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323A - 회전 체결식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회전 체결식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323A
KR20050023323A KR10-2004-7020818A KR20047020818A KR20050023323A KR 20050023323 A KR20050023323 A KR 20050023323A KR 20047020818 A KR20047020818 A KR 20047020818A KR 20050023323 A KR20050023323 A KR 2005002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recess
mail
se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에이. 히스콕
피터 엠. 뉴만
마이클 이. 쇼트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4-702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3323A/ko
Publication of KR2005002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3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16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bayone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5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10)는, 첫번째로 서로 삽통시키고 그리고나서 두 쌍의 축방향으로 격설되는 탭들 및 리세스들(48)을 체결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섹션들(12,14,16)을 포함한다. 조립체(10)는 그립 섹션(12), 하나 이상의 폴 섹션(16), 및 자루 걸레 헤드(22)에의 연결을 위한 하나의 액세서리 부착 섹션(1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분품들은,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시키고 회전시킴으로써 강성적으로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영구히 연결되지만, 간편하게 이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체결식 핸들 조립체{Twist-lock 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핸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호연결가능한 다중 섹션들로 이루어지는, 자루 걸레들, 빗자루들 및 다른 아이템들용의 핸들에 관한 것이다.
자루 걸레, 빗자루, 페인트 로울러 핸들, 더스터(duster) 및 유사한 장치들은 종종, 사람이 직립한 자세에서 장치를 이용하여 마루에 닿을 수 있도록 하거나 그리고/또는 사람이 장치를 천정 또는 벽의 높은 부위에 도달시키기 위해 사다리를 이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 긴 핸들을 갖는다. 핸들의 길이에 기인하여, 상기 제품들은 전형적으로, 특별히 큰 패키지내에 넣어져서 이송되고,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저장되거나 판매를 위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고객이 그러한 매우 긴 장치를 구입하였을 때, 장치는 표준적인 식료품점 카트 내로 용이하게 넣어지지 않을 수 있고 특정의 소형 자동차들에 있어서는 트렁크 내에 넣어지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고객들은 가게의 계산대로 그리고 자동차로 장치를 직접 들어서 이송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고객들은 그리고나서 장치를 자동차의 승객석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객용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거나 피하기 위해 절첩가능한 핸들들이 고안되었다. 예컨대, 다중의 동심적인 원통형 섹션들을 갖는 삽통식 핸들들이 (특별히 페인팅시의 사용을 위해 그리고 종종 골프공 회수기와 같은 장치들에서 사용되기 위해) 개발되었다. 선택적으로, 특정 핸들 디자인들은 서로 힌지결합되는 절첩식 섹션들을 갖는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943,727 호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구성물들은 전형적으로, 특히 회전력이 핸들에 인가되었을 때 헐거워질 수 있는 (그리고 가능하게는 분리될 수 있는) 비교적 불안정한 조인트들을 갖는다. 이들 구성물들에 있어서는 또한 종종, 응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조인트들이 굽혀지는 경향을 띠게 되어 핸들이 분리되는 느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행하여졌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 4,911,573 호를 참조하면, 핸들의 섹션들을 결합하기 위한 베이어닛 연결부(bayonet connection)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각각의 섹션은 근접한 섹션들의 단부들과 정합되는 메일 및 피메일 단부들을 갖는다. 메일 단부들은 L형 홈 및 메일 단부의 원주를 따라 격설되는 스프링 요소를 갖는다.
피메일 단부는 횡방향 돌출부를 갖는 원통형 개구부를 마련하고, 상기 횡방향 돌출부는 상기 메일 단부가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회전될 때 상기 L형 홈 내로 올라탄다. 상기 돌출부는, 감소되는 깊이를 갖는 상기 홈에 의해 상기 홈 내에서 타이트하게 유지된다. 상기 피메일 단부는 또한 구멍을 가지며, 상기 메일 단부의 스프링 요소가 상기 구멍내로 스냅되어 근접한 섹션들을 서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개시된 구조물이 강성 연결부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그 구조물은 스프링 요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가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특히, 다중 세그먼트들로 분할된 상태로 이송되고 저장되며 판매되고 그리고나서 소비자에 의해 용이하게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영구적으로 조립될 수 있는, 개선된 다중-부분품 핸들에 대한 당 업계의 요구가 존재하여 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세그먼트 핸들이 제공되는 바닥 걸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핸들의 폴 섹션의 메일 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핸들의 폴 섹션의 피메일 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그립 섹션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그립 섹션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6-6을 따라 취한 그립의 횡간 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 부분을 나타내는, 그립 섹션의 메일 단부에 대한 부분 확대 횡간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선 8-8을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도 9는, 도 8의 9-9 부분을 나타내는, 메일 단부의 돌출부에 대한 확대된 횡간 단면 상세도.
