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388A -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388A
KR20050020388A KR1020030058298A KR20030058298A KR20050020388A KR 20050020388 A KR20050020388 A KR 20050020388A KR 1020030058298 A KR1020030058298 A KR 1020030058298A KR 20030058298 A KR20030058298 A KR 20030058298A KR 20050020388 A KR20050020388 A KR 20050020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information
security
security z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호
Original Assignee
서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호 filed Critical 서원호
Priority to KR102003005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0388A/ko
Publication of KR2005002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388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보안구역을 출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가 제3자에 의해 도용 또는 강탈 사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이용자의 보안구역 출입시도에 대한 통지, 허용, 거부, 신고, 본인/관리자 확인 후 허용 또는 거부 등의 조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취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자세하게는 보안구역에 설치된 출입통제 서버에게 이용자가 제공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근거로 해당 보안구역으로의 출입을 허용, 거부, 신고, 본인/관리자 확인 후 허용 또는 거부 등의 동작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보안구역 출입정보의 도용으로 인한 보안구역의 침입을 예방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히 조치를 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에 의한 보안구역으로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협박이나 납치 등의 불가항력적인 상황에서 보안 구역 출입 정보를 누설하더라도 자동으로 즉각적인 신고조치가 취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구역의 침입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eventing surreptitious use of security information of going in and out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용자가 보안구역을 출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가 제3자에 의해 도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면서 보안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기업이나 개발실, 공공기관과 같이 보안이 필요한 구역에는 보안구역 출입관리시스템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즉, 종래 보안구역 출입관리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구역의 출입구에는 출입통제단말(1)이 설치되고 출입통제 단말(1)들을 제어하는 출입통제 서버(2)를 통해 이용자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보안구역 출입관리시스템은 비단 기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맞벌이 부부의 증가 및 범죄의 다각화로 인해 가정의 현관이나 아파트 현관 등에도 적용되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보안구역 출입관리시스템은 이용자에게 고유 번호, 사번, 주민번호 등과 같은 보안구역 출입정보가 저장되는 출입카드를 발급함과 더불어 각 출입구 마다 출입 통제 단말(1)을 설치하고 이용자에게 발급된 출입카드의 이용에 따른 출입여부를 출입통제 서버(2)에서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출입통제 서버(2)는 기등록된 보안구역 출입정보가 출입카드로부터 출입통제 단말(1)을 통해 인가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이용자의 출입을 허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용자가 해당 출입카드를 분실하거나 또는 소기의 목적을 갖는 제3자가 이용자의 출입카드를 도용하는 경우 출입통제 서버(2)는 아무런 대책 없이 제3자에게 보안구역으로의 출입을 허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출입카드를 통해 보안구역 출입정보의 제공과 함께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보안구역 출입정보로서 이용자만의 고유식별정보, 예컨대 이용자의 지문, 또는 홍채를 인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제3자에 의해 이용자가 협박을 당하거나 납치되어 있는 불가항력적인 상황에서는 이러한 대책도 의미가 없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출입통제장치의 보안책으로 출입통제장치가 설치된 곳에 카메라를 함께 설치하여 이용자의 인상착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기업의 경우 그 이용자가 다수이므로 관리자가 이용자별 보안구역 출입정보와 이용자 인상착의를 일일이 기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보안구역에 대한 출입요구시 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 및 그 출입조건정보를 근거로 회원이나 서비스 기관이 미리 설정해 둔 출입보안처리가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된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회원이 지정한 통신수단을 통해 보안구역의 출입시도를 즉시 통지하여 해당 관리자 또는 본인에 의한 확인 및 허용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자동으로 신고조치를 취하여 제3자에 의한 보안구역 침입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은 보안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통제단말과 결합되어 보안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통제 서버와, 상기 출입통제 서버와 연동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보안구역으로의 출입 보안관리를 수행하는 도용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도용방지장치에서 회원 별 보안구역 정보, 이용자 ID, 보안구역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처리하는 서비스등록단계와, 출입통제 서버는 이용자가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이용하여 보안구역으로의 출입을 시도를 하는 경우 해당 출입시도를 도용방지장치에게로 보고하는 사건보고단계, 도용방지장치는 출입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출입시도정보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보안구역 출입정보에 