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108A -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108A
KR20050023108A KR1020030060179A KR20030060179A KR20050023108A KR 20050023108 A KR20050023108 A KR 20050023108A KR 1020030060179 A KR1020030060179 A KR 1020030060179A KR 20030060179 A KR20030060179 A KR 20030060179A KR 20050023108 A KR20050023108 A KR 20050023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
temperature
waste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6401B1 (ko
Inventor
노영환
Original Assignee
노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환 filed Critical 노영환
Priority to KR10-2003-0060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4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2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005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ion of waste heat
    • F24D17/001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ion of waste heat with accumulation of heat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와 냉수의 공급을 요하는 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용수의 소비처보다 높이 설치되며 외부의 용수 공급원으로부터의 용수를 일시 저장하는 고가수조와; 상기 소비처로부터 상기 용수의 소비에 의해 발생하며 일정 온도 이상을 갖는 폐수와, 상기 수조로부터 제공된 용수를 열교환하여 상기 용수의 온도를 중온수 이상으로 상승시켜 상기 소비처로 재공급하는 폐수열회수장치와; 상기 폐수열회수장치에서 열교환된 중온수 중 일부를 소비처로 직접 공급하는 시스템과 중온수의 나머지를 공급받아 일부를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로부터의 용수를 가열하여 상기 소비처에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응축기를 갖는 히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가수조로부터의 용수가 폐수열회수장치를 통과하여 직접 샤워기로 제공되도록 하여, 수압으로만 용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펌프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폐수열회수장치를 통과하는 용수와 폐수의 양이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용수와 폐수의 열교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열원으로서 단일의 히트펌프를 설치하여 목욕탕 및 실내에서 다목적화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열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냉난방기의 연통을 이용하여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중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종래에는 쓸모없이 낭비되던 열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WATER SUPPLY SYSTEM HAVING HEAT-PUMP}
본 발명은,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압을 이용하여 고가수조로부터의 용수를 무동력으로 소비처에 제공하며, 용수와 폐수의 열교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우나, 목욕탕, 사업장 등지에서는 사용하고 남은 30 내지 35℃ 정도의 고온의 폐수를 그대로 유출시킴으로써, 막대한 열에너지를 낭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폐수로 인해 물을 정화시키는 미생물의 번식을 방해하여 환경 파괴 및 폐수처리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낳고 있다.
이에, 고온의 폐수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장치인 폐수열회수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폐수열회수장치는, 열교환기의 일종으로 열에너지를 전도와 대류를 통해 적절하게 이동시켜 줌으로써, 사업장의 작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나, 수영장, 사우나, 목욕탕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막대한 연료를 절감시키고, 환경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폐수열회수장치가 설치된 목욕탕의 용수공급시스템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목욕탕(110)에는 냉수와 온수가 공급되며, 냉수가 공급되는 시설로는 샤워기와 냉탕이 있고, 온수가 공급되는 시설로는 온탕과 샤워기 등이 있다. 이외에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목욕탕(110)의 용수공급시스템은, 옥상 등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용수 공급원으로부터의 용수를 일시 저장하는 고가수조(115)와, 이러한 고가수조(115)로부터의 용수를 폐수와 열교환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폐수열회수장치(140)와, 폐수열회수장치(140)를 통해 온도가 상승된 용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125)와, 온수탱크(125)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목욕탕(110)에서 요구되는 온도로 상승시키는 온수보일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가수조(115)와 폐수열회수장치(140) 사이에는 펌프(141)가 설치되어 온수탱크(125)의 수위에 따라 펌프(141)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우나에 고온의 스팀을 제공하기 위한 스팀보일러(113)와, 목욕탕(110) 실내의 냉난방하기 위한 냉난방기(130) 및 팬(131)은 용수공급시스템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고가수조(115)에 저장되어 있던 용수는 샤워기의 냉수와 냉탕으로 직접 공급되며, 온수는 고가수조(115)로부터 폐수열회수장치(140)와 온수보일러(120)를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된 다음 샤워기의 온수와 온탕으로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시수의 온도가 10℃(겨울철) 내지 22℃(여름철)일 때, 용수 공급원으로부터 고가수조(115)로 제공되는 물의 온도는 평균 14.8℃이고, 목욕탕(110)으로부터 배수되는 폐수의 온도는 평균 30℃~32℃정도이다. 