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822A - 기계식 맨드릴 트립 - Google Patents

기계식 맨드릴 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822A
KR20050020822A KR10-2004-7019870A KR20047019870A KR20050020822A KR 20050020822 A KR20050020822 A KR 20050020822A KR 20047019870 A KR20047019870 A KR 20047019870A KR 20050020822 A KR20050020822 A KR 2005002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trip
shaft
wheel
trip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도네이토러셀
Original Assignee
세쿠아 캔 머쉬너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쿠아 캔 머쉬너리 인크. filed Critical 세쿠아 캔 머쉬너리 인크.
Priority to KR10-2004-701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0822A/ko
Publication of KR2005002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2Dies; Accessories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자동 캔 장식 장치는 기계식 맨드릴 트립 기구를 포함한다. 기계식 맨드릴 트립 기구는, 해당 맨드릴이 인쇄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트립 암의 단부에 배치된 트립 캠 종동절과 맨드릴이 인쇄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셋 암에 배치된 리셋 캠 종동절을 구비하는 트립 레버 기구를 포함한다. 트립 캠 종동절과 리셋 캠 종동절은 각각 트립 캠 플레이트의 캠 표면과 리셋 캠 플레이트의 캠 표면에 맞물려 그들의 해당 맨드릴을 이동시키게 된다.

Description

기계식 맨드릴 트립{MECHANICAL MANDREL TRIP}
본 발명은 자동 캔(can) 장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 인쇄 작업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지시키거나 수행할 수 없게 하는 스킵 인쇄 기구(skip-printing mechanism)를 포함한 자동 캔 장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킵 인쇄 기구를 구비한 자동 캔 장식 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 캔 장식 장치는 다수의 맨드릴(mandrel)이 외주 주위에 각도 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맨드릴 휠을 포함한다. 각 맨드릴은 블랭크 캔(blank can)을 수용하며, 맨드릴 휠이 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블랭크 캔이 블랭킷 휠(blanket wheel)의 인쇄부와 접촉하게 될 때 블랭크 캔 상에 장식이 인쇄된다. 때때로, 자동 캔 장식 공정 중에는 맨드릴 상에 블랭크 캔이 위치되지 않거나 부정확하게 위치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렇게 캔이 부정확하게 위치되거나 캔이 없는 맨드릴이 블랭킷 휠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폐기 처분해야 할 잘못 인쇄된 캔이 제조되지 않게 그리고/또는 빈 맨드릴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스킵 인쇄 기구가 제시되었다. 예를 들면, 취리히(Zurich)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51,579호에는, 캔이 맨드릴에 위치되지 않았거나 부정확하게 위치되었음을 탐지할 때 개별 맨드릴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그 맨드릴을 인쇄부로부터 이격시켜 이동시키고 이어서 맨드릴 상에 배치된 블랭크 캔이 블랭킷 휠과 접촉될 수 있는 위치로 그 맨드릴을 복귀시키는 스킵 인쇄 기구를 구비한 자동 캔 장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스크리펙(Skrype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40,053호에는, 편심 샤프트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구멍을 구비한 편심 슬리브와 편심 샤프트의 타 단부에 장착된 맨드릴을 포함하는 스킵 인쇄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편심 슬리브는 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크랭크 암을 통해 구동 실린더(power cylinder)에 연결된다. 구동 실린더를 작동시키게 되면, 편심 샤프트가 선회하게 되어 맨드릴을 블랭킷 휠 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시켜 이동시키게 된다.
슈리버(Shriv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50,420호와 시르벳(Sirvet)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037,530호에는, 피봇 핀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맨드릴 홀더 상에 맨드릴이 장착되는 스킵 인쇄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스킵 인쇄 기구에서 맨드릴의 축과 피봇 핀의 축은 평행하긴 하지만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피봇 핀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맨드릴이 선택적으로 접촉 위치에 위치되거나 위치되지 않게 된다. 맨드릴 홀더는 피봇 핀에 부착된 암에 의해 선회된다. 암의 일 단부가 맨드릴을 선회 운동시키게 된다.
하트마이스터(Hartmeist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665,853호와 스터비스(Stirbi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48,742호에는, 블랭킷 휠의 인쇄부가 맨드릴 상의 캔과 접촉되게 그리고 접촉되지 않게 이동될 수 있는 스킵 인쇄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캔이 맨드릴 상에 위치되지 않았거나 부정확하게 위치되었음을 탐지할 때 인쇄부를 맨드릴로부터 이격시켜 유지시킴으로써 스킵 인쇄 작업이 달성된다.