도 10은 도 1의 다중-세그먼트 핸들의 폴 섹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폴 섹션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피메일 단부를 관통하여 취한 수직 횡간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다중-세그먼트 핸들의 요크 섹션에 대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요크 섹션에 대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선 16-16을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도 17은 연결되기 전의 상태에 있는 정합가능한 메일 및 피메일 단부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정합되었지만 서로 체결되기 전의 상태에 있는 도 17의 단부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메일 단부의 돌출부들이 피메일 단부의 리스세들 내로 스냅 체결되도록 메일 단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서로 체결되는 도 17의 단부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9의 선 20-20을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도 21은 도 18의 선 21-21을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원호 22-22를 따라 취한 확대된 부분 횡간 단면도.
도 23은 도 19의 선 23-23을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도 24는, 선택적인 메일 단부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부분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메일 단부의 부분 평면도.
본 발명은, 핸들이 마치 단일 구조물인 것처럼 그 길이를 따라 근본적으로 강성을 띠도록 부품들이 서로 신속하게 스냅될 수 있는 다중-세그먼트 핸들을 제공한다.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부 공동을 마련하는 피메일 단부를 갖는 하나의 연신된 섹션, 및 상기 공동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메일 단부를 갖는 다른 하나의 연신된 섹션을 최소한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연신된 섹션들을 구비하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단부들 중의 하나는 종결 연부로부터 제 1 리세스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갖는다. 상기 단부들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홈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제 1의 반경방향 돌출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단부들 중의 하나는 제 2 리세스를 갖는다. 또한, 상기 단부들 중의 다른 하나 상에는 제 2의 반경방향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메일 단부와 상기 피메일 단부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메일 단부가 상기 피메일 단부 내로 삽통식으로 끼워졌을 때, 상기 피메일 및 메일 단부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유발시킴에 의해, 상기 피메일 및 메일 단부들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반경방향 돌출부가 상기 제 1 리세스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돌출부가 상기 제 2 리세스 내로 연장된다. 중요하게는, 상기 메일 및 피메일 단부들이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리세스들은 서로 축방향으로 격설된다.
바람직한 형태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경방향 돌출부들은 상기 메일 단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리세스들은 상기 피메일 단부의 공동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홈은 피메일 단부의 공동을 따라 마련되고 양 리세스들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격설된다.
체결 강도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회전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반경방향 돌출부들 중의 하나 이상이 램핑된다(ramped). 또한, 상기 피메일 단부는, 상기 홈 및 제 2 리세스 사이에서 상기 공동 내부를 향하여 상기 홈 보다 더욱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중간 구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간 구역은 상기 홈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램핑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세스는 관통 개구부이고, 상기 제 2 리세스는 관통 개구부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 1 리세스는 D형 관통 개구부일 수 있고, 상기 제 1 반경방향 돌출부는 D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돌출부는 원주방향으로 램핑되어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제 1 리세스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연신된 섹션들 중의 하나에 링크되는 세척용 액세서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핸들을 제공하기에 가장 적당하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핸들로서 작용하기에 적당한 외부 표면 및 하부 연결 단부를 갖는 연신된 그립 섹션을 구비하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연결 단부 및 하부 연결 단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연신된 폴 섹션; 및 상부 커넥터 및 액세서리를 수납하기 위한 다중 아암들을 갖는 하부 요크 구조를 갖는 연신된 액세서리 부착 섹션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상부 커넥터 및 하나의 하부 연결 단부는, 그들을 삽통식으로 끼우고 상대 회전시켜 한 쌍의 축방향으로 격설되는 탭들이 한 쌍의 축방향으로 격설되는 리세스들 내로 계합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스냅 체결될 수 있도록, 형상화된다.
