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008A -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008A
KR20050025008A KR1020030062304A KR20030062304A KR20050025008A KR 20050025008 A KR20050025008 A KR 20050025008A KR 1020030062304 A KR1020030062304 A KR 1020030062304A KR 20030062304 A KR20030062304 A KR 20030062304A KR 20050025008 A KR20050025008 A KR 2005002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foundation
concrete
wall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우균
Original Assignee
두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우균 filed Critical 두우균
Priority to KR1020030062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5008A/ko
Publication of KR2005002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00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 옹벽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해안 구축물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방지해주는 직립 옹벽의 전방에 파도와 이안류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함체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파도와 이안류에 의한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침식되고 있는 해안을 측량하여 구축될 옹벽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지질을 조사하여 말뚝(11) 박기 기초 또는 직접 기초 공사의 실시 여부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파도와 이안류의 크기를 관측하여 구축될 옹벽의 종류와 규모를 정하는 설계 단계와;
상기 지질 조사의 결과에 따라서 말뚝(11) 박기 기초 공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박기 기초 공사를 완료한 다음에 해안을 굴착하여 필요한 규모의 골(12)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골(12) 안에서 기초 말뚝(11)의 돌출된 상단부분을 절단 제거한 다음에 그 골(12) 바닥에 밑창 콘크리트(13)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밑창 콘크리트(13) 윗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에 따라서 기초 거푸집(14)을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의 내측 표면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기초 콘크리트(16)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 안에서 배근 표준에 맞는 배근(15)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기초 거푸집(14) 안에 기초 콘크리트(16)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구축될 옹벽의 구조와 규모에 맞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16) 윗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에 맞춰서 몸체 거푸집(17)의 일부분을 정밀하게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내측 상단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구축될 옹벽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표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근 표준에 맞는 몸체의 배근(15) 작업을 시행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가설을 완료시키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18)를 타입 양생하는 콘크리트 공사의 시행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을 해체한 다음에 옹벽 주변의 굴착된 부분(19)을 토사로 되메우(20)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진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면서 상기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 옹벽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of steel reinforcing concrete breast wall for prevention of coastal corrosion}
본 발명은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해안 구축물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방지해주는 옹벽의 전방에 파도의 운동 에너지와 이안류의 위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함체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파도와 이안류에 의한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해안의 침식과 퇴적 현상은, 바다 쪽에서 밀려오는 파도와 그 파도가 해안에 부딪혀서 변환된 이안류 및 조류·해류·바람·하천에 의해 발생하는 연안류 등의 작용에 의한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는 자연 현상으로 이 같은 침식과 퇴적 현상이 균형을 이루면서 해안선은 오랫동안 그 형태를 유지하여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방파제와 도류제 및 해안 도로 같은 인공 구조물이 속속 구축되면서 그 구조물로 인하여 파도와 이안류 및 연안류의 크기와 방향이 바뀌면서 예기치 못한 곳에서의 해안 침식과 퇴적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지난 수십 년간 상기 해안 침식 현상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여러국가와 많은 사람들이 이안제와 돌제 및 잠제 같은 구조물을 개발 설치해왔다. 그러나 해안 침식의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설치된 상기의 구조물들은 오히려 해안 침식을 확장 가속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파도(30)의 운동 에너지와 이안류(29)의 위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함체의 공간부(32, 34)를 직립 옹벽의 전방에 형성하여, 파도와 이안류(29)에 의한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 옹벽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로는, 침식되고 있는 해안을 측량하여 구축될 옹벽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지질을 조사하여 말뚝박기 기초 또는 직접 기초 공사의 실시 여부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파도와 이안류의 크기를 관측하여 구축될 옹벽의 종류와 규모를 정하는 설계 단계와;
