은 전력은 많아야 0dBm일 것이다. 비교적 낮은 임계 레벨은 많아야 -85dBm일 것이다. 비교적 높은 임계 레벨은 많아야 -65dBm일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은 서로 다른 시간에 제 1 및 제 2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은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도 또한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은 이동 장치일 수 있고,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도 이동 장치일 수 있다.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은 이동 장치일 수 있고,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도 이동 장치일 수 있다.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은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도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이 또한 제공되는데, 이 위치 확인 시스템은 비교적 높은 전력으로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기와, 사전 결정된 비교적 낮은 전력으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기와,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기와,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상기 제 1 신호의 제 1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제 1 검출기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신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제어기와,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2 수신기에서 상기 제 2 신호의 제 2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제 2 검출기와,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의 알려진 거리 내에 있는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신호 강도가 비교적 높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또한 제공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유선 네트워크(wired network)(2) 및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를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AN)(1)를 포함한다. 이동 장치(4)는 무선 링크(wireless link)(5)를 경유하여 무선 LAN(1)에 접속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 및 이동 장치(4)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서 2.4GHz 대역에서 작동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 5)는 유선 네트워크(2)로 연결된 접속기(6), 입/출력부(7), 데이터 처리부(data processing section)(8), 무선 주파수부(radio frequency section)(9), 안테나(10) 및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입/출력부(7)는 유선 네트워크(2)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유선 네트워크(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예를 들면 처리부(8)는 에러 방지(error protection)/에러 검출 루틴(routines)을 적용하고, 데이터를 암호화(encrypts)/해독화(decrypts)한다. 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부(9)는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고 증폭시킨다. 입/출력부(7), 데이터 처리부(8), 무선 주파수부(9)는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장치(4)는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12)와,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카드의 형태를 갖는 무선 송신기/수신기(13)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기/수신기(13)는 퍼스널 컴퓨터(12)로 접속시키는 접속기(14), 입/출력부(15), 데이터 처리부(16), 무선 주파수부(17), 안테나(18) 및 제어부(19)를 포함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대응하는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무선 LAN(1) 및 무선 송신기/수신기(13)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Gil Held에 의한 "Deploying Wireless LANs"라는 제목의 문헌(McGraw-Hill, 2002)의 제 5 장에 설명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가 실내(20)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 )는 실내(20)의 모퉁이(21)(그 중 몇 개는 출입구(22)쪽에 위치됨) 및 중앙부(23)에 위치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의 위치는 알려져 있고 (x 1, y1), (x2, y2), (x3, y3), (x4 , y4) 및 (x5, y5)로 제각기 표시할 수 있다.
이동 장치(4)는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를 이용하여 위치가 확인될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는 송신기 및 수신기이다.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는 선택 가능한 전송 전력 레벨(Ptx)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4개의 선택 가능한 전력 레벨, 즉, 20dBm(100mW), 13dBm(20mW), 6dBm(4mW) 및 0dBm(1mW)이 존재한다. 다른 전력 레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최대 전력 레벨은 30dBm(1000mW)일 수 있다.
또한, 이동 장치(4)도 송신기 및 수신기이다. 이동 장치(4)는 안테나(18)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 RSSI)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rf부(rf section)(17)(도 3)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5dBm의 간격으로 레벨 0(이는 최소 검출 레벨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85dBm임)으로부터 레벨 15(이는 허용 가능한 최대 입력 레벨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10dBm임)까지의 범위를 갖는 16개의 RSSI 레벨이 존재한다.
이동 장치(4)는 검출 임계치(Pdet)를 설정한다. 이 예에서, 검출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은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신호 강도가 검출 임계치와 같거나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검출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은 검출 가능한 신호의 레벨을 제한하는 수신기(4)의 이득(gain)을 선택하는 단계와,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35)에 의해서 송신되고 이동 장치(4)에서 수신된 신호(24)는 감쇄(attenuated)된다. 수신된 신호 강도(Prx)는 액세스 포인트(35)와 이동 장치(4) 사이의 거리(r)의 제곱에 역비례하는데, 즉 Prx ∝1/r2 이다. 이동 장치(4)가 신호(24)를 검출하면, 이동 장치(4)는 액세스 포인트(35)의 반경(R) 내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5)의 반경 10미터 내에서 정확하게 이동 장치(4)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0dBm의 낮은 전송 전력 레벨(Ptx) 및 바람직하게는 -65dBm인 높은 검출 임계치(Pdet)를 선택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높은 전송 전력 레벨(Ptx) 및 낮은 검출 임계치(Pdet)를 사용한다.
