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259A - El 장치 - Google Patents

El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259A
KR20050025259A KR1020040061898A KR20040061898A KR20050025259A KR 20050025259 A KR20050025259 A KR 20050025259A KR 1020040061898 A KR1020040061898 A KR 1020040061898A KR 20040061898 A KR20040061898 A KR 20040061898A KR 20050025259 A KR20050025259 A KR 20050025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am member
electrode
substrate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055B1 (ko
Inventor
가또요시후미
이또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5002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발광 영역의 외주 전체를 둘러싸도록, EL 소자의 발광 영역 주위에 댐부재가 형성된다. 댐부재는, 애노드의 제 1 전극 취출부와 캐소드의 제 2 전극 취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유리 기판과 밀봉층의 계면, 제 1 전극 취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밀봉층과 제 1 전극 취출부 사이의 계면, 및 제 2 전극 취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제 2 전극 취출부와 유리 기판 사이의 계면 상에 형성된다. 습기 또는 기체가 그들 계면으로 침투하더라도, 댐부재가 습기 또는 기체를 흡수하여 댐부재 너머로의 더 이상의 침투를 방지한다.

Description

EL 장치{EL DEVICE}
본 발명은 EL (electroluminescence)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습성 및 방수성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EL 장치, 예를 들어 무기 또는 유기 EL 장치는 자기 발광성이며 고휘도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박형, 경량의 휴대장치를 위한 디스플레이 또는 조명으로서 널리 실용화되어 왔다. EL 장치는, EL 소자가 기판 상에 형성되며, EL 소자는 한 쌍의 전극층을 가지고, 그들 중 하나 이상이 투과성 전극을 구성하며, 전극 층 사이에 EL 층이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EL 장치에 대해, EL 소자의 EL 층이 습기 또는 기체의 침투에 의해 손상되어, 이미지 품질을 악화시키고 수명을 단축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습기 또는 기체의 침투를 피하기 위한 밀봉층으로 EL 소자의 표면을 덮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JP 2002-222691 A 는 EL 소자의 표면에 폴리실라잔을 적용하여, 밀봉층으로서 실리카 층 또는 실리카 기판 층을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층으로 EL 소자 표면을 덮는 경우에는, 층 자체의 보호 속성이 얼마나 뛰어난지에 무관하게, 밀봉층과 기판사이의 계면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습기 또는 기체의 침투가 가능하여, EL 층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 고유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습기 또는 기체의 침투에 의해 유발되는 EL 층의 여하한 열화를 피할 수 있는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EL 소자는:
기판;
기판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전극층, EL 층 및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EL 소자;
EL 소자의 표면을 덮는 밀봉층; 및
밀봉층과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밀봉층과 기판 사이의 여하한 계면으로 액체 및 가스 중 하나 이상이 침투하여 EL 층에 도달하는 상황을 피하도록 구성된 댐 (dam) 부재를 포함한다.
댐부재는 외부로부터 밀봉층과 기판사이의 계면으로 침투하는 액체 및 기체를 막고, 이로써 액체 및 가스가 EL 층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EL 층" 이라는 용어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에 기여하는 층 전체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L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EL 소자 (2) 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발광 영역 (2a) 을 갖는다. 발광 영역 (2a) 주위에, 댐부재 (3) 가 형성되어 발광 영역 (2a) 의 외주를 완전히 둘러싼다. 밀봉층 (4) 은 EL 소자 (2) 의 발광 영역 (2a) 및 댐부재 (3) 의 표면 전체를 덮는다. EL 소자 (2) 는, 양자 모두 발광 영역 (2a) 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제 1 전극 취출부 (2b) 및 제 2 전극 취출부 (2c) 를 더 포함한다.