상기 지질 조사의 결과에 따라 말뚝박기 기초 공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박기 기초 공사를 완료한 다음 해안을 굴착하여 필요한 규모의 골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골 안에서 기초 말뚝의 돌출된 상단부분을 절단 제거한 다음에 그 골 바닥에 밑창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밑창 콘크리트 윗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에 따라 기초 거푸집을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의 상단 내측 표면에 먹줄치기를 하여, 이후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안에서 배근 표준에 맞는 배근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상기 거푸집 안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구축될 옹벽의 구조와 규모에 맞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을 따라서 몸체 거푸집의 일부분을 정밀하게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의 내측 상단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구축될 옹벽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의 표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근 표준에 맞게 옹벽 몸체의 배근 작업을 시행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의 가설을 완료시키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입 양생하는 콘크리트 공사의 시행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을 해체시킨 다음에 굴착된 옹벽의 주변을 되메우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지는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 2 형태로는, 해안 도로 등의 구축물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방지하는 직립 옹벽과;
파도의 처오름을 막아주기 위해 직립 옹벽의 상단에서 일정한 폭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상기 직립 옹벽과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서 직립 옹벽과 평행 상태로 함체의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단에서 함체인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의 일정부분을 덮어서 폐색부분을 형성해주는 경사진 월류 슬래브와;
상기 직립 옹벽과 격벽 사이에 형성된 함체의 공간으로, 월류 슬래브를 넘어서 일시에 돌입하는 파도를 가두어 그의 운동 에너지를 감쇠시켜줌과 함께 이안류로 변환시켜서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로 배출시키는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와;
상기 격벽과 일정간격 이격된 평행 상태로 해안 바닥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막아줌과 함께 함체의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를 형성 이안류에 의한 해안 바닥의 유실을 방지해주는 월류 벽과;
상기 격벽과 월류 벽 사이에 형성된 함체의 공간으로서 파도에서 변환된 이안류가 격벽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면 이를 넓게 확산시켜줌과 함께 와류 현상을 일으켜서 이안류의 위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와;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직립 옹벽과 월류 슬래브 및 격벽과 월류벽 모두를 연결 보강시켜주는 측벽과;
구축된 옹벽이 침하 및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기초 말뚝과 밑창 콘크리트 및 기초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해안 옹벽의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 3 형태로는, 해안 도로 등의 구축물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방지하는 직립 옹벽과;
파도의 처오름을 막아주기 위해 직립 옹벽의 상단에서 일정한 폭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상기 직립 옹벽과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서 직립 옹벽과 평행 상태로 함체의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를 형성하는 월류 격벽과;
상기 직립 옹벽과 월류 격벽 사이에 형성된 함체의 공간으로서, 월류 격벽을 넘어서 일시에 돌입하는 파도를 가두어 그 운동 에너지를 감쇠시켜 줌과 함께 이안류로 변환시켜서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로 배출시키는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와;
상기 월류 격벽과 일정간격 이격된 평행 상태로 해안 바닥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막아줌과 함께 함체의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안류에 의한 해안 바닥의 유실을 방지해주는 월류 벽과;
상기 월류 격벽과 월류 벽 사이에 형성된 함체의 공간으로서 파도에서 변환된 이안류가 월류 격벽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면 이를 넓게 확산시켜줌과 함께 와류현상을 일으켜서 이안류의 위치 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와;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직립 옹벽과 월류 격벽 및 월류벽 모두를 연결 보강시켜주는 측벽과;