이동 장치(4)는 서로 다른 상황 하에서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 35)를 이용하여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무선 LAN(1)으로 접속되기 전의 위치 확인
이동 장치(4)는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에 의해 송신되는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수신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 BSS)로서 지칭되는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 5)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cell)을 액세스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패시브 스캐닝(passive scanning)으로 알려져 있다. 비콘 프레임은 IEEE 802.11 표준의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 MAC) 서브 계층(sub-layer)으로 정의된다.
수정된 패시브 스캐닝 프로세스는 이동 장치(4)의 위치 확인을 위해 이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35)는 제 1 및 제 2 비콘 신호(241, 242)를 송신한다. 비콘 신호(241, 242)는 예를 들면 20밀리초 내지 1초마다, 바람직하게는 1초마다 반복적으로 송신된다. 제 1 신호(241)는 예를 들면 20dBm(100mW)의 높은 전송 전력(P1)으로 송신되고, 제 2 신호(242)는 이 경우에는 0dBm(1mW)의 낮은 전송 전력(P2)으로 송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장치(4)는 패시브 스캐닝 모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이들이 제 1 및 제 2 신호 검출 임계치(PA, PB)를 제각기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 1 신호 검출 임계치(PA)는 예를 들면 -85dBm으로서 낮고, 제 2 신호 검출 임계치(PB)는 예를 들면 -65dBm으로서 높다. 따라서, 수신된 신호가 PA 및 PB 사이의 전력(Pi)(PA<Pi <PB)을 갖는다면, 이 값은 PA를 초과하고, 검출된다. 그러나, Pi는 PB보다 작고,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 장치(4)와 액세스 포인트(35) 사이를 정확한 직선으로 가정할 때, P1로 송신되고, 제 1 임계치(PA)를 가지고 검출되는 제 1 신호(241)에 대한 검출 가능 범위(R1)는 일반적으로 대략 100미터이다. P2로 송신되고, 제 2 임계치(PB)를 가지고 검출되는 제 2 신호(242)에 대한 검출 가능 범위(R2)는 대략 10미터이다.
따라서, 이동 장치(4)가 제 2 신호(242)를 검출한다면, 이 이동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35)의 10미터 내에 존재하는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35)의 위치는 비콘 프레임 내에 포함되어 이동 장치(4)가 그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이동 장치(4)는 자신을 식별하고, 자신이 제 2 신호(242)를 검출했다는 사실을 식별하는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35)에 되돌려보낼 수 있다. 이는 액세스 포인트(35) 또는 무선 LAN(1)이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무선 LAN(1)으로 접속된 후의 위치 확인
이동 장치(4)가 셀에 접속되면, 그대로 해당 셀 내에 유지되거나, 그 접속을 유지하면서 다른 셀로 로밍(roaming)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이동 장치(4)는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에 접속되고, 관리, 제어 및 데이터 프레임을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장치(4)는 높은 임계치를 이용하여 낮은 전력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이동 장치(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35)는 관리, 제어 또는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3 신호(243)를 하나 이상의 높은 전력 레벨(P3, P4)로 송신한다. 전력 레벨(P3, P4)은 전력이 이동 장치(4)의 위치 변동에 기인하여 변동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액세스 포인트(35)는 제 4 신호(244)를 낮은 전력 레벨(P2 )로 송신한다.
이동 장치(4)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임계치(PA, PB)를 가지고 RSSI를 결정한다. P3, P4로 송신되고 제 1 임계치(PA)를 가지고 측정된 제 3 신호(243)에 대한 검출 가능 범위(R3)는 대략 10 내지 100미터이고, P2로 송신되고 제 2 임계치(PB)를 가지고 측정된 제 4 신호(244)에 대한 검출 가능 범위(R4)는 대략 10미터이다.