(양 리세스들이 피메일 부재에 마련되는 상태에서) 양 돌출부들이 메일 부재 상에 형성되거나, 양 리세스들이 메일 부재에 마련되는 상태에서 양 돌출부들이 피메일 부재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부재들의 각각이 하나의 리세스 및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의 용이함을 위해, 피메일 부재가 리세스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섹션들은 삽통식 이동에 이은 간단한 회전 작용에 의해 서로 스냅 체결될 수 있다. 통상적인 베이어닛 연결부들과는 달리, 상기 연결부는 돌출부들의 연부들 및 리세스들의 이중 연결 특성에 기인하여 근본적으로 영구성을 띤다.
요구되는 회전력은 돌출부들의 램핑된 표면들에 기인하여 최소로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연결부는, 섹션들이 상호체결될 때 서로 접지되는 돌출부들 및 리세스들의 평탄한 표면들에 기인하여, 상대적인 체결해제 방향 회전에 대해 강력하게 저항한다. 그러므로, 섹션들을 분리시키기는 매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장점들 및 다른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자루걸레 헤드 또는 페인트 로울러와 같은 다른 장치들에 유리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중-세그먼트 핸들을 제공한다. 핸들은, 통상적인 수평 선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소형 패키지들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송 및 판매될 수 있고 소비자들에 의해 집에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수개의 짧은 (바람직하게는 1피트 미만의 길이를 갖는) 섹션들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핸들(10)은 상부 그립 섹션(12), 하부 액세서리 섹션(14) 및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네 개인) 폴 섹션들(16)을 갖는다. 상기 부분품들은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바람직하게는 유리-충진된 나일론과 같은 적당한 강성 플래스틱으로 성형되지만, 예컨대 염가의 금속과 같은 다른 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그립 섹션(12)은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10-30 cm(4-12 인치)의 길이 및 약 2.5 cm(1 인치)의 직경을 갖도록, 중공형으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그립 섹션(12)은 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되기 위해 인체공학적인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 섹션(12)의 상단부는 개구부(18)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삽입되거나 개구부(18)에 끼워져서 고리를 형성하는 적당한 스트랩(도시안됨)을 통하여 삽입되는 후크, 못 등에 핸들(10)을 걸기 위한 개구부(18)를 갖는다.
그립 섹션(12)의 하단부는 피메일 또는 메일 연결 단부(20)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단부에 근접한 폴 섹션(16)의 부분이 대응되는 형태의 단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핸들(10)의 대향 단부에는 액세서리 섹션(14)이 제공되며, 액세서리 섹션(14)에는 (빗자루 또는 브러시에 있어서와 같이) 털이 박힌 헤드 또는 습윤식이나 건조식 자루걸레 헤드들과 같은 다양한 액세서리들이 부착될 수 있다. 액세서리 섹션(14)은 그 하단부에 요크(24)를 갖는다. 요크(24)는 두 개의 아암들(26)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26)은 바람직하게는 리세스(하나만 도시함)(28)를 가지며, 리세스(28)는 액세서리(22)의 직립 부재(30)(도 1 참조)의 측면을 관통하거나 또는 동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 핀(29)을 수납할 수 있다.
요크(24)에 대향해서, 액세서리 섹션(14)은 확대된 연결 단부(32)를 마련한다. 이 확대된 연결 단부(32)는 메일 단부 또는 피메일 단부를 가질 수 있고, 메일 단부 또는 피메일 단부에 인접하는 폴 섹션의 부분이 대응되는 형태의 단부를 가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그립 섹션(12) 및 액세서리 섹션(14) 사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호연결된 폴 섹션들(16)이 위치된다. 폴 섹션들(16)의 개수는 조립되었을 때의 핸들(10)의 요구되는 길이 및 제품 패키지의 의도된 크기를 고려한 조립되지 않은 핸들의 요구되는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도 1에 도시한 바람직한 형태에서, 핸들(10)은 네 개의 동일한 폴 섹션들(16)을 포함한다. 전체 핸들은 자루걸레 핸들용의 전형적인 길이를 갖는다.