이에 따라, 고가수조(115)로부터의 용수가 폐수열을 통과하면서 2 내지 4℃ 정도 상승하고, 온수보일러(120)를 통해 55~65℃까지 상승되어 샤워기와 온탕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목욕탕(110) 용수공급시스템은, 폐수열회수장치(140)를 통과하며 온도가 소폭 상승한 용수를 온수탱크(125)에 저장하며, 온수탱크(125)의 수위가 일정 이하로 내려가야만 펌프(141)를 작동시켜 용수가 폐수열회수장치(1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125)의 수위가 일정 이상인 동안에는 펌프(141)가 작동하지 아니하며, 이 동안에는 용수와 폐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폐수가 계속 버려지고 있는 동안에도 온수탱크(125)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면, 용수의 흐름이 없으므로 열교환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시간은 폐수와 용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간보다 길며, 이에 따라, 폐수열회수장치(140)를 통한 열교환 효율이 30% 정도로 낮은 형편이다. 또한 펌프가 작동하여 용수가 흐를 경우에도 열교환기내에서 폐수의 량과는 무관하게 유속이 빠르고 유량이 많아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용수 공급 시스템은, 폐수열회수장치(140)를 이용한 열교환효율이 낮으며, 용수의 공급을 위해 별도의 펌프(141)를 사용해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펌프(141)의 유지를 위한 비용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폐수열회수장치(140)의 열교환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외부로 배출하는 폐수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아니하였다는 증거이므로, 종래와 마찬가지로 온수를 배출함에 따라 에너지 낭비와 환경파괴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가수조(115)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용수를 소비처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폐수와 용수의 흐름이 1:1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펌프(141)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열회수장치를 통해 배수되는 폐수와, 열교환되는 용수의 양이 비례하여 증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폐수와 용수의 열교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열회수 시스템과 히트펌프가 조합되어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온수와 냉수의 공급을 요하는 용수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용수의 소비처보다 높이 설치되며 외부의 용수 공급원으로부터의 용수를 일시 저장하는 고가수조와; 상기 소비처로부터 상기 용수의 소비에 의해 발생하며 일정 온도 이상을 갖는 폐수와, 상기 수조로부터 제공된 용수를 열교환하여 상기 용수의 온도를 중온수 이상으로 상승시켜 일부를 소비처로 직접 공급하는 시스템과 중온수의 나머지를 공급받아 상기 소비처로 재공급하는 폐수열회수장치와; 상기 폐수열회수장치(40)에서 열교환된 중온수 중 일부를 소비처로 직접 공급하는 시스템과 중온수의 나머지를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는 온수탱크(25)와; 상기 온수탱크로부터의 용수를 가열하여 상기 소비처에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응축기를 갖는 히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펌프는, 외기의 온도가 일정 이상일 경우, 상기 고가수조로부터의 용수를 열교환하여 일정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비처에 설치된 냉수저장조로부터의 용수의 오물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냉수저장조의 용수를 냉각시켜 상기 냉수저장조로 복귀시킬 수 있다.
외기의 온도가 일정 이하일 경우, 상기 증발기를 이용하여 상기 폐수열회수장치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하강된 폐수를 냉각시키는 보조 폐수열회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탱크로 제공되는 중온수를 배기가스 배출용 연통과 열교환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건물의 냉난방용 냉난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냉기를 실내로 제공하는 팬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용수공급시스템은, 고가수조로부터의 용수가 폐수열회수장치를 통과한 다음 바로 소비처로 공급됨으로써,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수압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폐수열회수장치를 통과하는 폐수의 양과 열교환되는 용수의 양이 항상 비례하여 증감함에 따라, 열교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용수공급시스템을 목욕탕에 적용시킨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며, 목욕탕 이외의 수영장, 사업장 등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용수공급시스템이 설비된 목욕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의 소비처보다 높이 설치되며 외부의 용수 공급원으로부터의 용수를 일시 저장하는 고가수조(15)와, 소비처로부터 용수의 소비에 의해 발생하며 일정 온도 이상을 갖는 폐수와 수조로부터 제공된 용수를 열교환하여 용수의 온도를 중온수 이상으로 상승시켜 소비처로 재공급하는 폐수열회수장치(40)와, 폐수열회수장치(40)에서 열교환된 중온수 중 일부를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는 온수탱크(25)와, 온수탱크(25)로부터의 용수를 가열하여 상기 소비처에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응축기(21)와 고가수조(15)로부터의 용수를 열교환하여 일정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증발기(23)를 갖는 히트펌프(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비처는, 일반적인 목욕탕(10)의 경우, 온수와 냉수가 제공되는 샤워기와, 온탕, 냉수저장조인 냉탕, 그리고 사우나를 포함하며, 사우나에는 별도의 스팀보일러(13)가 설치되어 사우나에 스팀을 공급하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샤워기는 일반적으로 평균 37℃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온수와 온수가 같이 제공되고, 냉탕의 온도는 평균 15~17℃정도이다.