스터비스(Stirbi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498,387호와 휴덱(Hudec)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93,178호 및 제5,148,742호에는, 맨드릴 홀더 상의 캠 종동절(cam follower)이 트랙을 따르는 스킵 인쇄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캔이 맨드릴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었을 때, 맨드릴 홀더는 캔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하게 되는 트랙을 따라 안내된다. 만일 캔이 맨드릴 상에 부정확하게 위치되었거나 위치되지 않았다면, 맨드릴 홀더는 맨드릴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스즈피탈락(Szpitalak)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22,639호 및 제3,889,630호에는, 맨드릴이 전용 링크 상에 장착되는 컨베이어 체인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캠이 전용 링크와 맞물려 맨드릴이 블랭킷 휠로부터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킵 인쇄 작업이 달성되며, 이에 따라 인쇄 작업이 저지되거나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크바초(Cvacho)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63,170호에는, 맨드릴에 부착된 캠 종동절이 캠의 표면과 맞물릴 때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맨드릴이 서로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경로를 따라 맨드릴이 안내되는 스킵 인쇄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캠은 피봇 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액츄에이터에 의해 캠 종동절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로 선회된다.
스미스(Smit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279,360호에는, 캠 롤러가 블랭크 캔이 위치된 맨드릴을 블랭킷 휠의 인쇄부 쪽으로 가압시키는 캔 인쇄기가 개시되어 있다. 캠 롤러는 그가 캠의 표면과 맞물림으로써 가압된다. 캠이 캠 롤러와 접촉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스킵 인쇄 작업이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맨드릴은 그에 위치된 캔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어반(Urb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996,851호에는, 맨드릴 캠 종동절이 맨드릴 캠과 맞물려 맨드릴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인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캔 인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잠금 기구가 캠 종동절이 캠과 맞물리지 못하게 하여 맨드릴이 블랭킷 휠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한다.
러셀(Russ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613,571호에는, 암(arm)의 단부에 장착된 맨드릴이 개시되어 있다. 스킵 인쇄 작업을 달성하기 위해서, 맨드릴이 장착된 단부에 대향된 단부에 있는 지점을 중심으로 암이 선회되어 맨드릴을 블랭킷 휠로부터 이격시켜 이동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캔 장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2-2의 방향으로 본 맨드릴 캐리어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3-3의 방향으로 본 맨드릴 캐리어 조립체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맨드릴 캐리어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라이너 슬라이드의 롤러와 맞물린 모노레일을 그 말단부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맨드릴 부조립체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편심 맨드릴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화살표 8-8의 방향으로 본 본 발명에 따른 맨드릴 조립체 일부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트립 레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그 트립 레버의 슬리브 부재 쪽을 향하여 본 보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10-10의 방향으로 본 트립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화살표 11-11의 방향으로 본 본 발명에 따른 맨드릴 부조립체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12-12의 방향으로 본 맨드릴 부조립체의 부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맨드릴 캐리어 조립체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2의 화살표 14-14의 방향으로 본 맨드릴 캐리어 조립체의 부분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 15-15의 방향으로 본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트립 캠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선 14-14를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리셋 캠 종동절의 단면도로서 리셋 캠 종동절이 캔 인쇄기의 폐루프형 캠 트랙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캔 장식 장치에 의한 인쇄 작업을 저지시키거나 수행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스킵 인쇄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맨드릴 트립(mandrel trip)을 구비한 맨드릴 부조립체가 맨드릴 휠과 블랭킷 휠을 포함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에 결합된다. 각 맨드릴 부조립체는 맨드릴 휠의 외주에 장착된다. 맨드릴 휠 상의 각 맨드릴은 블랭크 캔을 종래 방식대로 수용한다. 캔에 인쇄하기 위하여, 맨드릴 상의 캔은 맨드릴 휠과 블랭킷 휠이 종래 방식대로 회전할 때 블랭킷 휠의 인쇄부 쪽으로 가압된다. 예를 들어 캔이 맨드릴 상에 위치되지 않았거나 부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기계식 맨드릴 트립이 이러한 맨드릴을 이동시켜서 부정확하게 위치된 캔이나 노출된 맨드릴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맨드릴 휠의 외주 주위에 장착된 다수의 지지 암(arm)이 포함된다. 각 지지 암은 횡방향 구멍 형태의 맨드릴 샤프트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멍 내에는 편심 맨드릴 샤프트의 비편심 제1 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각 편심 맨드릴 샤프트의 편심 제2 부분은 그의 외부 표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맨드릴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제2 부분은 맨드릴 시트(mandrel seat)의 역할을 한다. 각 편심 맨드릴 샤프트의 제2 부분은 편심 맨드릴 샤프트의 제1 부분의 중앙축으로부터 편위된 중앙축을 구비한다.