각각의 폴 섹션(16)은 바람직하게는 중공형으로 성형되며, 그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서 하나의 크기 즉 대체로 2.5 cm(약 1 인치)의 외경을 갖고, 더욱 작은 직경의 피메일 연결 단부(34)를 갖는다. 피메일 연결 단부는,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대향되는 메일 연결 단부(38)를 수납하기에 적당하게 된다.
상기 메일 및 피메일 단부들을 폴 섹션들과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그러나, 그립 섹션의 메일 단부(도 7 내지 도 9 참조) 및 액세서리 섹션의 피메일 단부(도 15 및 도 16 참조)가 폴 섹션들의 대응되는 단부들과 동일하게 형상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립 섹션 및 액세서리 섹션의 단부들을 나타내는 도면들도, 폴 섹션들의 단부들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해, 참조될 것이다.
메일 연결 단부(38)에는 두 개의 세트 또는 쌍을 이루는 반경방향 돌출 요소들, 즉 보스들(40) 및 래칫들(44)이 형성된다. 각각의 세트를 이루는 보스 및 래칫은 대체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격설되며, 보스는 메일 단부의 종결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격설되고 래칫은 보스로부터 축방향으로 더욱 내측으로 격설된다. 각각의 세트는 다른 세트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80°격설된다.
보스들(40)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얕은 원형 돌출부들이며 테이퍼되는 외주부를 갖는다. 도 2 및 도 8 내지 도 9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44)들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짧은 거리 즉 대체로 (1/4 인치보다 약간 작은) 5 mm 만큼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래칫(44)은 평탄한 측면(42) 및 상기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방향으로 경사되는 램핑된 측면(46)을 갖는다.
도 3,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피메일 연결 단부(34)는, 내부 공동(36)과 연통되고 180°격설되며 평탄한 측면이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그 바닥이 피메일 연결 단부(34)의 종결 연부에 가장 가깝게 되는, 두 개의 D형 개구부들(48)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들은 그러므로 홈들을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메일 연결 단부(34)에는, 상기 종결 연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들(48)로 연장되면서 상기 개구부들(48)로부터 축방향으로 편향되지만 근접하게 되는, 두 개의 얕은 평행 홈들(50)이 마련된다. 상기 피메일 연결 단부(34)에는 또한, 상기 개구부들(48)과 대체로 축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상기 홈들(50)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격설되는, 두 개의 포켓들(52)이 마련된다. 상기 포켓들(52)은 평탄한 반경방향 표면(54)을 포함하는 래칫들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화된다.
중간 구역들(58)이 상기 피메일 연결 단부의 내경부에서 상기 홈들 및 상기 래칫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포켓들 및 홈들보다 더욱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래칫들의 이동을 방해하므로써 상기 피메일 연결 단부 내에서의 메일 연결 단부의 자유로운 회전을 저지한다. 체결을 위한 회전은 홈들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되는 중간 구역들(58)의 램핑된 표면들(56)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립 섹션(12)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 섹션(16)의 메일 연결 단부들(38)과 동일하게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화되는 메일 연결 단부(20)를 가지며; 액세서리 섹션(1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메일 연결 단부들(34)과 동일한 피메일 연결 단부(32)를 갖는다. 따라서, 그립 섹션(12)은, 그립 섹션(12)의 단부(20)를 피메일 연결 단부(34)와 정합시킴으로써, 근접한 폴 섹션(16)과 상호체결된다.