이러한 용수공급시스템이 여름에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가 소비처보다 높이 설치된 고가수조(15)에 일시 저장된 다음,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한다. 이 때, 외부의 용수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용수는 외기의 온도에 따라 다소 상이하기는 하나, (겨울에는 10℃정도, 여름에는 22℃정도) 연평균 14.8℃ 정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용수가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하면, 평균 30℃의 온도를 유지하는 폐수와 열교환되어 평균 28 내지 30℃ 정도의 중온수로 온도가 상승한다. 이렇게 중온수로 온도가 상승된 용수는 바로 샤워기의 냉수로 공급된다. 이 때, 샤워기로 제공되는 냉수의 온도가 종래보다 많이 상승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체온이 37℃이라서, 인체는 37℃보다 낮으면 차갑다고 느끼므로 냉수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다.
이렇게 고가수조(15)로부터의 용수가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하여 직접 샤워기로 제공되어, 종래와는 달리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한 용수가 온수탱크(25)를 거치지 아니하여도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서처럼 온수탱크(25)의 수위와는 상관없이 샤워기와 온탕 등에서의 계속적인 용수의 소비로 고가수조(15)로부터 용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이 때, 목욕탕(10) 내에서 사용되어 폐수와 고가수조(15)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양이 거의 동일하므로, 폐수와 용수가 1:1로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하며 열교환된다. 따라서 폐수와 용수가 거의 100%에 가깝게 열교환되므로, 용수의 온도를 28 내지 30℃로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도 그 온도가 급강하하므로 고온의 폐수 배출로 인한 각종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가수조(15)로부터의 용수가 수압에 의해 샤워기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샤워기에 압력조절식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고가수조(15)로부터 수압으로 인해 샤워기로부터 분사되는 용수의 수압이 과도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한 중온수 중 일부는 온수탱크(25)로 제공되어 일시 저장되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중온수는 히트펌프(20)의 응축기(21)와 열교환하여 평균 55~65℃로 온도가 상승한다. 이렇게 온도가 상승된 용수는 온탕과 샤워기의 온수로 제공된다.
이러한 용수공급시스템에서 냉수가 공급되는 곳은 냉탕뿐이며, 고가수조(15)로부터의 용수는 히트펌프(20)의 증발기(23)와 열교환하여 평균 15~17℃정도로 하강한다. 일반적으로 냉탕은 지속적으로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용수의 소비가 온탕이나 샤워기에 비해 적은 편이며, 냉탕의 온도를 지속시켜 주기 위해서는 증발기(23)와의 지속적인 열교환이 필요하다. 그리고 냉탕의 용수는 배출되는 양보다 저장되어 있는 양이 많으므로, 냉탕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오물을 제거할 필요도 있다. 이에 따라, 냉탕의 용수는 히트펌프(20)의 증발기(23)와 지속적으로 열교환되도록 순환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순환회로에는 용수의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11)가 설치되어 있다. 겨울철에는 외기의 온도가 낮은 까닭에 인체에서는 동일한 온도의 용수라도 더 차갑게 느끼며, 이에 따라, 겨울철에는 순환회로를 사용하지 아니한다.