트립 레버(trip lever)가 편심 맨드릴 샤프트의 제1 부분의 스터브 부분(stub portion)에 부착되고, 그 스터브 부분은 암의 횡방향 구멍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트립 레버의 운동으로 인해, 편심 맨드릴이 편심 맨드릴 샤프트의 제1 부분의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부분, 즉 맨드릴 시트가 제1 부분의 중앙축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편심 맨드릴 샤프트의 제1 부분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의 제2 부분 상에 있는 인쇄되지 않을 블랭크 캔이나 노출된 맨드릴이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 경로를 따라 블랭킷 휠로부터 이격되어 맨드릴 휠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편심 샤프트의 제1 부분을 대향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캔이 정확하게 위치된 맨드릴이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 경로를 따라 맨드릴 휠의 중심으로부터 맨드릴 상에 있는 블랭크 캔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트립 레버 부재는, 트립 암(trip arm)과, 편심 샤프트 주위로 서로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고 슬리브 부재에 의해 편심 샤프트의 제1 부분에 연결되는 리셋 암(reset arm)을 포함한다. 트립 암은 그에 배치된 트립 캠 종동절(trip cam follower)을 구비하고, 리셋 암은 그에 배치된 리셋 캠 종동절(reset cam follower)을 구비한다. 이동가능한 트립 플레이트가 트립 캠 종동절 중 선택된 하나와 맞물리도록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트립 레버의 트립 암 상에 있는 트립 캠 종동절이 트립 캠과 맞물리게 되면, 트립 레버가 부착된 편심 맨드릴 샤프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편심 맨드릴 샤프트의 제2 부분 상에 장착된 맨드릴이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 경로를 따라 블랭킷 휠로부터 이격되어 맨드릴 휠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리셋 캠 플레이트(reset cam plate)는 트립 캠 플레이트(trip cam plate)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되었던 트립 레버 부재의 리셋 캠 종동절과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리셋 캠 종동절이 리셋 캠 플레이트와 맞물리게 되면, 트립 레버가 그의 해당 맨드릴을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 경로를 따라 맨드릴 휠의 중심으로부터 이격시켜 맨드릴 상에 있는 블랭크 캔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시키게 된다.
오버 센터 스프링(over-center spring)이 인쇄 위치에서 해당 맨드릴을 인쇄부에 대해 유지시키고, 또한 맨드릴을 맨드릴이 블랭킷 휠의 인쇄부로부터 이격되는 비인쇄 위치로 가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이동가능한 트립 캠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그들 각각은 트립 캠 종동절 중 각 하나의 그룹에만 맞물린다. 각 트립 캠 플레이트는 각 공기 작동 피스톤 암의 작동에 의해서 트립 캠 종동절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고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도 1은 내부에 본 발명품이 설치될 수 있는 자동 캔 장식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장식되지 않은 블랭크 캔(12)을 캔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수용하고 그 캔을 아치형 크래들(cradle)(14)에 위치시키는 인피드 컨베이어 슈트(infeed conveyor chute)(10)를 포함하며, 상기 아치형 크래들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이격된 분할 링(16, 18)의 외부 가장자리에 있는 정렬된 함몰부이다.
도 2와 도 3에 따르면, 이격된 분할 링(16, 18)은, 맨드릴 휠(20)의 전방에 위치되고 각도 방향으로 이격된 8개의 독립물(standoff)(24)에 의해 맨드릴 휠(20)에 고정되는 지지 링(22)에 의해서 상기 맨드릴 휠(20)에 고정된다. 포켓 링(16, 18)의 일부가 스크류(26)에 의해 지지 링(22)에 고정된다.
맨드릴 휠(20)은 구동 샤프트(28) 상에 장착되고 그 구동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구동 샤프트(28)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프레임의 고정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28)와 허브(34) 사이에 배치된 테이퍼진 슬리브(32)와 맞물리는 키(key)(30)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28)와 맨드릴 휠(20)이 연결된다. 허브(34)는 맨드릴 휠(20)에 용접된다.
맨드릴(78)이 맨드릴 부조립체(아래에 설명함)에 의해 맨드릴 휠(20)에 장착된다. 각 맨드릴(78)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아치형 크래들(14)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맨드릴은 인피드 컨베이어(10) 하류의 적재 영역을 관통한다. 적재 영역에서, 디플렉터(deflector)(미도시)가 블랭크 캔(12)을 수평 방향 및 후방으로 이동시켜 캔을 그의 크래들(14)로부터 맨드릴(78)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어서, 공기 진공 시스템(미도시)에 의하여 맨드릴(78)의 축방향 통로(다음에 설명함)를 통해 흡입력이 인가되어 캔(12)이 맨드릴(78) 상에 안착되도록 잡아 당겨지게 된다.