액세서리 섹션(14)의 단부(32)는 근접한 폴 섹션(14)의 메일 연결 단부(38)와 상호체결된다. 두 개의 부가적인 폴 섹션(16)이 서로 체결되고 아울러서 상기 그립 섹션(12) 및 액세서리 섹션(14)과 정합되는 폴 섹션들(16)에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일 연결 단부들은, 조인트들에서 대체로 3.8 cm(1.5 인치)의 오버랩이 존재되도록 사이징된다(sized).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한 섹션들은 메일 단부를 피메일 단부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정합된다. 보스들(40) 및 래칫들(44)은 상기 축방향 홈들(50)과 정렬되며, 근접한 섹션들은 도 18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들(40)이 홈들의 단부들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결합된다. 메일 연결 단부를 피메일 연결 단부에 관하여, 본 경우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스들 및 래칫들이 도 19, 도 20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D형 개구부들 및 포켓들 내로 각각 넣어진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칫들 및 보스들이 상기 피메일 연결 단부의 내경부에서 상기 홈보다 더욱 반경방향 내측으로 표면들을 통과하도록 즉 상기 중간 구역(58) 및 상기 홈들 및 D형 개구부들 사이의 소형 립 구역을 통과하도록, 메일 및 피메일 연결 단부들 중의 하나 또는 모두의 반경방향 편향이 발생된다. 이러한 편향을 위해 요청되는 커다란 힘은 정합되는 램프 표면들(46 및 56) 및 보스들의 테이퍼되는 원주에 의한 간단한 회전 작용에 의해 창출된다.
이 시점에서, 생성된 스프링 력은 보스들 및 래칫들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동하여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D형 개구부들 및 포켓들내로 각각 스냅되도록 한다. 섹션들의 회전 및 분리는, 보스들과 D형 개구부들의 벽들과의 계합 및 더욱 주요하게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각의 래칫 및 포켓의 평탄한 측면들(42 및 54)의 계합에 기인하여, 조인트들에서 저항된다(resisted). 그러므로, 보스들 및 래칫들은, 특히 보스들이 홈들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풀림 방향에서, 정합되는 섹션들을 적당하게 정렬시키고 그들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스들(40)이 상기 개구부들 내에서 수납되도록, 보스들(40)이 D형 개구부들(48)의 두께보다 얕게 된다는 점에 또한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사실 및 플래스틱의 강성에 기인하여, 상기 섹션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메일 단부들을 누르기는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핸들은 조인트들에서 강성적으로 연결될 뿐만아니라 그 섹션들이 일단 결합되면 대체로 영구히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그러므로, 간결한 패키지 내에서 이송 및 판매될 수 있는 다중의 소형 섹션들을 갖는 핸들을 제공하고 동시에 조립되었을 때 강성을 가지면서 거의 단일적인 형태를 띠는 핸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섹션들이 더욱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립 섹션(12) 및 폴 섹션(16)을 위한 메일 연결 단부의 선택적인 버전(38A)을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다. 선행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상기 메일 연결 단부(38A)는 섹션의 본체로부터 감소되는 직경을 가지며, 두 세트의 보스들(40A) 및 래칫들(44A)을 갖는다. 래칫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스들이 개구부들(48A)과 같이 D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각각의 보스(40A)는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중간 지점까지 제 1 두께로 연장되고, 그 후, 상기 평탄한 측면에 대항되는 커브된 연부를 향하여 하방향으로 테이퍼된다.
강성 플래스틱을 사용하는 본 실시예는 근본적으로 영구적인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형 형상은, D형 보스들 및 개구부들의 접지되는 평탄한 표면들의 계합에 기인하여, 보스들의 (풀림 방향에서의) 항-회전 효과를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메일 연결 단부에 대한 본 선택적인 실시예는 핸들을 더욱 강하게 하고 분해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알 수 있다. 예컨대, 다중의 짧은 폴 섹션들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상기 조립체는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단지 하나의 (특정 길이의) 폴 섹션 및 하나의 액세서리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들은, 라운드형 및 D형과는 다른, 장방형과 같은 특정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개구부들도 섹션 벽들의 두께를 관통하지 않는 내부 홈들 또는 리세스들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전체 범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참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Claims (11)

  1.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 공동을 마련하는 피메일 단부를 갖는 하나의 연신된 섹션, 및 상기 공동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메일 단부를 갖는 다른 하나의 연신된 섹션을 최소한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연신된 섹션들을 구비하고;
    상기 피메일 및 메일 단부들 중의 하나는 종결 연부로부터 제 1 리세스에 근접한 부분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가지며;
    상기 피메일 및 메일 단부들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홈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제 1의 반경방향 돌출부를 갖고;
    상기 피메일 및 메일 단부들 중의 하나는 제 2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제 2 리세스를 갖는 단부의 곁에 있는 상기 피메일 및 메일 단부들 중의 또 하나는 제 2 반경방향 돌출부를 갖고;