한편, 폐수열회수장치(40)와 온수탱크(25) 사이에는 목욕탕(10)을 포함하는 건물 전체의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해 냉난방기(30)가 설치되며, 별도의 연료를 이용하여 냉난방을 하게 된다. 이러한 냉난방기(30)의 사용시, 여름철에는 냉난방기(30)와 함께 히트펌프(20)의 증발기(23)에 인접하게 팬코일용 냉수헤더(31)를 설치하여 증발기(23)로부터의 냉기가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냉난방기(30)가 난방기능을 수행하는 겨울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연통(33)을 통해 많은 열이 방출된다. 이러한 열을 회수하기 위해, 겨울철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33)을 통해 배출되는 열과 온수탱크(25)로 유입되는 중온수를 열교환시킴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하강시키고, 온수탱크(25)로 유입되는 중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가수조(15)로부터의 용수 중 일부는, 여름에는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한 다음, 바로 온수탱크(25)로 제공되지만, 겨울에는 냉난방기(30)의 연통(33)을 한 번 더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된다.
한편, 겨울철에는 냉탕을 냉각시키기 위한 순환회로와 냉난방기(30)에 설치된 팬코일용 냉수헤더(31)가 작동하지 아니하므로, 증발기(23)로부터 여분의 냉기가 발생하며, 이러한 냉기를 이용하여 배수되는 폐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즉, 폐수열회수장치(40)의 말단에 증발기(23)와 연결된 별도의 보조 폐수열회수장치(45)를 설치함으로써,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하며 냉각된 폐수가 보조 폐수열회수장치(45)를 통과하면서 증발기(23)의 냉기와 다시 한번 열교환됨에 따라 폐수의 온도를 4~5℃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수공급시스템을 가상에 적용하여 변경전과 변경후로 비교한 결과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변경전과 변경후에 연간 물 사용량은 동일하나, 냉수, 즉 중온수의 사용이 증가하고 온수의 사용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의 생성하기 위해 히트펌프(20)를 작동시키는 시간이 감소하게 되므로, 히트펌프(20)의 작동에 드는 전기요금이 종래의 온수보일러를 사용하면서 소비되던 것보다 현저히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폐수열의 취득에 따른 열량이 상당하며, 히트펌프(20)의 증발기(23)를 다목적으로 사용하고, 냉난방기(30)의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함에 따라, 폐수열 취득에 따른 절감비와 히트펌프(20)의 사용에 따른 전기료의 절감비를 합산하면 어마어마한 액수를 절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수조(15)로부터의 용수가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하여 직접 샤워기로 제공되도록 하여, 별도의 펌프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수압으로만 용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펌프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하는 용수와 폐수의 양이 거의 동일하게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온도 상승폭과, 폐수의 온도 하강폭을 증대시킬 수 있고, 용수와 폐수의 열교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열원으로서 히트펌프(20)를 설치함으로써, 온수탱크(25)에 일시 저장된 용수의 온도를 급상승시키고, 여름철에는 냉탕에 공급되는 용수의 온도를 하강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팬코일용 냉수헤더(31)를 통해 목욕탕(10)을 포함한 건물 전체의 실내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보조 폐수열회수장치(45)와 함께 폐수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일의 히트펌프(20)로 목욕탕(10) 및 실내에서 다목적화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건물의 냉난방용 냉난방기(30)의 연통(33)을 이용하여 온수탱크(25)로 공급되는 중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종래에는 쓸모없이 낭비되던 열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을 여름에 사용할 경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용수공급시스템을 겨울에 사용할 경우의 구성도,
도 3은 본 용수공급시스템의 적용 전후의 에너지비용을 비교한 표,
도 4는 종래의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욕탕 11 : 필터
13 : 스팀보일러 15 : 고가수조
20 : 히트펌프 21 : 응축기
23 : 압축기 25 : 온수탱크
30 : 냉난방기 31 : 팬
33 : 연통 40 : 폐수열회수장치
45 : 보조 폐수열회수장치

Claims (6)

  1. 온수와 냉수의 공급을 요하는 용수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용수의 소비처보다 높이 설치되며 외부의 용수 공급원으로부터의 용수를 일시 저장하는 고가수조(15)와;
    상기 소비처로부터 상기 용수의 소비에 의해 발생하며 일정 온도 이상을 갖는 폐수와, 상기 수조로부터 제공된 용수를 가변 비례 열교환하여 상기 용수의 온도를 일정 이상인 중온수로 상승시켜 상기 소비처로 재공급하는 폐수열회수장치(40)와;
    상기 폐수열회수장치(40)에서 열교환된 중온수 중 일부를 소비처로 직접 공급하는 시스템과 중온수의 나머지를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는 온수탱크(25)와;