도 1에 따르면, 캔이 맨드릴(78) 상에 안착되어 있는 동안에, 그 캔을 연속 회전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블랭크 캔(12)의 표면이 장식된다. 캔이 장식된 후 맨드릴 상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장식된 캔은 바니쉬 유닛(varnish unit)(40)의 도포기 롤(38)에 의해 광택제의 보호층으로 코팅된다. 이어서 캔(12)은 이송 휠(42)이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맨드릴(78)로부터 이송 휠(42)의 외주에 장착된 흡입 컵(미도시)으로 이송된다. 그 다음에, 캔(12)은 송출 컨베이어(48)로부터 돌출된 수평 핀(46)에 배치된다. 이어서 캔(12)은 송출 컨베이어(48)에 의해 경화 오븐(미도시)으로 운반된다, 이로써 블랭크 캔(12)에 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쇄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때때로, 블랭크 캔(12)이 맨드릴(78) 상에 위치되지 않거나 부정확하게 위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캔이 잘못 인쇄되어 캔을 폐기시켜야 하는 경우나 또는 노출된 맨드릴에 이미지를 인쇄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센서나 검출기(49)가 맨드릴(78)이 노출되었는지 또는 캔이 맨드릴 상에 부정확하게 위치되었는지를 탐지한다. 이러한 맨드릴은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에 대해 "비인쇄"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맨드릴(78)(도 2)이 블랭킷 휠(41)을 거쳐 회전될 때, 그 맨드릴은 상기 휠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그 다음에, 맨드릴(78)은 다시 블랭크 캔(12)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맨드릴(78)이 인쇄 위치로부터 비인쇄 위치로 또한 그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공정은, 센서(49)가 캔이 맨드릴에 위치되지 않았거나 부정확하게 위치되었음을 탐지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그 맨드릴(78)을 인쇄 위치로부터 이격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기계식 트립 기구(다음에 설명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 2는 맨드릴 휠(20) 상에 조립되어 있는 맨드릴(78)을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맨드릴 휠(20)은 중앙축(45)을 구비한 강재 디스크이다. 도 4에 따르면, 맨드릴 휠(20)은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24개의 맨드릴 부조립체(50)를 구비한다. 맨드릴 부조립체(50)는 맨드릴 휠(20) 주위로 균등하게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 3에서, 각 맨드릴 부조립체(50)는 맨드릴 휠(20)의 외주에 장착된 지지 암(43)을 포함한다.
도 2와 도 3에 따르면, 모노레일(monorail)(37)이 스크류(35)에 의해 지지 암(43)의 표면에 장착되고, 맨드릴 휠(20)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스크류(31)에 의해 맨드릴 휠(20)에 장착된 한 쌍의 슬라이드(slide)(33)가 모노레일(37)과 맞물린다. 슬라이드(33)는 정렬된 실린더형 롤러식 베어링 유닛(34)(도 5)을 포함하고, 이 베어링 유닛은 모노레일(37)과 협동하여 각 맨드릴 부조립체(50)가 맨드릴 휠(20)의 중앙축(45)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한다.
한 쌍의 종동절(29, 27)이 모노레일(37)이 장착된 표면에 대향되는 지지 암(43)의 표면에 장착된다. 종동절은 지지 암(43)의 개구(23)로부터 돌출된 스터브 샤프트(25)에 의해 장착된다. 종동절(29, 27)은 폐루프형 캠 트랙(또는 마스터 캠)(21)을 따라 그에 의해 수용된다. 폐루프형 캠 트랙(21)은 도 13과 도 1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경로를 따라 맨드릴 부조립체(50)를 안내한다.
유지기(19)가 각 암(43)의 반경 방향 내부 단부에 고정되어, 맨드릴 부조립체(50)의 레일(37)과 슬라이드(33) 사이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스크류(17)가 유지기(19)를 레일(37)의 반경 방향 내부 단부에 있는 작동 위치에 고정시킨다. 개구(15)를 통해 윤활제가 유입되어 슬라이드(33, 33)의 베어링 요소(34)(도 5)를 윤활시키게 된다. 지지 암(43)의 구조와 그를 맨드릴 휠(20) 상에 조립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6,167,805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 미국 특허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각 맨드릴(78)은 선택적으로 그 맨드릴 상의 캔(12)을 유지시키거나 배출시키도록 사용되는 공기 및 진공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다. 맨드릴 샤프트(56)(도 6)의 측부에 배치된 개구(82)(도 6)에서 마감되고 맨드릴 샤프트(56)(도 7)의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공기 채널(80)(도 6)을 통해서 가압 공기와 진공이 선택으로 가해진다. 공기를 개구를 통해 흡입하여 진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캔(12)을 맨드릴(78) 상에서 유지시키거나, 공기를 개구를 통해 분출하여 맨드릴(78) 상에 배치되어 있는 캔(12)을 배출시키게 된다.
도 2에 따르면, 공기 채널(80)(도 6)은 피팅(57)에 의해 가요성 호스(55)의 제1 단부에 부착된 스터브 부품(51, 53)을 통해서 공기 및 진공 시스템과 소통된다. 가요성 호스(55)의 타 단부에는 피팅(fitting)(59)이 구비된다. 피팅(59)은 가요성 파이프(55)를 강성 스터브 파이프(63)를 통해 허브 부착물(61)에 연결시킨다. 페이스 밸브(face-valve) 장치의 제어에 의해서 가압 공기와 진공이 호스(55)에 가해지며, 상기 페이스 밸브 장치는 고정 프레임(미도시)에 장착된 고정 밸브 요소(65)와 허브 부착물(61)에 있는 채널(69)의 일 단부와 정렬된 개구를 구비하는 내마모성 회전 플레이트(67)를 포함한다.