대해 기 등록된 조건정보를 확인하여 조건정보에 대응되는 출입보안처리를 행하는 사건조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은 보안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통제단말과 결합되어 보안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통제 서버와, 상기 출입통제 서버와 연동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보안구역으로의 출입 보안관리를 수행하는 도용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는 이용자가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시도를 행하는 경우, 출입 조건정보를 포함한 보안구역 출입시도정보를 도용방지장치로 통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용방지장치는 통신망과 결합하기 위한 소정 호 처리 수단과, 회원별 보안구역 출입정보와 보안구역 출입정보별 출입보안처리종류에 따른 조건정보 및 연락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부터 출입시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보안구역 출입정보의 조건정보에 대응되는 보안구역 출입보안처리를 행하도록 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보안구역을 출입하기 위해 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근거로 회원에 의해 유도되는 출입보안처리가 자동으로 행해지게 됨으로써, 이용자의 보안구역 출입정보의 도용으로 인해 타인이 보안구역에 침입하여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함은 물론, 제3자에 의한 협박이나 납치에 따른 불가항력적인 상황에서도 신속히 자동 신고처리를 행하도록 하여 제3자가 보안구역에 침입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구역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은 보안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통제단말(10)과 결합되어 이용자에 대하여 보안구역으로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통제 서버(20)와 도용방지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20) 및 도용방지장치(30)는 소정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통신망으로서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WLL(Wireless Local Loop),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Wireless LAN), 이동통신망, 인터넷, IMT-2000, LAN, MAN, RS232C 등 모든 통신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출입통제 서버(20)는 이용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업이나 각 가정 등과 같은 보안장소나, 중요문서, 현금, 통장 등과 같은 귀중품 보관함 등의 보안구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용자 별로 하나 또는 다수의 보안구역에 대해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출입통제 서버(20)로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출입통제 단말(10)에 출입카드를 접촉하거나 예컨대 비밀번호와 같은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 등 현재 또는 향후 개발되는 출입통제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용방지장치(30)는 출입통제 서버(20)와 연동하여 이용자에 대한 출입통제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보안 서비스 가입자(이하 "회원"이라 칭함)가 예컨대 이용자 ID, 비밀번호 등의 보안구역 출입정보와 각 조건에 따른 조치 방법, 회원과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전화망이나 인터넷 등의 회원 연락망 종류 정보, 연락처 우선순위 정보, 회원의 전화 번호, E-메일 주소 등의 확인 의뢰 정보 송출을 위한 연락처 등의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도용방지장치(30)는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등록하게 된다. 이후 도용방지장치(30)는 이용자로부터 출입통제 서버(20)를 통해 제공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근거로 회원이 지정한 출입보안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용방지장치(30)는 소정 호처리수단을 구비하여 소정 통신망, 즉 이동통신망이나 PSTN망, 인터넷 등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연락처로 보안구역으로의 출입시도를 통지하고, 데이터베이스 및 연락처로부터 제공되는 출입 확인 정보를 근거로 보안구역 출입에 대한 허용 또는 거절정보를 해당 출입통제 서버(20)로 송출하게 된다.
예컨대, 이용자가 출입통제 단말(10)을 통하여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입력하여 출입통제 서버(20)로 출입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출입통제 서버(20)는 도용방지장치(30)로 해당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포함한 출입시도를 보고하게 된다. 그러면, 도용방지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보안구역 출입정보에 대해 등록된 출입관리처리, 즉 출입 허용, 거부, 신고, 통지, 관리자 확인 후 처리 등의 조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통지에 해당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가 출입통제 서버(20)로부터 제공된 경우에는 해당 연락처로 소정 확인의뢰정보를 송출하고, 관리자 또는 본인 확인후 처리에 해당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가 출입통제 서버(20)로부터 제공된 경우에는 해당 연락처로 소정 확인의뢰정보를 송출하고 회원이 지정한 연락처로부터 제공되는 확인 통지 정보를 근거로 해당 출입통제 서버(20)로 이용자의 출입 요구에 대한 허용 또는 거절 요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용방지장치(30)는 본 서비스에 대한 신고가 요청된 경우 즉시 경찰서나 보안회사, 보안관리자 등의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신고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용방지장치(30)와 출입통제 서버(20)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암호화하여 제3자에게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출입통제 서버(20)와 결합하여 도용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통제 서버(20) 내에 본 발명에 따른 보안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모듈(30)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용방지장치(30)는 다양한 방법으로 소정 시스템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4는 상기한 도용방지장치(3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용방지장치(30)는 서비스제어단(31)과 서비스처리단(32)이 전용망(33)을 통해 결합되어 구성된다.