도 2a, 2b 및 2c 는 각각 도 1 의 선 A-A, 선 B-B 및 선 C-C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 소자 (2) 는 유리 기판 (1) 의 표면 상에 제 1 전극층으로서 형성된 애노드 (5), 애노드 (5) 상에 형성된 유기 EL 층 (6), 및 유기 EL 층 (6) 상에 제 2 전극층으로서 형성된 캐소드 (7) 를 포함한다. 애노드 (5), 유기 EL 층 (6) 및 캐소드 (7) 의 적층물 (laminate) 은 도 1 의 EL 소자 (2) 의 발광 영역 (2a) 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취출부 (2b) 와 제 2 전극 취출부 (2c) 모두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발광 구역 (2a) 의 외부에 위치한 유리 기판 (1) 의 표면상에 밀봉층 (4) 이 놓인다. 댐부재 (3) 는 밀봉층 (4) 과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 상에 형성된다.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취출부 (2b) 는 애노드 (5) 로부터 연장되어, 발광 영역 (2a) 외부에 위치한 유리 기판 (1) 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밀봉층 (4) 은 제 1 전극 취출부 (2b) 의 표면 상에 놓이며, 댐부재 (3) 는 제 1 전극 취출부 (2b) 와 밀봉층 (4) 사이의 계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극 취출부 (2c) 는 캐소드 (7) 로부터 연장되어, 발광 영역 (2a) 의 외부에 위치한 유리 기판 (1) 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댐부재 (3) 는 제 2 전극 취출부 (2c) 와 유리 기판 사이의 계면 상에 형성된다. 밀봉층 (4) 은 제 2 전극 취출부 (2c) 의 표면 상에 놓인다. 또한, 애노드 (5) 및 캐소드 (7) 는, 애노드 (5) 의 에지 부분을 덮는 유기 EL 층 (6) 에 의해 서로 절연된다.
여기서, 댐부재 (3) 는 유기 EL 층 (6) 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계면을 통해 침투하는 습기 및/또는 기체에 대해 높은 흡수성을 갖는다. 또한, 댐부재 (3) 가 약 50 nm 내지 500 nm 의 높이로 형성되고, 발광 영역 (2a) 의 외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기판 (1) 은 가시 광선에 대해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 물질로 형성된다. 유리뿐 아니라,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EL 소자 (2) 의 애노드 (5) 는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한편, 적어도 가시 광선에 대해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이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ITO 가 그 재료로 사용된다. 유기 EL 층 (6) 은 적어도 Alq3 또는 DCM 과 같은 공지된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전자 운송층 및 정공 운송층 등 종래의 유기 EL 장치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층이 전극들 사이에 적당히 형성된다. 각각의 층은 여하한 공지 재료로 적절히 형성된다. 캐소드 (7) 는 적어도 가시 광선에 대해 반사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전극으로서 기능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Al, Cr, Mo, Al 합금, Al/Mo 적층물 등이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 층은 여하한 공지의 막 형성 방법, 예를 들어, 진공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층 (4) 는 산화물층, 질화물층 등일 수 있으며, 습식 공정 또는 건식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층이 밀봉층 (4) 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EL 장치에서, 발광층은, 그 표면 위에 형성된 EL 소자 (2) 를 갖는 표면과 반대인 유리 기판 (1) 의 주 (principal) 표면에 대응한다. 부연하면, 유기 EL 층 (6) 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애노드 (5) 로 직접, 또는 캐소드 (7) 에 의해 반사된 후 간접적으로 그로 입사되고, 그 후 유리 기판 (1) 을 통과하여 그로부터 방출된다.
다음,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L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 (5) 의 제 1 전극 취출부 (2b) 와 캐소드 (7) 의 제 2 전극 취출부 (2c) 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유리 기판 (1) 과 밀봉층 (4) 사이의 계면 상에 댐부재 (3) 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리 기판 (1) 과 밀봉층 (4) 사이의 계면으로 습기 또는 기체가 침투하더라도, 댐부재 (3) 가 습기 또는 기체를 흡수하여 댐부재 (3) 너머로의 더 이상의 그 침투를 막는다.
유사하게,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취출부 (2b) 가 형성된 부분에서, 밀봉부 (4) 와 제 1 전극 취출부 (2b) 사이의 계면 상에 댐부재 (3) 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밀봉부 (4) 와 제 1 전극 취출부 (2b) 사이의 계면으로 습기 또는 기체가 침투하더라도, 댐부재 (3) 가 습기 또는 기체를 흡수하여 댐부재 (3) 너머로의 더 이상의 그 침투를 막는다.
또한,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극 취출부 (2c) 가 형성된 부분에서, 제 2 전극 취출부 (2c) 와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 상에 댐부재 (3) 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제 2 전극 취출부 (2c) 와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으로 습기 또는 기체가 침투하더라도, 댐부재 (3) 가 습기 또는 기체를 흡수하여 댐부재 (3) 너머로의 더 이상의 그 침투를 막는다.