도 6과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맨드릴 트립 기구를 포함하는 맨드릴 부조립체(50)가 도시되어 있다. 맨드릴 부조립체(5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맨드릴 휠(20) 상에 장착된 지지 암(43)을 포함한다. 지지 암(43)은 그를 관통하는 구멍(54)을 포함한다. 구멍(54)의 중앙축은 바람직하게는 맨드릴 휠(20)의 중앙축(45)과 평행하다. 결과적으로, 지지 암(43)에 장착된 맨드릴(78)은 맨드릴 휠(20)의 중앙축(45)(도 2)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구멍(54)의 크기는, 대향 방향들로 테이퍼져서 대향 방향 힘들에 대항할 수 있고 환형 분할기(62)에 의해 분리되는 테이퍼진 제1 롤러 베어링(58) 및 테이퍼진 제2 롤러 베어링(60)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제1 롤러 베어링(58) 및 제2 롤러 베어링(60)의 각 내부 링과 환형 분할기(62)의 개구는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도 7)의 외부 표면 주위로 안착되어 설치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테이퍼진 제1 롤러 베어링(58), 테이퍼진 제2 롤러 베어링(60) 및 환형 분할기(62)가 구멍(54) 내부에 설치되어,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이 지지 암(43)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장치는 구멍(54) 내부에서 밀봉되어 베어링의 윤활제가 먼지와 다른 바람직하지 못한 물질들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은 회전축(74)을 구비하며,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부분이 구멍(54) 내부에서 회전된다.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은, 맨드릴 시트의 역할을 하고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과 일체형으로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맨드릴 샤프트의 제1 부분(56a)과 단일체를 형성하는 샤프트(56)의 편심 제2 부분(56b)과 협동한다. 맨드릴 샤프트(56)의 편심 제2 부분(56b)의 중앙축(56)은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의 축(74)으로부터 편위되어, 맨드릴 샤프트(56)가 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편심 제2 부분(56b)이 그 맨드릴 샤프트(56)의 축(74)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맨드릴(78)은 맨드릴 샤프트(56)의 편심 제2 부분(56b)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공기 채널(80)이 맨드릴(78)의 개구(80a)로부터 맨드릴 샤프트(56) 측부의 개구(82)로 연장된다. 맨드릴 샤프트(56) 측부의 개구(82)는 환형 분할기(62)에 형성된 환형 홈(84)으로 연통된다. 환형 홈(8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암(43) 내의 공기 유입구(air portal)(86)를 통해 공기 및 진공 시스템과 소통된다. 특히, 공기 유입구(86)는, 스터브 파이프(51)(도 2)에 연결된 개구(86a)와, 환형 분할기(62)의 외부 표면에 있는 환형 외부 홈(88)으로 연통되는 구멍(54) 표면의 개구(86b)를 구비한다. 개구(90)는 환형 분할기(62)의 외부 표면에 있는 외부 홈(88)을 내부 환형 홈(84)으로 연결시켜, 공기가 공기 및 진공 시스템으로부터 공기 채널(80)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수작업이나 공기 압력에 의해 캔(12)이 선택적으로 맨드릴(78) 상에서 유지되거나 배출되도록 한다.
환형 분할기(62)의 외부 표면에 있는 외부 한형 홈(88)은 테이퍼진 롤러 베어링(58, 60)으로부터 윤활제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봉된다. 축방향 내측 표면에 베어링 표면을 구비한 잠금 너트(100)가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을 지지 암(43)에 고정시킨다. 맨드릴 샤프트(56) 제1 부분(56a)의 스터브 부분(102)이 잠금 너트(100) 외부로 연장된다.
도 8,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맨드릴 샤프트(56)의 스터브 부분(102)에 고정된 트립 레버(104)가, 트립 암(106)과, 리셋 암(112)과, 스터브 부분(102)의 외부 표면 상에 설치되는 슬리브(104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립 암(106), 리셋 암(112) 및 슬리브(104a)는 단일체를 형성한다. 트립 암(106)은 스터브 부분(102)으로부터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트립 캠 종동절(108)은 트립 암(106)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다.
트립 암(106)으로부터 각도 방향으로 이격된 리셋 암(112)도 스터브 부분(102)으로부터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셋 캠 종동절(110)은 리셋 암(112)에 배치된다.
도 8에 따르면, 지지 암(43)에 장착된 제1 스프링 포스트(spring post)(116)와 트립 레버(104)에 장착된 제2 스프링 포스트(118)에 오버 센터 스프링(114)의 단부들이 고정되고, 이 오버 센터 스프링은 그 두 스프링 포스트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8, 도 11 및 도 12에 따르면, 해당 맨드릴 상에 배치된 캔이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와 접촉되는 인쇄 위치(실선으로 도시된 위치 A)에 트립 레버(104)가 있을 때, 스프링(114)이 스프링 포스트(118)를 잡아 당기게 되어 암(43)의 스크류 포스트(121)에 배치된 조절가능한 길이를 갖는 볼트일 수 있는 조절 부재(120)가 벽(22)에 맞대어지게 된다. 벽(122)은 리셋 캠 종동절(122)이 배치되는 평면 아래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리셋 암(112)과 일체로 형성된다.