따라서, 이동 장치(4)는 예를 들면 10 내지 100미터 사이의 반경 내의 비교적 넓은 영역 내에서 액세스 포인트(35)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예를 들면 10미터 반경 내의 좁은 영역 내에서 이동 장치(4)의 위치 확인을 위해서는 이동 장치(4)가 액세스 포인트(35) 근처를 지나가야 한다.
가변적인 검출 임계치
상술된 이동 장치(4)는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해 하나의 임계치(PB)를 선택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이동 장치(4)가 액세스 포인트(35)로부터 30미터만큼 떨어져 있는지 또는 10미터만큼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동 장치(4)는 예를 들면 낮은 값(PA)으로부터 값(PB)까지의 범위로 위치 확인 임계치(Ploc )를 변동시키도록 수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임계치(Pdet)는 정규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값(PA)으로부터 위치 확인 임계치(Ploc) 사이에서 교번적으로 변동되고, 위치 확인 임계치는 PA로부터, PC, PB로의 단계를 갖는다(즉, PA<PC<PB).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접근법은 반경의 크기 증가 순서대로 원(251), 원(252) 및 원(253)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변적인 정확도 크기로 이동 장치(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는 이동 장치(4)가 내부 원(251, 252) 내에 위치되지 않고 외부 원(252, 253)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고리(annuli)(261, 262) 내에서 이동 장치(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IEEE 802.11 표준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상술되어 있는 "Deploying Wireless LANs"라는 제목의 문헌의 제 6 장에 설명되어 있다.
서로 다른 송신기, 서로 다른 전송 전력
상술된 실시예에서, 무선 LAN(1)은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 4, 35)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적 높은 전력과, 이동 장치(4)의 위치 확인을 위한 비교적 낮은 전력 사이에서 전송 전력을 다중화(multiplexes)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위와 다르게 무선 LAN(1)은 20dBm(100mW) 등과 같이 비교적 높은 전송 전력으로 송신하는 제 1 세트의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등)와, 예를 들면 0dBm(1mW)의 비교적 낮은 전송 전력으로 송신하는 제 2 세트의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35) 등)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적 높은 전송 전력은 비교적 높은 전송 전력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dBm(1mW)보다 클 수 있다.
무선 LAN(1)은 제 2 세트 내의 각 액세스 포인트가 제 1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허용 범위 내에 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제 3 및 제 5 액세스 포인트(33, 35)에 의해 제공되는 허용 영역 범위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다른 구성에서는, 제 1 세트의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 장치(4)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제 2 세트의 액세스 포인트가 위치 확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장치(4)는 제 3 액세스 포인트(35)를 패시브 스캐닝하면서, 제 3 액세스 포인트(33)에 접속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장치(4)가 제 3 액세스 포인트(3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술된 방식으로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른 장치는 몇 가지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는 구현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비용과 복잡도가 감소된다. 이는 시간 지연(latency)을 감소시키고 서비스 품질을 증가시킨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위치 확인은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를 송신기로서 이용하고, 이동 장치(4)를 수신기로서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그러나, 상술된 실시예는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의 송신기로서의 역할과, 이동 장치(4)의 수신기로서의 역할을 반전시키도록 수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 장치(4)는 예를 들면 0dBm(1mW) 등과 같은 낮은 전송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는 높은 신호 전력 검출 임계치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가 이동 장치(4)에 의해 낮은 전력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장치(4)를 정확하게 위치 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장치(4)와 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높은 전송 전력으로 송신하는 송신기로서 이용되는 한편, 이동 장치(4)는 위치 확인을 위해 낮은 전송 전력으로 송신하는 송신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 내용을 판독함으로써, 그 외의 변경 및 수정이 명확할 것이다.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및 그 구성 요소의 설계,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 이미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에서 앞서 상술된 피처를 대체하거나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등가물 및 다른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LAN(1) 및 이동 장치(4) 대신에, 임시적 근거리 네트워크(ad-hoc local area network) 또는 블루투쓰TM 스펙(BluetoothTM specification)에 부합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 장치(4)는 PDA(personal data assistant) 또는 셀룰러폰 핸드셋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청구항은 특정한 피처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범주는, 청구항에 청구된 것과 동일한 발명에 관련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또한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기술적 문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의 새로운 피처 또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 또는 함축적으로 개시된 피처의 임의의 새로운 조합이나 그러한 피처의 임의의 일반화를 또한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그로부터 도출된 임의의 추가적인 발명을 실행하는 동안에 이러한 피처 및/또는 이러한 피처의 조합으로 새로운 청구항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Claims (19)