부연하면, 댐부재 (3) 는, 유기 EL 소자 (2) 의 유기 EL 층 (6) 의 외주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밀봉층 (4) 과 유리 기판 (1) 사이의 여하한 계면으로 침투하는 습기 또는 기체를 흡수한다. 댐부재의 제공은 습기 또는 기체가 유기 EL 층 (6) 에 도달하는 것을 막으며, 그러므로 유기 EL 층 (6) 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 (1) 과 캐소드 (7) 의 제 2 전극 취출부 (2c) 사이의 계면 상에 댐부재 (3) 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댐부재 (3) 위로, 제 2 전극 취출부 (2c) 와 밀봉층 (4) 사이의 계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돌출 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 2 전극 취출부 (2c) 와 밀봉층 (4) 사이의 계면으로 습기 또는 기체가 침투하더라도, 계면의 돌출부가 습기와 기체의 진행을 막아 그 부분 너머로의 그 침입을 저지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제 2 전극 취출부 (2c) 및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으로 습기 또는 기체가 침투하더라도, 댐부재 (3) 가 습기 또는 기체를 흡수하여 댐부재 (3) 너머로의 더 이상의 그 침임을 막는다.
다음, 상술한 EL 장치에 대한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취출부 (2b) 를 갖는 애노드 (5) 가 유리 기판 (1) 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계속하여,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 층 (6) 및 댐부재 (3) 를 별개로 형성하기 위해 2 개의 마스크가 사용된다. 더 자세히는, 장방형 패턴을 갖는 유기 EL 층 (6) 이 애노드 (5) 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유기 EL 층 (6) 의 외주 전체를 둘러싸도록 유리 기판 (1) 상에 댐부재 (3) 가 형성된다. 이때, 댐부재 (3) 는 애노드 (5) 의 제 1 전극 취출부 (2b) 의 표면과 중첩된다.
또한,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극 취출부 (2c) 를 갖는 캐소드 (7) 가 유기 EL 소자 (6) 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그 후, 밀봉층 (4) 이 형성되어, 애노드 (5), 유기 EL 층 (6), 캐소드 (7) 및 댐부재 (3) 의 표면을 덮는다. 캐소드 (7) 의 제 2 전극 취출부 (2c) 는 댐부재 (3) 의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EL 소자는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댐부재 (3) 는 유기 EL 층 (6) 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댐부재가 액체 및/또는 기체를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 도 4a 내지 4c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EL 장치를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EL 장치에는,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의 EL 소자에서 발광 영역 (2a) 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댐부재 (3) 대신에, 발광 영역 (2a) 의 주변부에 형성된 댐부재 (11) 가 제공된다. 여기서, 도 4a, 4b 및 4c 는 각각 도 1 의 선 A-A, 선 B-B 및 선 C-C 를 따라 절단한 것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댐부재 (11) 는 외부에서 여하한 계면을 통해 침투하는 습기 및/또는 기체에 대해 높은 흡수성을 갖는다.
발광 영역 (2a) 의 주변부에 이러한 방식으로 댐부재 (11) 가 형성되어도, 댐부재 (11) 는, 도 4a 에 도시된 밀봉층 (4) 과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 도 4b 에 도시된 애노드 (5) 의 제 1 전극 취출부 (2b) 와 밀봉층 (4) 사이의 계면, 및 도 4c 에 도시된 캐소드 (7) 의 제 2 전극 취출부 (2c) 와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으로 침투하는 습기 또는 기체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습기 또는 기체가 유기 EL 층 (6) 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절연 재료로 형성된 댐부재 (11) 는 애노드 (5) 와 캐소드 (7) 을 서로 절연하는 절연막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 도 5a 내지 5c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EL 장치를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의 EL 장치에는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의 EL 장치의 댐부재 (3) 대신에 유리 기판 (1) 과 일체로 형성된 댐부재 (21) 가 제공된다. 여기서, 도 5a, 5b 및 5c 는 각각 도 1 의 선 A-A, 선 B-B 및 선 C-C 를 따라 절단한 것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댐부재 (21) 는 유리 기판 (1)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유리 기판 (1) 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댐부재 (21) 는, 도 5a 에 도시된 밀봉층 (4) 과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 도 5b 에 도시된 애노드 (5) 의 제 1 전극 취출부 (2b) 와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 및 도 5c 에 도시된 캐소드 (7) 의 제 2 전극 취출부 (2c) 와 유리 기판 (1) 사이의 계면 각각에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댐부재 (21) 는 유리 기판 (1)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들 계면으로 침투한 습기 및 기체의 더 이상의 침투를 방지하는 한편, 유리 기판 (1) 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도 5b 에 도시된 제 1 전극 취출부 (2b) 와 밀봉층 (4) 사이의 계면, 및 도 5c 에 도시된 제 2 전극 취출부 (2c) 와 밀봉층 (4) 사이의 계면은 댐부재 (21) 위에서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돌출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그들 계면으로 습기 또는 기체가 침투하더라도, 계면의 돌출부가 습기 및 기체의 진행을 저지한다.