조절 부재(120)가 벽(122)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될 때, 트립 레버(104)는 스터브 부분(102)을 도 8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는, 맨드릴 샤프트(56)의 제2 부분(56b)에 배치된 맨드릴이 맨드릴 휠의 인쇄부(47)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조절 부재(120)가 벽(122) 쪽으로 이동될 때, 트립 레버(104)는 스터브 부분(102)을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맨드릴 샤프트(56)의 제2 부분(56b)에 배치된 맨드릴이 맨드릴 휠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져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 부재(120)와 벽(122)은 그들의 해당 맨드릴을 다른 맨드릴과 맨드릴 휠에 대해 정확한 반경 방향 위치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114)이 인쇄 위치 A에 있을 때, 스프링(102)에 의해 스터브 부분(102)에 힘이 가해져서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을 도 8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또한, 맨드릴 샤프트(56)의 제1 부분(56a)이 선회됨으로써 상기 맨드릴 샤프트의 편심 제2 부분(56b)이 그의 해당 맨드릴(78)을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에 대해 가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맨드릴(78)에 배치된 블랭크 캔에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114)이 인쇄 위치에 있을 때, 맨드릴(78)은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인쇄 위치에 있게 된다.
트립 레버(104)가 비인쇄 위치(도 8에 파선으로 도시된 위치 B)에 있을 때, 트립 레버(104)가 스터브 부분(102)을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되어, 맨드릴 샤프트(56)의 편심 제2 부분(56b)이 그의 해당 맨드릴(78)을 그의 인쇄 위치(위치 A)로부터 후퇴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터브 부분(102)이 선회됨으로써, 맨드릴 샤프트(56)의 편심 제2 부분(56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맨드릴(78)이 인쇄 위치로부터 비인쇄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맨드릴(78)을 비인쇄 위치로부터 인쇄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리셋 캠 종동절(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터브 부분(102)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게 된다. 스프링(114)이 중심 위치, 즉 맨드릴 샤프트(56)의 축(74)을 통과하게 되면, 그 스프링은 벽(122)이 조절 부재(120)에 맞대어질 때까지 스프링 포스트(118)를 잡아 당기게 되어, 맨드릴(78)이 인쇄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제, 인쇄 모드와 비인쇄 위치 사이의 전이에 대해서 도 13과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맨드릴 휠(20)의 중앙축(4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여러 개의 맨드릴 부조립체(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맨드릴 휠(20) 상에 배치된 맨드릴 부조립체(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블랭크 캔(12)은 각 부조립체(50)의 맨드릴(7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종동절(29, 27)(도 2)이 캠 트랙(21)에 의해 설정된 경로를 따를 때, 암(43)이 맨드릴 휠(20)의 중앙축(45) 쪽으로 이동되고 또한 그 중앙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된다. 캠 트랙(21)은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의 곡률 반경에 대응되는 곡형부(52)를 구비한다. 인쇄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암(43)(미도시)이 곡형부(52)를 따라 안내되어, 해당 맨드릴(78)(미도시) 상에 배치된 블랭크 캔(12)이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에 대해 가압되도록 한다. 이 때 주목하여야 할 점은, 암(43)이 곡형부(52)를 따라 이동될 때, 도 1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78) 상에 배치된 캔(12)이 회전되어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 상에서 구르게 된다는 점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2)이 맨드릴 휠(20)의 중앙축(4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캔은 그가 배치된 맨드릴(78)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 상에서 구르게 된다. 도면 부호 12'는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와 접촉되는 위치에 있는 캔(12)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따르면, 제1 캠 플레이트(124)는, 공기 작동 피스톤(128)이 상기 제1 캠 플레이트(124)를 맨드릴 부조립체(50)가 장착되는 맨드릴 휠(20) 쪽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 캠 플레이트(124)가 캠 종동절(108)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로 피봇 핀(126)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설정된다. 공기 작동 피스톤(128)은, 블랭크 캔이 맨드릴 상에 위치되지 않았거나 맨드릴 상에 부정확하게 위치되었음을 나타내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캔 장식 장치의 센서(49)(도 1)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응하여 작동된다. 트립 캠 종동절(108)이 트립 캠 플레이트(124)와 맞물림으로써, 캠 종동절(108)과 결합된 해당 편심 맨드릴 샤프트(5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맨드릴 샤프트 상에 장착된 맨드릴(78)이 인쇄 위치로부터 비인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2 캠 플레이트(125)는 제2 공기 작동 피스톤(미도시)이 상기 제2 캠 플레이트(125)를 그가 맨드릴 부조립체(50)의 트립 캠 종동절(108A)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 쪽으로 가압시킬 때 피봇 핀(126)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제1 캠 플레이트(124)는 한 세트의 트립 캠 종동절(108)에만 접촉할 수 있으며, 제2 캠 플레이트(125)는 그 나머지 세트의 트립 캠 종동절(108A)에만 접촉할 수 있다. 