서비스제어단(31)은 출입 보안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부(311)와, 데이터베이스(312), 상기 서비스 제어부(311)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 예컨대 출입시도에 따른 각종 정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메모리(313), 운영자 정합을 위한 운영자 정합부(314) 및, 인터넷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웹 정합부(3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 제어부(311), 데이터베이스(312), 운영자 정합부(314), 웹 정합부(315) 등의 각 요소는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웹 정합부(315)는 출입통제 서버(20)나 회원이 인터넷을 통해 본 시스템에 접속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웹 페이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웹 정합부(315)는 회원과 출입통제 서버(20)로부터의 도용 방지 서비스 가입, 탈퇴, 정보 변경을 접수하고 도용 방지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 서비스 제어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312)에는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통제 서버(20) 별 하나 이상의 회원 ID가 등록되고 각 회원은 하나 이상의 이용자 식별정보(사번, 주민등록 번호, 출입 카드 번호 등)가 등록되며, 각 이용자 식별번호에 대하여 출입 구역, 비밀번호 등의 보안 구역 출입 정보, 출입 시간/ 출입 날짜 등의 조건정보 및 이에 따른 조치 방법, 회원과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전화망이나 인터넷 등의 회원 연락망 종류 정보, 연락처 우선순위 정보, 회원의 전화 번호 및, E-메일 주소 등의 확인 의뢰 정보 송출을 위한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312)에는 이용자 식별정보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조치방법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망 종류정보, 연락처 우선순위 정보 및 연락처 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제어단(31)은 상기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되는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처리단(32)을 제어함으로써 회원에게 보안구역 출입시도 및 그 결과를 통지하는 기능과 회원의 응답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처리단(32)은 상기 전용망(33)을 통해 서비스제어단(31)과 결합됨과 더불어, 랜(LAN)을 통해 인터넷과 결합되고, 유무선 전화망과는 중계선, 무선 또는 가입자 회선을 통해 연결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처리단(32)은 중계선 E1 링크 및 ISUP 프로토콜을 통해 유무선 전화망과 결합될 수 있다. 이 서비스처리단(32)은 상기 서비스제어단(31)의 제어에 따라 각 회원에게 보안구역 출입시도에 대한 통지 및 응답 수신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6은 E1 링크 및 ISUP 프로토콜을 통해 전화망에 결합되는 서비스처리단(32)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서비스처리단(32)은 서비스처리부(321)와, 신호처리부(322), 서비스 자원부(323) 및, 스위치부(3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처리부(321)는 허브(325)를 통해 전용망(33)에 결합되고, 서비스처리부(321), 신호처리부(322), 서비스 자원부(323) 및 스위치부(324)는 제어버스(Control Bus :326)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서비스처리부(321)는 E1 중계선 관리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MTP 레벨 3 이상의 No.7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망 정합기능과, 회원에게 보안구역 출입시도 확인 의뢰 정보를 송출함과 더불어, 회원으로부터 수신되는 확인 통지 정보를 상기 서비스제어단(31)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처리부(321)는 소정 번호번역 테이블을 구비하여 회원이 지정한 연락처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신호처리부(322)는 E1 정합을 위한 E1 인터페이스(322a)와, 트래픽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 인터페이스(322b) 및, No.7 레벨 1, 2 프로토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토콜 처리부(322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신호처리부(322)는 교환기와의 E1 트렁크 접속과, 회원에 대한 서비스정보 등의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처리 및, 교환기와 서비스 처리부(321)와의 ISU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자원부(323)는 서비스 처리부(32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ID에 대응되는 ID에 따라 소정의 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서비스자원 제어부(323a)와, 보안구역에 따른 다수의 출입시도 확인 의뢰 