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899A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899A
KR20050025899A KR1020040067158A KR20040067158A KR20050025899A KR 20050025899 A KR20050025899 A KR 20050025899A KR 1020040067158 A KR1020040067158 A KR 1020040067158A KR 20040067158 A KR20040067158 A KR 20040067158A KR 20050025899 A KR20050025899 A KR 20050025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pipe
pipe connector
cap nu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riority to KR102004006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5899A/ko
Publication of KR2005002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의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임링의 주 기능인 기밀성 향상과 관의 압박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관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너트를 몸체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체결할 때 액체 등의 누설을 고려하여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는 등 재활용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이 관통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너트와, 상기 캡너트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내에 삽입된 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누설방지수단으로 구성된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이탈/누설방지수단은, 상기 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몸체의 내주면과 캡너트의 내주면중 적어도 어느 한 내주면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부와; 상기 안착 공간부내에 안착 설치되며, 탄력성을 갖는 고리 형상의 패킹과; 상기 패킹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측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패킹 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상기 내측 접촉부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로 된 조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연결구{A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킹의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임링의 주 기능인 기밀성 향상과 관의 압박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관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너트를 몸체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체결할 때 액체 등의 누설을 고려하여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는 등 재활용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관 연결구로서 본 출원인이 2002년 01월 11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제2002년 901호의 출원번호를 부여받은 후에, 2002년 3월 27일자로 공고된 등록번호 제20-270031호가 있다.
상기의 기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연결관(30)이 접지되는 걸림턱(11)을 형성하고, 몸체(10)의 상부에 내향으로 형성된 경사진 주연(12)에는 지그재그로 절결하여 설편(20)을 형성한 조임링(21)의 상하에 특수고무로 단면이 반원층(22)(22a)이 형성되게 성형한 패킹(23)을 삽입한 다음 내주에 하향 돌출윤(31)을 형성한 캡너트(32)를 몸체(10)에 형성된 나사부(10a)에 나사 물림시키고, 연결관(30)을 몸체(10)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1)에 접지되게 삽입시킨 다음 캡너트(32)를 조이게 되면 간편하게 관을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임링(21)의 상하에 형성된 반원형층(22)(22a)이 연결관(30)의 외주와 몸체 내주연 및 캡너트(32) 내부를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고, 조임링(21)에 형성된 설편(20)(20a)에 의하여 연결관(30)이 압박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첫째,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와 같이 연결관(30)을 삽입한 상태에서 캡너트(32)를 회전시켜 조이면, 몸체(10)의 주연(12)이 하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연(12)과 캡너트(32)의 내면 및 걸림턱(11)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기울진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내에 수용된 패킹(23)은 타원형 형상에서 상기 삼각형 형상의 공간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조임링(21)은 캡너트(32)의 돌출윤(31)에 의해 경사지게 되어 연결관(30)의 외면에 강제적으로 접촉된다.