각 맨드릴 부조립체(50) 상의 트립 캠 종동절(108, 108A)은 바람직하게는 각 맨드릴 부조립체(50)의 지지 암(43)에 상대적으로 보다 가까운 위치(예를 들어 도 6의 도면 부호 108A)에 또한 각 부조립체(50)의 지지 암(43)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보다 떨어진 위치(예를 들어 도 6의 도면 부호 108)에 교번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124)와 캠 플레이트(125)는 트립 캠 종동절과 단지 하나씩 교번되어 접촉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트립 캠 종동절(108, 108A)이 이격되어서 교번되어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캠 플레이트(124, 125)가 작동된 후 상기 캠 플레이트를 충분한 시간동안 후퇴시킬 수 있어, 상기 캠 플레이트가 후속 맨드릴 부조립체의 트립 캠 종동절(108, 108A)과 우발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맨드릴 부조립체(50) 상의 맨드릴 트립 레버(104)가 트립 캠 플레이트(124, 125) 중 하나와 트립 캠 종동절(108)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작동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맨드릴(78)이 비인쇄 위치로 이동된다. 도 13에는, 반경 방향 내측 작동 위치에 위치되어 블랭킷 휠(41)의 인쇄부(47)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맨드릴(78, 78')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만일 맨드릴(78)이 비인쇄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다면, 상기 맨드릴 상에 위치된 캔(12)이 인쇄 블랭킷 부분(47)과 접촉하여 그 인쇄 블랭킷 부분(47) 상에서 구르게 되어, 상기 캔 상에 이미지가 인쇄되게 된다. 캔(12')은 캔(12)이 인쇄 블랭킷 부분(47) 상으로 더욱 하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따르면, 작동된 맨드릴이 블랭킷 휠(41)을 통과하여 이동하게 되면, 작동된 맨드릴의 해당 맨드릴 부조립체(50) 상의 리셋 캠 종동절(110)이 고정 리셋 캠 플레이트(130)의 캠 표면과 접촉하여(도 14의 하단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작동된 맨드릴(78)과 결합된 트립 레버(104)를 비인쇄 위치(도 8의 위치 B)로부터 인쇄 위치(도 8의 위치 A)로 이동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리셋 캠 플레이트(130)와 접촉하는 캠 종동절(110)과 결합된 작동 맨드릴(78)이 비인쇄 위치로부터 다시 인쇄 위치로 이동되며, 이 인쇄 위치에서 상기 맨드릴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수용되는 블랭크 캔(12)을 블랭킷 휠(41)(도 1)의 인쇄부(47)와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립 캠 플레이트(124, 125)와 이들의 각 해당 작동 피스톤(예를 들어 도면 부호 128)은 그들을 맨드릴 부조립체(50)의 경로 부근에 있는 적절한 위치에 지지하는 암(132)에 배치된다. 암(132)은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캔 장식 장치의 주 케이싱(134)에 장착된다. 주 케이싱(134)은 캔 인쇄기의 다양한 요소들의 지지 하우징 역할을 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셋 캠 플레이트(130)가 작동 맨드릴의 해당 맨드릴 부조립체 상에 있는 리셋 캠 종동절(110)과 접촉하여 그 리셋 캠 종동절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 맨드릴(78)과 결합된 트립 레버(104)를 비인쇄 위치(도 8의 위치 B)로부터 인쇄 위치(도 8의 위치 A)로 이동시키게 되는 위치에서, 상기 리셋 캠 플레이트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루프형 캠 트랙(21)에 인접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다른 수정예 및 변형예와 다른 사용 용도에 대해서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개시 내용 뿐만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도 한정된다.

Claims (18)

  1. a) 맨드릴 샤프트의 제1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맨드릴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맨드릴 휠과;
    b) 인쇄부를 구비한 블랭킷 휠로서, 블랭크 캔의 외부 표면이 상기 인쇄부와 접촉하여 위치될 때 상기 인쇄부가 상기 블랭크 캔의 외부 표면에 장식을 인쇄하는 블랭킷 휠과;
    c) 각각 상기 맨드릴 휠의 외주에 장착된 다수의 이격된 맨드릴 부조립체로서, 이 맨드릴 부조립체 각각에는, 상기 맨드릴 휠의 외주에 연결되고 상기 맨드릴 휠 샤프트의 제1 중앙축에 평행한 제2 중앙축을 구비한 샤프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샤프트 지지부의 제2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연장된 스터브 부분을 포함하는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에 부착되고 상기 작동부의 제2 중앙축에 평행하지만 그로부터 편위된 제3 중앙축을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 지지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맨드릴 시트를 포함하는, 편심 맨드릴 샤프트와,
    블랭크 캔을 수용하고 상기 맨드릴 시트 상에 장착되는 맨드릴과,
    상기 스터브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스터브 부분에 편심인 트립 캠 종동절과,
    상기 스터브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스터브 부분에 편심이며 상기 트립 암으로부터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는 리셋 캠 종동절이 포함되는, 다수의 이격된 맨드릴 부조립체를 포함하고, 또한
    d) 트립 캠 표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트립 캠 플레이트로서, 상기 트립 캠 표면이 상기 트립 캠 종동절과 맞물리도록 상기 이동가능한 트립 캠 플레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트립 캠 표면이 제1 방향으로 상기 트립 캠 종동절을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트립 캠 플레이트와;
    e) 리셋 캠 표면을 구비하는 리셋 캠 플레이트로서, 상기 리셋 캠 종동절과 상기 리셋 캠 표면이 서로 맞물릴 때 상기 리셋 캠 표면이 제2 방향으로 상기 리셋 캠 종동절을 가압시키는 리셋 캠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트립 캠 종동절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맨드릴 상에 수용된 블랭크 캔의 외부 표면이 상기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되지 않는 비인쇄 위치로 상기 맨드릴이 이동되도록 상기 맨드릴 시트가 상기 작동부의 제2 중앙축을 중심으로 선회되게 상기 편심 샤프트의 작동부가 상기 제2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리셋 캠 종동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맨드릴 상에 있는 블랭크 캔의 외부 표면이 상기 블랭킷 휠의 인쇄부와 접촉되는 인쇄 위치로 상기 맨드릴이 이동되도록 상기 맨드릴 시트가 상기 작동부의 제2 중앙축을 중심으로 선회되게 상기 편심 샤프트의 작동부가 상기 제2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되고 트립 캠 종동절이 장착되는 트립 암과,