메시지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서비스 자원제어부(323a)로부터 인가되는 정보 ID에 대응되는 확인 의뢰 정보를 독출하여 소정 출입시도 확인 의뢰 메시지를 출력하는 정보발생부(323b) 및, 호 처리 시에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중음(Busy Tone)이나 음성안내 등의 가청정보(IBI : In-Band Information)를 검출함과 더불어 회원이 확인 의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입력하게 되는 DTMF 톤이나 음성 응답 등의 확인 통지 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한 응답검출부(323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서비스자원 제어부(323a)는 서비스 정보의 출력 제어와 더불어, 서비스제어단(31)으로부터 서비스 처리부(321)를 통해 실행되는 서비스정보 다운로딩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발생부(323b)에 대한 확인 의뢰 정보 업데이트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스위치부(324)는 신호처리부(322)의 트래픽 인터페이스(322b)와 서비스 자원부(323)의 정보발생부(323b)를 스위칭 결합하는 스위칭장치(324a)와, 상기 서비스처리부(321)로부터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스위칭장치(324a)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324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스위치부(324)는 서비스처리부(321)의 제어에 따라 회원이 지정한 연락처로 상기 정보발생부(323b)로부터 출력되는 확인 의뢰 요구 정보를 송출함과 더불어, 회원이 지정한 연락처로부터 인가되는 확인 통지 정보를 응답검출부(323c)가 감지하도록 스위칭 제어한다. 응답검출부(323c)는 감지된 확인 통지 정보를 서비스처리부(321)에 전달하며, 서비스처리부(321)는 확인 통지 정보를 서비스제어단(31)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도7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회원은 도용방지장치(30)로 일련의 보안서비스 가입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T1). 회원은 서비스제어단(31)의 웹정합부(315)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소정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소정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즉, 회원은 도 5에 예시된 각종 정보, 즉 이용자 식별정보와 비밀번호 등의 보안구역 출입정보 및 출입시간/날짜 등의 출입 조건별 출입보안 조치정보, 연락처정보 등을 도용방지장치(3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이용자에 대한 세부 정보는 출입통제 서버(20)에서 제공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출입통제 서버(20)가 다수의 이용자에 대한 출입관리를 행하는 경우 대량의 정보 입력에 따른 회원의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 도용방지장치(30)의 서비스제어단(31)은 웹정합부(315)를 통해 제공되는 출입보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 등록하게 된다(ST2).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312)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ID별 이용자 식별정보와 비밀번호, 보안구역정보 등의 보안구역 출입정보 및 출입시간/날짜 등의 출입 조건별 출입보안 조치정보,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 등록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출입통제 단말(10)을 통해 출입통제 서버(20)로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보안구역에 대한 출입을 시도하게 되면, 출입통제 서버(20)는 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 및 출입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사건보고 메시지를 도용방지장치(30)로 송출하게 된다(ST3). 이때, 상기 사건보고 정보는 IP 주소 등의 출입통제 서버(20) 정보와 이용자 ID, 출입 구역 정보, 비밀번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용자 ID는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출입카드에 등록된 정보를 출입통제 단말(10)이 읽어 제공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도용방지장치(30)는 출입통제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사건보고 메시지를 데이터메모리(313)에 일시 저장하게 된다(ST4).
이어, 도용방지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312)를 검색하여 그에 대응되는 출입보안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T5). 즉, 도용방지장치(30)의 서비스제어부(311)는 수신된 출입통제 서버 ID와 이용자 ID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312)를 1차 검색하여 이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1차 검색된 정보에서 출입통제 서버(20)로부터 수신된 보안구역 출입정보 및 출입조건정보를 검색하여 그에 따른 출입 보안관리처리를 행하게 된다.