이로 인해, 연결관(30)의 재질이 금속재의 경질인 경우에는 조임링(21)의 내측 설편(20)이 손상되거나 연결관(30)이 손상을 입게되어 연결관(30)을 압박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첫 번째 문제점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캡너트(32)의 조임 정도에 따라 패킹(23)이 원형의 상태에서 삼각형 형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그 탄력성을 잃게 되어 보수를 위해 캡너트(32)를 몸체(10)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체결할 때 액체등의 누설을 고려하여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등 재사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셋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링(21)이 최초의 상태에서 패킹(23)에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연결관(30)이 삽입되고, 캡너트(32)를 조이게 되면 내측 설편(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윤(31)에 의해 경사지게 되는 상태가 되면서 조임링(21)은 옥조여져 몸체(10)의 경사진 주연(12)과 연결관(30) 사이에 고정되어지고, 단면상으로 상측의 반원형층(22)은 캡너트(32)의 돌출윤(31)과 내주연에 끼여 회전되면서 조임링(20)과 분리 또는 이완되어져 기밀성이 떨어지고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패킹의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임링의 주 기능인 기밀성 향상과 관의 압박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관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너트를 몸체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체결할 때 액체 등의 누설을 고려하여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는 등 재활용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이 관통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너트와, 상기 캡너트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내에 삽입된 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누설방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이탈/누설방지수단은, 상기 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몸체의 내주면과 캡너트의 내주면중 적어도 어느 한 내주면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부와; 상기 안착 공간부내에 안착 설치되며, 탄력성을 갖는 고리 형상의 패킹과; 상기 패킹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측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패킹 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상기 내측 접촉부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로 된 조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임링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패킹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단이 관통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양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너트(200)와, 상기 캡너트(200)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100)내에 삽입된 관(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누설방지수단(400)으로 구성된 관 연결구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 이탈/누설방지수단(400)을 개량하여 패킹의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조임링의 주 기능인 관의 압박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관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너트를 몸체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체결할 때 액체등의 누설을 고려하여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는 등 재활용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탈/누설방지수단(400)은 상기 관(3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몸체(100)의 내주면과 캡너트(200)의 내주면중 적어도 어느 한 내주면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부(S1)(S2)와; 상기 안착 공간부(S)내에 안착 설치되며, 탄력성을 갖는 고리 형상의 패킹(410)과; 상기 패킹(41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200)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측 접촉부(420a)를 구비하며, 상기 패킹(410) 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상기 내측 접촉부(420a)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420c)로 된 조임링(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조임링(420)을 수평으로 패킹(410)내에 설치하지 않고,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 또는 내설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임링(420)을 패킹(410)에 내설하는 방법은 2중 성형을 이용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410)은 조임링(42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패킹(410)은 상기 연결부(420c)를 기준으로 상하로 두 개의 부재로 분리되게 형성되어 이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한편, 상기 내측 접촉부(420a) 반대편의 연결부(420c) 단부에는 상기 패킹(41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캡너트(200)와 몸체(100)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 접촉부(420b)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측 접촉부(420b)와 연결부(420c)는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접촉부(420b)가 약간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면 5에서는 상기 조임링(420)의 내측 접촉부(420a)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연결부(420c)를 경사지게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측 접촉부(420a)가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연결부(420c)를 경사지게 할 수 있음은 물론임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패킹(410)은 상하 방향으로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공간부(S1)(S2)는 몸체(100)의 내주면과 캡너트(200)의 내주면중 적어도 어느 한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도면상에는 캡너트(200)와 몸체(100)의 내주면 모두 구비되어 수평부(120)(201)와 수직부(121)(202)가 서로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임링(420)을 구성하는 상기 내측 접촉부(420a)와 외측 접촉부(420b)는 서로 연결부(420c)를 매개로 서로 지그 재그 형상이 되게 연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조립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몸체(100)의 일단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 공간부(S)에 조임링(420)이 내장 구비된 패킹(410)을 안착시킨다.
이후, 캡너트(200)를 일정 깊이 만큼 몸체(100)의 일단부(11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01)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순서까지 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도 6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후, 도 6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관(300)을 상기 캡너트(200)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100)내에 삽입하게 되면, 패킹(410)의 내주면으로 돌출된 내측 접촉부(420a)가 연결관(30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연결관(300)의 끝단부는 몸체(100) 내부에 형성된 삽입 저지턱부(102)에 도달하여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내측 접촉부(420a)가 상기 연결관(300)에 접촉되면, 내측 접촉부(420a)를 기점으로 하여 패킹(410)의 내측면에 연결관(300)의 외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외측 접촉부(420b)는 약간 들뜬 상태가 된다.