    상기 메일 단부와 상기 피메일 단부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메일 단부가 상기 피메일 단부 내로 삽통식으로 끼워졌을 때, 상기 제 1 반경방향 돌출부가 상기 제 1 리세스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돌출부가 상기 제 2 리세스 내로 연장되도록 상기 피메일 및 메일 단부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유발시킴에 의해, 상기 피메일 및 메일 단부들이 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일 및 피메일 단부들이 서로 체결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리세스들이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경방향 돌출부들이 상기 메일 단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리세스들은 상기 피메일 단부의 공동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홈은 피메일 단부의 공동을 따라 마련되고 양 리세스들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경방향 돌출부들이 근본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경방향 돌출부들 중의 하나 이상이 상기 리세스에 용이하게 계합되기 위해 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단부가, 상기 홈 및 제 2 리세스 사이에서 상기 공동 내부를 향하여 상기 홈 보다 더욱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중간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역이 상기 홈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세스가 관통 개구부이고, 상기 제 2 리세스는 관통 개구부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세스가 D형 관통 개구부이며, 상기 제 1 반경방향 돌출부는 D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램핑되어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제 1 리세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된 섹션들 중의 하나에 링크되는 세척용 액세서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11.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핸들로서 작용하기에 적당한 외부 표면 및 하부 연결 단부를 갖는 연신된 그립 섹션;
    상부 연결 단부 및 하부 연결 단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연신된 폴 섹션; 및
    상부 커넥터 및 액세서리를 수납하기 위한 다중 아암들을 갖는 하부 요크 구조를 갖는 연신된 액세서리 부착 섹션;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상부 커넥터 및 하나의 하부 연결 단부가, 그들을 삽통식으로 끼우고 상대 회전시켜 한 쌍의 축방향으로 격설되는 탭들이 한 쌍의 축방향으로 격설되는 리세스들 내로 계합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스냅 체결될 수 있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결식 핸들 조립체.
KR10-2004-7020818A 2002-06-20 2003-06-18 회전 체결식 핸들 조립체 KR20050023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0818A KR20050023323A (ko) 2002-06-20 2003-06-18 회전 체결식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78,634 2002-06-20
KR10-2004-7020818A KR20050023323A (ko) 2002-06-20 2003-06-18 회전 체결식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323A true KR20050023323A (ko) 2005-03-09

Family

ID=4178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818A KR20050023323A (ko) 2002-06-20 2003-06-18 회전 체결식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33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8642A (zh) * 2018-08-20 2018-11-13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紧固装置及深钻孔地应力无线测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8642A (zh) * 2018-08-20 2018-11-13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紧固装置及深钻孔地应力无线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5686B2 (en) Twist-lock handle assembly
US6854919B2 (en) Push-lock handle assembly
US5127762A (en) Connector assembly
US5992667A (en) Container cap with a detachable folding utensil
EP1600098A2 (en) Locking, segmented cleaning implement handle
US7356871B2 (en) Dual sized broom and dust pan
US5862917A (en) Pallet sleeve clip with visible positive open and closed positions
US7365268B2 (en) Storage receptacle
US5943727A (en) Foldable cleaning implement
US6213483B1 (en) Utility cart
WO2009117516A2 (en) Collapsible beverage holder
US6315488B1 (en) Snap-in handle assembly for a tool
US6328361B1 (en) Tool with removable handle
KR20050023323A (ko) 회전 체결식 핸들 조립체
KR100537688B1 (ko) 막대 사탕과 용기의 결합체
KR20050023320A (ko) 푸시-락 핸들 조립체
US6854812B2 (en) Wheel axle design of gas grill
US6029939A (en) Duster pedestal
JP3220339U (ja) フック
KR200242812Y1 (ko) 손잡이 삽착식 저장용기 덮개
JP2001289377A (ja) パイプ材の連結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柄付き用具の柄
JP3025182U (ja) まな板スタンド
JP3034548U (ja) 除雪用具
JPH0235666Y2 (ko)
JPH04387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