즉, 출입통제 서버(20)로부터 수신된 보안구역 출입정보가 데이터베이스(312)에 등록된 정보이면, 도용방지장치(30)의 서비스제어부(311)는 데이터베이스(312)에서 해당 회원에 의해 기설정된 출입조건과 그 출입조건에 따른 조치 사항, 연락처 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적절한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대표적인 동작은, 소정의 확인의뢰메시지를 회원이 지정한 연락처를 통해 송출하는 것이다(ST6).
예컨대, 서비스제어부(311)는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된 회원이 지정한 연락망정보 중 사건보고 내용에 맞는 조건을 검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비밀번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보안구역 출입의 허용 및 통지/허용 및 신고/ 거부 및 신고/관리자 확인 후 허용/ 본인 확인 후 허용 등의 조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다. 서비스제어부(311)는 선택된 조치와 관련되어 통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연락처 정보 중에서 제 1순위로 설정된 연락망정보를 포함한 소정 확인 의뢰 정보, 예컨대 회원정보와 보안구역정보와 보안구역 출입정보 및 확인 의뢰 ID 정보를 서비스처리단(32)으로 전송하여 서비스자원부(323) 내의 정보발생부(323b)에 전달되게 한다. 여기서, 정보발생부(323b)에는 연락망정보 및 보안구역에 따른 확인 의뢰를 요구하는 메시지 포맷이 정보 ID에 대응되도록 저장되어 있는 바, 해당 확인 의뢰 메시지 포맷 정보에 수신된 확인 의뢰 정보를 합성하여 소정의 확인 의뢰 메시지를 생성 저장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제어부(311)는 데이터베이스(312)에서 검색된 1순위 연락망 및 연락처 정보를 서비스처리부(321)로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처리부(321)는 연락망 정보가 인터넷망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발생부(322b)에서 생성된 확인 의뢰 정보를 독출하여 인터넷을 통해 해당 E-메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처리부(321)는 서비스제어부(311)로부터 수신된 1순위 연락망 종류가 이동통신망이나 PSTN 등의 전화망인 경우에는 번호번역테이블을 근거로 소정의 번호번역을 실행하여 출중계 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신호방식이 ISUP인 경우, 서비스처리부(321)는 착신교환기에 대하여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송출하고, 이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IAM)에 대하여 착신응답 메시지(ANM)가 수신되면 스위치부(324)의 스위치제어부(324b)로 채널설정 메시지를 송출하여 착신가입자와 서비스 자원부(323) 사이를 소정의 트래픽 채널을 통해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처리부(321)는 서비스자원부(323)의 서비스자원제어부(323a)로 상기 채널정보와 서비스제어단(31)으로부터 수신된 확인 의뢰 정보 ID를 전송하게 된다. 이어, 서비스 자원 제어부(323a)는 정보발생부(323b)를 제어하여 상기 확인 의뢰 정보 ID에 보안구역 출입시도 확인 의뢰 정보, 즉 확인 의뢰 항목 정보 및 회원 정보 등을 합성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송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도4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하에서 이용자 ID 970303이 A-123 구역에 21시에 출입시도가 있게 된다면 정보발생부(323b)는 '현재 이용자 970303(000) 님이 A-123 구역(본사 현관) 출입시도가 있습니다. 출입을 허용하시면 1번을 눌러주세요.' 라는 음성 형태의 출입시도 확인 의뢰 메시지를 회원이 지정한 연락처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출입시도 시간이 10:00이고 비밀번호가 1122로 입력되어 출입허용 및 SMS 통지가 요구된다면 상기 서비스처리부(321)는 정보발생부(323b)로부터 해당 확인 의뢰 정보를 독출하여 SMSC로 송출함으로써, 문자 메시지로 통지하게 된다. 물론, 문자메시지에 대해서도 대화형 통신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회원이 지정한 관리자의 동의를 얻어 출입을 허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회원은 각 보안구역에 대해 비밀번호, 이용 시간, 이용 날짜 및 이들의 조합 등의 조건정보를 미리 등록해 두고, 해당 조건에 따른 출입 보안관리를 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비스처리단(32)은 제 1순위로 설정된 연락망으로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소정 접속 불가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제어단(31)으로 송출하고, 서비스제어단(31)은 데이터베이스(312)에서 해당 회원에 대해 제 2순위로 설정된 연락처정보를 독출하여 서비스처리단(32)으로 송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1순위로 설정된 SMS 통지가 실패한 경우 2순위로 설정된 회원의 E-mail로 해당 확인 의뢰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즉, 서비스제어단(31)은 데이터베이스(312)의 우선순위정보를 근거로 다양한 