구축된 옹벽이 침하 및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기초 말뚝과 밑창 콘크리트 및 기초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옹벽의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한 해안 옹벽의 축조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 차트며,
도 2a 내지 도 2l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한 옹벽의 축조 공정도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해 축조된 해안 옹벽의 사시도며,
도 4는 축조된 옹벽의 기능을 도시한 도 3의 단면도며,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해 축조된 다른 해안 옹벽의 사시도며,
도 6은 축조된 옹벽의 기능을 도시한 도 5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침식되는 해안을 측량하여 구축될 옹벽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지질을 조사하여 말뚝(11) 박기 기초 또는 직접 기초 공사의 실시 여부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파도와 이안류의 크기를 관측하여 구축될 옹벽의 종류와 규모를 정하는 설계 단계와;
상기 지질 조사의 결과에 따라서 말뚝(11) 박기 기초 공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 박기 기초 공사를 완료한 다음에 해안선을 굴착하여 필요한 규모의 골(12)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골(12) 안에서 기초 말뚝(11)의 돌출된 상단부분을 절단 제거한 다음에 그 골(12) 바닥에 밑창 콘크리트(13)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밑창 콘크리트(13) 윗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에 따라서 기초 거푸집(14)을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의 내측 표면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기초 콘크리트(16)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 안에서 배근 표준에 맞는 배근(15)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기초 거푸집(14) 안에 기초 콘크리트(16)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구축될 옹벽의 구조와 규모에 맞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16) 윗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에 맞춰서 몸체 거푸집(17)의 일부분을 정밀하게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내측 상단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구축될 옹벽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표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근 표준에 맞는 몸체의 배근(15) 작업을 시행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가설을 완료시키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18)를 타입 양생하는 콘크리트 공사의 시행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을 해체한 다음에 옹벽 주변의 굴착된 부분(19)을 토사로 되메우(20)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해안 옹벽의 시공 방법에 의한 해안 옹벽의 시공 과정을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l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안 지질조사의 결과 연약지반으로 판명되면 도 2a와 같이 말뚝(11) 박기 기초 공사를 실시하며;
말뚝(11) 박기 기초 공사가 실시된 이후에는 도 2b와 같이 해안을 굴착하여 필요한 규모의 골(12)을 만들게 되며;
도 2b와 같이 골(12)이 만들어지면 도 2c와 같이 골(12) 안에서 돌출된 기초 말뚝(11)의 상단부분을 절단한 다음 밑창 콘크리트(13)를 타설 양생하며;
도 2c와 같이 밑창 콘크리트(13)가 타설 양생되면 이후 도 2d와 같이 밑창 콘크리트(13) 윗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을 따라 기초 거푸집(14)을 가설하며;
도 2d와 같이 기초 거푸집(14)이 가설되면 도 2e와 같이 배근 표준에 따라 상기 기초 거푸집(14) 내에서 기초 배근(15) 작업을 시행하며;
도 2e와 같이 배근(15)작업이 완료 되면 도 2f와 같이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상기 기초 거푸집(14) 안에 기초 콘크리트(16)를 타입 양생하며;
도 2f와 같이 기초 거푸집 안에서 기초 콘크리트(16)의 타입 및 양생이 이루어지면 도 2g와 같이 구축될 옹벽의 구조와 규모에 맞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16) 표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을 따라 몸체 거푸집(17)의 일부분을 정밀하게 가설하며;
도 2g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16) 표면에 몸체 거푸집(17)의 일부분이 정밀하게 가설된 다음에 도 2h와 같이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표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표준 배근에 따라서 옹벽 몸체의 배근(15) 작업을 시행하며;
도 2h와 같이 배근(15) 작업을 완료한 다음 도 2i와 같이 몸체 거푸집(17)의 가설을 완료시키며;
도 2i와 같이 몸체 거푸집(17)이 가설되면 도 2j와 같이 몸체 거푸집(17)의 내부에 몸체 콘크리트(18)를 타입 양생하는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며;
도 2j와 같이 몸체 콘크리트(18) 공사가 완료 되면 도 2k와 같이 몸체 거푸집(17)을 해체시키며;