이때, 연결부(420c)가 최초에 소정 각도의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킹(410)의 형상 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작업을 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캡너트(200)를 완전히 조이게 되면, 캡너트(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 공간부(S2)에 패킹(410)의 상단부가 안착됨과 아울러 조임링(420)의 외측 접촉부(420b)가 캡너트(200)와 몸체(100) 사이에 개재되어 도 7의 들뜬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수평 상태가 되는 동시에 탄력성이 연결부(420C)를 통해 내측 접촉부(420a)로 전달되어 내측으로 조여들면서 관(300)의 외면에 강하게 압박되며, 이로 인해 관(30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패킹(410)의 변형이 적기 때문에 캡너트를 몸체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체결할 때 액체 등의 누설을 고려하여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할 필요 없는 등 재활용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에 따르면, 패킹의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임링의 주 기능인 기밀성 향상과 관의 압박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관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너트를 몸체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체결할 때 액체 등의 누설을 고려하여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할 필요없는 등 재활용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임링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킹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200 : 캡너트
300 : 관
400: 이탈/누설 방지수단
S1,S2 : 안착 공간부
410 : 패킹
420 : 조임링
420a : 내측 접촉부
420b : 외측 접촉부
420c : 연결부

Claims (10)

  1. 양단이 관통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양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너트(200)와, 상기 캡너트(200)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100)내에 삽입된 관(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누설방지수단(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이탈/누설방지수단(400)은,
    상기 관(3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몸체(100)의 내주면과 캡너트(200)의 내주면중 적어도 어느 한 내주면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부(S1)(S2)와;
    상기 안착 공간부(S)내에 안착 설치되며, 탄발력을 갖는 고리 형상의 패킹(410)과;
    상기 패킹(41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200)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측 접촉부(420a)를 구비하며, 상기 패킹(410) 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상기 내측 접촉부(420a)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420c)로 된 조임링(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촉부(420a) 반대편의 연결부(420c) 단부에는 상기 패킹(41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캡너트(200)와 몸체(100)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 접촉부(420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접촉부(420b)와 연결부(420c)는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10)은 상하 방향으로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부(S)는 수평부(120)(201)와 수직부(121)(202)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촉부(420a)와 외측 접촉부(420b)는 서로 연결부(420c)를 매개로 서로 지그 재그 형상이 되게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촉부(420a)는 하??향을 향하고, 상기 외측 접촉부(420b)는 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부(420c)가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촉부(420a)는 상방향을 향하고, 상기 외측 접촉부(420b)는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부(420c)가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10)은 상기 조임링(42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10)은 상기 연결부(420c)를 기준으로 상하로 두 개의 부재로 분리되게 형성되어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1020040067158A 2004-08-25 2004-08-25 관 연결구 KR20050025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158A KR20050025899A (ko) 2004-08-25 2004-08-25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158A KR20050025899A (ko) 2004-08-25 2004-08-25 관 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811U Division KR200336025Y1 (ko) 2003-09-08 2003-09-08 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899A true KR20050025899A (ko) 2005-03-14

Family

ID=3738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158A KR20050025899A (ko) 2004-08-25 2004-08-25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58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5357B2 (en) Threaded pipe connection having a retainer gasket with pressure relief vents
AU639697B2 (en) Gasket with an annular anchoring heel
RU2309316C2 (ru) Прокладочное кольцо
KR20130044320A (ko) 파이프 피팅
US6669205B2 (en) Retainer gasket with pressure relief vents
WO2020026893A1 (ja) 密封装置及びガスケット
JP2008095765A (ja) ホース継手
US6481761B2 (en) Frusto-conical seal fitting
KR200336025Y1 (ko) 관 연결구
JP5046633B2 (ja) ボウルの排水構造
JP2008298246A (ja) 平面用シールリング
KR100756429B1 (ko) 배관 이음구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50025899A (ko) 관 연결구
JP4369840B2 (ja) 体液処理装置
KR100945494B1 (ko) 금속관 연결구조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JP5431785B2 (ja) 管継手、パッキン輪、及び、管継手の組付方法
US20210123553A1 (en) Housin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housing device
KR100535577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구조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20150076956A (ko) 부식이 방지되는 매립용 파이프 및 이음쇠
JP2007138970A (ja) 帽の構造
KR200364139Y1 (ko) 관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