연락망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연락처와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도7의 ST6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출입시도 확인의뢰정보가 소정 통신망을 통해 회원의 연락처로 송출되고, 이에 대응되는 확인 통지 정보, 예컨대 출입 허용 또는 거부 정보가 회원의 연락처로부터 도용방지장치(30)로 수신되면(ST7), 도용방지장치(30)는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메모리(313)에 저장된 사건보고 출입통제 서버의 접속 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출입통제 서버(20)로 출입시도에 대한 허용 또는 거절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ST8). 출입통제 서버(20)는 도용방지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허용 또는 거절 정보에 따라 출입시도에 대한 허용 또는 거부 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도용방지장치(30)는 신고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절차에 따라 서비스처리단(32)를 통하여 기설정된 기관이나 관리자의 연락처로 신고 조치를 수행하게 된다(ST9). 이어, 도용방지장치(30)의 서비스제어부(311)는 출입시도 및 그 결과에 대한 상세 내역을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하고 데이터메모리(313)에 저장된 사건보고 정보를 지우고 종료하게 된다(ST10).
즉,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는 보안구역에 대한 출입을 위해 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근거로 회원이 원하는 출입 보안관리가 자동으로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구역에 대한 이용자의 출입 보안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자동 신고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면, 이용자가 제3자에게 납치 또는 협박을 당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1123"으로 알려준다. 제3자가 출입시도를 위해 비밀번호를 "1123"으로 입력하면, 이 정보는 도용방지장치(30)로 제공되고, 비밀번호가 "1123"으로 설정된 조치내용을 확인하여 출입을 허용함과 더불어 신고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3자는 출입이 허용됨에 안심하게 되므로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자동 신고처리를 통해 보안구역의 제3자 침입에 신속히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용의 시도가 있을 경우에는 비밀번호 입력 과정이 반복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비밀번호가 틀리게 입력되는 경우에도 회원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보안구역 출입정보의 도용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일정 시간(예컨대 5분)이내에 한 번 또는 일정 횟수 이상의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를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출입카드 분실 신고가 접수된 경우에는 출입을 거부함과 동시에 신고 처리하도록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제3자에 의해 출입카드 도용 시도 즉시 이를 지정된 연락처로 신고하여 보안구역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3자가 이용자의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도용하여 보안구역으로의 침입을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 제3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회원이 설정한 출입보안처리가 자동으로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구역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안구역을 출입하기 위해 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근거로 회원에 의해 유도되는 출입 허용/거부/통지/신고/확인후 허용 또는 거부 등의 출입보안처리가 자동으로 행해지게 됨으로써, 보안구역 출입정보의 도용으로 인해 타인이 보안구역에 침입하여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함은 물론, 제3자에 의한 협박이나 납치에 따른 불가항력적인 상황에서도 신속히 자동 신고처리를 행하도록 하여 제3자가 보안구역에 침입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의 보안 구역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도용방지장치(3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312)의 정보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도4에 도시된 서비스처리단(32)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출입통제 단말, 20 : 출입통제 서버,
30 : 도용방지장치, 31 : 서비스제어단,
32 : 서비스처리단, 33 :전용망.