도 2k와 같이 몸체 거푸집(17)이 해체되면 도 2l과 같이 옹벽 주변의 굴착된 부분(19)을 토사로 되메우(20)는 단계를 거쳐서 본 발명의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에 의한 해안 옹벽의 축조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옹벽의 상단에 가로등 및 가드레일 등을 고착 입설할 수 있도록 밑창판(38)을 앵커 볼트로 고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해안도로의 구축을 포함하는 각종 해안 구조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파도와 이안류에 의한 해안 침식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한 옹벽의 축조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 차트
도 2a 내지 도 2l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한 옹벽의 축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사시도
도 4는 축조된 옹벽의 기능을 도시한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해 축조된 다른 옹벽의 사시도
도 6은 축조된 옹벽의 기능을 도시한 도 5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옹벽 11 : 기초 말뚝 12 : 골
13 : 밑창 콘크리트 14 : 기초 거푸집 15 : 철근
16 : 기초 콘크리트 17 : 몸체 거푸집 18 : 몸체 콘크리트
19 : 굴착된 부분 20 : 되메워진 토사 21 : 해안 도로
22 : 인도(보도) 23 : 직립 옹벽 24 : 돌출부
25 : 격벽(월류 격벽) 26 : 월류 슬래브 27 : 배수구
28 : 월류벽 29 : 이안류 30 : 파도
32 :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 33 : 바다
34 :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 35 : 측벽 36 : 해안
37 : 기존의 해안 옹벽 38 : 가드레일을 입설할 수 있는 밑창판

Claims (3)

  1. 침식되고 있는 해안을 측량하여 구축될 옹벽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지질을 조사하여 말뚝(11) 박기 기초 또는 직접 기초 공사의 실시 여부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파도와 이안류의 크기를 관측하여 구축될 옹벽의 종류와 규모를 정하는 설계 단계와;
    상기 지질 조사의 결과에 따라서 말뚝(11) 박기 기초 공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11) 박기 기초 공사를 완료한 다음에 해안을 굴착하여 필요한 규모의 골(12)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골(12) 안에서 기초 말뚝(11)의 돌출된 상단부분을 절단 제거한 다음에 그 골(12) 바닥에 밑창 콘크리트(13)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밑창 콘크리트(13) 윗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을 따라서 기초 거푸집(14)을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의 내측 표면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기초 콘크리트(16)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 안에서 배근 표준에 맞는 배근(15)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기초 거푸집(14) 안에 기초 콘크리트(16)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구축될 옹벽의 구조와 규모에 맞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16) 윗면에 먹줄치기를 한 다음 그 먹줄에 맞춰서 몸체 거푸집(17)의 일부분을 정밀하게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내측 상단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구축될 옹벽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표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근 표준에 맞는 몸체의 배근(15) 작업을 시행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가설을 완료시키는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의 내부에 몸체 콘크리트(18)를 타입 양생하는 콘크리트 공사의 시행 단계와;
    상기 몸체 거푸집(17)을 해체한 다음에 옹벽 주변의 굴착된 부분(19)을 토사로 되메우(20)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2. 해안 도로(21) 등의 구축물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방지하는 직립 옹벽(23)과;
    파도(30)의 처오름을 막아주기 위하여 직립 옹벽의 상단에서 일정한 폭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4)와;
    상기 직립 옹벽(23)과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서 직립 옹벽(23)과 평행상태로 함체의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32)를 형성하는 격벽(25)과;
    상기 격벽의 상단에서 함체인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32)의 일부분을 덮어서 폐색부분을 형성해주는 경사진 월류 슬래브(26)와;
    상기 직립 옹벽과 격벽 사이에 형성된 함체의 공간으로, 월류 슬래브를 넘어서 일시에 돌입하는 파도를 가두어 그의 운동 에너지를 감쇠시켜줌과 함께 이안류(29)로 변환시켜서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34)로 배출하는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32)와;
    상기 격벽(25)과 일정간격 이격된 평행 상태로 해안 바닥(36)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막아줌과 함께 함체의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34)를 형성하여 이안류(29)에 의한 해안 바닥(36)의 유실을 방지해주는 월류 벽(28)과;
    상기 격벽(25)과 월류 벽(28) 사이에 형성된 함체의 공간으로서 파도(30)에서 변환된 이안류(29)가 격벽(25)의 배수구(27)를 통해 배출되면 이를 넓게 확산시켜줌과 함께 와류 현상을 일으켜서 이안류(29)의 위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34)와;
    상기 돌출부(24)를 포함하는 직립 옹벽(23)과 월류 슬래브(26) 및 격벽(25)과 월류벽(28) 모두를 연결 보강시켜주는 측벽(35)과;
    구축된 옹벽(10)이 침하 및 전도되지 않게 지지해주는 기초 말뚝(11)과 밑창 콘크리트(13) 및 기초 철근 콘크리트(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구조가 제공된다.