    상기 스터브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되고 상기 트립 암으로부터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며 리셋 캠 종동절이 장착되는 리셋 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 부분에 설치된 공통 슬리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트립 암과 상기 리셋 암은 상기 공통 슬리브에 의해 상기 스터브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 캠 종동절에 배치된 제1 스프링 포스트와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된 제2 스프링 포스트에 연결되는 편심(off-center)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편심 스프링은 상기 리셋 캠 종동절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편심 스프링이 상기 스터브 부분을 통과할 때 상기 맨드릴을 인쇄부 쪽으로 잡아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상에 수용되는 블랭크 캔의 외부 표면과 상기 블랭킷 휠의 인쇄부 사이의 접촉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절 기구는 상기 스터브 부분에 연결된 벽부에 맞대어지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맨드릴 상에 수용되는 블랭크 캔의 외부 표면과 상기 블랭킷 휠의 인쇄부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편심 스프링의 인장력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게 상기 스터브 부분을 선회시키도록 상기 벽부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스크류 포스트 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벽부에 맞대어진 팁을 구비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 트립 캠을 구비한 적어도 2개의 트립 캠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립 캠 종동절의 제1 그룹이 상기 트립 캠 플레이트 중 제1 트립 캠 플레이트의 캠 표면에 맞물리고 상기 트립 캠 종동절의 제2 그룹이 상기 트립 캠 플레이트 중 제2 트립 캠 플레이트의 트립 캠 표면에 맞물리도록 상기 트립 캠과 상기 트립 캠 종동절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맨드릴 부조립체는 상기 트립 캠 종동절의 제1 그룹과 상기 트립 캠 종동절의 제2 그룹 중 하나인 하나의 트립 캠 종동절만을 교번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캠 플레이트는 상기 맨드릴 휠의 외주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셋 캠 플레이트는 상기 맨드릴 휠의 외주 내부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캠 플레이트는 피봇 핀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캠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캠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공기로 작동되는 피스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시트는 상기 스터브 부분에 대향된 상기 편심 샤프트의 작동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대향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맨드릴 휠 샤프트의 중앙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외팔보형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맨드릴 샤프트를 통해 연장된 공기 채널을 통하여 각 맨드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공기/진공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지지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환형 분할기에 의해 분할된 한 쌍의 테이퍼진 롤러 베어링에 의해서 상기 구멍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 암과 상기 리셋 암은 단일체를 형성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캔 장식 장치.
KR10-2004-7019870A 2002-07-22 2003-05-19 기계식 맨드릴 트립 KR20050020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9870A KR20050020822A (ko) 2002-07-22 2003-05-19 기계식 맨드릴 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00,817 2002-07-22
KR10-2004-7019870A KR20050020822A (ko) 2002-07-22 2003-05-19 기계식 맨드릴 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822A true KR20050020822A (ko) 2005-03-04

Family

ID=4178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870A KR20050020822A (ko) 2002-07-22 2003-05-19 기계식 맨드릴 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0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58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multicolored container body blanks in a single pass
EP1551632B1 (en) Mechanical mandrel trip
JPS6027571B2 (ja) 円筒容器用装飾装置
KR880005002A (ko) 원통형 캔 몸체에 잉크 무늬를 붙이는 장식 장치 및 그 방법
EP1011971B1 (en) Spindle disc for high speed can decorators
JP2628777B2 (ja) 印刷機用紙送り装置
US3124065A (en) Method and machine for printing plastic bottles
EP0494659B1 (en) Can coater with improved deactivator responsive to absence of a workpiece
US5740727A (en) Can decorating apparatus
CA1307419C (en) Rotatable cam for skip-print mandrel wheel assembly
KR20050020822A (ko) 기계식 맨드릴 트립
AU707128B2 (en) Vertical track for mandrel assembly of continuous motion can decorators
US6840166B2 (en) Mandrel trip apparatus
US4836104A (en) Sheet transfer mechanism for a freshly printed sheet
US3762315A (en) Container seam locator and positioner for container printing machine
GB1591882A (en) Continuous can printer and discharge apparatus and method
JPS6233952B2 (ko)
JP5930277B2 (ja) 胴の支持装置
GB1591883A (en) Continuous can printer
JPS6226315B2 (ko)
JPH0336025B2 (ko)
JPS633748B2 (ko)
JPS62131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