    상기 온수탱크(25)로부터의 용수를 가열하여 상기 소비처에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응축기(21)를 갖는 히트펌프(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20)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20)는, 외기의 온도가 일정 이상일 경우, 상기 고가수조(15)로부터의 용수를 열교환하여 일정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증발기(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20)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처에 설치된 냉수저장조로부터의 용수의 오물을 걸러내는 필터(1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23)는 상기 필터(11)를 통과한 상기 냉수저장조의 용수를 냉각시켜 상기 냉수저장조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20)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외기의 온도가 일정 이하일 경우, 상기 증발기(23)를 이용하여 상기 폐수열회수장치(4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하강된 폐수를 냉각시키는 보조 폐수열회수장치(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20)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25)로 제공되는 중온수를 배기가스 배출용 연통(33)과 열교환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냉난방기(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20)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20)의 증발기(23)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23)로부터의 냉기를 실내로 제공하는 팬코일용 냉수헤더(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20)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KR10-2003-0060179A 2003-08-29 2003-08-29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KR10052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179A KR100526401B1 (ko) 2003-08-29 2003-08-29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179A KR100526401B1 (ko) 2003-08-29 2003-08-29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788U Division KR200332901Y1 (ko) 2003-08-29 2003-08-29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108A true KR20050023108A (ko) 2005-03-09
KR100526401B1 KR100526401B1 (ko) 2005-11-08

Family

ID=3723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179A KR100526401B1 (ko) 2003-08-29 2003-08-29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5767A2 (en) 2009-10-16 2011-04-21 Chanse Method to add heat from a waste stream to a liquid stream and installation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75B1 (ko) 2007-04-26 2007-08-17 왕화식 2패스라인 폐수열회수기와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 겸용시스템
KR100864068B1 (ko) 2007-08-31 2008-10-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중수 및 빗물을 재활용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5767A2 (en) 2009-10-16 2011-04-21 Chanse Method to add heat from a waste stream to a liquid stream and installation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6401B1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66801A (zh) 用于恒温泳池的多能互补分布式能源系统
KR100506764B1 (ko) 지열 및 폐열을 이용한 히트펌프시스템
JP4550127B2 (ja) 水熱源ヒートポンプ空調システム
CN103528265A (zh) 一种污水源直排式热泵系统
KR100430238B1 (ko) 고온 급탕 열펌프 유닛
KR100526401B1 (ko)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CN108895707A (zh) 回收蒸汽压缩式热泵机组冷凝热热水循环系统及使用方法
CN103528187A (zh) 一种污水源直排式空调热泵系统
KR200332901Y1 (ko) 히트펌프가 설치된 용수공급시스템
CN204830506U (zh) 一种家电热循环再利用系统
CN103398506B (zh) 一种矿用冷热联供污水源冷热水机组及其控制方法
JP4437987B2 (ja) 熱湯循環システム
CN203533876U (zh) 一种污水源直排式空调热泵系统
KR200339349Y1 (ko) 지열을 이용한 축열식 히트펌프 시스템
CN201779842U (zh) 一种节能空气源即热式热水器
CN102721234A (zh) 适用于室内泳池的地源热泵系统
KR100843779B1 (ko) 냉각탑 및 실외기가 없는 냉방시스템
KR100437669B1 (ko) 목욕탕용 히트펌프 시스템
JP7014699B2 (ja) 水加熱システム及び温浴施設
JP3183559U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の排熱を利用した冷却装置
CN203642555U (zh) 一种污水源直排式热泵系统
CN207741380U (zh) 一种风冷水冷的双效蒸发高效热水系统
JPH026424B2 (ko)
CN203323270U (zh) 基于外接低温热源的热回收溶液加热加湿空气处理机组
KR200326197Y1 (ko) 지열 및 폐열을 이용한 히트펌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