그러므로, 습기 및 가스가 외부로부터 유기 EL 층 (6) 에 도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댐부재 (21) 는 유리 기판 (1) 의 표면에 유리 에칭 등을 실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 본 설명은 투과성 애노드 (5), 유기 EL 층 (6) 및 반사성 캐소드 (7) 가 순차로 유리 기판 (1) 상에 적층되고, 유기 EL 층 (6) 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애노드 (5) 및 유리 기판 (1) 을 통하여 그로부터 방출되는 하부 방출형 유기 EL 장치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반사성 전극, 유기 EL 층 및 투과성 전극이 기판 상에 순차로 적층되고 유기 EL 층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성 전극을 통해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어 그로부터 방출되는 상부 방출형 유기 EL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 상부 방출형에서, 밀봉층은 투과성 전극 상에 형성되며, 가시 광선에 대해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의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댐부재가 항상 유기 EL 층 (6) 외주 전체를 둘러쌀 필요는 없다. 유기 EL 층 (6) 의 외주 일부가 댐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지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분에 댐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댐부재는 유기 EL 층 (6) 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크가 사용되어 댐부재 및 유기 EL 층 (6) 의 동시 형성을 가능케 한다. 이 경우, 댐부재가 형성되는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작게 정해진다.
유기 EL 층 (6) 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때, 댐부재는 복수의 층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유기 EL 장치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비유기 EL 장치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층과 기판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에서 밀봉층과 기판 사이의 계면으로 액체 및/또는 기체가 침투하여 유기 EL 층에 도달하는 상황을 피하는 댐부재가 제공된다. 그 결과, 댐부재에 의해 계면으로 침투하는 액체 및 기체가 유기 EL 층에 도달하는 것을 막고, 그로써 외부로부터의 액체 또는 기체의 침투에 의한 EL 층의 여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L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 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L 장치를 나타낸, 각각 도 1 의 선 A-A, 선 B-B 및 선 C-C 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a 내지 3c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L 장치에 대한 제조 방법을 단계 순서로 나타낸 평면도.
도 4a 내지 4c 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EL 장치를 나타낸, 각각 도 1 의 선 A-A, 선 B-B 및 선 C-C 를 따라 절단한 것들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5a 내지 5c 는 각각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EL 장치를 나타낸, 각각 도 1 의 선 A-A, 선 B-B 및 선 C-C 를 따라 절단한 것들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판 2: EL 소자
2a: 발광 영역 2b: 제 1 전극 취출부
2c: 제 2 전극 취출부 3: 댐부재
4: 밀봉층 5: 애노드
6: 유기 EL 층 7: 캐소드
11: 댐부재 21: 댐부재

Claims (12)

  1. 기판;
    상기 기판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전극층, EL 층 및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EL 소자;
    상기 EL 소자의 표면을 덮는 밀봉층; 및
    상기 밀봉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밀봉층과 상기 기판 사이의 여하한 계면으로 액체 및 가스 중 하나 이상이 침투하여 상기 EL 층에 도달하는 상황을 피하도록 구성된 댐부재를 구비하는, EL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는 상기 EL 층의 외주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EL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층은 상부 표면이 상기 밀봉층으로 덮이고 상기 EL 층의 외부로 연장하는 전극 취출부를 상기 기판 상에 갖고,
    상기 댐부재는 상기 제 2 전극층의 전극 취출부와 상기 기판 사이의 계면 상에 형성된, EL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 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전극층의 전극 취출부와 상기 밀봉층 사이의 계면은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돌출한, EL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은 상부 표면이 상기 밀봉층으로 덮이고 상기 EL 층의 외부로 연장하는 전극 취출부를 상기 기판 상에 갖고,
    상기 댐부재는 상기 제 1 전극층의 전극 취출부와 상기 밀봉층 사이의 계면 상에 형성된, EL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는 액체 및 기체 중 하나 이상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EL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는 상기 EL 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EL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는 상기 기판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EL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은 상부 표면이 상기 밀봉층으로 덮이고 상기 EL 층의 외부로 연장하는 전극 취출부를 상기 기판 상에 갖고,
    상기 댐부재는 상기 제 1 전극층의 전극 취출부와 상기 기판 사이의 계면 상에 형성된, EL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 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전극층의 전극 취출부와 상기 밀봉층 사이의 계면은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돌출한, EL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는 상기 EL 층과 상기 제 2 전극층을 서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막으로서 기능하는, EL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재는 약 50 nm 내지 500 nm 의 높이로 형성되는, EL 장치.