  1. 이동 장치(4)의 위치 확인 시스템으로서,
    비교적 높은 전력(P1)으로 제 1 신호(241)를 송신하는 수단(31, 32 , 33, 34, 35)과,
    사전 결정된 비교적 낮은 전력(P2)으로 제 2 신호(242)를 송신하는 수단(31, 32, 33, 34, 35)과,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4)과,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에서 상기 제 1 신호의 제 1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수단(4)과,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신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임계 레벨(PA)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4)과,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4)과,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에서 상기 제 2 신호의 제 2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수단(4)과,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의 알려진 거리(R) 내에서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신호 강도가 비교적 높은 임계 레벨(PB)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4)
    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높은 전력(P1)은 적어도 0dBm인 위치 확인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높은 전력(P1)은 적어도 6dBm, 13dBm 또는 20dBm인 위치 확인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낮은 전력(P2)은 많아야 0dBm인 위치 확인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낮은 임계 레벨(PA)은 많아야 -85dBm인 위치 확인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높은 임계 레벨(PA)은 적어도 -65dBm인 위치 확인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31, 32, 33, 34, 35)은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241, 242)를 송신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1)인 위치 확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241)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31, 32, 33, 34 , 35)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인 위치 확인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242)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31, 32, 33, 34 , 35)은 액세스 포인트인 위치 확인 시스템.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241)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4)은 이동 장치인 위치 확인 시스템.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242)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4)은 이동 장치인 위치 확인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241)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4)은 이동 장치인 위치 확인 시스템.
  14. 제 8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242)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4)은 이동 장치인 위치 확인 시스템.
  15. 제 8 항, 제 13 항,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241)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31, 32, 33, 34 , 35)은 액세스 포인트인 위치 확인 시스템.
  16. 제 8 항, 제 13 항, 제 14 항,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242)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31, 32, 33, 34 , 35)은 액세스 포인트인 위치 확인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위치 확인 시스템.
  18. 이동 장치(4)의 위치 확인 시스템으로서,
    비교적 높은 전력(P1)으로 제 1 신호(241)를 송신하는 제 1 송신기(9, 10)와,
    사전 결정된, 비교적 낮은 전력(P2)으로 제 2 신호(242)를 송신하는 제 2 송신기(9, 10)와,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기(18)와,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상기 제 1 신호의 제 1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제 1 검출기(17, 16)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신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제어기(19)와,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기(18)와,
    상기 제 2 수신기에서 상기 제 2 신호의 제 2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제 2 검출기(17, 16)와,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수단의 알려진 거리 내에 있는 이동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신호 강도가 비교적 높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제어기(19)
    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포인트(31, 32, 33, 34, 35).