Claims (10)

  1. 보안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통제단말과 결합되어 보안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통제 서버와, 상기 출입통제 서버와 연동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보안구역으로의 출입 보안관리를 수행하는 도용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도용방지장치에서 회원 별 보안구역 정보, 이용자 ID, 보안구역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처리하는 서비스등록단계와,
    출입통제 서버는 이용자가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이용하여 보안구역으로의 출입을 시도를 하는 경우 해당 출입시도를 도용방지장치에게로 보고하는 사건보고단계,
    도용방지장치는 출입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출입시도정보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보안구역 출입정보에 대해 기 등록된 조건정보를 확인하여 조건정보에 대응되는 출입보안처리를 행하는 사건조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정보는 출입시도요구를 위한 하나 이상의 비밀번호, 이용 시간, 이용 날짜, 비밀번호 입력 오류 여부,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조치단계의 출입보안처리방법은 보안구역에 대한 출입의 허용, 거부, 통지, 관리자 확인 후 처리, 본인 확인 후 처리, 신고 및 이들 간의 조합처리 중에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등록단계에서 보안구역 출입정보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처를 등록함과 더불어 그 연락처에 대한 우선순위정보를 등록하도록 하고,
    상기 사건조치단계에서 도용방지장치가 연락처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해당 연락처로의 접속시도를 행하여 접속된 연락처로 보안구역 출입시도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5. 보안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통제단말과 결합되어 보안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통제 서버와, 상기 출입통제 서버와 연동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보안구역으로의 출입 보안관리를 수행하는 도용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는 이용자가 보안구역 출입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시도를 행하는 경우, 출입 조건정보를 포함한 보안구역 출입시도정보를 도용방지장치로 통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용방지장치는 통신망과 결합하기 위한 소정 호 처리 수단과, 회원별 보안구역 출입정보와 보안구역 출입정보별 출입보안처리종류에 따른 조건정보 및 연락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부터 출입시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보안구역 출입정보의 조건정보에 대응되는 보안구역 출입보안처리를 행하도록 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정보는 보안구역 출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비밀번호, 출입 시간, 출입 날짜, 비밀번호입력 오류,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용방지장치의 출입보안처리는 보안구역 출입의 허용, 거부, 통지, 관리자 확인 후 처리, 본인 확인 후 처리, 신고 및 이들 간의 조합처리 중에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용방지장치는 호처리수단을 통해 이용자의 통신단말기로 보안구역 출입시도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송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용방지장치는 호처리수단을 통해 보안구역 출입시도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용방지장치의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처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우선순위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우선순위정보를 근거로 호처리 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용자 연락처로의 접속을 수행하여 접속된 연락처로 보안구역 출입시도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구역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0030058298A 2003-08-22 2003-08-22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20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298A KR20050020388A (ko) 2003-08-22 2003-08-22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298A KR20050020388A (ko) 2003-08-22 2003-08-22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388A true KR20050020388A (ko) 2005-03-04

Family

ID=3722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298A KR20050020388A (ko) 2003-08-22 2003-08-22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03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555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555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11804086B2 (en) 2015-11-23 2023-10-31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5355B (fi) Järjestely suojatun järjestelmän käyttäjän tunnistamiseen ja todentamiseen
EP0493895B2 (en) Telephone network credit card ca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FI101584B (fi) Matkaviestintilaajan tunnusluvun tarkistaminen
KR960005440B1 (ko) 식별자의 도용 검출장치와 방법
CN101617291A (zh) 用于用户接口访问控制的系统和方法
JPH10504430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ユーザ認証
JP2002229951A (ja) 本人認証システム
JPH1112039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
JPH0984124A (ja) パーソナル通信端末の不正使用防止方法
JP200617228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050020388A (ko) 보안구역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3554156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1003615A (ja) 移動携帯端末を利用した開錠可能なインターホン装置
KR100944246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20050010606A (ko) 서비스 등록정보의 도용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05150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0600359B1 (ko) 불법 단말기 검출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6039728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20050021614A (ko) 컴퓨터 접속 정보의 도용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78835B1 (ko) 보이스 피싱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9318A (ko) 웹사이트 서비스 등록정보의 도용 방지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3152908A (ja)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型電話端末及びその端末を用いた利用者監視方法
JPH09160878A (ja) 不正アクセス防止方式
KR10060614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은행 출금 보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