  3. 해안 도로(21) 등의 구축물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방지하는 직립 옹벽(23)과;
    파도(30)의 처오름을 막아주기 위하여 직립 옹벽의 상단에서 일정한 폭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4)와;
    상기 직립 옹벽(23)과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서 직립 옹벽(23)과 평행상태로 함체의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32)를 형성하는 월류 격벽(25)과;
    상기 직립 옹벽(23)과 월류 격벽(25) 사이에 형성된 함체의 공간으로, 월류 격벽을 넘어서 일시에 돌입하는 파도(30)를 가두어 그의 운동 에너지를 감쇠시켜줌과 함께 이안류(29)로 변환시켜서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34)로 배출시켜주는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부(32)와;
    상기 월류 격벽(25)과 일정간격 이격된 평행 상태로 해안 바닥을 지탱하여 그의 붕괴를 막아줌과 함께 함체의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34)를 형성하여 이안류(29)에 의한 해안 바닥의 유실을 방지해주는 월류 벽(28)과;
    상기 월류 격벽(25)과 월류 벽(28) 사이에 형성된 함체의 공간으로서 파도(30)에서 변환된 이안류(29)가 월류 격벽(25)의 배수구(27)를 통해 배출되면 이를 넓게 확산 시켜줌과 함께 와류 현상을 일으켜서 이안류(29)의 위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부(34)와;
    상기 돌출부(24)를 포함하는 직립 옹벽(23)과 월류 격벽(25) 및 월류벽(28) 모두를 연결 보강시켜주는 측벽(35)과;
    구축된 옹벽(10)이 침하 및 전도되지 않게 지지해주는 기초 말뚝(11)과 밑창 콘크리트(13) 및 기초 철근 콘크리트(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구조가 제공된다.
KR1020030062304A 2003-09-05 2003-09-05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KR20050025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04A KR20050025008A (ko) 2003-09-05 2003-09-05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04A KR20050025008A (ko) 2003-09-05 2003-09-05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008A true KR20050025008A (ko) 2005-03-11

Family

ID=3723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304A KR20050025008A (ko) 2003-09-05 2003-09-05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50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31B1 (ko) * 2012-07-05 2014-03-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중 매설 케이슨을 이용한 연안접근 파도의 에너지 소산방법
CN109881627A (zh) * 2019-03-21 2019-06-14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消浪结构及其安装方法
CN115162362A (zh) * 2022-08-24 2022-10-11 襄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浅基础加固的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31B1 (ko) * 2012-07-05 2014-03-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중 매설 케이슨을 이용한 연안접근 파도의 에너지 소산방법
CN109881627A (zh) * 2019-03-21 2019-06-14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消浪结构及其安装方法
CN109881627B (zh) * 2019-03-21 2024-04-26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消浪结构及其安装方法
CN115162362A (zh) * 2022-08-24 2022-10-11 襄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浅基础加固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1404B (zh) 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05239578B (zh) 富水砂层深基坑水下施工方法
KR100957599B1 (ko) 가설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070038196A (ko)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CN111608173B (zh) 深水陡坡裸岩钻孔桩施工方法及装置
CN110847047B (zh) 一种外海裸岩栈桥施工方法
KR20050025008A (ko)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CN110397044A (zh) 抗承压水突涌的基坑施工方法及基坑结构
KR100903508B1 (ko)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시'형띠장 흙막이공법(='시'형띠장 흙막이공법)
CN110080234A (zh) 一种在软土地基深基坑二次中心岛开挖的方法
KR20050025007A (ko) 해안 침식 방지용 프리스트레스 박스 옹벽의 시공 방법
KR20050025009A (ko) 해안 침식 방지용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CN112982296B (zh) 用于边坡防护的桩箱式挡墙的施工方法
KR100882127B1 (ko) 지하철 외부출입구의 에스컬레이터 설치를 위한 구조물시공방법
KR20060028356A (ko)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KR20050025006A (ko) 해안 침식 방지용 프리스트레스 박스 옹벽의 시공 방법
CN113463648A (zh) 一种基坑支护的方法
KR101318201B1 (ko)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RU2209268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котлована
JP2011157719A (ja) 山留め工法
KR100647488B1 (ko) 교각시공용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224758Y1 (ko) 사각콘크리트 케이슨 흙막이구조
JP3234820B2 (ja) 宅地等造成のための擁壁工事工法及び擁壁構造
SU1788151A1 (ru) Cпocoб boзbeдehия пoдпophoй ctehkи
ATE241048T1 (de) Verbesserte bildung eines abdeckungsträgers für pfahlgründ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