KR1020057001576A 2002-07-31 2003-07-16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액세스 포인트 KR200500265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217707.9A GB0217707D0 (en) 2002-07-31 2002-07-31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unit
GB0217707.9 2002-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533A true KR20050026533A (ko) 2005-03-15

Family

ID=994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576A KR20050026533A (ko) 2002-07-31 2003-07-16 이동 장치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액세스 포인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477904B2 (ko)
EP (1) EP1527651B1 (ko)
JP (1) JP4527532B2 (ko)
KR (1) KR20050026533A (ko)
CN (1) CN100484325C (ko)
AT (1) ATE355717T1 (ko)
AU (1) AU2003247067A1 (ko)
DE (1) DE60312168T2 (ko)
ES (1) ES2282681T3 (ko)
GB (1) GB0217707D0 (ko)
WO (1) WO20040140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828B1 (ko) * 2005-06-17 2010-06-22 폰다지오네 토리노 와이어리스 로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로컬 영역 내의 무선 이동식유닛의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
KR20170002894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8941B1 (en) * 2003-03-12 2007-05-15 Spotlight Mobile, Inc. System for connecting users with location specific information from official and unofficial sources
US7541977B2 (en) * 2003-12-16 2009-06-0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locating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KR100818915B1 (ko) * 2004-01-28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제어 방법
US7321331B2 (en) * 2004-02-26 2008-01-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cation data within an ad-hoc communication system
US7969937B2 (en) 2004-03-23 2011-06-28 Arub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station management
US9432848B2 (en) 2004-03-23 2016-08-30 Aruba Networks, Inc. Band steering for multi-band wireless clients
US7209751B2 (en) * 2004-03-30 2007-04-24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ximity motion detection in a wireless network
CN100426757C (zh) * 2004-07-09 2008-10-15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并行式无线网络桥接点信号强度密度测量系统
US7353034B2 (en) 2005-04-04 2008-04-01 X One, Inc. Location sharing and tracking using mobile phones or other wireless devices
US20080003978A1 (en) * 2006-06-29 2008-01-03 Sengupta Uttam K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mproved bluetooth security during the pairing process
US7856234B2 (en) * 2006-11-07 2010-12-21 Skyhook Wirel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positioning error within a WLAN-based positioning system
GB2445001A (en) 2006-12-21 2008-06-25 Siemens Ag Determining mobile terminal location from responses to messages transmitted into different coverage areas
CN101620267B (zh) * 2007-12-07 2011-10-26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一种室内无线定位方法
CN101592722B (zh) * 2008-05-28 2013-08-28 无锡奥盛信息科技有限公司 区域定位系统及其方法
US20100016022A1 (en) * 2008-07-15 2010-01-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Information with a Femtocell Wireless Base Station
US10536990B1 (en) * 2009-02-03 2020-01-14 Dominic M. Kotab Telephone base station for combining mobile and terrestrial telephone service
US8224233B2 (en) * 2009-10-09 2012-07-17 At&T Mobility Ii Llc Regulation of service in restricted telecommunication service area
US8260342B2 (en) * 2010-01-06 2012-09-04 Anokiwave, Inc. Communications systems management using MM-wave based motion sensing
FR2981187B1 (fr) * 2011-10-11 2015-05-29 Franck Poullain Tablette de communication pour l'enseignement
GB201117723D0 (en) * 2011-10-13 2011-11-23 Sensewhere Ltd Method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user device using radio beacons and radio beacons adapted to facilitate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US20140129453A1 (en) * 2012-11-02 2014-05-08 Robert Brazell Personal Concierge on Mobile Computing Device
CN102970747B (zh) * 2012-11-05 2016-08-31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wlan定位精度的方法及装置
CN104144496A (zh) * 2014-07-28 2014-11-12 北京升哲科技有限公司 基于信标设备的室内定位方法及系统
US9553941B2 (en) * 2014-09-15 2017-01-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nabling proximity operations with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s
CN104284419B (zh) * 2014-10-20 2018-01-12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iBeacon的室内定位及辅助导航方法、装置和系统
US9939521B2 (en) * 2015-01-09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se in wideband time-of-arrival estimation
US9734682B2 (en) 2015-03-02 2017-08-15 Enovate Medical, Llc Asset management using an asset tag device
US20160300266A1 (en) * 2015-04-13 2016-10-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esence detection and targeted content
HU231364B1 (hu) * 2015-04-22 2023-03-28 Pozi Development Kft Eljárás üzenetek vezetékmentes küldésére és fogadására helymeghatározási vagy más hely alapú szolgáltatás nyújtására alkalmas kommunikációs hálózatban, valamint ilyen kommunikációs hálózat
CN105242549B (zh) * 2015-09-02 2018-05-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对设备进行控制的方法和装置
US10536811B2 (en) * 2016-09-12 2020-01-14 Industrial Scientifi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beacon broadcasts with range of relevance
DE102017106290A1 (de) * 2017-03-23 2018-09-27 Miele & Cie. Kg Verfahren zur Auswahl wenigstens einer ersten Slave-Einheit innerhalb einer vorbestimmten räumlichen Nähe zu einer Master-Einheit
US10136259B1 (en) * 2017-05-03 2018-11-20 Intermec, Inc. Pick and put location verification utilizing RF received signal strength
TWI687704B (zh) * 2018-01-19 2020-03-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定位系統以及定位方法
WO2019185142A1 (en) * 2018-03-28 2019-10-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scheduling based on upper and lower snr targe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5013B1 (fr) 1994-01-12 1996-03-29 Nortel Matra Cellular Procédé de localisation d'une station mobile de radiocommunication cellulaire, et équipements pour la mise en Óoeuvre du procédé.