KR1020040061898A 2003-09-01 2004-08-06 El 장치 KR100647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9229A JP2005078979A (ja) 2003-09-01 2003-09-01 El装置
JPJP-P-2003-00309229 2003-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259A true KR20050025259A (ko) 2005-03-14
KR100647055B1 KR100647055B1 (ko) 2006-11-23

Family

ID=3410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898A KR100647055B1 (ko) 2003-09-01 2004-08-06 El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46347A1 (ko)
EP (1) EP1511093A2 (ko)
JP (1) JP2005078979A (ko)
KR (1) KR100647055B1 (ko)
CN (1) CN1592510A (ko)
TW (1) TWI24362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392B1 (ko) * 2005-06-20 2007-07-13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El 소자
KR100781616B1 (ko) * 2006-04-07 2007-12-05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유리 절연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리 절연막을제조하는 방법 및 유리 절연막을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806557B1 (ko) * 2005-07-20 2008-02-2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계 발광 소자 및 전계 발광 소자 유닛
KR100855763B1 (ko) * 2006-02-08 2008-09-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el소자 어레이 및 표시소자 및 촬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0271B2 (en) * 2002-06-11 2007-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film having hygroscopic property and transparenc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18968B1 (ko) 2006-01-31 200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02269A1 (ja) * 2011-01-25 2012-08-02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KR102034253B1 (ko) * 2013-04-12 2019-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8573B1 (ko) 2013-09-30 2021-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80296B1 (ko) 2013-12-03 2020-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20160011310A (ko) * 2014-07-21 2016-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0352B1 (ko) * 2015-07-29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63616B1 (ko) 2015-07-29 2017-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6966B1 (ko) 2015-08-11 2022-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1866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봉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180852B (zh) * 2017-05-18 2019-11-15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28305B1 (ko) * 2017-07-24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8611B2 (ja) * 1998-05-18 2002-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el素子の封止方法
US6992439B2 (en) * 2001-02-22 2006-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for protecting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KR100413450B1 (ko) * 2001-07-20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소자의 보호막 구조
JP4019690B2 (ja) * 2001-11-02 2007-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7109653B2 (en) * 2002-01-15 2006-09-19 Seiko Epson Corporation Sealing structure with barrier membrane for electronic element,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for electronic element
US6936131B2 (en) * 2002-01-31 2005-08-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apsul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ing adsorbent loaded adhesives
US20050248270A1 (en) * 2004-05-05 2005-11-10 Eastman Kodak Company Encapsulating OLED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392B1 (ko) * 2005-06-20 2007-07-13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El 소자
KR100806557B1 (ko) * 2005-07-20 2008-02-2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계 발광 소자 및 전계 발광 소자 유닛
KR100855763B1 (ko) * 2006-02-08 2008-09-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el소자 어레이 및 표시소자 및 촬상장치
KR100781616B1 (ko) * 2006-04-07 2007-12-05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유리 절연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리 절연막을제조하는 방법 및 유리 절연막을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1895A (en) 2005-03-16
EP1511093A2 (en) 2005-03-02
US20050046347A1 (en) 2005-03-03
CN1592510A (zh) 2005-03-09
JP2005078979A (ja) 2005-03-24
TWI243627B (en) 2005-11-11
KR100647055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16434B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0586945B2 (en) Display device
KR100647055B1 (ko) El 장치
JP7203763B2 (ja) 表示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US7977873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protective layers for sealing
KR101244039B1 (ko) 표시 장치
CN109671858B (zh) 一种显示屏的制作方法
WO2019073678A1 (ja) 表示装置
CN111613654B (zh) 显示面板及显示面板制作方法
KR102105509B1 (ko) 캡슐화 구조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07253A (ko)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635067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08177169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9904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6474337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837410B2 (ja) 発光領域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1139400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JP2007179914A (ja) 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823685B2 (ja) 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66437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7764015B2 (en) Display device
JP2007059302A (ja) 発光素子
KR100718968B1 (ko) 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299662A (ja) 有機el素子
JP2018156722A (ja) 有機el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