JP3776942B2 (ja) * 1995-03-03 2006-05-24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局装置
KR0138820B1 (ko) * 1995-05-12 1998-07-01 양승택 Cdma 시스템에서의 무선채널 할당방법 및 그 장치
US6006077A (en) 1997-10-02 1999-12-21 Ericsson Inc. Received signal strength determination methods and systems
JPH11205845A (ja) * 1998-01-14 1999-07-30 Locus:Kk 位置特定システム
JPH11341549A (ja) 1998-05-27 1999-12-10 Alps Electric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検出用端末データの作成方法
GB9827989D0 (en) * 1998-12-19 1999-02-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ocation beacon system
WO2000050919A2 (en) 1999-02-25 2000-08-3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locating and tracking a user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 table of dignal data
EP1091611B1 (en) * 1999-10-06 2007-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cation system for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GB0007474D0 (en) * 2000-03-29 2000-05-17 Hewlett Packard Co Location-Dependent User Interface
DE50104001D1 (de) * 2000-05-26 2004-11-11 Siemens Ag Verfahren zum erkennen der lage eines tragbaren transponders sowie ein diebstahlschutzsystem
US7146636B2 (en) * 2000-07-24 2006-12-05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entralized control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6816117B2 (en) * 2001-05-24 2004-11-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
US6700535B2 (en) * 2001-06-01 2004-03-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cation estimation in narrow bandwidt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6748231B2 (en) * 2001-08-31 2004-06-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during a dispatch group ca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828B1 (ko) * 2005-06-17 2010-06-22 폰다지오네 토리노 와이어리스 로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로컬 영역 내의 무선 이동식유닛의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
US8145235B2 (en) 2005-06-17 2012-03-27 Fondazione Torino Wireless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mobile wireless unit position in a localized area
KR20170002894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77904B2 (en) 2009-01-13
AU2003247067A1 (en) 2004-02-23
GB0217707D0 (en) 2002-09-11
EP1527651B1 (en) 2007-02-28
ATE355717T1 (de) 2006-03-15
ES2282681T3 (es) 2007-10-16
CN100484325C (zh) 2009-04-29
WO2004014096A1 (en) 2004-02-12
DE60312168T2 (de) 2007-11-22
US20050277426A1 (en) 2005-12-15
EP1527651A1 (en) 2005-05-04
DE60312168D1 (de) 2007-04-12
JP4527532B2 (ja) 2010-08-18
CN1672452A (zh) 2005-09-21
JP2005535208A (ja)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7904B2 (en)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unit
US67684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mobile units based on angle measurements
US73664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location detection using handoff information
US8019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positioning error within a WLAN-based positioning system
US8315233B2 (en) System and method of gathering WLAN packet samples to improve position estimates of WLAN positioning device
US6990428B1 (en) Radiolocation using path loss data
US20050207381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ce detection and location finding
US20090318182A1 (en)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11044587B2 (en) Real-time lo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s
US20170234978A1 (en) Enhanced location syste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beacons with varying power
EP1461972B1 (en) Mobile device power saving
US8626196B2 (en) Wireless-based positioning without association
WO2007119314A1 (ja) 通信エリア検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基地局及び移動機
US7809394B1 (en) Transmit power control in a wireless system
KR20180083570A (ko) 모바일 단말의 레인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JP3750438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US20110117930A1 (en) Improved Signal Level Measurement for Mobile Pos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